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5755Y1 - 건축용 판넬 - Google Patents

건축용 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5755Y1
KR200385755Y1 KR20-2005-0006226U KR20050006226U KR200385755Y1 KR 200385755 Y1 KR200385755 Y1 KR 200385755Y1 KR 20050006226 U KR20050006226 U KR 20050006226U KR 200385755 Y1 KR200385755 Y1 KR 2003857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concave
building panel
coupling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62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인석
Original Assignee
최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368719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385755(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최인석 filed Critical 최인석
Priority to KR20-2005-00062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57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57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57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4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ngaging holes or grooves in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metal or with an outer layer of metal or enameled metal

Abstract

본 고안은 판넬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돌부와 요입돌부 및 받침부를 형성하여 상기 건축용 판넬의 연결 시공시 연결부에 표시가 나지 않고 별도의 결합재 및 마감재를 이용하지 않고도 긴밀한 결합을 손쉽게 이룰 수 있는 건축용 판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판넬은 길이방향으로 결합돌부와 요입돌부 및 받침부를 포함하여, 별도의 연결구의 사용 없이도 상기 건축용 판넬의 연결부분인 결합돌부와 요입돌부의 긴밀한 결합을 간단하고도 단단히 이룰 수 있고, 연결부분에 틈이 형성되지 않아 별도의 마감재 사용 없이 틈을 통한 수분의 침투 및 이로 인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결합돌부와 요입돌부를 연결한 후 시공 면에 판넬의 하부를 결착하는 것만으로 상기 결합돌부와 요입돌부가 견고하고도 긴밀한 결합을 지속할 수 있는 결합력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축용 판넬{PANELS FOR THE CONSTRUCTION}
본 고안은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는 건축용 판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건축용 판넬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돌부와 요입돌부 및 받침부를 형성하여 상기 건축용 판넬의 연결 시공시 연결부에 표시가 나지 않고 별도의 결합재 및 마감재를 이용하지 않고도 긴밀한 결합을 이룰 수 있는 건축용 판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판넬은 내·외장재로써 건축분야에 그 사용이 다양하다. 벽돌이나 거푸집을 통한 콘크리트의 시공으로는 이루지 못하는 미려한 외관을 상기 건축용 판넬을 통해 쉽게 형성하도록 시공할 수 있다.
보통 이러한 미관용 판넬은 압출성형으로 형성된 판재의 형상으로 그 앞면에 표현하고자 하는 문양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사용되어진 재료에 따라 그 질감의 표현이 용이하다. 그러나 이러한 판넬을 제조함에 있어서, 넓으면서 각기 다른 건축물의 시공 면적에 알맞도록 제조하기엔 제조 공정 및 운반상의 문제가 크다. 따라서, 일정 면적을 가지며 연결 가능한 판넬을 제조하여 넓은 시공 면적에 대하여도 필요한 만큼의 판넬을 연결하는 것으로 필요 면적에 대한 시공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다수 판넬의 연결은 그 문양 및 외관의 결합에 따라 연속성을 지니며 일체된 모습으로 필요 면적에 시공된다.
이와 같이 연결 가능한 판넬을 연결하여 시공하는 방법으로 기존에는 그 연결부분을 볼트 및 너트와 같은 결합구로 단단히 체결하였다. 또한, 실리콘과 같은 마감재를 이용하여 연결부분을 마감 처리하여 연결부분에 이물질이 끼거나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였다.
그러나 상기 결합구의 이용에 따라 미관상의 기능을 갖는 판넬의 사용에 있어 그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결부분의 마감처리를 위한 마감재의 사용으로 상기 마감재 부분의 오염물질 점착과 풍화에 따라 상기 마감재 부분의 변색이라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더욱이 결합구 및 마감재에 따른 별도의 공정이 더 필요함에 따라 공정의 복잡성 및 이로 인한 비용의 추가가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여 쉽게 시공할 수 있도록 '凸' 형상의 돌출구와 '凹' 형상의 요입구로 이루어진 연결부를 갖는 건축용 판넬이 개발되었다. 상기 '凸' 형상의 돌출구와 상기 '凹' 형상의 요입구의 결합으로 별도의 결합구 없이도 다수의 판넬을 쉽게 연결하며 시공을 이룰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미관상의 기능을 가지며 내·외장재로 사용되는 두께가 얇은 판재 형상의 건축용 판넬에서는 상기와 같은 '凸' 형상과 '凹' 형상의 연결부 구성을 이루기가 어렵고 그 구성을 이룬다 해도 구조적으로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凸' 형상의 돌출구와 '凹' 형상인 요입구의 결합은 양측방향에서 상기 돌출구와 요입구가 밀착하도록 밀어주는 외력이 제공되지 않는다면 더욱 긴밀하게 밀착될 수 없다. 이에 따라, 양측방향으로부터의 또 다른 외력이 가해지며 시공이 이루어져야 하거나, 연결부분이 단순히 요입되는 연결을 갖는 것으로 그 연결에 긴밀성 없이 시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돌출구와 요철구를 갖는 건축용 판넬은 그 연결에 있어서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긴밀한 연결을 갖는 시공을 이루기가 어렵고, 발생하게 되는 틈에 대하여 오염 물질 및 물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다시금 마감재를 사용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연결이 가능한 건축용 판넬을 별도의 연결구 없이 긴밀하고도 단단하게 연결하여 연속된 판넬의 시공을 손쉽게 이룰 수 있는 건축용 판넬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연결이 가능한 건축용 판넬을 별도의 마감재 없이 틈이 형성되지 않도록 최대한 밀착하여 연결함으로써 틈을 통한 수분의 침투 및 이로 인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건축용 판넬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시공 면에 판넬의 하면부를 결착하는 것으로 발생하게 되는 일방향의 외력만을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연결구 및 마감재가 생략된 연결부분의 연결이 견고하고도 긴밀한 밀착을 지속할 수 있는 건축용 판넬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면에는 문양형성 요철부를 구비하고 횡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판재 형상의 몸체를 연속하여 연결할 수 있는 건축용 판넬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횡방향 일측단부로부터 상기 몸체 두께만큼의 하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연장된 결합돌부; 상기 몸체의 횡방향 타측단부로부터 상기 몸체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고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길이로 연장된 요입돌부; 및 상기 요입돌부가 형성된 상기 몸체의 타측부 하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요입돌부에 요입되는 결합돌부가 형성된 또 다른 판넬의 상기 몸체 일측 하면을 받칠 수 있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받침부는 상기 요입돌부가 형성된 상기 몸체의 타측부 하면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깊이로 수직 돌출된 접합돌부와 상기 접합돌부의 하부로부터 '┘' 형태로 연장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접합돌부와 동일한 높이로 상기 몸체의 외부에 직립된 받침돌부를 포함하는 '└┘'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받침돌부가 상기 접합돌부보다 1mm 내지 2mm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판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판넬의 측면도이다.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판넬(100)은 긴 판재 형태의 몸체(110)와 상기 몸체 상부로 표현하고자하는 문양이 형성된 문양형성 요철부(120)와 시공하고자 하는 시공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건축용 판넬의 후방부를 결착시킬 수 있는 간극 유지돌부(130)와 상기 건축용 판넬을 다수 연결시킬 수 있는 결합돌부(140) 및 요입돌부(150)와 상기 결합돌부와 요입돌부로 이루어진 연결부의 긴밀한 연결을 이루도록 외력을 작용시키는 받침부(16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110)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를 이용하여 일정 단위 면적을 가지며 긴 판재형상을 갖도록 압출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금속재가 아닌 합성수지재 등의 다른 재료를 이용하고 성형 방식에서도 압출성형이 아닌 다른 방식의 성형법을 이용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 당연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0)는 일방향으로 긴 형상(도 1 에서 생략된 부분의 간극은 약 300cm 인 것이 바람직하다)을 가지고, 그 두께는 외관을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의 두께로 얇은 판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문양형성 요철부(120)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문양으로 상기 몸체(110)의 상부에 일체된 형태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문양형성 요철부는 다수 판넬의 연결시 그 연결부분에 의해 문양의 끊김 없이 자연스럽게 연속되어 이어질 수 있는 문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몸체(110)와 문양형성 요철부(120)는 그 성형에 있어 사용되는 재료의 재질에 따라 그 특유의 질감을 최대한 표출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요구되는 사용자의 취향에 맞춰 질감을 손쉽게 연출해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간극 유지돌부(130)는 상기 건축용 판넬을 시공하고자 하는 작업면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결착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10)의 후방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높이로 직립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간극 유지돌부(130)는 상기 받침부(16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이루며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간극 유지돌부(130)는 일정한 높이를 가지며 일정 간격으로 상기 몸체(110)의 측방으로 하나 이상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돌부(140)는 상기 몸체(110) 횡방향의 일측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돌부(140)는 상기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0)의 두께만큼 상기 몸체(110)의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몸체(110)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110) 횡방향의 일측단부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돌부(140)은 상기 요입돌부(150)에 요입시 후술하는 접합돌부(160a)의 내측면에 맞 닿도록 연장된 길이로 형성되어 단단히 결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입돌부(150)는 상기 몸체(110) 횡방향의 타측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요입돌부(150)는 상기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0)의 일직선 상으로 상기 몸체(110)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며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110) 횡방향의 타측단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부(160)는 상기 요입돌부(150)가 형성된 상기 몸체(110)의 타측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받침부(160)는 상기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 '형의 구성요소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받침부(160) 일측에 이루어진 접합돌부(160a)의 상측단이 상기 몸체(110)의 하면에 수직으로 일체되는 것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합돌부(160a)와 후술하는 받침돌부(160b)는 동일한 높이이거나 아주 미세하게 받침돌부(160b)의 높이가 높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구성요소인 문양형성 요철부(120), 간극 유지돌부(130), 결합돌부(140), 요입돌부(150), 및 받침부(160)는 상기 몸체(110)로부터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압출성형에 의한 단일의 공정으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판넬을 생산하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3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판넬의 시공 상태도이고, 도 3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판넬이 시공된 상태의 요부 상세도이다.
상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판넬을 시공면(300)의 면적에 따라 필요한 수 만큼 연결하여 요구되는 면적에 따른 시공을 이룰 수 있다. 이때 상기 시공면(300)에는 상기 받침부(160)의 하부가 단단히 결착하는 것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간극 유지돌부(130)를 통해 상기 건축용 판넬(100)이 그 형태를 유지하며 상기 시공면(300)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받침부(160) 및 간극 유지돌부(130)의 높이 만큼 상기 시공면(300)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필요에 따라 단열재, 방음재 등의 별도의 건축재를 추가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도 3b를 참고하여 상기 건축용 판넬(100)의 연결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몸체(110)의 타측단으로부터 연장된 상기 요입돌부(150)의 아래로 상기 결합돌부(140)가 요입된다. 이때 상기 받침부(160)의 타측에 이루어진 받침돌부(160b)는 상기 결합돌부(140)가 형성된 상기 일측부의 몸체(110) 하면을 받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입돌부(150)에 상기 결합돌부(140)가 요입되고 상기 받침돌부(160b)가 상기 몸체(110)의 일측 하면을 받치는 상태에서 상기 몸체(110)의 타측 하부를 상기 시공면(300)에 결착하게 되면, 상기 시공면의 결착과 상기 받침돌부(160b)에 의한 받침과 상기 요입돌부(150)에 요입되어 걸려있는 상기 결합돌부에 형성되는 힘 ①, 힘 ②, 및 힘 ③에 의해 상기 요입돌부와 결합돌부 사이에 밀착력이 형성되어 단단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몸체(110)의 상기 시공면(300)에 결착함에 따라 발생하는 상기 힘 ①이라는 일방향의 외력만으로도 상기의 연결은 긴밀하고도 단단하게 연결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돌부(140)와 요입돌부(150)는 연결시 서로 일치할 수 있는 외형으로 형성되어 긴밀한 밀착을 이룸으로 인해 틈이 생성되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일방향의 외력의 작용만으로 상기 결합돌부(140)와 상기 요입돌부(150)가 밀착·연결되어 별도의 연결구 없이 긴밀하게 고정될 수 있고, 연결부분에 틈의 발생을 방지하여 별도의 마감재 없이도 연결부분에 이물질 또는 물의 침투를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본 고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해당 업계의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하여 정해져야 함은 당연하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연결이 가능한 건축용 판넬을 별도의 연결구 없이 긴밀하고도 단단하게 연결하여 연속된 판넬의 시공을 손쉽게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연결이 가능한 건축용 판넬을 별도의 마감재 없이 틈이 형성되지 않도록 최대한 밀착하여 그 연결을 이룸으로 인해 틈을 통한 수분의 침투 및 이로 인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시공면에 판넬의 하부를 결착하는 것으로 발생하게 되는 일방향의 외력만을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연결구 및 마감재가 생략된 연결부분의 연결이 견고하고도 긴밀한 밀착을 지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판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판넬의 측면도.
도 3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판넬의 시공 상태도.
도 3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판넬이 시공된 상태의 요부 상세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건축용 판넬 110: 판재 몸체
120: 문양형성 요철부 130: 간극 유지돌부
140: 결합돌부 150: 요입돌부
160: 받침부 160a: 접합돌부
160b: 받침돌부 300: 시공면

Claims (3)

  1. 상면에는 문양형성 요철부를 구비하고 횡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판재 형상의 몸체를 연속하여 연결할 수 있는 건축용 판넬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횡방향 일측단부로부터 상기 몸체 두께만큼의 하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연장된 결합돌부;
    상기 몸체의 횡방향 타측단부로부터 상기 몸체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고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길이로 연장된 요입돌부; 및
    상기 요입돌부가 형성된 상기 몸체의 타측부 하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요입돌부에 요입되는 결합돌부가 형성된 또 다른 판넬의 상기 몸체 일측 하면을 받칠 수 있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판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요입돌부가 형성된 상기 몸체의 타측부 하면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깊이로 수직 돌출된 접합돌부와 상기 접합돌부의 하부로부터 '┘' 형태로 연장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접합돌부와 동일한 높이로 상기 몸체의 외부에 직립된 받침돌부를 포함하는 '└┘'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판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돌부가 상기 접합돌부보다 1mm 내지 2mm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판넬.
KR20-2005-0006226U 2005-03-08 2005-03-08 건축용 판넬 KR2003857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226U KR200385755Y1 (ko) 2005-03-08 2005-03-08 건축용 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226U KR200385755Y1 (ko) 2005-03-08 2005-03-08 건축용 판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5755Y1 true KR200385755Y1 (ko) 2005-06-02

Family

ID=43687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6226U KR200385755Y1 (ko) 2005-03-08 2005-03-08 건축용 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575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575B1 (ko) * 2012-08-14 2013-04-02 최인석 건축용 외장패널 조립체
KR101285838B1 (ko) * 2011-07-25 2013-07-12 최인석 건축용 외장패널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838B1 (ko) * 2011-07-25 2013-07-12 최인석 건축용 외장패널 조립체
KR101248575B1 (ko) * 2012-08-14 2013-04-02 최인석 건축용 외장패널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201082U (zh) 一种多功能木制装饰护墙板及其拼接结构
KR200385755Y1 (ko) 건축용 판넬
KR100753544B1 (ko) 건축용 샌드위치 블럭
CN201190393Y (zh) 建筑幕墙主料与装饰条间连接件铝合金型材
CN204026119U (zh) 组合柜体的封边连接件
CN2620736Y (zh) 可快速安装的轻型墙体结构
JP3146398U (ja) 巾木スターター及びそれを用いた施工構造
KR101291068B1 (ko) 슁글 지붕판넬
CN104234412A (zh) 模板
CN2627121Y (zh) 自动锁扣地板
JP5358815B2 (ja) スパンドレル用ボーダー
CN211949163U (zh) 用于连接u型轻钢龙骨与墙体木龙骨的连接件
CN214498193U (zh) 一种装配式安装的室内装饰墙板系统
CN209891634U (zh) 一种留缝内嵌式型材
KR101346574B1 (ko) 커튼 박스
CN217537648U (zh) 一种具有led显示屏的波浪板内墙
JP5435321B2 (ja) 縦葺き外装構造
CN219587014U (zh) 一种用于穿孔板连接的结构
JPS5924755Y2 (ja) 建築用板の取付装置
JPH0735958Y2 (ja) 窯業系屋根材
KR200176307Y1 (ko) 합성목재 연결구조
KR200393524Y1 (ko) 조합형 돌출창틀
JP2008180041A (ja) 壁パネル
NZ560884A (en) Components for securing articles
JP2510047Y2 (ja) 壁パネルの側端固定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10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EXPY Expiration of term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0213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0213

Effective date: 2015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