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0789B1 - 가변형상부를 갖는 청소용 솔 - Google Patents

가변형상부를 갖는 청소용 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0789B1
KR101460789B1 KR1020130099123A KR20130099123A KR101460789B1 KR 101460789 B1 KR101460789 B1 KR 101460789B1 KR 1020130099123 A KR1020130099123 A KR 1020130099123A KR 20130099123 A KR20130099123 A KR 20130099123A KR 101460789 B1 KR101460789 B1 KR 101460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cking
cleaning brush
head
capillary
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9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미경
Original Assignee
(주) 주안레이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주안레이저 filed Critical (주) 주안레이저
Priority to KR1020130099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07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0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0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8Supports or guides for bristles
    • A46B9/10Adjustable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95Brushes with a feature for storage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6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movably during use, i.e. the normal brushing action caus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30Brushes for cleaning or polishing
    • A46B2200/304Lavatory brush, i.e. brushes for cleaning toilet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좁은 구멍이나 홈을 가지는 청소 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솔모가 설치된 부분의 폭을 증가 또는 감소시켜 청소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대상물의 청소에 이용될 수 있고, 스프링에 의해 지지된 가변형상부에 쿠션이 있기 때문에 청소하는 데에 힘이 적게 드는 청소용 솔이 개시된다. 상기 청소용 솔은 헤드부가 가변형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형상부는 일 측면에 솔모가 심어져 있는 제1식모부를 구비하고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케 설치된 제1식모부재, 일 측면에 솔모가 심어져 있고 상기 제1식모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2식모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케 설치된 제2식모부재 및 상기 제1식모부재와 상기 제2식모부재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구성을 가진다.

Description

가변형상부를 갖는 청소용 솔{Brush with a variable shape portion for cleaning}
본 발명은 청소용 솔에 관련된 것으로, 특히 세면장의 바닥이나 벽면, 세면대, 변기 등을 청소하는 데에 적합하게 사용되는 청소용 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소용 솔은 솔모와 솔모가 설치되는 헤드부와 헤드부에 일체로 연결된 손잡이가 있는 자루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형상이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청소용 솔을 이용하는 경우, 세면장의 바닥이나 벽면, 세면대, 변기 등 다양한 형상의 청소대상물을 구석구석 청소하는 데에는 불편한 점이 많이 생긴다.
또한, 종래의 청소용 솔은 그 형상이 고정되어 있어 헤드보다 좁은 홈이나 구멍을 청소하는 데에 사용하기 어렵고, 벽과 벽 또는 벽과 바닥이 만나는 모서리 부위를 청소하는 데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청소용 솔은 딱딱한 헤드에 솔모가 심어져 있기 때문에 청소할 때 쿠션이 없어 힘이 많이 든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청소용 솔은 등록번호 20-0204197호(발명의 명칭: 양변기 청소용 솔, 발명자: 송길준)의 등록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솔모가 설치되는 헤드부의 형상이 변형될 수 있는 청소용 솔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쿠션이 있는 청소용 솔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석지거나 모서리 부위의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청소용 솔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헤드부보다 좁은 홈이나 구멍에 삽입하여 청소할 수 있는 청소용 솔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하기 편리하고 자원절약에 도움이 되는 청소용 솔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 솔은 솔모, 상기 솔모가 심어져 있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에 연결된 손잡이가 있는 자루부를 구비하는 청소용 솔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가변형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형상부는, 일 측면에 솔모가 심어져 있는 제1식모부를 구비하고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케 설치된 제1식모부재; 일 측면에 솔모가 심어져 있고 상기 제1식모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2식모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케 설치된 제2식모부재; 및 상기 제1식모부재와 상기 제2식모부재가 벌어지도록 상기 제1식모부재와 상기 제2식모부재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제1식모부재와 상기 제2식모부재는 상기 제1식모부와 상기 제2식모부 하단에서 각각 서로를 향해 연장된 바닥부와 상기 제1식모부와 상기 제2식모부 상단에서 각각 서로를 향해 연장된 상판부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식모부재의 바닥부와 상기 제2식모부재의 바닥부 또는 상기 제1식모부재의 상판부와 상기 제2식모부재의 상판부는 일부에서 서로 중첩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헤드부 또는 상기 자루부에는 흡착판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헤드부는, 상기 제1식모부재와 상기 제2식모부재의 후단 일부에 형성된 삽입부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는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축을 지지하는 통형상의 헤드본체와 상기 헤드본체에 지지되고 상기 지지축에 연결된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가변형상부의 앞쪽 끝단은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 상기 헤드부는, 상기 제1식모부재와 상기 제2식모부재의 후단 일부에 형성된 삽입부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는 개구를 구비하는 통형상의 헤드본체와 상기 헤드본체에 지지되고 상기 지지축에 연결된 지지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삽입부는 뒤쪽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재는 회동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지지축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헤드본체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재가 관통하는 관통부의 내주면에는 암나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암나선에 결합되는 숫나선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지지부재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가변형상부의 형상을 변형시키면서 상기 가변형상부를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루부는 상기 지지부재에 탈착 가능케 설치되고, 이단 이상으로 펼치거나 접을 수 있는 신축 자루부인 것이 좋다.
경우에 따라, 상기 삽입부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헤드본체에는 상기 돌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자루부는 상기 헤드부에 탈착 가능케 설치되어 있고, 이단 이상으로 펼치거나 접을 수 있는 신축 자루부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 솔은 좁은 구멍이나 홈을 가지는 청소 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솔모가 설치된 부분의 폭을 증가 또는 감소시켜 청소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대상물의 청소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 솔은 스프링에 의해 지지된 가변형상부에 쿠션이 있기 때문에 청소하는 데에 힘이 적게 든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 솔은 가변형상부의 끝을 뾰족하게 구성하는 경우 모서리 부근이나 구석진 곳의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해준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 솔은 자루부를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금속재로 만들고, 이들 헤드부에 탈착할 수 있게 하여 제품을 고급화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헤드부만 교체할 수 있어 자원절약에 도움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 솔은 자루부를 접이식으로 구성하여 세면장의 바닥뿐만 아니라 높은 벽면과 천장을 청소하는 데에도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 솔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 솔의 저면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 솔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 솔의 접이식 자루부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 솔의 다른 예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6은 가변형상부를 앞쪽으로 이동시킨 상태의 평단면도,
도 7은 도 5에 나타낸 청소용 솔의 저면도,
도 8은 도 5 내지 7에 나타낸 청소용 솔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6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 솔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 솔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 솔(100)은 헤드부(110)와 헤드부(110)에 연결된 자루부(130)를 구비한다. 헤드부(110)에는 솔모(150)들이 심어져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 솔(100)의 가장 큰 특징은 헤드부(110)가 가변형상부(110a)를 구비한다는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변형상부(110a)는 제1식모부(112)를 표면에 가지는 제1식모부재(111)와 제2식모부(117)를 표면에 가지는 제2식모부재(116)를 구비하며, 이들은 지지축(160)을 중심으로 제자리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을 통해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어 그 외부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가변형상부(110a)의 형상은 끝이 뾰족하게 되어 있다. 이렇게 하는 경우, 벽면의 모서리나 구석진 곳의 청소가 용이하다. 이러한 가변형상부(110a)를 이루는 제1식모부재(111)와 제2식모부재(116)의 표면에는 솔모(150)들이 심어져 있다.
헤드부(110)는 통형태의 헤드본체(125)를 구비한다. 이 헤드본체(125)는 제1식모부재(111)와 제2식모부재(116)의 후단 일부를 내부로 받아들여 일정 각도 이상 벌어지지 못하도록 한다. 이러한 헤드본체(125)의 표면에도 솔모(150)들이 심어져 있다.
헤드부(110)에는 자루부(130)가 연결되어 있고, 자루부(130)에는 유리창이나 벽면 등에 흡착 고정하여 청소용 솔을 벽면 등에 부착하여 두기 위한 흡착판(190)이 설치되어 있다. 흡착판(190)으로는 가장자리를 쉽게 들어올릴 수 있는 손잡이(192)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 솔의 저면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 솔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도 2와 3에 나타낸 것은, 솔모(150)의 직경을 줄인 것 외에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기본적으로 같으므로, 도 1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헤드부(110)는 헤드본체(125)와, 지지축(160)을 중심으로 제자리 회동 가능케 설치된 제1, 제2식모부재(111, 116)와, 지지축(160) 및 제1, 제2식모부재(111, 116)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170)을 구비한다.
도 1 내지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식모부재(111)는 일 측면의 제1식모부(112) 하단에서 제2식모부재(116)를 향해 연장된 바닥부(113)와 제1식모부(111) 상단에서 제2식모부(116)를 향해 연장된 상판부(114)를 구비한다. 그리고 후단에는 헤드본체(125)에 삽입되는 삽입부(115)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식모부재(111)는 지지축(160)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있다.
제2식모부재(116)에는 일 측면에 제2식모부(117)가 구비되어 있다. 제2식모부(117)와 제1식모부(112)는 바람직하게 자루부(13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2식모부재(116) 역시 일 측면의 제2식모부(117)의 하단에서 제1식모부재(111)를 향해 연장된 바닥부(118)와 상단에서 제1식모부재(111)를 향해 연장된 상판부(119)를 구비한다. 그리고 후단에는 헤드본체(125)에 삽입되는 삽입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2식모부재(116)도 지지축(160)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있다.
제1식모부재(111)와 제2식모부재(116)는 경우에 따라 별개의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케 설치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도 별개의 축은 같은 역할을 하므로 축을 1개를 사용하든 2개를 사용하든 본 발명에서는 모두 지지축(160)으로 통칭한다.
벽과 벽 또는 벽과 바닥이 만나는 모서리 부위의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가변형상부(110a)는 도 2와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쪽 끝은 뾰족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제1식모부재(111)의 바깥쪽 측면과 제2식모부재(116)의 바깥쪽 측면은 직선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자세하게는, 제1식모부재(111)와 제2식모부(117)의 양측 바깥표면이 이루는 각도는 90도 정도가 적당하다. 경우에 따라 90도 보다 조금 크게 할 수 있다. 90도 보다 조금 크게 하는 경우, 모서리 부근을 누를 때 제1식모부재(111)와 제2식모부(117)가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된 상태에서 지지축(160)을 중심으로 신축회동하면서 모서리의 형태에 맞게 수축 변형되기 때문에 모서리 부위를 청소할 수 있으면서도,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사용자가 쿠션을 느끼면서 청소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 솔(100)에서 제1식모부재(111)와 제2식모부(117)의 양측 바깥표면이 이루는 각도가 90도보다 작게 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1식모부재(111)의 바닥부(113)와 제2식모부재(116)의 바닥부(118) 및 제1식모부재(111)의 상판부(114)와 제2식모부재(116)의 상판부(119)는 각각 서로를 향해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제1식모부재(111)의 바닥부(113)와 제2식모부재(116)의 바닥부(118) 및 제1식모부재(111)의 상판부(114)와 제2식모부재(116)의 상판부(119)는 서로 회동될 수 있도록 일부가 서로 중첩되어 있을 수 있고, 중첩되지 않게 하되 대응부위에 홈과 돌기를 형성하여 서로 안내하면서 회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지지축(160)에는 스프링(17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스프링(170)은 제1식모부재(111)와 제2식모부재(116)를 서로 벌어지도록 반대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 실시 예에서는 토션 스프링이 사용되었다. 스프링(170)은 제1식모부재(111)와 제2식모부재(116)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면 되므로, 토션 스프링이 아닌 다른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고, 반드시 지지축(160)에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스프링의 양단이 지지축(160)에서 떨어진 위치의 제1, 제2식모부재(111, 116)에 각각 연결되어 제1, 제2식모부재(111, 116)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 솔(100)의 헤드부(110)는 헤드본체(125)를 구비하고 있다. 이 헤드본체(125)는 제1식모부재(111)와 제2식모부재(116)의 후단에 형성된 삽입부(115, 120)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는 개구를 구비하는 통형상을 하고 있으며, 저면 중앙부에는 지지축(160) 쪽으로 연장되어 지지축(160)을 지지하는 연장부(126)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헤드본체(125)의 내부에는 지지부재(18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부재(180)는 헤드본체(125)에 지지된 상태에서 그 끝단이 지지축(160)에 연결되어 있다. 이 지지부재(180)는 지지축(160)을 보다 더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지지부재(180)는 헤드본체(125)를 관통하여 헤드본체(125) 바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지지부재(180)의 노출된 끝단에는 체결부(182)가 형성되어 있고, 이 체결부(182)에 2단으로 펼치거나 접을 수 있는 접이식 자루부(130)가 탈착 가능케 결합되어 있다. 경우에 따라 자루부(160)는 헤드본체(125)에 탈착 가능케 또는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자루부에 대해서는 도 4를 통해 뒤에서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청소용 솔(100)은 제1식모부재(111)와 제2식모부재(116)가 스프링(170)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있어 솔모(150)를 대상물에 가압하여 청소하기가 편하다. 그리고 헤드부(110) 앞쪽 보다 좁은 홈이나 구멍에 가변형상부(110a)를 삽입하여 청소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 솔의 접이식 자루부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루부(130)는 단부에 나선이 형성되어 있는 제1마개(131a)를 장착한 제1중공부재(131)에 스프링(132)을 삽입한 상태에서, 끝단에 제2마개(133)가 설치된 제2중공부재(134)의 단부를 결합하여 2단으로 펼치거나 접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중공부재(131)에는 상단 부근 및 하단 부근에 펼친 상태 또는 접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걸림공(135)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제2중공부재(134) 내부에는 걸림공(135)에 걸릴 수 있는 걸림구(136)와 걸림구(136)의 일단에 연결된 링크부재(137)가 제자리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있다. 제2중공부재(134) 하단에는 손잡이(138)가 결합되어 있고, 이 손잡이(138)에 링크부재(137)를 통해 걸림구(136)를 작동시키기 위한 버튼(139)이 설치되어 있다. 버튼(139)은 손잡이(138)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139a)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물론, 자루부(130)가 반드시 접이식으로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도 4에 나타낸 접이식 자루부(130)를 스테인리스 등의 녹이 슬지 않는 금속재료로 만들면 제품을 고급화할 수 있고,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헤드부만 교체하여 사용하면 플라스틱의 사용을 줄일 수 있어 자원절약, 환경오염방지에도 도움이 된다.
접이식 자루부로는 도 4에 나타낸 것 외에도 접이식 우산의 자루부 등에 적용된 기존에 알려져 있는 다른 것도 본 발명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접이식 자루부(130)를 가지는 청소용 솔(100)을 사용하는 경우, 벽면의 상단이나 천장 등을 청소하는 데 편리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 솔의 다른 예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6은 가변형상부를 앞쪽으로 이동시킨 상태의 평단면도, 도 7은 도 5에 나타낸 청소용 솔의 저면도이다.
경우에 따라 제1식모부재(111)의 삽입부(115)와 제2식모부재(116)의 삽입부(120)를 앞 실시 예에서보다 길게 형성하되, 뒤쪽으로 갈수록 안쪽으로 경사지게 설치하여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가변형상부(110a)의 앞쪽 끝은 부드러운 곡면을 이루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 나타낸 연장부(126)는 지지축(160)을 지지하지 않아야 하므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짧게 형성하여 제1식모부재(111)와 제2식모부재(116)를 받쳐주는 역할만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 연장부(126)는 없어도 된다. 제1식모부재(111)의 삽입부(115)와 제2식모부재(116)의 삽입부(120)는 뒤쪽으로 갈수록 서로 점점 가까워지면서 점점 좁아지게 배치되어 있다.
지지부재(180)는 회동연결부재(184)를 통해 지지핀(160)에 연결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지지부재(180)는 헤드본체(125)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지지부재(180)가 관통하는 관통부(127)의 내주면에는 암나선(127a)이 형성되어 있고 대응 지지부재(180)의 외주면에는 암나선(127a)에 결합되는 숫나선(186)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5의 상태에서 지지부재(18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가변형상부(110a)를 전진 시킬 수 있다. 지지부재(18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변형상부(110a)는 도 5에 화살표로 나타낸 앞쪽으로 전진 이동한다. 이에 따라 삽입부(115, 120)도 헤드본체(125)를 빠져나가면서 경사진 안쪽 부분이 헤드본체(125)의 개구부 가장자리에 걸리게 되고, 이에 따라 제1식모부재(111) 및 제2식모부재(116)는 점점 벌어져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된다. 도 6의 상태에서도, 가변형상부(110a)를 구성하는 제1식모부재(111)와 제2식모부재(116)는 토션 스프링(170)에 의해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어 지지축(160)을 중심으로 안쪽으로 탄력적으로 회동될 수 있다. 제1식모부재(111)와 제2식모부재(116)가 바깥으로 벌어지는 것은 삽입부(115, 120)가 헤드본체(125)에 걸리는 것에 의해 제한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에서 지지부재(180)를 왼쪽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지지부재(180)는 도 5에 나타낸 화살표 반대방향으로 후퇴하면서 지지축(160)과 제1식모부재(111) 및 제2식모부재(116)를 후퇴시킨다. 이에 따라 삽입부(115, 120)는 헤드본체(125)의 내부로 점점 삽입되고, 이에 따라 제1식모부재(111)와 제2식모부재(116)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가변형상부(110a)의 크기가 점점 작아져 도 5와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 솔(100)은 가변형상부(110a)를 이동시키면서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다.
나머지는 도 1 내지 4를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도 8은 도 5 내지 7에 나타낸 청소용 솔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에 나타낸 청소용 솔(100)은 도 5 내지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로 가변형상부(110a)를 이동시키면서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도록 만들 되, 가변형상부(110a)의 앞쪽 끝부분을 뾰족하게 만들고, 직경이 큰 솔모(150)를 설치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자루부(130)에는 못이나 돌출부위에 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고리(140)를 설치하여 둘 수 있다.
나머지는 도 8 내지 8을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도 9는 도 6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경우에 따라 제1식모부재(111)의 삽입부(115)와 제2식모부재(116)의 삽입부(120)에 돌기(115a, 120a)를 형성하고, 헤드본체(125)의 내면에 돌기(115a, 120a)가 결합되어 안내될 수 있는 안내홈(128)을 형성하여 제1식모부재(111)와 제2식모부재(116)의 이동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이 경우, 특정 위치에서 제1식모부재(111)와 제2식모부재(116)가 회동될 수 있도록 안내홈(128)에 분지홈(128a)을 형성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머지는 도 5 내지 7을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도 10은 헤드부의 형상을 변형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경우에 따라 제1식모부재(111)와 제2식모부재(116)의 바깥쪽 측면을 곡면형상으로 형성하되, 헤드본체(110a)를 직사각 단면의 통형상으로 만들 수 있고, 헤드본체(125)의 상면과 양 측면에는 솔모(150)를 설치하지 않고 청소용 솔(100)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흡착판(190)은 경우에 따라 헤드부(110)에 설치할 수 있다.
나머지는 앞의 도 1 내지 3 및 도 5 내지 8에서 각각 설명한 것과 같다.
본 발명은 세면장이나 화장실 등을 청소하는 데 사용되는 청소용 솔을 만드는 데 이용될 가능성이 있다.
100: 청소용 솔 110: 헤드부
110a: 가변형상부 111: 제1식모부재
116: 제2식모부재 130: 자루부
150: 솔모 160: 지지축
170: 스프링 180: 지지부재

Claims (9)

  1. 솔모, 상기 솔모가 심어져 있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에 연결된 자루부를 구비하는 청소용 솔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가변형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형상부는,
    일 측면에 솔모가 심어져 있는 제1식모부를 구비하고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케 설치된 제1식모부재;
    일 측면에 솔모가 심어져 있고 상기 제1식모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2식모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케 설치된 제2식모부재; 및
    상기 제1식모부재와 상기 제2식모부재가 벌어지도록 상기 제1식모부재와 상기 제2식모부재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식모부재와 상기 제2식모부재는 상기 제1식모부와 상기 제2식모부 하단에서 각각 서로를 향해 연장된 바닥부와 상기 제1식모부와 상기 제2식모부 상단에서 각각 서로를 향해 연장된 상판부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식모부재의 바닥부와 상기 제2식모부재의 바닥부 또는 상기 제1식모부재의 상판부와 상기 제2식모부재의 상판부는 일부에서 서로 중첩되어 있고, 상기 헤드부 또는 상기 자루부에는 흡착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솔.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제1식모부재와 상기 제2식모부재의 후단 일부에 형성된 삽입부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는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축을 지지하는 통형상의 헤드본체와 상기 헤드본체에 지지되고 상기 지지축에 연결된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가변형상부의 앞쪽 끝단은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솔.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제1식모부재와 상기 제2식모부재의 후단 일부에 형성된 삽입부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는 개구를 구비하는 통형상의 헤드본체와 상기 헤드본체에 지지되고 상기 지지축에 연결된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뒤쪽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재는 회동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지지축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헤드본체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재가 관통하는 관통부의 내주면에는 암나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암나선에 결합되는 숫나선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지지부재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가변형상부의 형상을 변형시키면서 상기 가변형상부를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부는 상기 지지부재에 탈착 가능케 설치되고, 이단 이상으로 펼치거나 접을 수 있는 신축 자루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솔.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헤드본체에는 상기 돌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솔.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부는 상기 헤드부에 탈착 가능케 설치되어 있고, 이단 이상으로 펼치거나 접을 수 있는 신축 자루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솔.
KR1020130099123A 2013-08-21 2013-08-21 가변형상부를 갖는 청소용 솔 KR101460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9123A KR101460789B1 (ko) 2013-08-21 2013-08-21 가변형상부를 갖는 청소용 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9123A KR101460789B1 (ko) 2013-08-21 2013-08-21 가변형상부를 갖는 청소용 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0789B1 true KR101460789B1 (ko) 2014-11-14

Family

ID=52290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9123A KR101460789B1 (ko) 2013-08-21 2013-08-21 가변형상부를 갖는 청소용 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07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9045B1 (ko) * 2020-11-03 2021-05-07 김가빈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빗자루
KR20220022250A (ko) * 2020-08-18 2022-02-25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브러쉬의 형태 변형이 가능한 청소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5679A (ja) * 1999-02-26 2000-09-12 Ishimizu:Kk 洗浄具
KR200444444Y1 (ko) * 2007-05-04 2009-05-14 이동현 빗자루와 청소걸레가 구비된 계단 청소구
CN201510266U (zh) * 2009-10-12 2010-06-23 谢曌东 电动多功能杯瓶清洗刷
CN202069546U (zh) * 2011-04-15 2011-12-14 王昱丹 阶梯拖把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5679A (ja) * 1999-02-26 2000-09-12 Ishimizu:Kk 洗浄具
KR200444444Y1 (ko) * 2007-05-04 2009-05-14 이동현 빗자루와 청소걸레가 구비된 계단 청소구
CN201510266U (zh) * 2009-10-12 2010-06-23 谢曌东 电动多功能杯瓶清洗刷
CN202069546U (zh) * 2011-04-15 2011-12-14 王昱丹 阶梯拖把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2250A (ko) * 2020-08-18 2022-02-25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브러쉬의 형태 변형이 가능한 청소솔
KR102495312B1 (ko) * 2020-08-18 2023-02-01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브러쉬의 형태 변형이 가능한 청소솔
KR102249045B1 (ko) * 2020-11-03 2021-05-07 김가빈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빗자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37397B2 (ja) 折り畳み式スツール
US20080040874A1 (en) Lint roller/brush assembly
KR101460789B1 (ko) 가변형상부를 갖는 청소용 솔
US20150351603A1 (en) Flexible surface cleaning device
US9365970B2 (en) Ironing board with expandable legs
KR20160087342A (ko) 조절가능한 화장품 도포기
JP6590177B1 (ja) 杖補助具及び杖
GB2445727A (en) Self wringing mop
US6785928B2 (en) Mops and mop components
USD923332S1 (en) Handbag
KR200479697Y1 (ko) 휴대 및 설치가 용이한 원터치 테이블
KR200384613Y1 (ko) 다용도 기능을 갖는 붓 케이스
US20040215115A1 (en) Folding collapsible massaging bar
US20240090724A1 (en) Cleaner
JP6684665B2 (ja) 清掃具
AU2017330249A1 (en) Vacuum cleaner handle mount assembly
WO2005120282A1 (ja) 折畳式傘
CN212382587U (zh) 清扫工具用柄、清扫工具以及用于清扫工具的清扫片材
CN217246737U (zh) 伸缩机构及玩具棒
KR20090069909A (ko) 접철식 낫
CN218762478U (zh) 一种脚架的锁定装置
AU2018246882A1 (en) Crank-handle assembly
KR200386243Y1 (ko) 절첩식 테이블
KR20160145270A (ko) 립스틱용 케이스
JP2018075341A (ja) 柄付き円形扇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