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5438Y1 - 창호 지지링크의 고정부재 - Google Patents

창호 지지링크의 고정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5438Y1
KR200385438Y1 KR20-2005-0007056U KR20050007056U KR200385438Y1 KR 200385438 Y1 KR200385438 Y1 KR 200385438Y1 KR 20050007056 U KR20050007056 U KR 20050007056U KR 200385438 Y1 KR200385438 Y1 KR 2003854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ink
window
support
fixing memb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70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3지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3지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3지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20-2005-00070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54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54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54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 E05D15/4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with two pairs of pivoted arms
    • E05D15/46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with two pairs of pivoted arm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6Rods, l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그 결합구조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창호 지지링크의 고정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인 창호 지지링크의 고정부재는 창호틀과 창호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창호가 회동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링크와 상기 창호틀 및 창호와 지지링크의 사이에 장착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진 창호 지지링크에 있어서, 상기 지지링크가 그 길이방향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돌기가 상기 지지링크에 형성된 관통공에 끼워져 고정되는 끼움고정수단; 상기 지지링크가 그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링크의 타측에 형성된 지지부가 상기 고정부재의 타측에 형성된 걸림턱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고정수단; 을 포함하여 상기 삽입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공에 상기 돌기를 끼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창호 지지링크의 고정부재{APPARATUS OF LINK SUPPORT FOR FITTINGS}
본 고안은 창호 지지링크의 고정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창호틀에 창호를 개폐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지지링크를 지지하는 고정부재의 구조를 개선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창호 지지링크의 고정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를 개폐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창호 지지링크는 창문을 외측으로 밀거나 당겨 여닫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창호틀에 고정되는 링크와, 상기 제 5지지링크에 힌지 결합되어 접철되는 링크와 각 링크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또 다른 링크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창호 지지링크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창호의 지지링크를 도시한 도면으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창호틀(미도시)에 고정되는 제 5지지링크(11)의 상단에 일측이 힌지 결합된 제 1지지링크(12)와, 상기 제 5지지링크(11)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된 슬라이드(13)와, 상기 슬라이드(13)에 그 일측이 힌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 1지지링크(12)의 중간 영역부에 힌지 결합된 제 2지지링크(14)와, 상기 제1지지링크(12)의 타측 끝단에 그 중간영역부가 힌지 결합되고 창호(미도시)에 고정되는 제 3지지링크(15)와, 상기 슬라이드(13)에 그 일측이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3지지링크(15)의 중간부에 힌지결합되는 제 4지지링크(16)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창호틀에 고정되는 상기 제 5지지링크(11)와 창호틀 사이에는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창호틀 고정부재(20)가 장착되고, 상기 창호와 상기 제 3지지링크(15)의 사이에는 창호 고정부재(30)가 장착된다.
상기 제 5지지링크(11)의 양 끝단부에는 각각 관통된 결합공(11a)이 형성되고, 상기 창호틀 고정부재(20)에는 상기 결합공(11a) 형성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고 그 끝단부에 확대된 걸림턱을 갖는 돌기(21)가 형성되어 상기돌기(21)가 상기 결합공(11a)에 끼워져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 3지지링크(15)의 양 끝단부에도 각각 관통된 결합공(15a)이 형성되고, 상기 창호 고정부재(30)에는 상기 결합공(15a) 형성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고 그 끝단부에 확대된 걸림턱을 갖는 돌기(31)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31)가 상기 결합공(15a)에 끼워져 고정된다.
그러나, 종래 구조의 창호틀 고정부재(20) 및 창호 고정부재(30)가 각각 상기 제 5지지링크(11) 및 제 3지지링크(15)에 고정되는 구조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돌기(21, 31)가 상기 결합공(11a, 15a)에 끼워지는 방향이 같은 방향인 일측 방향만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돌기(21, 31)가 상기 결합공(1a, 15a)을 벗어나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의 목적은 창호 및 창호틀과 지지링크 사이에 장착되는 고정부재의 결합력을 증가시켜 장착위치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창호 지지링크의 고정부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창호 지지링크의 고정부재는 창호틀과 창호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창호가 회동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링크와 상기 창호틀 및 창호와 지지링크의 사이에 장착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진 창호 지지링크에 있어서, 상기 지지링크가 그 길이방향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돌기가 상기 지지링크에 형성된 관통공에 끼워져 고정되는 끼움고정수단; 상기 지지링크가 그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링크의 타측에 형성된 지지부가 상기 고정부재의 타측에 형성된 걸림턱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고정수단; 을 포함하여 상기 삽입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공에 상기 돌기를 끼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창호 및 창호틀에 고정되는 지지링크가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길이방향과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창호 지지링크의 고정부재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창호 지지링크의 고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창호틀 고정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창호 고정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고정부재가 장착된 지지링크는 창호틀(미도시)에 고정되는 제 1지지링크(111)의 타측에 힌지결합된 제 2지지링크(112)와, 상기 제 1지지링크의 일측에 그 일측 끝단이 힌지결합되는 제 3지지링크(113)와, 상기 제 2지지링크(112)의 타측에 그 일측이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 3지지링크(113)의 타측 끝단에 그 타측이 힌지결합되며 창호(미도시)에 고정되는 제 4지지링크(11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창호틀에 고정되는 제 1지지링크(111)와 창호틀 사이에는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창호틀 고정부재(120)가 장착되고, 상기 창호와 상기 제 4지지링크(114)의 사이에는 창호 고정부재(130)가 장착된다.
상기 제 1지지링크(111)의 일측 끝단부 및 제 4링크(114)의 일측 끝단부에 관통된 관통공(111a, 114a)이 형성되고, 상기 창호틀 고정부재(120) 및 창호 고정부재(130)에는 상기 관통공(111a, 114a) 형성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고 그 끝단부에 확대된 걸림턱을 갖는 돌기(121, 131)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121, 131)가 상기 관통공(111a, 114a)에 끼워져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돌기(121, 131)에는 탄성력을 갖도록 돌출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홈(121a, 131a)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111a, 114a)과 돌기(121, 131)는 짝을 이루어 끼움고정수단(122, 132)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 1지지링크(111)의 타측 끝단의 중간부가 절개된 상태로 연장되어 지지부(111b)가 형성되고 상기 창호틀 고정부재(120)의 타측 끝단에는 상기 지지부(111b)의 절개된 중간부가 끼워지도록 돌출된 돌출부(123a)와 상기 돌출부(123a)의 끝단에 확장된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111b)가 끼워지는 걸림부(123b)로 이루어진 걸림턱(123)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부(111b)가 상기 걸림턱(123)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지지부(111b)와 걸림턱(123)은 짝을 이루어 삽입고정수단(124)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 4지지링크(114)의 타측 끝단부에 관통된 삽입공(114c)과 상기 삽입공(114c)과 연결되며 상기 삽입공(114c) 보다 축소된 내경을 갖는 걸림공(114d)으로 이루어진 지지부(114b)가 형성되고, 상기 창호 고정부재(130)의 타측 끝단부에는 상기 삽입공(114c)과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돌출된 돌출부(133b)와 상기 돌출부(113b)의 중간영역에 상기 걸림공(114d)에 끼워지도록 축소된 폭을 갖는 삽입홈(133a)으로 이루어진 걸림턱(133)으로 구성되어 상기 삽입홈(113a)이 상기 걸림공(114d)에 끼워져 상기 돌출부(113b)가 상기 걸림공(114d)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부(114b)와 걸림턱(133)은 짝을 이루어 삽입고정수단(134)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창호들 고정부재(120) 및 창호 고정부재(130)의 양측면에는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지지링크(111) 및 제 4 지지링크(114)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고정핀(125, 135)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창호 지지링크의 고정부재가 장착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상기 창호틀 고정부재(120)의 타측 끝단부에 형성된 걸림턱(123)의 돌출부(123a)에 상기 제 1지지링크(111)의 지지부(111b)를 끼워 상기 걸림부(123b)에 지지부(111b)가 지지되어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 상태에서 상기 돌기(121)를 상기 관통공(111a)에 삽입하여 길이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창호틀 고정부재(12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 상태로 상기 제 1지지링크(111) 및 창호틀 고정부재(120)를 창호틀에 고정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창호 고정부재(130)의 타측 끝단부에 형성된 돌출부(133b)를 상기 제 4지지링크(114)의 타측 끝단부에 형성된 삽입공(114c)에 삽입한 후, 상기 돌출부(113b)에 형성된 삽입홈(133a)이 상기 걸림공(114d)에 끼워지도록 이동시켜 상기 창호 고정부재(130)가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 상태에서 상기 돌기(131)를 상기 관통공(114a)에 삽입하여 길이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창호 고정부재(13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 상태로 상기 제 4지지링크(114) 및 창호 고정부재(130)를 창호에 고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창호 지지링크의 고정부재는 제 1지지링크(111)와 상기 창호틀 고정부재(120)를 결합함에 있어, 상기 삽입고정수단(124)에 의해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끼움고정수단(122)에 의해 길이방향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4지지링크(114)와 상기 창호 고정부재(130)를 결합함에 있어, 상기 삽입고정수단(134)에 의해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끼움고정수단(132)에 의해 길이방향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창호 지지링크의 고정부재는 삽입고정수단에 의해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끼움고정수단에 의해 길이방향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일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만을 방지하는 종래구조에 비하여 그 결합구조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창호의 지지링크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창호 지지링크와 고정부재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창호 지지링크의 고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창호틀 고정부재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창호 고정부재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 : 제 1지지링크 114 : 제 2지지링크
122, 132 : 끼움고정수단 124, 134 : 삽입고정수단

Claims (5)

  1. 창호틀과 창호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창호가 회동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링크와 상기 창호틀 및 창호와 지지링크의 사이에 장착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진 창호 지지링크에 있어서,
    상기 지지링크가 그 길이방향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돌기가 상기 지지링크에 형성된 관통공에 끼워져 고정되는 끼움고정수단;
    상기 지지링크가 그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링크의 타측에 형성된 지지부가 상기 고정부재의 타측에 형성된 걸림턱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고정수단; 을 포함하여
    상기 삽입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공에 상기 돌기를 끼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지지링크의 고정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탄성력을 갖도록 돌출된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지지링크의 고정부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고정수단의 지지부는 상기 지지링크의 타측 끝단의 중간부가 절개되어 연장된 형상을 갖으며,
    상기 걸림턱은 상기 지지부의 절개된 중간부가 끼워지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끝단에 확장된 단면을 갖는 걸림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지지링크의 고정부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수단의 지지부는 상기 지지링크의 타측 끝단부에 관통된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과 연결되며 상기 삽입공보다 축소된 내경을 갖는 걸림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수단의 걸림턱은 상기 삽입공과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중간영역에 상기 걸림공에 끼워지도록 축소된 폭을 갖는 삽입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지지링크의 고정부재.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양측면에는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링크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고정핀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지지링크의 고정부재.
KR20-2005-0007056U 2005-03-16 2005-03-16 창호 지지링크의 고정부재 KR2003854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056U KR200385438Y1 (ko) 2005-03-16 2005-03-16 창호 지지링크의 고정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056U KR200385438Y1 (ko) 2005-03-16 2005-03-16 창호 지지링크의 고정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5438Y1 true KR200385438Y1 (ko) 2005-05-27

Family

ID=43686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7056U KR200385438Y1 (ko) 2005-03-16 2005-03-16 창호 지지링크의 고정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543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821B1 (ko) 2006-07-31 2007-07-02 주식회사 3지테크놀러지 창호 지지링크
KR200450906Y1 (ko) 2009-07-21 2010-11-09 양재구 창문 개폐용 슬라이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821B1 (ko) 2006-07-31 2007-07-02 주식회사 3지테크놀러지 창호 지지링크
KR200450906Y1 (ko) 2009-07-21 2010-11-09 양재구 창문 개폐용 슬라이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3382Y1 (ko) 조립형 안경
CN1984542A (zh) 具有可啮合/可解开的锁定部件的电缆夹具
US20160223001A1 (en) Securing pin for securing structural members
JP4603035B2 (ja) 縦構造部材を相対的に位置決めする装置
KR20080004379A (ko) 클립
US20100281652A1 (en) cup embedded type hinge device with position adjustment function
DE202007004549U1 (de) Befestigungsanordnung sowie Werkzeug zum Verriegeln eines Befestigungselementes
KR200385438Y1 (ko) 창호 지지링크의 고정부재
JP2004244890A (ja) 天井板用吊持杆の連結機構
KR20140104827A (ko)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의 커넥터
KR20170078233A (ko)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
US20100158632A1 (en) Fastener
EP1020651B1 (en) Fastener with pin retention protrusions and predrive positioning protrusions
JP2002242427A (ja) パイプジョイント
US10534195B2 (en) Removable elastic hinge for eyeglass frames
JP4625760B2 (ja) ヒンジ構造
PL367049A1 (pl) Łącznik elektryczny
JP4421471B2 (ja) スナップ
JP2009044041A (ja) 電子機器用筺体の構造
KR100413943B1 (ko) 벨트 연결구
DE102006060620B4 (de) Steckverbinder mit einem Gehäuse mit einem Betätigungselement und einem Rastmittel
CN107084177B (zh) 紧固件及部件安装构造
EP2233678B1 (en) Attachment link for louvers
KR200335712Y1 (ko) 통신시스템의 컨넥터뱅크 지지장치
KR200266192Y1 (ko) 창짝 프레임의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