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4568Y1 -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 뚜껑 - Google Patents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4568Y1
KR200384568Y1 KR20-2005-0005499U KR20050005499U KR200384568Y1 KR 200384568 Y1 KR200384568 Y1 KR 200384568Y1 KR 20050005499 U KR20050005499 U KR 20050005499U KR 200384568 Y1 KR200384568 Y1 KR 2003845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men
container
cooker
automatic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54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철
Original Assignee
이봉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봉철 filed Critical 이봉철
Priority to KR20-2005-00054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45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45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45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incompressible or rigid rod-shaped or tubular articles
    • B65D85/2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incompressible or rigid rod-shaped or tubular articles for macaroni, spaghetti or like flour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의 뚜껑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뚜껑(100)은 윗면(10)과 상기 윗면(10)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면부(20)를 가진다. 상기 윗면(10)의 크기는 상기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80)의 내부 공동부(88)의 크기보다 작고 그 전체높이는 상기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88)의 내부 공동부(88)에 안착이 되며 이때 그 측면부(20)가 상기 용기(80)의 내측면(85)에 접하여 그 내부에서 견고히 지지되게 된다.

Description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 뚜껑{A cover for a vessel using for instant-noodle cooker}
본 고안은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자동라면조리기가 있다. 자동라면조리기는 단지 끊는 물만 공급하여 소위 컵라면 등과 같은 즉석라면을 조리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 라면을 자동으로 조리하여 배출하는 기계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자동라면조리기는 통상적으로 라면이 미리 적재된 라면용기를 적층하고 있으며 상기 라면용기를 개별적으로 인출하여 히터로 이송하고 물을 투입한 후 히터에 의하여 라면이 조리되면 이를 배출하게 하고 있다.
이러한 자동라면조리기에서 사용되는 라면용기와 관련되어 뚜껑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동라면조리기에서 사용되는 라면용기에 대하여 뚜껑이 제공될 경우 많은 이점이 발생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조리 시 그 용기 내에 열을 보존하여 라면조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또한 조리가 끝난 후 조리된 라면을 담은 용기가 외부로 배출되었을 때 이물질의 유입을 막을 수 있다. 나아가서, 자동라면조리기 외부에서 라면과 스프 등의 내용물을 적재한 라면용기를 이동할 때 이물질의 유입을 막고 그 내용물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자동라면 조리기의 라면용기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상면을 덮어버리는 뚜껑을 사용할 경우 라면조리를 위한 물의 공급을 위하여 그 뚜껑에 개구부가 형성되어야 하고 자동라면조리기의 경우 물 공급관을 상기 개구부에 위치시켜야 하는 기구적 문제를 해결하여야 한다. 또 하나의 문제는 뚜껑으로 인하여 내부 열이 보존되어 조리된 라면을 담은 알루미늄 재질의 용기가 외부로 배출되었을 때 그 용기 또는 그 테두리부가 뜨거워 사용자가 손으로 집기가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에 대하여 본래 뚜껑으로서의 장점을 살리면서 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의 뚜껑의 구조가 요망된다. 본 고안은 이러한 요청을 만족시킨다.
본 고안의 목적은, 그러므로, 그 내부의 열을 보존하여 라면의 조리시간을 단축하고 이물질로부터 내용물을 보호하면서 자동라면조리기에 별도의 기구적인 해결책을 요구하지 않고 또한 상기 자동라면조리기에서 배출되는 조리된 라면을 담은 용기가 사용자가 집을 수 있을 정도로 뜨겁지 않도록 하는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 뚜껑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에 따른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 뚜껑은 윗면과 상기 윗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면부를 가지고; 상기 윗면의 크기는 상기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의 내부공동부의 크기보다 작고 그 전체높이는 상기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의 내부 공동부에 안착이 되며 이때 그 측면부가 상기 용기의 내측면에 접하여 그 내부에서 견고히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측면부는 상기 윗면의 테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측면부는 연속하여 일체로 형성 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측면부는 연속되지 않고 분리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부는 상기 윗면에 대하여 그 테두리부로부터 안쪽으로 일정거리 들어간 위치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고로, 통상적인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80)가 보인다.
통상적인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80)는 그 재질을 알루미늄으로 하며, 전체적으로 사각의 형상으로 그 내부에 공동(空洞)인 용기부(88)가 형성되어 그 주변에 내측면부(85)가 형성되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테두리부(81)가 형성되어 사용자는 이 부분을 집어 라면용기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라면용기의 공동부(88)에는 라면과 스프(3)가 놓이며 이러한 상태에서 자동라면조리기에 장착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의 뚜껑(100)은 윗면(10)을 가지며 상기 윗면(10)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측면부(20)를 가진다.
본 고안에 따를 경우, 상기 윗면(10)의 크기는 상기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80)의 내부 공동부(88)의 크기보다 작고 그 전체높이(Hc)는 상기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80)의 내부 공동부(88)의 높이(Hv)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의 내부 공동부(88)에 안착이 되며 이때 그 측면부(20)가 상기 용기(80)의 내측면(85)에 접하여 그 내부에서 견고히 지지되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자동라면조리기용 뚜껑(100)이 라면용기(80)에 장착이 되면, 도 2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상기 뚜껑(100)은 라면용기(80)내의 라면과 스프(3) 등 내용물을 감싸면서 용기(80)의 공동부(88)의 내부에 안착이 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80)의 공동부(88)에서 용기(80)의 높이(Hv) 아래에 뚜껑(100)이 놓이게 되며 그 내부에 라면과 스프 등의 내용물이 놓이는 것이다.
이때, 상기 측면부(20)가 용기(80)의 내측면(85)에 접하여 꽉 끼워지게 되며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뚜껑(100)은 용기(80)의 내부에서 견고하게 지지된다.
이렇게 본 고안에 따른 뚜껑(100)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라면용기(80)는 자동라면조리기의 적재함에 장착이 되게 된다. 자동라면조리기가 작동이 되면 상기 뚜껑(100)이 장착된 라면용기(80)는 자동라면조리기의 내부에서 그 적재함으로부터 인출되어 여기에 물이 공급되게 되는데, 공급되는 물은 상기 윗면(10)과 용기의 내측면(85)사이에 형성되는 틈새(S)를 통하여 윗면(10)하부의 공동부(88)로 유입된다.
이 경우, 상기 뚜껑(100)은 상기 용기(80)의 공동부(88)에서 용기(80)의 높이(Hv) 아래에 놓여 있으므로 물 공급관이 종래와 같이 라면용기(80)의 상부에만 위치하면 되므로 별도로 뚜껑에 물이 공급되는 개구부를 형성하거나 물 공급관을 개구부에 위치시키는 것과 기구적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뚜껑(100)과 관련되어 별도의 기구적 해결책이 필요하지 않으며, 본 고안에 따른 뚜껑(100)을 장착한 라면용기(80)는 그대로 종래의 자동라면조리기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를 경우 윗면(10)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물 공급관으로부터 유출되는 물이 뚜껑(100)하부의 공동부(88)로 원활히 공급하게 할 수도 있지만, 이것이 그 개구부의 위치에 물 공급관을 반드시 위치하도록 하는 등 별도의 기구적 해결책을 요구하는 것은 아니다.
도 3을 참고로, 본 고안에 따른 뚜껑(100)이 장착된 라면용기(80)에 물이 공급되면 그 틈새(S)를 통하여 라면과 스프(3)로 물이 공급되며 그러면 공급된 물의 부력에 의하여 상기 뚜껑(100)은 일정 높이만큼 위로 뜨게 된다. 그러면 뚜껑의 측면(20)과 용기(80)의 내측면(85)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이를 통하여 수증기가 유출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당량의 수증기가 유출되며, 라면의 조리가 끝난 후 상기 용기(80)가 외부의 사용자에게 배출되었을 때 라면용기(80)는 그리 뜨겁지 않아 사용자는 그 테두리부(81)를 잡고 라면용기(80)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사용자는 상기 뚜껑(100)을 제거하고 용기(80)에 담겨진 조리된 라면을 시식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의 경우, 상기 뚜껑(100)은 그 측면부(20)가 상기 윗면(10)의 테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있으며 상기 측면부(20)는 연속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있다.
본 고안에 따를 경우, 그러나, 도 4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상기 측면부는 연속되지 않고 분리되어 다수 개(21)(22)(23)(24)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상기 측면부(25)(26)(27)(28)는 상기 윗면(10)에 대하여 그 테두리부로부터 안쪽으로 일정거리(d)들어간 위치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 뚜껑(100)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다.
이 경우, 상기 측면부(20)는 그 일부에서 돌출부(25)(25')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25)(25')와 비돌출 측면부(27)사이에는 틈새공간부(Z)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라면용기 뚜껑(100)이 라면용기(80)의 내부(88)에 장착되었을 때 이들 돌출부(25)(25')가 라면용기의 내측면(85)과 밀착되어 그 내부(88)에서 견고히 지지되고 상기 틈새공간부(Z)를 통하여 공급된 물이 튀거나 하는 일이 없이 원활하게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를 경우, 윗면(10)은 중앙부를 포함한 부분이 상부로 융기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서 보이는 실시예의 경우 윗면(10)에서 중앙부를 포함하는 부분이 원형의 형태로 융기되어 그 내부에 융기 공간부(D)가 형성되고 융기부(38)의 측부가 턱부(387)를 형성하고 있다. 이렇게 윗면의 일부를 융기하는 것은 융기된 내부의 공간(D)으로 물의 순환이 일어나 라면이 잘 익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 경우 융기부(38)에 대하여 다시 일부 하부로 침강되어 형성되는 평면부(381)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평면부(381)에 손잡이(45)를 가지는 스티커(40)를 부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스티커(40)의 일부를 절곡하여 손잡이(45)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손잡이(45)를 사용자가 집어 본 고안에 따른 라면뚜껑(100)을 쉽게 열고 닫게 할 수 있다. 이렇게 하부로 침강된 평면부(381)를 형성하고 여기에 절곡부(45)가 형성된 스티커(40)를 부착하는 것은 상기 스티커의 부착에 따라 발생할지 모르는 오염물질이 라면용기(80)의 내부로 흘러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본래 뚜껑으로서 그 내부의 열을 보존하여 라면의 조리시간을 단축하고 이물질로부터 내용물을 보호하면서 별도의 자동라면조리기에 별도의 기구적인 해결책을 요구하지 않고 또한 배출되는 조리된 라면을 담은 용기가 사용자가 집을 수 있을 정도로 뜨겁지 않도록 하는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 뚜껑의 구조를 제공한다.
이로서 본 고안의 목적이 달성되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사상에 따라 그 권리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의 뚜껑을 보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뚜껑이 라면용기에 장착된 상태를 보이는 도면;
도 3은 도 1의 뚜껑이 라면용기에 장착된 상태에서 자동라면조리기 내에서 조리되는 예를 보이는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 뚜껑 10: 윗면
20: 측면부 80: 라면용기 85: 라면용기의 내측면
88: 라면용기의 공동부

Claims (8)

  1. (a)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의 뚜껑으로서;
    (b) 윗면과 상기 윗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면부를 가지고;
    (c) 상기 윗면의 크기는 상기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의 내부공동부의 크기보다 작고 그 전체높이는 상기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의 내부공동부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의 내부 공동부에 안착이 되며 이때 그 측면부가 상기 용기의 내측면에 접하여 그 내부에서 견고히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 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는 상기 윗면의 테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의 뚜껑.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는 연속하여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 뚜껑.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는 연속되지 않고 분리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 뚜껑.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는 상기 윗면에 대하여 그 테두리부로부터 안쪽으로 일정거리 들어간 위치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뚜껑.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는 그 일부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비돌출 측면부와의 사이에 틈새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뚜껑.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윗면은 중앙을 포함한 일부가 상부로 융기된 융기부를 형성하여 그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뚜껑.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는 그 일부가 하부로 침강되어 평면부를 형성하고 상기 평면부에 손잡이가 형성된 스티커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뚜껑.
KR20-2005-0005499U 2005-03-02 2005-03-02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 뚜껑 KR2003845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5499U KR200384568Y1 (ko) 2005-03-02 2005-03-02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5499U KR200384568Y1 (ko) 2005-03-02 2005-03-02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4568Y1 true KR200384568Y1 (ko) 2005-05-16

Family

ID=43686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5499U KR200384568Y1 (ko) 2005-03-02 2005-03-02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456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0617Y1 (ko) 음식물 넘침 방지용 진공 조리용기 뚜껑
US5609194A (en) Lid for a carafe for holding a brewed beverage
KR20090068085A (ko) 남비 뚜껑 손잡이
JP4583953B2 (ja) 電子レンジ調理用容器と包装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部分非加熱調理方法
KR200384568Y1 (ko)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 뚜껑
KR200391165Y1 (ko) 가열용기의 음식물 넘침 방지용 자동 압력조절 구조
JP2008271891A (ja) 容器入り冷凍食品及び冷凍食品用の容器
KR20090012204U (ko) 자동 진공기능을 갖는 조리용기
JP4958436B2 (ja) 即席食品用容器
KR200384567Y1 (ko)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 뚜껑
JP2011168311A (ja) 電子レンジ用容器
KR200271679Y1 (ko) 팽창공기를 배출시키는 조리용기 뚜껑용 손잡이
KR20140066021A (ko) 진공냄비뚜껑용 체크밸브
JP4152989B2 (ja) 電子レンジ調理用の即席麺容器
KR101987355B1 (ko) 조리 용기의 증기 배출 허여를 위한 보조 뚜껑
JP2003190011A (ja) 積重ね加熱調理容器
JP6612534B2 (ja) 電子レンジ加熱用食品容器
JP4299470B2 (ja) 煮炊器
KR200390653Y1 (ko)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
JP6362881B2 (ja) 電子レンジ調理用蓋、電子レンジ調理器及び電子レンジ調理器一体型食品
KR200492127Y1 (ko) 이중 뚜껑 구조의 다용도 용기
JP3924575B2 (ja) 電子レンジによるゆで卵用システム容器
KR200369011Y1 (ko) 넘침 방지용 용기뚜껑
US20230391503A1 (en) Dual container drinking vessel with universal lid
KR200331944Y1 (ko) 거름용기가 형성된 찻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