KR101321843B1 - 가방 결착구 - Google Patents
가방 결착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21843B1 KR101321843B1 KR1020130066833A KR20130066833A KR101321843B1 KR 101321843 B1 KR101321843 B1 KR 101321843B1 KR 1020130066833 A KR1020130066833 A KR 1020130066833A KR 20130066833 A KR20130066833 A KR 20130066833A KR 101321843 B1 KR101321843 B1 KR 1013218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d
- hole
- iron
- locking
- rot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2—Arrangement of fasteners of press-button or turn-button fasteners
- A45C13/126—Arrangement of fasteners of press-button or turn-button fasteners of turn-butt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76—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a snap action
- A45C13/1084—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a snap action of the latch-and-catch type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8—Devices to prevent theft or loss of purses, luggage or hand carried bags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뚜껑에 쇠정구를 부착하고, 가방 본체에 쇠정판을 부착하여 가방 뚜껑을 중심으로 한 잠금 및 해제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쇠정구와 쇠정판간 잠금 및 해제를 위한 쇠정봉의 회전이 일정각도씩 제한되도록 하여 보다 정확하고 긴밀한 잠금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한 가방 결착구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방 결착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방 결착구는 가방, 핸드백 등 물건수납 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본체를 개폐하는 뚜껑간 잠금 및 해제가 필요한 제품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가방 결착구는 장식용으로도 사용 가능하다.
종래 가방용 결착구로는 실용신안등록 제20-0142404호 및 제20-0439894호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자료에 개시된 가방 결착 기술들은. 가방 뚜껑에 소정직경의 통공이 형성된 쇠정판을 부착하고, 가방 본체에 부착된 쇠정구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쇠정판에 끼운 후 회전시키면, 쇠정판에 형성된 잠금용홈에 쇠정구가 걸리면서 잠금되는 식의 기술들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들은 가방 뚜껑에 쇠정판이 부착되고, 가방 본체에 쇠정구가 부착되어 있어, 잠금 및 해제동작이 가방 본체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사용상 불편함이 따르고, 잠금 후에도 쇠정판에 형성된 홈내에 쇠정구 유동 공간이 남아 있게 되어 사용자의 의도와는 다르게 잠금이 쉽게 해제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가방 결착구에 관련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뚜껑에 쇠정구를 부착하고, 본체에 쇠정판을 부착하여 가방 뚜껑을 중심으로 한 잠금 및 해제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 가방 결착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쇠정구와 쇠정판간 잠금 및 해제를 위한 쇠정봉의 회전이 일정각도씩 제한되도록 하여 보다 정확한 잠금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한 가방 결착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기타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내용에 의해 자명하게 드러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방 결착구는, 몸체에 형성된 통공에 쇠정봉이 삽입 관통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쇠정봉에 연결된 손잡이의 회전 조작에 의해 쇠정봉이 쇠정판에 잠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쇠정구는 쇠정봉의 몸체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 몸체와 1차 결합되는 1차결합부재; 및 이탈방지부재 및 1차결합부재를 포함하여 몸체와 2차 결합되어 쇠정구의 조립을 완료하는 2차결합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쇠정봉은 일단은 잠금쇠가 형성되고, 타단은 손잡이가 연결되며, 잠금쇠로부터 손잡이까지 회전자재부, 제1차단부, 이탈방지부재결합부, 회전제어부 및 제2차단부가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쇠정구의 쇠정판과의 결합에 의한 잠금 후 쇠정봉의 회전이 이탈방지부재결합부에 결합된 이탈방지부에 의해 몸체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면서 이루어지고, 회전제어부에 의해 쇠정봉의 회전이 일정각도씩 제어되면서 잠금이 의도하지 않게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쇠정봉의 회전은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통공을 중심으로 형성된 홈에 배치된 판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쇠정판은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면서 쇠정봉의 잠금 및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통공이 형성되어 가방 본체의 안쪽에 결합되는 잠금쇠걸이부재; 및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 잠금쇠걸이부재와 결합되어 본체에 부착되는 부착부재가 각각 별개로 제조되어 서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쇠정판의 잠금쇠걸이부재의 통공은, 소정깊이를 가지며, 쇠정봉의 잠금쇠의 삽입초입부분은 잠금쇠와 동일형상으로, 삽입후 부분은 원형의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어, 잠금쇠의 삽입 후 일정각도 회전에 의해 삽입초입부분과 잠금쇠의 직교로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가방 결착구에 따르면, 가방 뚜껑을 중심으로 한 잠금 및 해제동작이 이루어지므로 본체를 중심으로 잠금 및 해제가 이루어지는 종래 기술에 비해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방 결착구에 따르면, 이탈방지부재가 쇠정봉에 결합되어 쇠정봉의 몸체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여 정확한 동작이 가능하고, 쇠정구와 쇠정판간 잠금 및 해제를 위한 쇠정봉의 회전이 일정각도씩 제한되어 본체와 뚜껑의 잠금 후 쇠정봉의 잠금쇠와 쇠정판의 잠금쇠걸이부재의 통공이 직교한 위치를 견고하게 유지하게 되어 잠금이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방 결착구의 전체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부 구성에 대한 분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방 결착구의 잠금을 위해 쇠정구가 쇠정판에 결합되는 동작을 단면도로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도 3의 동작에 의해 잠금이 이루어진 것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가방 결착구의 잠금이 이루어지기 전 상태를 쇠정판쪽에서 본 도면으로 부착부재를 제외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가방 결착구의 잠금이 이루어진 상태를 쇠정판쪽에서 본 도면으로 부착부재를 제외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쇠정구의 사진.
도 8은 본 발명의 쇠정구 몸체 내부 사진.
도 9는 본 발명의 쇠정봉의 사진.
도 10은 본 발명의 이탈방지부재의 사진.
도 11은 본 발명의 쇠정판으로서 쇠정봉이 삽입되는 부분을 나타낸 사진.
도 12는 도 11의 반대쪽을 나타낸 사진.
도 13은 잠금을 위해 쇠정구가 쇠정판에 최초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14는 도 13의 상태에서 쇠정봉의 회전에 의해 잠금이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2는 도 1의 일부 구성에 대한 분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방 결착구의 잠금을 위해 쇠정구가 쇠정판에 결합되는 동작을 단면도로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도 3의 동작에 의해 잠금이 이루어진 것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가방 결착구의 잠금이 이루어지기 전 상태를 쇠정판쪽에서 본 도면으로 부착부재를 제외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가방 결착구의 잠금이 이루어진 상태를 쇠정판쪽에서 본 도면으로 부착부재를 제외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쇠정구의 사진.
도 8은 본 발명의 쇠정구 몸체 내부 사진.
도 9는 본 발명의 쇠정봉의 사진.
도 10은 본 발명의 이탈방지부재의 사진.
도 11은 본 발명의 쇠정판으로서 쇠정봉이 삽입되는 부분을 나타낸 사진.
도 12는 도 11의 반대쪽을 나타낸 사진.
도 13은 잠금을 위해 쇠정구가 쇠정판에 최초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14는 도 13의 상태에서 쇠정봉의 회전에 의해 잠금이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낸 사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쇠정구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와, 몸체(10)에 형성된 통공(11)에 삽입관통된 쇠정봉(20)과, 쇠정봉(20)의 시계방향 혹은 시계반대방향으로의 회전을 위해 조작되는 손잡이(30)와, 쇠정봉(20)의 몸체(10)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40)와, 몸체(10)와 1차 결합되는 1차결합부재(50)와, 이탈방지부재(40) 및 1차결합부재(50)를 포함하여 몸체(10)와 2차 결합되어 쇠정구의 조립을 완료하는 2차결합부재(60)로 이루어진다.
도 8에 도시된 실제 사진을 함께 참조하면, 몸체(10)는, 그 전후면에 걸쳐 쇠정봉(20)의 관통을 위해 중앙부분에 소정직경의 통공(11)이 형성된다.
몸체(10)는, 그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통공(11)의 좌우에 2개의 홈(12)(13)이 각각 소정깊이로 형성된다. 이 홈(12)(13)은 실질적으로 통공(11)보다 높게 형성된 것으로써, 분할부(14)(15)에 의해 통공(11)을 기준으로 좌우로 분할된다. 결과적으로 홈(12)(13)의 중앙부분을 통공(11)이 차지하고 있는 형태이다.
홈(12)(13)은, 그 깊이에 상응하는 폭을 갖는 판프링(16)(17)이 각각 배치된다. 이 판스프링(16)(17)은 쇠정봉(20)의 일정각도씩의 회전시 팽창되었다가 원위치로 복귀하는 동작을 반복하는 것으로, 쇠정구와 쇠정판의 잠금 및 해제를 위한 쇠정봉(20)의 회전이 탄성력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몸체(10)는, 상하좌우에 나사홈(18)이 형성된다. 몸체(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좌우에 형성된 홈은 1차결합부재(50)와의 체결용이고, 상하에 형성된 홈은 2차결합부재(60)와의 체결용이다.
도 9에 도시된 실제 사진을 함께 참조하면, 쇠정봉(20)은, 일단은 잠금쇠(21)가 형성되고, 타단은 손잡이(30)가 연결된다. 잠금쇠(21)는 쇠정판의 잠금쇠걸이부재(80)에 형성된 통공(81)의 초입부분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잠금쇠(21)에 접하여는, 잠금쇠(21)에 비해 작은 직경의 회전자재부(22)가 형성되어 쇠정판 잠금쇠걸이부재(80)의 통공(81)을 관통한 잠금쇠(21)의 회전이 자유롭도록 한다.
회전자재부(22)에 접하여는, 상기 잠금쇠(21)와 회전자재부(22)를 제외한 쇠정봉(20)의 나머지 부분의 잠금쇠걸이부재(80)의 통공(81)으로의 삽입을 차단하는 제1차단부(23)가 형성된다. 제1차단부(23)는 잠금쇠(21)와 회전자재부(22)만 잠금쇠걸이부재(80)의 통공(81)에 삽입되어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쇠정봉(20)의 잠금쇠(21) 및 회전자재부(22)와 쇠정편의 잠금쇠걸이부재(80)의 통공(81)에 비해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제1차단부(23)에 접하여는, 이탈방지부재(40)와 결합되어 쇠정봉(2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결합부(24)가 제1차단부(23)에 비해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이탈방지부재결합부(24)는 실질적으로 후술하는 이탈방지부재(40)와 접하는 부분의 형상이 일치하도록 둘레의 일부분이 일자형으로 깎인 형태이다.
이탈방지부재결합부(24)에 접하여는, 쇠정봉(20)의 회전이 판스프링(16)의 탄성력을 받으면서 일정각도씩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회전제어부(25)가 형성된다. 회전제어부(25)의 길이는 상기 판스프링(16)이 배치되는 홈(12)(13)의 깊이와 동일하도록 설계하여 쇠정봉(20)의 회전 제어가 홈(12)(13)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회전제어부(25)는 둘레가 4개 구역으로 나뉘어 수직으로 깎여져 있다. 따라서 1 회전값은 90도가 된다. 상기 4개 구역 중 2 개 구역은 상기 잠금쇠(21)가 깎인 형상과 일치하도록 하여,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의 1회전시마다 잠금쇠(21)에 의한 잠금 및 해제가 반복되도록 한다.
회전제어부(25)에 접하여는, 상기 잠금쇠(21), 회전자재부(22), 제1차단부(23), 이탈방지부재결합부(24) 및 회전제어부(25)를 제외한 쇠정봉(20)의 나머지 부분의 통공(11)으로의 삽입을 차단하는 제2차단부(26)가 소정폭을 가지고 통공(1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쇠정봉(20)이 몸체(10)에 결합되면, 통공(11)을 기준으로 손잡이(30)쪽으로는 제2차단부(26)가, 손잡이(30) 반대쪽으로는 잠금쇠(21), 회전자재부(22), 제1차단부(23), 이탈방지부재결합부(24) 및 회전제어부(25)가 위치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손잡이(30)는, 잠금시에는 몸체(10)의 길이방향과 90도 각도로 직교되고, 해제시에는 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되는 것으로 몸체(1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하되, 몸체(10)에 비해 크기를 작게 하고 사용자가 손쉽게 잡고 잠금 및 해제할 수 있도록 적절한 두께로 설계한다.
도 10에 도시된 실제 사진을 함께 참조하면, 이탈방지부재(40)는, 일측이 개방된 대체로 원형으로 형성되며, 대체로 중심부분에 상기 이탈방지부재결합부(24)에 부합하는 형상의 결합부(41)가 내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이탈방지부재(40)는 제1결합부재(50)가 몸체(10)에 나사 체결된 후, 제1결합부(50) 위에서 쇠정봉(20)의 이탈방지부재결합부(24)에 긴밀하게 결합된다.
즉 몸체(10)에 제1결합부재(50)가 결합되면 이탈방지부재결합부(24)가 제1결합부재(50)에 접하여 상향 위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므로 이러한 상태에서 결합되는 것이다. 이탈방지부재결합부(24)의 직경에 비해 작은 간격을 갖는 이탈방지부(42)(43)가 양단에 형성되어 일단 이탈방지부재결합부(24)에 결합되면 결합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제1결합부재(50)는, 그 둘레가 몸체(10)에 대한 결합부위에 일치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부분에는 상기 쇠정봉(20)의 관통을 위한 통공(51)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상기 몸체(10)와의 체결을 위한 나사홈(52)이 형성된다.
제2결합부재(60)는, 그 둘레가 몸체(10)에 대한 결합부위에 일치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부분에는 상기 쇠정봉(20)의 관통을 위한 통공(61)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상기 몸체(10)와의 체결을 위한 나사홈(62)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쇠정판은 도 3 내지 도 6과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 쇠정판이 본체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부착부재(70)와,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면서 쇠정봉(20)의 잠금쇠(21)가 삽입 관통되어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통공(81)이 형성되는 잠금쇠걸이부재(80)가 각각 별개로 제조되어 서로 조립된다.
상기 잠금쇠걸이부재(80)의 통공(81)은, 쇠정봉(20)의 잠금쇠(21)와 회전자재부(22)가 삽입되어 회전되도록 소정깊이를 가지며, 쇠정봉(20)의 잠금쇠(21)가 최초 삽입되는 부분과 삽입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공간이 다른 형상으로 형성된다(도 11 및 도 12 참조).
즉 최초삽입부분은 잠금쇠(21)와 동일형상으로 형성되고, 삽입후 공간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최초삽입부분을 잠금쇠(21)와 동일형상으로 형성한 것은, 잠금쇠(21)의 삽입 후 90°회전에 의해 최초삽입부분과 잠금쇠(21)가 90°로 직교되어 이탈되지 않고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잠금쇠걸이부재(80)는, 통공(81)의 높이보다 약간 낮은 위치에 나사홈(82)이 형성되어, 부착부재(70)에 형성된 나사홈(72)과 결합되며, 부착부재(70)의 중앙에 홈(71)이 형성되어 통공(81)의 최상단부을 둘러싸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나사홈(72)을 통해 잠금쇠걸이부재(80)와 결합된다. 이와 같이 결합된 상태가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가방 결착구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잠금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쇠정봉(20)의 잠금쇠(21)와 잠금쇠걸이부재(80)의 통공(81)과 손잡이(30)가 모두 상호 부합하는 형태로 위치된 것을 가정한다. 즉 잠금쇠(21)가 통공(81)에 삽입될 수 있도록 위치된 것을 가정한다.
손잡이(30) 또는 쇠정구를 잡고 쇠정봉(20)을 잠금쇠걸이부재(80)의 통공(81)에 삽입 관통시키면, 제1차단부(23)에 의해 쇠정봉(20)의 삽입이 차단되면서 잠금쇠(21)와 회전자재부(22)만 통공(81)에 삽입되어 잠금쇠(21)의 회전이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도 5 및 도 13 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손잡이(30)를 시계반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1회전시키면 판스프링(16)의 탄성을 받으면서 쇠정봉(20)이 회전하며, 회전제어부(25)에 의해 쇠정봉(20)이 90°로 회전되어 잠금쇠(21)와 통공(81)의 초입부분이 상호 직교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잠금쇠(21)가 통공(8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잠금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도 6 및 도 14 참조).
잠금 해제시에는, 손잡이(30)를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판스프링(16)의 탄성을 받으면서 쇠정봉(20)이 회전하며, 회전제어부(25)에 의해 쇠정봉(20)이 90°로 회전되어 잠금쇠(21)와 통공(81)의 초입부분이 상호 일치하는 방향으로 위치된다. 따라서 잠금쇠(21)가 통공(81)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므로 손잡이(30) 또는 쇠정구를 잡고 통공(81)의 반대방향으로 당기면 쇠정구와 쇠정판이 분리되어 잠금이 해제된다.
10 : 몸체 20 : 쇠정봉
21 : 잠금쇠 22 : 회전자재부
23 : 제1차단부 24 : 이탈방지부재결합부
25 : 회전제어부 26 : 제2차단부
30 : 손잡이 40 : 이탈방지부재
50 : 제1결합부재 60 : 제2결합부재
70 : 부착부재 80 : 잠금쇠걸이부재
21 : 잠금쇠 22 : 회전자재부
23 : 제1차단부 24 : 이탈방지부재결합부
25 : 회전제어부 26 : 제2차단부
30 : 손잡이 40 : 이탈방지부재
50 : 제1결합부재 60 : 제2결합부재
70 : 부착부재 80 : 잠금쇠걸이부재
Claims (5)
- 몸체(10);
상기 몸체(10)에 형성된 통공(11)에 삽입관통되는 쇠정봉(20);
상기 쇠정봉(20)의 회전을 위해 조작되는 손잡이(30);
상기 쇠정봉(20)의 몸체(10)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40);
상기 몸체(10)와 1차 결합되는 1차결합부재(50); 및
상기 이탈방지부재(40) 및 1차결합부재(50)를 포함하여 몸체(10)와 2차 결합되어 쇠정구의 조립을 완료하는 2차결합부재(60)로 구성된 쇠정구와,
상기 쇠정봉(20)의 삽입 및 이탈이 이루어지도록 통공(81)이 형성되는 잠금쇠걸이부재(80); 및
상기 잠금쇠걸이부재(80)와 결합되어 본체에 부착되는 부착부재(70)가 각각 별개로 제조되어 서로 조립되는 쇠정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결착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는
분할부(14)(15)에 의해 형성된 홈(12)(13)에 탄성을 갖는 판스프링(16)(17)이 각각 배치되어 상기 쇠정봉(2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1차결합부재(50) 및 2차결합부재(60)와의 체결용 나사홈(18)이 적어도 한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결착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쇠정봉(20)은
일단은 잠금쇠(21)가 형성되고, 타단은 손잡이(30)가 연결되며,
상기 잠금쇠(21)에 접하여는, 잠금쇠(21)에 비해 작은 직경의 회전자재부(22)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자재부(22)에 접하여는, 상기 잠금쇠(21)와 회전자재부(22)를 제외한 쇠정봉(20)의 나머지부분의 잠금쇠걸이부재(80)의 통공(81)으로의 삽입을 차단하는 제1차단부(23)가 형성되고,
상기 제1차단부(23)에 접하여는, 상기 이탈방지부재(40)와 결합되어 쇠정봉(2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결합부(24)가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부재결합부(24)에 접하여는, 쇠정봉(20)의 회전시 상기 판스프링(16)(17)의 탄성력을 받으면서 일정각도씩 회전되도록 회전제어부(25)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제어부(25)에 접한 쇠정봉(20)의 타측은, 몸체(10)에 형성된 통공(11)으로의 쇠정봉(20)의 삽입을 차단하는 제2차단부(26)가 통공(1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결착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재(40)는, 상기 쇠정봉(20)의 이탈방지부재결합부(23)에 대응하는 형상의 결합부(41)가 내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이탈방지부(42)(43)가 양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부재(50)는, 상기 쇠정봉(20)의 관통을 위한 통공(51)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10)와의 체결을 위한 나사홈(52)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재(60)는, 상기 쇠정봉(20)의 관통을 위한 통공(61)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10)와의 체결을 위한 나사홈(62)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결착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쇠정판의 잠금쇠걸이부재(80)의 통공(81)은, 쇠정봉(20)의 잠금쇠(21) 및 회전자재부(22)의 삽입 후 회전을 위한 공간이 형성되며, 초입부분은 잠금쇠(21)와 동일형상으로 형성되어 잠금쇠(21)의 삽입 후 회전에 의해 상호 직교되도록 함으로써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결착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66833A KR101321843B1 (ko) | 2013-06-11 | 2013-06-11 | 가방 결착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66833A KR101321843B1 (ko) | 2013-06-11 | 2013-06-11 | 가방 결착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21843B1 true KR101321843B1 (ko) | 2013-10-23 |
Family
ID=49639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66833A KR101321843B1 (ko) | 2013-06-11 | 2013-06-11 | 가방 결착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21843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08798B1 (ko) | 2016-02-04 | 2016-04-04 | 김홍관 | 가방용 멀티 결착장치 |
KR101612923B1 (ko) | 2016-02-18 | 2016-04-15 | 김홍관 | 로고 턴록 |
KR102119003B1 (ko) * | 2019-03-14 | 2020-06-05 | 주식회사 마치인터내셔널 | 턴록 고정구 |
US11564458B1 (en) | 2020-07-26 | 2023-01-31 | Angle | Locking buckle assembly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01911Y1 (ko) * | 1995-05-29 | 1997-03-17 | 김승창 | 가방용 잠금장치 |
KR200142405Y1 (ko) * | 1996-10-01 | 1999-06-01 | 이관수 | 가방용 결착구 |
KR20100082221A (ko) * | 2009-01-08 | 2010-07-16 | 이종수 | 핸드백용 잠금장치 |
KR20110112108A (ko) * | 2010-04-06 | 2011-10-12 | 이종권 | 버튼 개폐장치 |
-
2013
- 2013-06-11 KR KR1020130066833A patent/KR10132184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01911Y1 (ko) * | 1995-05-29 | 1997-03-17 | 김승창 | 가방용 잠금장치 |
KR200142405Y1 (ko) * | 1996-10-01 | 1999-06-01 | 이관수 | 가방용 결착구 |
KR20100082221A (ko) * | 2009-01-08 | 2010-07-16 | 이종수 | 핸드백용 잠금장치 |
KR20110112108A (ko) * | 2010-04-06 | 2011-10-12 | 이종권 | 버튼 개폐장치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08798B1 (ko) | 2016-02-04 | 2016-04-04 | 김홍관 | 가방용 멀티 결착장치 |
KR101612923B1 (ko) | 2016-02-18 | 2016-04-15 | 김홍관 | 로고 턴록 |
KR102119003B1 (ko) * | 2019-03-14 | 2020-06-05 | 주식회사 마치인터내셔널 | 턴록 고정구 |
US11564458B1 (en) | 2020-07-26 | 2023-01-31 | Angle | Locking buckle assembl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21843B1 (ko) | 가방 결착구 | |
US4638994A (en) | Quick-bolt locking system | |
CA2919774C (en) | Tool handle for holding multiple tools of different sizes during use | |
US6189348B1 (en) | Retightenable and resettable strap lock | |
JP4659671B2 (ja) | 係止機構付き留め具 | |
KR20200020663A (ko) | 자석 후크 | |
WO2014186915A1 (zh) | 锁及钥匙 | |
JP2012024592A (ja) | 浴槽用手摺り | |
KR101983472B1 (ko) | 부착 디바이스 | |
US9261326B1 (en) | Firearm docking systems | |
WO2008081471A3 (en) | Auto lock slider for slide fastener | |
JP6074238B2 (ja) | ファスナー部材 | |
US6247385B1 (en) | Rotatable tool handle having a recovery device | |
US11007103B2 (en) | Locking clip for patient sling | |
US2334268A (en) | Fastener for eyeleted edges | |
JP5554095B2 (ja) | 接続ドリル用ケース | |
TWI313635B (ko) | ||
TW201438854A (zh) | 具有握柄之手工具 | |
JP5939490B2 (ja) | 浴槽用手摺り | |
JP3120787U (ja) | 扉開き防止装置および扉開き防止金具 | |
JP5601624B2 (ja) | パイプ保持具 | |
JP3100229U (ja) | 携帯用ストラップ | |
GB2540003A (en) | Folding knife | |
JP2017164229A (ja) | 針穴への糸通し具 | |
TWI576496B (zh) | Can be self-matching lock heart and ke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