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5817A - 인장용 손잡이가 구비된 주름식 물통 - Google Patents

인장용 손잡이가 구비된 주름식 물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5817A
KR20050095817A KR1020050086033A KR20050086033A KR20050095817A KR 20050095817 A KR20050095817 A KR 20050095817A KR 1020050086033 A KR1020050086033 A KR 1020050086033A KR 20050086033 A KR20050086033 A KR 20050086033A KR 20050095817 A KR20050095817 A KR 20050095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handle
hand
user
pl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6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3800B1 (ko
Inventor
최병구
Original Assignee
최병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구 filed Critical 최병구
Priority to KR1020050086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3800B1/ko
Publication of KR20050095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5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3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38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6Collapsible or telescopic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25Collapsible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2Containers adapted to be temporarily deformed by external pressure to expel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65D1/42Reinforcing or strengthening parts or members
    • B65D1/44Corrug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5/28Handles
    • B65D2525/281Details relating to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감으로 그림을 그릴 때 어린이들이 사용하는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된 주름식 물통에서 인장용 손잡이가 구비된 주름식 물통에 관한 것이다.
특히 측면부에 다수의 주름부가 형성된 물통 몸체의 바닥면에 수축된 물통을 펼때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손잡이부를 형성하므로 서, 사용자가 접혀진 상태의 주름식 물통을 펴줄 때 바닥부에 형성된 인장 손잡이부를 한 손으로 잡고 다른 손으로 물통 몸체의 상부를 잡은 상태로 손쉽게 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통이 펴진 상태에서 유지되기 위하여 비교적 경질인 재질로 제조됨으로 인하여 어린이로서 무리한 힘을 가하게 되며 마땅한 손잡이가 없는 상태에서, 어린이가 물통을 펴서 사용할 때 사용자가 몸체의 바닥부와 손잡이부를 잡고 펴야 하므로 손잡이가 물통에서 파손되거나 급격히 펴져서 바닥을 누른 손의 팔목에 상처를 입히는 경우들이 종종 발생됨에 따라 물통 상단의 손잡이 파손과 상처를 입히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 인장용 손잡이가 구비된 주름식 물통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장용 손잡이가 구비된 주름식 물통{Water pail}
본 발명은 물감으로 그림을 그릴 때 어린이들이 사용하는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된 주름식 물통에서, 인장용 손잡이가 구비된 주름식 물통에 관한 것이다.
특히 측면부에 다수의 주름부가 형성된 물통 몸체의 바닥면에 수축된 물통을 펼때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손잡이부를 형성하므로 서, 사용자가 접혀진 상태의 주름식 물통을 펼때 바닥부에 형성된 인장 손잡이부를 한 손으로 잡고 다른 손으로 물통 몸체의 상부를 잡은 상태로 손쉽게 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통이 펴진 상태에서 유지되기 위하여 비교적 경질인 재질로 제조됨으로 인하여 어린이로서 무리한 힘을 가하게 되며 마땅한 손잡이가 없는 상태에서, 어린이가 물통을 펴서 사용할 때 사용자가 몸체의 바닥부와 손잡이부를 잡고 펴야 하므로 손잡이가 물통에서 파손되거나 급격히 펴져서 바닥을 누른 손의 팔목에 상처를 입히는 경우들이 종종 발생됨에 따라 물통 상단의 손잡이 파손과 상처를 입히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 인장용 손잡이가 구비된 주름식 물통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주름식 물통을 도시한 것으로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 몸체(1)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물통을 손으로 들고 다닐 수 있도록 한 손잡이(3)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의 측면부에는 다수의 주름부(2)가 형성되어 있어서 물통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주름부(2)를 접어서 최소의 부피 상태로 보관하고, 사용시에는 주름부(2)를 인장시켜 도 1 의 점선부분과 같이 펴지도록 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몸체(1)의 바닥부분에는 평평한 바닥면(4)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주름식 물통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물통이 접혀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물통을 펴고자 할 경우 한 손으로는 몸체(1)의 상부나 손잡이(10)를 잡게 되고, 다른 한 손으로는 몸체(1)의 바닥부에 마땅히 잡을만한 곳이 없어서 사용자가 불가피하게 상부에서 바닥면(4)을 누르거나 주름부(2)의 최 하측을 잡고 당기게 된다.
이로 인해 인장시 과도한 힘을 가할 경우 손잡이(10)가 파손되거나 급격히 펴져서 팔목에 상처를 입게 되며, 또는 주름부(2)가 찢어지거나 꺾이게 되어 물통의 수명이 단축됨은 물론 물통이 잘 펴지지 않게 되어 사용자가 주름식 물통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매우 번거로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측면부에 다수의 주름부가 형성된 물통 몸체의 바닥면에 접힌 물통을 펼때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손잡이부를 형성한 것으로 사용자가 접혀진 상태의 주름식 물통을 펼때 바닥부에 형성된 인장 손잡이부를 한 손으로 잡고 다른 손으로 물통 몸체의 상부를 잡은 상태로 손쉽게 펼 수 있게 한 것이다.
즉, 사용자가 몸체의 바닥부와 손잡이부를 잡고 펴야 하므로 손잡이가 물통에서 파손되거나 급격히 펴져서 바닥을 누른 손의 팔목에 상처를 입히는 경우들이 종종 발생됨에 따라 물통 상단의 손잡이 파손과 상처를 입히는 경우와 주름부를 과도하게 잡고 당김에 따라 발생하는 주름부의 꺾임 및 찢어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인장용 손잡이가 구비된 주름식 물통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 1 항에 의하여,
몸체의 측면에 다수의 주름부가 형성되어 있는 주름식 물통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바닥면에 물통을 펼 때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인장용 손잡이부를 별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 2 항에 의하여,
상기 손잡이부는 바닥면에 중앙으로 갈수록 깊어지는 요홈을 형성하고, 이 요홈의 중앙부에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인장용 손잡이를 바닥면을 넘지 않게 하향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 3 항에 의하여,
상기 손잡이부는 바닥면의 양측에 사용자가 손가락을 삽입하여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홈과 손잡이턱이 같이 구성된 파지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5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 표기하여 중복설명을 피하기로 한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은 주름식 물통의 몸체(1)의 바닥면(4)에 물통을 펼때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인장용 손잡이부(10)를 별도 형성한 것이다.
도 2 와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손잡이부재(10)를 바닥면(4)에 중앙부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지는 요홈(11)을 형성하고, 상기 요홈(11)의 중앙부에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인장용 손잡이(12)를 하향 돌출 형성한 것이다.
상기 인장용 손잡이(12)는 냄비 뚜껑의 손잡이와 같이 사용자가 손으로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하단부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장용 손잡이(12)의 돌출 높이는 바닥면(4)의 높이를 넘지 못하도록 하여 물통을 책상에 올려놓았을 때 바닥면(4)에 의해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도 3 과같이 물통을 인장시킬때 한 손으로는 종래와 같이 몸체(1)의 상부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 상기 인장용 손잡이(12)를 잡고 당겨주므로 서 손쉽게 물통의 주름부(2)를 펴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 와 도 5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손잡이부(10)는 바닥면(4)의 양측에 손잡이홈(21)과 손잡이턱(22)으로 구성된 파지홈(30)을 형성한 것이다.
즉,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4)에 복수개의 파지홈(30)을 서로 대향되게 형성하므로 서, 물통을 펴고자할 때 상기 손잡이홈(21)에 손가락을 삽입시킨 상태로 손잡이턱(22)에 지지 되게 파지홈(30)을 이용하여 손가락으로 견고하게 파지하고 다른 한 손으로 몸체(1)의 상부를 잡은 상태에서 용이하게 물통의 주름부(2)를 펴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파지홈(30)의 내측으로 사용자가 견고하게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홈(21)과 손잡이턱(22)을 형성하므로 서, 물통을 펼때 상기 손잡이턱(22)을 손으로 잡고 당겨 물통을 손쉽게 펴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설명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주름식 물통이 접힌 상태에서 그 물통을 펴주고자 할 때 물통의 바닥부에 형성된 인장 손잡이(10)를 한 손으로 잡고 다른 한 손으로 몸체(1)의 상부를 잡은 상태로 용이하게 펴줄 수 있게 된다.
손잡이(3)의 파손이나 손의 부상 그리고 주름부(2)의 손상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물통의 수명을 연장시켜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측면부에 다수의 주름부가 형성된 물통 몸체의 바닥면에 수축된 물통을 펼때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손잡이부를 형성하므로서, 사용자가 접혀진 상태의 주름식 물통을 펼때 바닥부에 형성된 인장 손잡이부를 한 손으로 잡고 다른 손으로 물통 몸체의 상부를 잡은 상태로 손쉽게 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사용자가 몸체의 바닥부와 손잡이부를 잡고 펴야 하므로 손잡이가 물통에서 파손되거나 급격히 펴져서 바닥을 누른 손의 팔목에 상처를 입히는 경우들이 종종 발생됨에 따라 물통 상단의 손잡이 파손과 상처를 입히는 경우와 주름부를 과도하게 잡고 당김에 따라 발생하는 주름부의 꺾임 및 찢어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인장용 손잡이가 구비된 주름식 물통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의 주름식 물통을 보인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 인장용 손잡이가 구비된 주름식 물통의 제 1 실시 예를 보인 도면.
도 3 은 본 발명 제 1 실시 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
도 4 는 본 발명 인장용 손잡이가 구비된 주름식 물통의 제 2 실시 예를 보인 도면.
도 5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의 저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몸체, 2: 주름부,
3: 손잡이, 4: 바닥면,
10: 손잡이부, 11: 요홈,
12: 인장용 손잡이, 21: 잘록부,
22: 손잡이턱, 30: 파지홈,

Claims (3)

  1. 몸체(1)의 측면부에 다수의 주름부(2)가 형성되어 있는 주름식 물통에 있어서,
    상기 몸체(1)의 바닥면(4)에 물통을 펼 때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인장용 손잡이부재(10)를 별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용 손잡이가 구비된 주름식 물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10)는 바닥면(4)에 중앙으로 갈수록 깊어지는 요홈(11)을 형성하고, 이 요홈(11)의 중앙부에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인장용 손잡이(12)를 바닥면을 넘지않게 하향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용 손잡이가 구비된 주름식 물통.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바닥면(4)의 양측에 사용자가 손가락을 삽입하여 파지할 수 있는 파지홈(3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용 손잡이가 구비된 주름식 물통.
KR1020050086033A 2005-09-12 2005-09-12 인장용 손잡이가 구비된 주름식 물통 KR100723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6033A KR100723800B1 (ko) 2005-09-12 2005-09-12 인장용 손잡이가 구비된 주름식 물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6033A KR100723800B1 (ko) 2005-09-12 2005-09-12 인장용 손잡이가 구비된 주름식 물통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2435U Division KR200407960Y1 (ko) 2005-11-14 2005-11-14 인장용 손잡이가 구비된 주름식 물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5817A true KR20050095817A (ko) 2005-10-04
KR100723800B1 KR100723800B1 (ko) 2007-06-04

Family

ID=37276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6033A KR100723800B1 (ko) 2005-09-12 2005-09-12 인장용 손잡이가 구비된 주름식 물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38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94927A (zh) * 2019-10-09 2019-12-20 佛山市顺德区德尔玛电器有限公司 一种加湿器的折叠水箱及其加湿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128B1 (ko) * 2017-06-05 2018-07-18 구승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94927A (zh) * 2019-10-09 2019-12-20 佛山市顺德区德尔玛电器有限公司 一种加湿器的折叠水箱及其加湿器
CN110594927B (zh) * 2019-10-09 2024-05-17 广东德尔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加湿器的折叠水箱及其加湿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3800B1 (ko) 2007-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12541A (en) Handle for bags particularly of net or plastic material
US10661959B2 (en) Device and display package assembly
KR100723800B1 (ko) 인장용 손잡이가 구비된 주름식 물통
KR200497252Y1 (ko) 빠짐 방지용 빨대
KR200407960Y1 (ko) 인장용 손잡이가 구비된 주름식 물통
US5383590A (en) Safety food wrap film tearing device
US7147879B2 (en) Tea bag package
KR200433181Y1 (ko) 자동 우산
JP3976194B2 (ja) 指圧具及びプルタブ起しを兼ねた荷物用把手
KR200331121Y1 (ko) 포장백용 손잡이
KR101565550B1 (ko) 일회용 비닐류 포장케이스
FR2623178A3 (fr) Torchon ou lavette humide, constitue par des feuilles de tissu humides enroulees et reliees les unes aux autres dans la direction longitudinale, par des lignes perforees, pour faire des nettoyages
KR200416546Y1 (ko) 비닐롤백
JP4819482B2 (ja) 包装用パッケージ
JP3204373U (ja) 筆記具ケース
JP3850414B2 (ja) ロール型ペーパータオル収納ケース
JP7373425B2 (ja) ボール収容具
CN209750051U (zh) 一种具有收纳功能的折叠伞
US11407551B2 (en) Container,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container with a handle
JP3122831U (ja) 開閉式風呂蓋
KR200422792Y1 (ko) 탈부착이 가능한 손잡이를 가진 팔레트
JP2011037452A (ja) プルタブ開栓器具
KR200210347Y1 (ko) 우산 살대고정구에 부착되는 피부 보호 안전장치
JPH10101037A (ja) 物品の包装体
JP6437098B2 (ja) アパチャ開口手段を備えたクリ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