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4613Y1 - 다용도 기능을 갖는 붓 케이스 - Google Patents

다용도 기능을 갖는 붓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4613Y1
KR200384613Y1 KR20-2005-0004327U KR20050004327U KR200384613Y1 KR 200384613 Y1 KR200384613 Y1 KR 200384613Y1 KR 20050004327 U KR20050004327 U KR 20050004327U KR 200384613 Y1 KR200384613 Y1 KR 2003846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brush case
case
button
outer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43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기연
Original Assignee
전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기연 filed Critical 전기연
Priority to KR20-2005-00043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46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46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46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36Cases for drawing or like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5Articles convertible into a stand, e.g. for displaying purpose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용도 기능을 갖는 붓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붓케이스를 접는 과정을 간략하게 간소화하고, 항시 일정한 힘으로 붓이 삽입되는 붓케이스의 일면을 잡아 당겨 접혀진 붓케이스에 안정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기능을 갖는 붓케이스에 의하면, 붓케이스의 내부에 붓을 꼿을 수 있도록 붓꼿이가 다수개로 봉재되어 있고, 상기 붓케이스의 가로방향으로 절곡부를 형성시켜 가로방향으로 접혀지도록 하며, 상기 절곡부를 이루도록 보강판을 붓케이스의 내,외피 사이에 분리하여 삽입시킨 붓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가로방향으로 접혀진 외피의 일측에는 암버튼이 선단에 장착되어 연장된 연결끈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연결끈의 암버튼과 결합되는 숫버튼이 상기 외피의 타측에 장착되어 상기 외피를 접어 상기 숫버튼과 암버튼을 결합시키면 상기 붓케이스가 삼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용도 기능을 갖는 붓 케이스{The brush case which has a multipurpose function}
본 고안은 붓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붓글씨용 붓 또는 그림용 붓을 수납시켜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고, 붓을 사용하는 경우 접어서 붓통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용도 기능을 갖는 붓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붓통은 붓을 수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붓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릴때 붓을 담가 놓는 통을 의미하고, 붓케이스는 붓을 수납시켜 이동할 수 있는 휴대용 케이스를 의미한다.
붓을 사용하게 되는 화가, 서예가 또는 학생들은 야외에서 붓을 사용하기 위해서 위와 같은 붓통외에 붓을 수납시킨 후 이동할 수 있는 붓케이스를 더불어 마련해야 되고, 이는 작업도구의 번잡함으로 이어진다.
공지의 예로, 위와 같은 번잡함을 극복하기 위하여 반으로 접혀지는 케이스를 제공하여 이동시 붓을 수납하면서, 작업시 붓통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한 붓케이스가 다양하게 시중에 유통되고 있다.
위와 같은 공지의 예는 붓을 사용하는 작업도구의 번잡함을 해결한 것에 있어서 매우 유용한 것이었으나, 붓케이스를 접어 붓통으로 사용하는 과정에서 붓의 모가 상하는 폐단이 있었다.
또하나의 공지의 예로, 본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되고 클레임되어 있는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번호 제1998-009585 “휴대용 붓 케이스”가 개시되고 있다.
이것은 전술한 공지의 예에 대한 폐단을 극복한 것으로 크기가 다른 붓의 높이를 가지런히 하여 붓의 모를 상하지 않도록 함은 물론 사용시 케이스를 반으로 절곡시켜 붓을 케이스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하여 붓을 뽑아 쓰기 쉽게 한 것이었다.
그러나, 위와 같은 본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되고 클레임되어 있는 “휴대용 붓 케이스”는 그 접는 과정과 이에 따른 구성이 불필요하게 추가되어 있어 개선이 요청되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신중을 가하여 개선되도록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붓케이스를 접는 과정을 간략하게 간소화하고, 항시 일정한 힘으로 붓이 삽입되는 붓케이스의 일면을 잡아 당기므로서 접혀진 붓케이스에 안정감을 제공하는데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 있어서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기능을 갖는 붓 케이스는, 전술한 문제를 모두 해소하기 위하여 케이스의 외피에 결합끈과 여기에 버튼장치를 장착시켜 케이스를 삼각형의 모양으로 접은 후 버튼장치로 이를 유지시킨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되고,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는 본 고안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붓케이스의 내부에 붓을 꼿을 수 있도록 붓꼿이가 다수개로 봉재되어 있고, 상기 붓케이스의 가로방향으로 절곡부를 형성시켜 가로방향으로 접혀지도록 하며, 상기 절곡부를 이루도록 보강판을 붓케이스의 내,외피 사이에 분리하여 삽입시킨 붓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가로방향으로 접혀진 외피의 일측에는 암버튼이 선단에 장착되어 연장된 연결끈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연결끈의 암버튼과 결합되는 숫버튼이 상기 외피의 타측에 장착되어 상기 외피를 접어 상기 숫버튼과 암버튼을 결합시키면 상기 붓케이스가 삼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피의 일측에 장착된 연결끈은 타측의 숫버튼과 결합시 상향으로 상승하는 각도로 연장되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붓케이스는 접혀진 붓케이스를 다시 밀봉할 때 상기 암버튼이 장착된 연결끈을 외피에 밀착시켜 고정하는 숫버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끈은 상기 붓케이스를 밀봉한 후 상기 붓케이스의 세로방향 중심부보다 작은 넓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면에 걸쳐 기능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기능을 갖는 붓 케이스가 밀봉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기능을 갖는 붓 케이스가 펼쳐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기능을 갖는 붓 케이스는 붓케이스의 내부에 붓(3)을 꼿을 수 있도록 붓꼿이(2)가 다수개로 봉재되어 있고, 자크(6)에 의해 밀봉되거나 펼쳐질 수도 있으며, 이것은 본 출원인에 의해 기출원된 전술한 실용신안등록공보에 개시되어 클레임되고 있다.
바람직하게 붓(3)은 그림 또는 붓글씨를 쓰기 위한 것으로, 연필등 다른 필기구가 적용될 수도 있으며, 다수개로 봉재된 붓꼿이(2)에 수납되어 진다.
내, 외피(10, 12)는 방수기능이 있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붓(3)에서 나온 물감 또는 먹물의 흡수를 방지한다.
이러한 내, 외피(10, 12) 사이에는 보강판(8)이 삽입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개의 부분으로 나뉘어 삽입되거나, 일부가 미리 절곡된 상태에서 삽입된다.
보강판(8)은 쉽게 구부려지지 않는 재료로 마련되여야 하며, 외부의 하중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적절한 두께로 형성되어야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진 모습을 살펴보면 붓케이스의 가로방향으로는 절곡부(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바람직하게 붓케이스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다.
절곡부(4)는 전술한 보강판(8)이 서로 경계를 이루는 곳으로, 이를 기준으로 접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 역시, 내, 외피(10, 12)의 재질 및 역할을 제외하고는 본 출원인에 의해 기출원된 전술한 실용신안등록공보에 개시되어 클레임되고 있다.
계속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된 붓케이스는 세로방향으로 접혀져 있으며, 이는 일정한 넓이를 갖는 중심부(17)를 기준으로 접혀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중심부(17)는 일정한 넓이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내부에 수납되는 붓의 두께를 감안하여 형성시키는 것으로, 다양한 넓이로 변경 및 개량이 존재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중심부(17)의 끝단에는 연결끈(16)이 장착되어 있으며, 세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중심부(17)와 밀착된 후 도 2에 도시된 숫버튼(18‘)과 결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연결끈(16)은 붓케이스를 접어 밀봉된 중심부(17)보다 작은 넓이로 형성되어 있어야 하며, 이는 미감과 휴대 후 이동시 다른 물품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연결끈(16)의 길이는 절곡되어 접혀진 후 안정된 붓케이스의 형상을 이루도록 적당한 길이로 마련되어야 하고, 이는 절곡되어 접혀지는 과정에서 상술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피(10)에는 붓케이스의 가로방향에 형성된 절곡부(4)와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중심부(17)는 명확히 십자형으로 구획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절곡부(4)를 기준으로 하단에는 붓꼿이(2)가 다수개로 봉재되어 있고, 그 옆으로는 다른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부(7)가 마련되어 있다.
붓꼿이(2)는 절곡부(4)를 기준으로 상측에 봉재될 수 없으며, 이는 접을 때 붓(3)을 쉽게 빼거나 삽입시키기 위한 것으로, 절곡부(4)보다 높게 봉재되어 있으면 절곡 자체가 불가능한 문제가 발생한다.
내피(10)의 외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자크(6)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는 절곡 후 접을 경우 바닥에 맞닿는 내피(10)와 외피(12)의 경계면(13)이 충분한 지지대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그 자크(6)의 위치를 한정한다.
다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끈(16)이 외피(12), 바람직하게는 중심부(17)에 밀착되어 결합되도록 숫버튼(18‘)이 절곡부(4)보다 상측에 장착되어 있으며, 후술하겠지만 절곡되어 접혀질때 외피(12)의 일측과 타측을 연결하여 결합하는 다른 숫버튼(18)이 절곡부(4)의 하측에 장착되어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서 알 수 있듯이 접어서 밀봉하거나, 펼칠때에도 번거로운 장착물이 없이 필요한 요소만 간략하게 장착되어 있어, 미적으로 심미감을 느낄수 있으며, 휴대시에도 간편한 붓케이스를 제공한다.
다음에는 이러한 다용도 기능을 갖는 붓 케이스를 절곡시켜 접는 과정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기능을 갖는 붓케이스를 접어 붓통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을 측면에서 본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기능을 갖는 붓케이스에 다른 용도의 붓을 사용하는 것을 보인 다른 실시예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붓케이스를 붓통으로 사용하기 위하여는 절곡부(4)를 기준으로 내피(10)를 바깥 방향으로 절곡시킨다.
이때, 외피(12)에 장착된 연결끈(12)을 당긴 후 선단에 장착된 암버튼(14)과 타측의 숫버튼(18)에 결합시키면 붓케이스는 삼각형의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붓케이스의 경계면(13)은 바닥에 맞닿아 붓케이스 본체를 지지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절곡부(4)는 꼭지점을 이루고 있다. 이로 인해 비스듬한 각도로 위치하는 붓꼿이(2)에 의해서 붓(3)을 삽입하거나 빼는 과정이 수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외피(12)의 일측에 장착된 연결끈(16)은 외피(12) 타측에 장착된 숫버튼(18)과 결합할때 상향으로 상승하는 각도로 연장된 후 결합되어 있다.
이는 일정한 긴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붓케이스의 벌어짐을 방지함과 동시에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시킨다.
즉, 비스듬한 각도로 이루어진 붓꼿이(2)는 항시 삽입된 붓(3)에 의하여 하향으로 내려 누르는 하중을 발생하고 있고, 일정한 각도로 상승하는 연결끈(12)의 결합에 의해서 하중을 상쇄시킨다.
그리고 위와 같은 역할 때문에, 붓케이스는 일반적인 붓통과 같은 역할을 발휘할 수 있다.
즉, 전기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지듯이, 이 고안은 다용도 기능을 갖는 붓케이스를 제공하여 휴대용 또는 필요에 따라 붓통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는 일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전술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내는 것으로써, 명세서 본문에 의해서는 아무런 구속도 되지 않는다. 다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범위 내의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기능을 갖는 붓케이스에 의하면, 붓케이스의 외피에 결합끈과 여기에 버튼장치를 장착시켜 케이스를 삼각형의 모양으로 접은 후 버튼장치로 이를 유지시켜 붓통으로 사용할때는 접는 과정을 간략하게 간소화하고, 항시 일정한 힘으로 붓이 삽입되는 케이스의 일면을 잡아 당겨 접혀진 붓케이스에 안정감을 제공한다. 이로 인해 외관에 있어서도 심미감을 주면서 제품 신뢰성이 월등하게 향상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기능을 갖는 붓 케이스의 밀봉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기능을 갖는 붓 케이스의 펼쳐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기능을 갖는 붓케이스를 접어 붓통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을 측면에서 본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기능을 갖는 붓케이스에 다른 용도의 붓을 사용하는 것을 보인 다른 실시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 붓꼿이 3: 붓
4: 절곡부 6: 자크
7: 수납부 8: 보강판
10: 내피 12: 외피
13: 경계면 14: 암버튼
16: 연결끈 17: 중심부
18, 18‘: 숫버튼

Claims (4)

  1. 붓케이스의 내부에 붓을 꼿을 수 있도록 붓꼿이가 다수개로 봉재되어 있고, 상기 붓케이스의 가로방향으로 절곡부를 형성시켜 가로방향으로 접혀지도록 하며, 상기 절곡부를 이루도록 보강판을 붓케이스의 내,외피 사이에 분리하여 삽입시킨 붓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가로방향으로 접혀진 외피의 일측에는 암버튼이 선단에 장착되어 연장된 연결끈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연결끈의 암버튼과 결합되는 숫버튼이 상기 외피의 타측에 장착되어 상기 외피를 접어 상기 숫버튼과 암버튼을 결합시키면 상기 붓케이스가 삼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기능을 갖는 붓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의 일측에 장착된 연결끈은 타측의 숫버튼과 결합시 상향으로 상승하는 각도로 연장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기능을 갖는 붓케이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붓케이스는 접혀진 붓케이스를 다시 밀봉할 때 상기 암버튼이 장착된 연결끈을 외피에 밀착시켜 고정하는 숫버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기능을 갖는 붓케이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끈은 상기 붓케이스를 밀봉한 후 상기 붓케이스의 세로방향 중심부보다 작은 넓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기능을 갖는 붓케이스.
KR20-2005-0004327U 2005-02-17 2005-02-17 다용도 기능을 갖는 붓 케이스 KR2003846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327U KR200384613Y1 (ko) 2005-02-17 2005-02-17 다용도 기능을 갖는 붓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327U KR200384613Y1 (ko) 2005-02-17 2005-02-17 다용도 기능을 갖는 붓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4613Y1 true KR200384613Y1 (ko) 2005-05-17

Family

ID=43686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4327U KR200384613Y1 (ko) 2005-02-17 2005-02-17 다용도 기능을 갖는 붓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461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222B1 (ko) * 2012-03-07 2014-01-10 구태창 파지가 용이한 접철식 보관함
KR200474501Y1 (ko) 2013-01-28 2014-09-29 전기연 휴대용 그림붓 케이스
KR20170034297A (ko) * 2015-09-18 2017-03-28 고쿠요 가부시키가이샤 소품류의 수납 케이스
JP2018064988A (ja) * 2017-12-26 2018-04-26 コクヨ株式会社 小物類の収納ケース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222B1 (ko) * 2012-03-07 2014-01-10 구태창 파지가 용이한 접철식 보관함
KR200474501Y1 (ko) 2013-01-28 2014-09-29 전기연 휴대용 그림붓 케이스
KR20170034297A (ko) * 2015-09-18 2017-03-28 고쿠요 가부시키가이샤 소품류의 수납 케이스
CN106539252A (zh) * 2015-09-18 2017-03-29 囯誉株式会社 小物件收纳具
JP2018064988A (ja) * 2017-12-26 2018-04-26 コクヨ株式会社 小物類の収納ケー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4613Y1 (ko) 다용도 기능을 갖는 붓 케이스
JP6780192B2 (ja) 自立型収納具
CN211632224U (zh) 便携式折叠油画工作台
KR200384612Y1 (ko) 다용도 기능을 갖는 붓 케이스
JP3214702U (ja) 背負い傘
CN213281896U (zh) 一种折叠眉笔
CN210520286U (zh) 一种变形包
KR101460789B1 (ko) 가변형상부를 갖는 청소용 솔
CN205512879U (zh) 一种可折叠包
KR101105262B1 (ko) 와이어를 이용한 접이식 입술용 화장솔
KR100918868B1 (ko) 화판 겸용 화구통
CN210446010U (zh) 一种可伸缩的站立式笔袋
KR200374254Y1 (ko) 휴대용 붓 케이스
JP3112053U (ja) 開口具
CN202624875U (zh) 设有多功能袋盖的手提纸袋
CN212088493U (zh) 一种双面可变形包
KR200389592Y1 (ko) 접는 대걸레
CN105342110B (zh) 一种笔盒
CN207747661U (zh) 一种折叠画板
JP3073777U (ja) 筆入れ等のケース
CN105476209A (zh) 一种可折叠包
KR20050095817A (ko) 인장용 손잡이가 구비된 주름식 물통
JP3072707U (ja) ジャケットのフード収納部
JPH0215781Y2 (ko)
JPS634133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