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3821B1 - 창호 지지링크 - Google Patents

창호 지지링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3821B1
KR100733821B1 KR1020060072382A KR20060072382A KR100733821B1 KR 100733821 B1 KR100733821 B1 KR 100733821B1 KR 1020060072382 A KR1020060072382 A KR 1020060072382A KR 20060072382 A KR20060072382 A KR 20060072382A KR 100733821 B1 KR100733821 B1 KR 100733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frame
window
support link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2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3지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3지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3지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060072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38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3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3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2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revolv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 E05D15/44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with pivoted arms and vertically-slid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 E05D15/4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with two pairs of pivoted 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창호가 원활하게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하는 창호 지지링크를 개시한다. 창호틀과 창호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창호가 회동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창호의 지지링크에 있어서, 창호틀에 장착되는 프레임과, 창호가 열리고 닫힘에 따라 상기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더가 접촉되는 접촉면 사이에 끼워져 상기 프레임을 따라 상기 슬라이더가 슬라이딩 될 시 마찰력을 저감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에 장착되는 마찰부재와, 상기 창호가 열린 상태가 일시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슬라이딩 되는 상기 슬라이더의 일부분에 접촉되어 회동되면서 상기 슬라이더에 형성된 걸림공에 일시적으로 걸리는 회전스토퍼 및 상기 창호가 최대한 열린 경우 상기 회전스토퍼를 일정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스토퍼에 일시적으로 접촉되는 회전돌기가 형성된 가이드로 구성됨으로써, 슬라이더와 프레임간의 마찰력을 저감함과 동시에 창호가 갑자기 닫히는 것을 방지하여 충돌에 의한 소음발생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프레임, 슬라이더, 마찰부재, 회전스토퍼, 가이드

Description

창호 지지링크{LINK OF FITTINGS}
도 1은 종래 구조를 갖는 창호 지지링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창호 지지링크를 분해하여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3은 창호가 열리는 상태의 창호 지지링크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4는 창호가 완전히 열린 상태의 창호 지지링크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5는 창호가 닫히지 못하도록 걸린 상태의 창호 지지링크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6은 창호가 닫히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7은 창호가 자유롭게 열리고 닫히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0 : 프레임 130 : 슬라이더
135 : 걸림공 140 : 회전스토퍼
150 : 가이드 151 :회전돌기
본 발명은 창호틀에 창호를 고정하는 창호의 지지링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창호에 장착되는 프레임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가 원활하게 슬라이딩 됨과 동시에 슬라이딩시 발생되는 마찰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창호의 지지링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를 개폐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창호 지지링크는 창호와 창호틀의 접촉면이 상단부 및 하단부나 양 측면부에 장착되는 장치로서, 창문을 외측으로 밀거나 당겨 여닫는데 사용되며, 창호틀에 고정되는 링크와, 상기 창호에 고정되는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어 접철되는 링크와 각 링크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또 다른 링크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창호 지지링크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창호의 지지링크를 도시한 도면으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창호틀(미도시)에 고정되는 프레임(11)의 상단에 일측이 힌지 결합된 제 1지지링크(12)와, 상기 프레임(11)의 내측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삽입된 슬라이드(13)와, 상기 슬라이드(13)에 그 일측이 힌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 1지지링크(12)의 중간 영역부에 힌지 결합된 제 2지지링크(14)와, 상기 제1지지링크(12)의 타측 끝단에 그 중간영역부가 힌지 결합되고 창호(미도시)에 고정되는 제 3지지링크(15)와, 상기 슬라이드(13)에 그 일측이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3지지링크(15)의 중간부에 힌지결합되는 제 4지지링크(16)로 이루어진다.
프레임(11)의 중간부에는 스토퍼(11a)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일측 끝단에는 캡(17)이 압입되어 작동 중 스토퍼(11a)와 캡(16) 사이 구간을 운동궤적으로 하는 슬라이더(13)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창호 지지링크가 장착된 창호를 닫힌 상태에서 열리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각각의 링크가 회동되면서 슬라이더(13)가 스토퍼(11a)에 접촉되는 위치까지 슬라이딩되고, 창호를 닫게 되면 각각의 링크가 반대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스토퍼(11a) 측에 위치했던 슬라이더(13)가 캡(16)이 형성된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구조로 이루어진 창호 지지링크에 구비된 프레임(11)과 슬라이더(13)는 일정이상의 강도를 보유하기 위하여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슬라이더(13)의 슬라이딩이 오랜 시간 반복적으로 실시되면 마찰에 의한 손상 및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창호 지지링크에 장착되는 창문을 열린 상태로 고정하고 싶은 경우, 열린 상태를 고정시키기가 용이하지 않고 바람과 같은 외부 요인에 의해 임의로 순식간에 닫히게 되는 경우 창호가 창호틀에 부딪히면서 손상되거나, 큰 충격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이더의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 짐과 동시에 마찰력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는 창호 지지링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가 임의로 닫히는 것을 방지하여 창호와 창호틀의 갑작스런 충돌로 인한 손상 및 충격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창호 지지링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창호 지지링크는 창호틀과 창호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창호가 회동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창호의 지지링크에 있어서, 창호틀에 장착되는 프레임; 창호가 열리고 닫힘에 따라 상기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더; 상기 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더가 접촉되는 접촉면 사이에 끼워져 상기 프레임을 따라 상기 슬라이더가 슬라이딩 될 시 마찰력을 저감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에 장착되는 마찰부재; 상기 창호가 열린 상태가 일시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슬라이딩 되는 상기 슬라이더의 일부분에 접촉되어 회동되면서 상기 슬라이더에 형성된 걸림공에 일시적으로 걸리는 회전스토퍼; 및 상기 창호가 최대한 열린 경우 상기 회전스토퍼를 일정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스토퍼에 일시적으로 접촉되는 회전돌기가 형성된 가이드로 구성되어 상기 슬라이더가 원활하게 슬라이딩 되도록 함과 동시에 창호가 임의로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창호 지지링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창호 지지링크를 분해하여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고, 도 3은 창호가 열리는 상태의 창호 지지링크를 도시한 작동 상태 도이고, 도 4는 창호가 완전히 열린 상태의 창호 지지링크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고, 도 5는 창호가 닫히지 못하도록 걸린 상태의 창호 지지링크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고, 도 6은 창호가 닫히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고, 도 7은 창호가 자유롭게 열리고 닫히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창호 지지링크는 창호틀(미도시)에 고정되는 프레임(120)과, 상기 프레임(120)의 상단에 일측이 힌지 결합되는 제1지지링크(112)와, 프레임(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프레임(120)에 설치되는 슬라이더(130)와, 슬라이더(130)에 그 일측이 힌지 결합되고 제1지지링크(112)의 중간부에 그 타측이 힌지 결합되는 제2지지링크(114)와, 제1지지링크(112)의 타측 끝단에 그 중간부가 힌지 결합되는 제3지지링크(115)와, 일측 끝단은 슬라이더(130)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 끝단은 제3지지링크(115)의 일측 끝단에 힌지 결합되는 제4지지링크(116)와, 프레임(120)의 끝단부에 장착되어 슬라이더(130)의 이탈을 방지하는 끼움부재(117)로 이루어지며, 프레임(120)의 중간영역에는 회전스토퍼(140)가 장착되고, 슬라이더(130)에는 회전스토퍼(140)에 일시적으로 접촉되는 가이드(150)가 장착된다.
각각의 지지링크가 서로 연결되는 힌지 결합부는 관통된 힌지결합공(118a)에 힌지핀(118b)이 끼워져 회동가능하도록 고정된 구조를 가지며 힌지핀(118b)이 끼워지는 사이사이에는 와셔(118c)가 삽입된다. 그리고 제2지지링크(114) 및 제4지지링크(116)가 결합되는 슬라이더(130)의 힌지 결합부와 제1지지링크(112) 및 제4지지링크(116)가 결합되는 제3지지링크(115)의 힌지 결합부에 형성된 각각의 힌지결합 공(118a)에는 힌지결합공(118a)을 둘러싸는 원형을 이루도록 돌출된 버링부(118d)가 형성되고, 버링부(118d)가 형성된 접촉면에는 버링부(118d)와 밀착되도록 절곡된 티와셔(118e)가 와셔(118c) 대신에 삽입된다.
상기 프레임(120)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의 평면부(121)와, 평면부(121)의 양측면에서 직각방향으로 절곡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측면부(122)와, 측면부(122)의 끝단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123)로 이루어지고, 절곡된 내측의 중간부위에 회전스토퍼(140)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슬라이더(130)는 절곡된 프레임(120)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절곡된 내측면과 대응되는 외측면을 가지며,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저면(131)과, 저면(131)의 양측면 끝단에서 직각방향으로 절곡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측면(132)과, 측면(132)의 끝단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된 상면(133)으로 이루어지고, 합성수지재로 만들어지고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끝단부에 단면적이 확장된 머리부가 형성된 마찰부재(134)가 저면(131)에 두개, 측면(132)에 두개,상면(133)에 두개씩 짝을 이루어 장착됨으로써, 프레임120)의 평면부(121)와 측면부(122) 및 절곡부(123)에 접촉된다. 또한 마찰부재(134)는 짝을 이루어 슬라이더(130)의 양 끝단부와 중앙영역 세 곳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찰부재(134)가 장착되는 슬라이더(130)에는 마찰부재(134)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134a)이 형성된다. 그리고, 회전스토퍼(140)가 회전되는 경우 일시적으로 걸릴 수 있도록 관통된 걸림공(135)이 측면(132) 중앙영역에 형성된다.
또한 슬라이더(130)의 내측 중간영역에는 회전스토퍼(140)에 일시적으로 접 촉되는 회전돌기(151)가 돌출된 가이드(150)가 장착되고, 슬라이더(130)의 이동중에 회전돌기(151)가 슬라이더(130)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슬라이더(130)의 외측 중간영역에는 끝단에 걸림부(152a)가 형성된 스토퍼(152)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스토퍼(152)가 장착되어 회동되었을 시 접하는 프레임(120)의 절곡부(123) 측면에는 소정의 깊이로 함몰된 정지홈(123a)이 형성된다. 그리고 프레임(120)의 평면부(121) 내측과 접촉되는 가이드(150)의 일측면에는 마찰판(153a)이 장착되고 마찰판(153a)의 타측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가이드(150)에는 가압볼트(153b)가 체결된다.
상기 회전스토퍼(140)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그 중앙에는 프레임(120)에 설치되는 핀(141a)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고 고정되는 회전홀(141)이 형성되고, 양 끝단면에는 소정의 깊이로 함몰된 걸림홈(142)가 형성된다. 걸림홈(142)은 평면 투영 시 삼각형을 이루도록 중앙을 향할수록 점점 축소되도록 함몰되고 그 끼인각은 90도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끼움부재(117)는 프레임(120)이 일측 끝단에 압입되고 소정의 깊이로 함몰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배수로(117a)가 형성되어 프레임(120)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면, 유입된 빗물은 배수로(117a)를 따라 프레임(120)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창호 지지링크의 작동과정은 다음과 같다.
창호가 닫혀있는 경우에는 슬라이더(130)가 끼움부재(117)가 장착된 방향으 로 최대한 밀착된 위치에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 상태에서 창호를 열리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20)과 평행상태를 유지하던 제3지지링크(115)가 소정의 각도로 벌어지게 되고, 그에따라 제1지지링크(112), 제2지지링크(114) 및 제4지지링크(116)가 링크운동을 시작하게 된다. 링크운동에 따라 슬라이더(130)는 스토퍼(124)가 장착된 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호가 최대한 열린 상태가 되면 슬라이더(130)에 부착된 가이드(150)의 회전돌기(151)가 회전스토퍼(140)의 걸림홈(142) 일측면에 접촉되면서 회전스토퍼(140)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킨다.
그 상태에서 창호를 닫히는 방향으로 약간 회동시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130)가 이동되면서 슬라이더(130)의 측면(132)에 형성된 걸림공(135)에 회전스토퍼(140)의 걸림홈(142)이 끼워져 걸리게 된다. 걸림공(135)에 회전스토퍼(140)가 걸리게 되면 회전스토퍼(140)의 걸림홈(142) 안쪽으로 걸림공(135)의 측면부가 끼워져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창호를 외부의 힘에 의해서도 닫히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 상태에서 창호를 닫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창호를 열리는 방향으로 다시 최대한 회동시키면 가이드(150)의 회전돌기(151)가 슬라이더(130)의 측면부를 가압하면서 회전돌기(151)는 좀 더 회전하게 되어 슬라이더(130)의 끝단부가 걸림공(135) 내부로 완전히 인입된 상태가 된다.
그 상태에서 창호를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슬라이더(130)는 끼움부재 (117)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걸림공(135)에 접촉되는 회전스토퍼(140)는 회전하게 되어 슬라이더(130)와 평행상태를 이루게 되며, 슬라이더(130)는 끼움부재(117)까지 슬라이딩 되어 창호가 닫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창호가 일시적으로 닫힌 상태를 유지하지 않고, 자유롭게 열고 닫고를 실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130)에 장착된 스토퍼(152)를 회동시켜 걸림부(152a)가 정지홈(123a)에 삽입되어 접촉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걸림부(152a)가 정지홈(123a)에 접촉된 상태로 슬라이더(130)가 슬라이딩 되면 걸림부(152a)가 정지홈(123a)에 의해 단속되는 위치까지만 이동이 가능하므로 가이드(150)의 회전돌기(151)가 회전스토퍼(140)에 접촉되는 위치까지 슬라이딩 되지 못하게 된다. 즉, 회전스토퍼(140)가 작동되지 못하여 걸림공(135)에 걸리지 않게 되므로 슬라이더(130)의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므로 창호가 자유롭게 열리고 닫힐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슬라이더(130)에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마찰부재(134)가 장착되어 마찰부재(134)가 프레임(120)과 접촉된 상태로 슬라이더(130)의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므로 마찰력이 감소된다.
그리고 가압볼트(153b)의 체결량을 조절하여 마찰판(153a)의 돌출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슬라이더(130)와 프레임(120) 간의 마찰력을 조절하여 창호를 열고 닫는데 필요한 힘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2지지링크(114) 및 제4지지링크(116)가 결합되는 슬라이더(130)의 힌지 결합부와 제1지지링크(112) 및 제4지지링크(116)가 결합되는 제3지지링크 (115)의 힌지 결합부에 형성된 각각의 힌지결합공(118a)에는 힌지결합공(118a)을 둘러싸는 원형을 이루도록 돌출된 버링부(118d)가 형성되고, 버링부(118d)가 형성된 접촉면에는 티와셔(118e)가 삽입되어 힌지결합되므로 체결력이 강화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창호 지지링크는 슬라이더에 마찰부재가 장착되어 슬라이더와 프레임간의 마찰력을 저감하여 원활하게 슬라이딩되도록 함과 동시에 가압볼트에 의해 돌출량이 조절되는 마찰판이 장착되어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스토퍼가 회전되면서 일시적으로 걸림공에 걸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창호가 열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외력에 의해 창호가 갑자기 닫히지 않도록 하여 충돌에 의한 소음발생을 저감함과 동시에 손상을 방지하여 제품의 수명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창호를 자유롭게 열고 닫고자 하는 경우에는 스토퍼의 걸림부가 정지홈에 접촉되도록 회동시킨 상태로 슬라이더가 작동되도록 하여 회전스토퍼가 작동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기능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끼움부재에 배수로를 형성하여 프레임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이 배출되 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창호틀과 창호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창호가 회동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창호의 지지링크에 있어서,
    창호틀에 장착되는 프레임;
    창호가 열리고 닫힘에 따라 상기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더;
    상기 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더가 접촉되는 접촉면 사이에 끼워져 상기 프레임을 따라 상기 슬라이더가 슬라이딩 될 시 마찰력을 저감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에 장착되는 마찰부재;
    상기 창호가 열린 상태가 일시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슬라이딩 되는 상기 슬라이더의 일부분에 접촉되어 회동되면서 상기 슬라이더에 형성된 걸림공에 일시적으로 걸리는 회전스토퍼; 및
    상기 창호가 최대한 열린 경우 상기 회전스토퍼를 일정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스토퍼에 일시적으로 접촉되는 회전돌기가 형성된 가이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지지링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의 양측면에서 직각방향으로 각각 절곡된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끝단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절곡부부와 일부분이 접촉 되는 상기 슬라이더의 저면과, 상기 측면부와 접촉되는 상기 슬라이더의 측면과, 상기 평면부에 접촉되는 상기 슬라이더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씩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지지링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스토퍼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그 중앙에는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홀이 형성되고, 양 끝단부에는 상기 걸림공에 끼워질 수 있도록 그 중양영역에 소정의 깊이로 함몰된 걸림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지지링크.
  4. 제 1항 또는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회전스토퍼가 작동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회전돌기가 상기 회전스토퍼에 접촉되지 못하도록 상기 슬라이더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일측 끝단이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는 정지홈에 걸리는 걸림부가 형성된 스토퍼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지지링크.
  5. 제 1항 또는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끝단부에는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물이 고이는 경우 고인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수로가 형성된 끼움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지지링크.
  6. 제 1항 또는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제1지지링크의 일측 끝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드에 힌지 결합되는 제2지지링크의 타측 끝단부가 상기 제1지지링크의 중간 영역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창호에 고정되는 제3지지링크의 중간영역이 상기 제1지지링크의 타측 끝단부에 힌지결합되고, 일측 끝단이 상기 슬라이더에 힌지 결합되는 제4링크의 타측 끝단은 상기 제3지지링크의 일측 끝단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더와 겹합되는 상기 제2지지링크 및 상기 제4지지링크의 힌지 결합부와, 상기 제4링크와 상기 제3링크가 결합되는 힌지 결합부와,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3링크가 결합되는 힌지 결합부의 접촉면 사이에는 원형을 이루도록 돌출된 버링부가 형성되고 그 사이에 티와셔가 장착되어 버링부와 밀착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지지링크.
  7. 제 1항 또는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에는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프레임간의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과 접촉되는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마찰판과, 상기 마찰판의 돌출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에 체결되어 상기 마찰판을 가압하는 가압볼트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지지링크.
KR1020060072382A 2006-07-31 2006-07-31 창호 지지링크 KR100733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2382A KR100733821B1 (ko) 2006-07-31 2006-07-31 창호 지지링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2382A KR100733821B1 (ko) 2006-07-31 2006-07-31 창호 지지링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3821B1 true KR100733821B1 (ko) 2007-07-02

Family

ID=38502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2382A KR100733821B1 (ko) 2006-07-31 2006-07-31 창호 지지링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38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4133B1 (ko) * 2009-06-08 2011-10-17 황정웅 창문 개폐용 아암 조립체
CN111577038A (zh) * 2019-02-18 2020-08-25 亚萨合莱新西兰有限公司 窗撑和窗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438Y1 (ko) 2005-03-16 2005-05-27 주식회사 3지테크놀러지 창호 지지링크의 고정부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438Y1 (ko) 2005-03-16 2005-05-27 주식회사 3지테크놀러지 창호 지지링크의 고정부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4133B1 (ko) * 2009-06-08 2011-10-17 황정웅 창문 개폐용 아암 조립체
CN111577038A (zh) * 2019-02-18 2020-08-25 亚萨合莱新西兰有限公司 窗撑和窗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359552B2 (en) Door or other closable panel with lock-actuating linkage
KR19990010787U (ko) 냉장고의 도어힌지 구조
US8819993B1 (en) Covering of building's opening
KR20060043065A (ko) 슬라이드 힌지 모듈
TW200619581A (en) Refrigerator
KR100733821B1 (ko) 창호 지지링크
GB2510926A (en) Improvements to friction stay hinges
KR101490160B1 (ko) 자동 닫힘 도어힌지
KR100729201B1 (ko) 댐핑기능을 갖는 슬라이드용 자동폐쇄장치
KR200441129Y1 (ko) 발로 개폐 가능한 여닫이 문
US20100223850A1 (en) Safety device for entry/exit gates
KR101544144B1 (ko) 힌지장치
US20020066160A1 (en) Auto-returning device of a hinge for a glass door
KR200489230Y1 (ko) 도어 틈새 차단 장치
WO2014056279A1 (zh) 五连杆结构滑撑铰链
KR200389282Y1 (ko) 가구용 도어 개폐장치
US8474922B2 (en) Electronic device enclosure with rotatable door
KR20040105030A (ko) 힌지장치 및 이를 갖춘 냉장고
KR101033072B1 (ko)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도어 시스템
KR200462046Y1 (ko) 도어 개폐구조
TWI384349B (zh) 滑蓋結構及應用該滑蓋結構之攜帶式電子裝置
KR100302683B1 (ko) 세탁기의도어힌지결합구조
KR100382971B1 (ko) 창문용 슬라이더
KR0131207Y1 (ko)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도어 이중 로킹장치
KR200373858Y1 (ko) 경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