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8798B1 - 가방용 멀티 결착장치 - Google Patents

가방용 멀티 결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8798B1
KR101608798B1 KR1020160014267A KR20160014267A KR101608798B1 KR 101608798 B1 KR101608798 B1 KR 101608798B1 KR 1020160014267 A KR1020160014267 A KR 1020160014267A KR 20160014267 A KR20160014267 A KR 20160014267A KR 101608798 B1 KR101608798 B1 KR 101608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gear
handle
coupling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4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관
Original Assignee
김홍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관 filed Critical 김홍관
Priority to KR1020160014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87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8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8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2Arrangement of fasteners of press-button or turn-button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2Arrangement of fasteners of press-button or turn-button fasteners
    • A45C13/126Arrangement of fasteners of press-button or turn-button fasteners of turn-button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덮개가 가방의 몸체에 회전에 의해 결착이 이루어지게 하되 장식을 겸하면서 여러 개의 핸들이 동시에 회전되면서 결착될 수 있도록 하는 가방용 멀티 결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방의 몸체에 바디를 고정시키되 상기 바디에 결합된 채로 회전되는 사각형태의 결착핸들을 삼각 형태로 배치하여 설치하고, 상기 바디의 내측에서 결착핸들의 하측에 기어가 끼워져 결착핸들로 기어를 회전시키며, 상기 기어의 외측에는 기어벨트를 체결하여 3개의 기어가 동시에 회전되게 하고, 상기 결착핸들이 끼워지는 결착구멍이 삼각 형태를 이루게 형성된 결착캡은 가방의 덮개에 고정되게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가방용 멀티 결착장치{Multi connection apparatus for bag}
본 발명은 덮개가 가방의 몸체에 회전에 의해 결착이 이루어지게 하되 장식을 겸하면서 여러 개의 핸들이 동시에 회전되면서 결착될 수 있도록 하는 가방용 멀티 결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방의 몸체에 형성되어 가방을 덮어주는 덮개는 지퍼, 자석, 고리, 장식 등에 의해 결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단순히 덮개에 형성된 결착구와 몸체에 형성된 결착구가 붙거나, 돌리거나, 끼워지거나, 체결이 이루어지는 형태로 결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결착장치의 다변화를 시킬 수 없다.
특히, 기존의 결착장치는 하나의 자석, 고리, 끼움돌기, 체결구 등의 구조를 갖추기 때문에 가방의 덮개를 열거나 닫을 때 하나의 결착장치를 조작하여야 하고, 이로 인하여 가방의 장식효과를 높이기가 쉽지 않은 것이었다.
기존의 결착장치 중에서 가방의 몸체에는 회전 가능한 직사각형 형태의 결착핸들을 설치하되 가방의 덮개에는 상기 결착핸들이 끼워지는 직사각형 형태의 결착구를 구비함으로써, 덮개를 덮을 때는 결착핸들이 결착구에 끼워진 상태에서 반회전시켜 덮개의 고정이 이루어지게 하고, 덮개를 열을 때는 결착핸들과 결착구의 모양을 일치시켜 덮개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식은 하나의 결착핸들만 설치되는 것이어서, 결착핸들의 모양이나 형상의 변화는 가능하나, 여러 개의 결착핸들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외적인 이미지가 중요한 가방의 디자인 변화에 한계를 보이게 된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 10-2000-0064334호(2000.11.06. 공개) 대한민국 특허 공개 10-2004-0030040호(2004.04.08. 공개)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 20-2012-0005245호(2012.07.18. 공개)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20-0268745호(2002.03.06. 등록)
본 발명은 가방의 몸체를 덮어주는 덮개를 결착시킴에 있어서, 고리나 자석 또는 하나의 결착핸들을 사용하는 경우, 디자인의 한계를 벗어날 수 없고, 다양함을 추구하는 현대인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방의 몸체에 수 개의 결착핸들을 설치하되 상기 결착핸들이 덮개에 설치된 결착구멍에 끼워진 상태에서 하나의 결착핸들을 이용하여 여러 개의 결착핸들이 동시에 회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간편한 결착이 이루어지는 한편 다양한 디자인 변화가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가방의 몸체에 바디를 고정시키되 상기 바디에 결합된 채로 회전되는 사각형태의 결착핸들을 삼각 형태로 배치하여 설치하고, 상기 바디의 내측에서 결착핸들의 하측에 기어가 끼워져 결착핸들로 기어를 회전시키며, 상기 기어의 외측에는 기어벨트를 체결하여 3개의 기어가 동시에 회전되게 하고, 상기 결착핸들이 끼워지는 결착구멍이 삼각 형태를 이루게 형성된 결착캡은 가방의 덮개에 고정되게 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가방의 덮개를 닫으면 결착핸들이 결착구멍을 통하여 노출되고, 이 상태에서 결착핸들을 돌리면 기어벨트에 의해 3개의 결착핸들이 동시에 회전되면서 결착구멍을 가로지르는 형태가 되게 하여 고정이 이루어지고, 결착핸들을 돌려 결착핸들이 결착구멍에 일치되게 하면 덮개를 개방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가방의 덮개를 고정시키는 결착장치에 있어서, 수 개의 결착핸들을 이용하여 결착이 이루어지게 하되 수 개의 결착핸들은 하나의 결착핸들에 의해 동시에 회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착핸들이 여러 개인 가방의 결착장치로 인하여 고품격의 아름다운 디자인을 완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결착핸들은 방향에 관계없이 연속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결착핸들은 90O 회전이 이루어질 때마다 체결구에 의해 그 위치를 잡아 줄 수 있도록 함으로서 결착핸들을 간편하게 회전시켜 정확한 위치에서 결착상태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결착핸들로 잠가준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결착핸들로 해제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결착캡과 바디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A-A 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와셔를 제거한 저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평면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9은 본 발명의 저면 상태의 분해 사시도
본 발명은 덮개가 구비된 가방에서, 덮개가 덮인 채로 고정되거나 덮개를 개방시키는 결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3개의 결착핸들을 이용하여 결착이 이루어지게 하되 상기 3개의 결착핸들은 하나의 결착핸들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결착핸들이 90O 회전될 때마다 잠금과 해제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몸체의 전방으로 3개의 결착핸들이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결착핸들은 대략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되 정삼각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결착핸들의 하측에 형성되는 결합봉은 바디의 내부에서 기어에 결합되는 한편 상기 기어는 기어벨트로 씌워지게 함으로서 하나의 결착핸들을 회전시킬 때 기어벨트의 회전에 의해 나머지 결착핸들도 회전되게 하고, 상기 결착핸들은 덮개에 형성된 결착구멍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덮개의 결착구멍에 결착핸들이 끼워진 상태에서 결착핸들을 회전시키면 3개의 결착핸들이 회전되면서 잠금이 이루어지거나 해제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돌출된 3개의 결착핸들 중 하나를 회전시켜 가방의 덮개를 결착시킬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2개의 결착핸들만 일자 형태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 경우도 기어벨트에 의해 하나의 결착핸들 회전시 나머지 결착핸들도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같이 하나의 결착핸들을 회전시킴에 따라 수 개의 결착핸들이 동시에 회전하면서 가방의 덮개를 잠그거나 개방시키는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덮개(20)로 몸체(10)가 덮여지는 형태의 가방에 관한 것으로, 덮개(20)가 몸체(10)를 덮은 상태로 결착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가방은 핸드백 또는 숄더백 등 다양한 형태를 갖는다.
본 발명은 가방의 덮개(20)에는 결착구멍(35)이 형성된 결착캡(30)을 고정시키고, 덮개(20)를 덮었을 때 결착캡(30)에 대향된 위치의 몸체(10)에는 결착핸들(60)이 돌출되게 형성된 바디(50)를 고정시키는 것으로, 본 발명의 결착구멍(35)은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동일 동심원을 갖고 정삼각형 형태로 설치되며, 결착핸들(60)은 상기 결착구멍(35)에 끼워지는 직사각형 형태를 가지는 한편 결착구멍(35)과 결착핸들(60)은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결착캡(30)은 덮개(20)에 형성된 구멍(21)에 끼워지되 돌출턱(31)이 덮개(20)의 전방에 받쳐지면서 끼워지고, 상기 덮개(20)의 배면에는 링 형태의 고정캡(40)을 대고, 나사를 이용하여 고정캡(40)을 결착캡(30)의 배면에 고정시킴으로써, 결착캡(30)이 덮개(2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디(50)는 몸체(10)의 전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몸체(10)의 배면에 위치된 와셔(90)에서 고정나사를 끼움으로써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몸체(10)에는 고정나사가 끼워지는 고정구멍(11)만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디(50)는 몸체(10)의 전방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바디(50)의 상측에는 결착캡(30)의 두께만큼 돌출되는 돌출부(51)를 형성하되 상기 돌출부(51)의 중앙에 결착핸들(60)이 끼워져 회전되게 하며, 상기 돌출부(51)는 결착캡(30)의 결착구멍(35)에 끼워짐으로써 결착핸들(60)의 회전이 자유롭게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결착핸들(60)은 바디(50)에 끼워진 상태에서 하측의 결합봉(61)이 기어(70)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결착핸들(60)의 회전력이 기어(70)에 전달되는 한편 결착핸들(60)에 끼워진 채로 기어(70)가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즉, 결착핸들(60)의 하측으로 사각봉 형태의 결합봉(61)을 형성하고, 기어(70)의 축중심에는 사각홀을 형성함으로써 결착핸들(60)의 회전시 결합봉(61)이 기어(70)에 끼워진 상태로 회전력 전달이 이루어지고, 이때 기어(70)는 결합봉(61)에 끼워진 채로 상하 이동된다.
본 발명의 기어(70)는 캡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하측이 스프링(75)으로 받쳐지게 되고, 상기 스프링(75)은 결착핸들(60)의 결합봉(61) 하측에 스피닝부(62)를 형성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한편 스피닝부(62)를 중심으로 결착핸들(60)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하며, 이때, 스피닝부(60)와 몸체(10)와의 사이에 슬라이딩판(65)을 설치하는 경우 스피닝부(62)가 슬라이딩판(65)에 받쳐지면서 자유로운 회전이 이루어지게 한다.
본 발명의 기어(70)는 스프링(75)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하려는 힘을 받게 하고, 상기 기어(70)의 상측에는 체결홈과 체결돌기가 교호로 형성된 체결구(73)를 형성하고, 상기 체결구(73)가 맞닿게 되는 바디(50)의 저면에도 체결돌기와 체결홈이 교호로 형성된 체결구(53)를 형성함으로써, 체결구(73)(53)의 체결돌기와 체결홈이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기어(70)의 체결구(73)와 바디(50)의 체결구(53)는 서로 체결돌기와 체결홈이 맞물리면서 결합되게 하되 90o 단위로 정확한 회전이 이루어지게 하는 한편 사용자가 회전위치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기어(70)는 스프링(75)의 탄성력에 의해 항시 상부로 이동하려는 힘을 받게 되기 때문에 기어(70)의 체결구(73)는 바디(50)의 체결구(53)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 상태에서 결착핸들(60)을 돌리게 되면, 결착핸들(60)의 결합봉(61)이 기어(70)를 회전시키는 힘을 가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기어(70)가 회전하되 체결구(53)(73)에 의해 결합된 바디(50)는 고정된 상태이고, 기어(70)는 스프링(75)에 탄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결착핸들(60)을 회전시키면 기어(70)가 회전하되 체결구(53)(73)의 체결돌기에 의해 하부로 밀리면서 스프링(75)을 압착시키며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고, 결착핸들(60)이 한 칸 회전하여 90o 회전하면 기어(70)가 스프링(75)의 탄성력에 상부로 이동하면서 기어(70)의 체결구(73)가 바디(50)의 체결구(53)에 결합되면서 결착핸들(60)의 회전 위치를 확인하는 한편 정확한 위치로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기어(70)는 결착핸들(60)과 같이 정삼각형을 이루며 설치되고, 상기 기어(70)의 외측으로 기어벨트(80)가 끼워지게 함으로써, 하나의 기어(70)가 회전될 때 기어벨트(80)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모든 기어(70)가 회전되면서 모든 결착핸들(60)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덮개(20)에 결착구멍(35)이 형성된 결착캡(30)을 끼워 고정캡(40)으로 고정시키고, 몸체(10)의 전방에는 바디(50)를 밀착시켜 몸체(10)의 배면에 와셔(90)를 대고 고정나사로 고정시키되 상기 바디(50)의 상면으로 결착핸들(60)이 노출되며, 상기 결착핸들(60)은 덮개(20)로 몸체(10)를 덮었을 때 결착캡(30)의 결착구멍(35)을 통하여 결착핸들(60)이 전방으로 돌출된다.
결착핸들(60)은 바디(50)에 끼워진 채로 회전가능하고, 상기 결착핸들(60)의 하측에 형성된 결합봉(61)에는 기어(70)를 결합시키되 결합봉(61)을 사각으로 형성하고 상기 결합봉(61)이 기어(70)의 사각구멍으로 형성된 축구멍에 끼워지게 함으로써, 결착핸들(60)을 회전시키면 기어(70)의 회전이 이루어지고, 이때 기어(70)는 결합봉(6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기어(70)는 내측을 받치는 스프링(75)에 탄지되어 항시 바디(50)쪽으로 이동하려는 힘을 받게 되고, 상기 기어(70)의 상측과 바디(50)의 저면에는 각각 체결돌기와 체결홈이 교호로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게 되는 체결구(73)(53)를 형성함으로써, 결착핸들(60)과 기어(70)는 체결구(53)(73)로 맞물린 상태에서 기어(70)가 스프링(75)의 탄성력을 받게 되므로, 항시 맞물리려는 힘을 받게 된다.
기어(70)는 결착핸들(60)과 같이 정삼각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기어(70)에는 기어벨트(80)를 끼움으로써, 기어(70)가 기어벨트(80)를 삼각 형태로 지지하게 하며, 상기 기어벨트(80)는 어느 하나의 기어(70)가 회전되더라도 따라서 회전되며, 기어벨트(80)의 회전에 따라 다른 결착핸들(60)도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은 3개의 결착핸들(60) 중 하나의 결착핸들(60)을 회전시키면, 기어(70)가 회전하면서 기어벨트(80)를 회전시키게 되고, 기어벨트(80)의 회전에 의해 나머지 두 개의 기어(70)도 회전을 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나머지 두 개의 결착핸들(60)도 회전을 하게 되므로, 어떠한 결착핸들(60)을 회전시키더라도 3개의 결착핸들(60)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결착핸들(60)을 회전시켜 기어(70)가 회전할 때 체결구(53)(73)의 체결돌기가 체결홈을 타고 이동하면서 기어(70)를 일부 하강시켜 스프링(75)을 압착시킨 상태에서 90o 회전이 이루어지게 하고, 결착핸들(60)의 회전이 완료되면 체결구(53)(73)의 체결돌기가 체결홈에 안착되면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결착핸들(60)을 회전시키는 사용자는 정확한 회전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한편 결착핸들(60)은 정해진 각도로 회전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결착핸들(60)은 한 쪽 방향으로 90o 회전에 의해 잠금과 해제가 이루어지게 되고, 이러한 결착핸들(60)은 한 쪽 방향으로 연속 회전시켜 잠금과 해제를 시킬 수 있으며, 결착핸들(60)이 결착구멍(35)에서 이탈되는 위치로 회전되면 덮개(20)를 개방시킬 수 있는 해제 상태가 되고, 결착핸들(60)이 결착구멍(35)과 서로 어긋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덮개(20)를 열을 수 없는 잠금 상태가 된다.
이 같이, 본 발명은 덮개(20)를 덮어 결착핸들(60)이 결착구멍(35)에 끼워진 상태에서 하나의 결착핸들(60)을 90o 회전시키면 기어벨트(80)가 회전하면서 나머지 결착핸들(60)도 동시에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잠금 상태로 전환되고, 이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결착핸들(60)을 90o 회전시켜 기어벨트(80)와 기어(70)로 물린 나머지 결착핸들(60)도 동시에 회전시켜 결착구멍(35)과 결착핸들(60)을 일치시키면 덮개(20)를 개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결착핸들(60)은 기어벨트(80)를 회전시키는 기어(70)를 회전시키되 상기 기어(70)는 스프링(75)에 탄진된 채로 바디(50)의 저면과 체결구(53)(73)로 결합된 상태가 되고, 결착핸들(60)을 회전시키면 체결구(53)(73)의 체결돌기가 체결홈에서 이탈하면서 기어(70)를 하강시켜 스프링(75)을 압착시킨 상태에서 결착핸들(60)의 90o 회전이 이루어지고, 결착핸들(60)의 90o 회전이 완료될 때 스프링(75)의 탄성력에 의해 기어(70)가 상승하면서 체결구(53)(73)의 결합이 이루어져, 사용자가 90o 회전 위치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음은 물론 결착핸들(60)의 정확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하나의 결착핸들(60)을 이용하여 나머지 2개의 결착핸들도 동시에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가방의 새로운 디자인 제공이 가능하고 아름다움의 표출이 가능하다.
10 : 몸체 20 : 덮개
30 : 결착캡 35 : 결착구멍
40 : 고정캡 50 : 바디
53 : 체결구 60 : 결착핸들
61 : 결합봉 62 : 스피닝부
65 : 슬라이딩판 70 : 기어
73 : 체결구 75 : 스프링
80 : 기어벨트 90 : 와셔

Claims (5)

  1. 가방의 몸체(10)를 덮어주는 덮개(20)에 구멍(21)을 형성하여 결착캡(30)을 끼운 후 결착캡(30)의 저면에서 링 형태의 고정캡(40)으로 결착캡(30)을 고정시키되 상기 결착캡(30)에는 사각형태를 갖는 3개의 결착구멍(35)이 동심원에서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설치되고,
    상기 덮개(20)가 덮여지는 몸체(10)의 대향된 위치에 바디(50)를 설치하되 상기 바디(50)는 몸체(10)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몸체(10)의 저면에 와셔(90)를 위치시킨 후 와셔(90)에서 몸체(10)를 관통하여 바디(50)를 고정시키며,
    상기 바디(50)에는 결착캡(30)의 결착구멍(35)에 끼워지는 형태로 사각형태의 결착핸들(60)이 돌출되게 하되 상기 결착핸들(60)의 하측으로 결합봉(61)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봉(61)에는 바디(50)의 내측에서 기어(70)가 끼워지게 하는 한편 상기 기어(70)의 외측으로 기어벨트(80)가 끼워지게 하며, 상기 기어(70)는 결합봉(61)의 하부에 형성된 스피닝부(62)에 의해 스프링(75)으로 받쳐진 상태에서 결착핸들(6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용 멀티 결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몸체(10)에 고정된 바디(50)에서 돌출되게 설치되는 결착핸들(60)은 덮개(20)에 고정된 결착캡(30)의 결착구멍(35)에 끼워진 상태에서 결착핸들(60)을 90o 회전시켜 결착핸들(60)과 결착구멍(35)이 일치되어 개방되게 하거나 서로 어긋나 잠기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용 멀티 결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결착핸들(60)의 결합봉(61)은 사각봉으로 형성하여 기어(70)의 축중심에 끼워지게 하여 결착핸들(60)로 기어(70)를 회전시키는 한편 기어(70)가 결합봉(61)을 타고 상하 이동되게 하고, 상기 결합봉(61)에는 스프링(75)을 외삽시켜 기어(70)의 하부를 스프링(75)이 받치게 하고, 상기 결합봉(61)의 하부는 스피닝부(62)를 형성하여 스프링(75)의 이탈을 방지하는 한편 몸체(10)의 표면에 부착된 슬라이딩판(65)과 접촉되면서 회전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용 멀티 결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기어(70)의 상측에는 체결돌기와 체결홈이 교호로 형성된 체결구(73)를 형성하고, 상기 체결구(73)가 접촉하게 되는 바디(50)의 저면에도 체결홈과 체결돌기가 교호로 형성된 체결구(53)를 형성하여, 기어(73)의 체결구(73)와 바디(50)의 체결구(53)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결착핸들(60)을 돌려 90o 회전이 이루어진 후 다시 체결구(53)(73)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용 멀티 결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결착핸들(6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기어(70)를 회전시키고, 상기 기어(70)의 회전에 의해 기어벨트(80)가 한 방향으로 계속 회전하면서 결착핸들(60)의 잠금과 해제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용 멀티 결착장치.

KR1020160014267A 2016-02-04 2016-02-04 가방용 멀티 결착장치 KR101608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267A KR101608798B1 (ko) 2016-02-04 2016-02-04 가방용 멀티 결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267A KR101608798B1 (ko) 2016-02-04 2016-02-04 가방용 멀티 결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8798B1 true KR101608798B1 (ko) 2016-04-04

Family

ID=55799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4267A KR101608798B1 (ko) 2016-02-04 2016-02-04 가방용 멀티 결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879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843B1 (ko) 2013-06-11 2013-10-23 (주)진흥금속 가방 결착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843B1 (ko) 2013-06-11 2013-10-23 (주)진흥금속 가방 결착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77502A1 (en) Pendant button cover with magnetic latch
CN206943139U (zh) 旋动结构
CN104939697B (zh) 包括被与安全装置协作的可拆卸盖所关闭的容器的烹饪制备家电设备
US20150251309A1 (en) Display Structure for Tool Box
TWM513910U (zh) 設置在非拉鏈開合式箱包上的鎖具及旅行箱包
US20170284598A1 (en) Coupler
KR101608798B1 (ko) 가방용 멀티 결착장치
JP4928557B2 (ja) 磁化される蓋の把持部材
KR200486006Y1 (ko) 실습기자재용 클램핑장치
CN109372841A (zh) 一种led显示屏箱体的四合一快锁
CN103948217B (zh) 一种自动扣
CN209228804U (zh) 一种led显示屏箱体的四合一快锁
RU2014118760A (ru) Защитное закры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верного глазка
CN202820910U (zh) 电压力锅的锁扣固定结构及电压力锅
KR101612923B1 (ko) 로고 턴록
TWM461676U (zh) 把手鎖連動閂鎖解除鎖扣之鎖具
CN203684814U (zh) 具有多种装设方向的锁具
KR101427515B1 (ko) 슬라이딩 도어 손잡이
KR200360630Y1 (ko) 자성체를 이용한 유리문 도어록 장치
JP2019154889A (ja) 宅配ボックス
JP7039131B2 (ja) 宅配ボックス
KR102630313B1 (ko) 핸드백 360° 회전 잠금 장식구
KR101125715B1 (ko) 자물쇠용 장식케이스
TWM522168U (zh) 水壺架結構改良
KR200280809Y1 (ko) 양방향 단속기능을 갖는 창문용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