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4567Y1 -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 뚜껑 - Google Patents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 뚜껑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84567Y1 KR200384567Y1 KR20-2005-0005496U KR20050005496U KR200384567Y1 KR 200384567 Y1 KR200384567 Y1 KR 200384567Y1 KR 20050005496 U KR20050005496 U KR 20050005496U KR 200384567 Y1 KR200384567 Y1 KR 20038456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men
- container
- automatic
- cooker
- li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incompressible or rigid rod-shaped or tubular articles
- B65D85/2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incompressible or rigid rod-shaped or tubular articles for macaroni, spaghetti or like flour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의 뚜껑(100)은 윗면(10)과 상기 윗면(10)의 대향하는 두 개의 측부(10a)(10b)에 형성되는 손잡이부(40)와 상기 손잡이부(40)가 형성되는 측부(10a)(10b)와 교차되며 대향하는 두 개의 측부(10c)(10d)에 형성되는 날개부(20)(20)를 가진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자동라면조리기가 있다. 자동라면조리기는 단지 끊는 물만 공급하여 소위 컵라면 등과 같은 즉석라면을 조리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 라면을 자동으로 조리하여 배출하는 기계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자동라면조리기는 통상적으로 라면이 미리 적재된 라면용기를 적층하고 있으며 상기 라면용기를 개별적으로 인출하여 히터로 이송하고 물을 투입한 후 히터에 의하여 라면이 조리되면 이를 배출하게 하고 있다.
이러한 자동라면조리기에서 사용되는 라면용기와 관련되어 뚜껑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동라면조리기에서 사용되는 라면용기에 대하여 뚜껑이 제공될 경우 많은 이점이 발생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조리 시 그 용기 내에 열을 보존하여 라면조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또한 조리가 끝난 후 조리된 라면을 담은 용기가 외부로 배출되었을 때 이물질의 유입을 막을 수 있다. 나아가서, 자동라면조리기 외부에서 라면과 스프 등의 내용물을 적재한 라면용기를 이동할 때 이물질의 유입을 막고 그 내용물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자동라면 조리기의 라면용기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상면을 덮어버리는 뚜껑을 사용할 경우 라면조리를 위한 물의 공급을 위하여 그 뚜껑에 개구부가 형성되어야 하고 자동라면조리기의 경우 물 공급관을 상기 개구부에 위치시켜야 하는 기구적 문제를 해결하여야 한다. 또 하나의 문제는 뚜껑으로 인하여 내부 열이 보존되어 조리된 라면을 담은 알루미늄 재질의 용기가 외부로 배출되었을 때 그 용기 또는 그 테두리부가 뜨거워 사용자가 손으로 집기가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특별히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의 뚜껑과 관련되어서는 그 뚜껑이 라면용기로부터 쉽게 탈거 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자동라면조리기의 사용자는 조리된 라면을 담은 라면용기가 상기 자동라면조리기로부터 배출되면 그 뚜껑을 탈거하고 라면을 시식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에 대하여 본래 뚜껑으로서의 장점을 살리면서 위의 문제를 해결하고 또한 라면용기로부터 쉽게 탈거 될 수 있는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의 뚜껑의 구조가 요망된다. 본 고안은 이러한 요청을 만족시킨다.
본 고안의 목적은, 그러므로, 그 내부의 열을 보존하여 라면의 조리시간을 단축하고 이물질로부터 내용물을 보호하면서 자동라면조리기에 별도의 기구적인 해결책을 요구하지 않고 또한 상기 자동라면조리기에서 배출되는 조리된 라면을 담은 용기가 사용자가 집을 수 있을 정도로 뜨겁지 않도록 하며 라면용기로부터 용이하게 탈거될 수 있는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 뚜껑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에 따른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의 뚜껑은 상기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의 내부 공동부보다 크기가 작아 상기 내부 공동부에 인입될 수 있는 크기의 윗면과; 상기 윗면의 대향되는 두 측부에서 외측으로 경사져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윗면에서 상기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측부와 교차되어 대향하는 두 측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되는 날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날개부로부터 윗면까지의 높이는 상기 라면용기의 내부공동부의 높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를 경우, 상기 손잡이부는 그 끝단에 상기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의 테두리부에 거치되는 거치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고로, 통상적인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80)가 보인다.
통상적인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80)는 그 재질을 알루미늄으로 하며, 전체적으로 사각의 형상으로 그 내부에 공동(空洞)인 용기부(88)가 형성되어 그 주변에 내측면부(85)가 형성되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테두리부(81)가 형성되어 사용자는 이 부분을 집어 라면용기(80)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라면용기의 공동부(88)에는 라면과 스프(3)가 놓이며 이러한 상태에서 자동라면조리기에 장착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의 뚜껑(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윗면(10)과 상기 윗면(10)의 대향하는 두 개의 측부(10a)(10b)에 형성되는 손잡이부(40)(40)와 상기 손잡이부(40)가 형성되는 측부(10a)(10b)와 교차되며 대향하는 두 개의 측부(10c)(10d)에 형성되는 날개부(20)(20)를 가진다.
상기 윗면(10)은 그 크기가 상기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80)의 내부 공동부(88)보다 크기가 작아 상기 내부 공동부(88)에 인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40)(40)는 상기 윗면(10)의 측부(10a)(10b)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손잡이부(40)(40)는 그 끝단에 거치부(45)가 형성되어 상기 거치부(45)가 상기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80)의 테두리부(81)에 거치되어 상기 뚜껑(100)은 용기(80)에 지지된다.
상기 날개부(20)(20)는 상기 윗면의 측부(10c)(10d)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날개부(20)로부터 상기 윗면(10)까지의 높이(Hc)는 상기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80)의 내부 공동부의 높이(Hv)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의 뚜껑(100)은 상기 라면용기(80)의 공동부(88)의 내부에 인입되면 상기 손잡이부(40)의 거치부(45)가 라면용기의 테두리부(81)에 거치되며 그 날개부(20)(20)는 상기 라면용기(80)의 내측면(85) 또는 그 바닥면과 접하게 되어 용기(80)내부에 놓인 내용물을 감싸게 된다. 이러한 상태가 도 2에서 보인다.
이렇게 본 고안에 따른 뚜껑(100)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라면용기(80)는 자동라면조리기의 적재함에 장착이 되게 된다. 자동라면조리기가 작동이 되면 상기 뚜껑(100)이 장착된 라면용기(80)는 자동라면조리기의 내부에서 그 적재함으로부터 인출되어 여기에 물이 공급되게 되는데, 공급되는 물은 상기 윗면(10)과 용기의 내측면(85)사이에 형성되는 틈새(S)를 통하여 윗면(10)하부의 공동부(88)로 유입된다.
이 경우, 상기 뚜껑(100)은 상기 용기(80)의 공동부(88)에서 용기(80)의 높이(Hv) 아래에 놓여 있으므로 물 공급관이 종래와 같이 라면용기(80)의 상부에만 위치하면 되므로 별도로 뚜껑에 물이 공급되는 개구부를 형성하거나 물 공급관을 개구부에 위치시키는 것과 기구적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뚜껑(100)과 관련되어 별도의 기구적 해결책이 필요하지 않으며, 본 고안에 따른 뚜껑(100)을 장착한 라면용기(80)는 그대로 종래의 자동라면조리기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를 경우 윗면(10)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물 공급관으로부터 유출되는 물이 뚜껑(100)하부의 공동부(88)로 원활히 공급하게 할 수도 있지만, 이것이 그 개구부의 위치에 물 공급관을 반드시 위치하도록 하는 등 별도의 기구적 해결책을 요구하는 것은 아니다.
도 3음 참고로, 본 고안에 따른 뚜껑(100)이 설치된 라면용기(80)에 물이 공급이 되고 히터로부터 열이 전달되어 물이 비등하여 라면을 조리하게 되는데, 이때 수증기가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외측으로 경사져 연장되어 형성되는 손잡이부(40)의 하부에 형성되는 빈 공간(Vh)은 상기 날개부(20)측의 하부공간(Vw)보다 그 공간이 더 크며 또한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대부분의 수증기는 상기 손잡이부(40)의 하부공간(Vh)을 따라 유출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날개부(20)의 하부공간(Vw)에는 수증기가 거의 모이지 않게 되고 상기 날개부(20)에 근접된 테두리부(C)(D)는 별로 뜨겁지 않게 된다.
본 출원인이 본 고안에 따른 라면용기의 뚜껑(100)을 장착한 라면용기(80)를 자동라면조리기에 장착하고 실험을 한 결과, 라면이 조리되어 라면용기(80)가 배출되었을 때 손잡이부(40)(40)에 근접한 테두리부(A)(B)는 뜨거움을 느꼈지만 상기 날개부(20)(20)에 근접된 테두리부(C)(D)는 그저 미지근한 정도로서 충분히 테부리부(81)의 부분(C)(D)을 잡고 라면용기(80)를 이동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뚜껑(100)을 장착한 라면용기(80)가 자동라면조리기에 장착되어 사용될 경우 사용자는 그 날개부(20)(20)측의 테두리부(81)의 부분(C)(D)을 집음으로써 뜨거움을 느끼지 않고 용기(80)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뚜껑(100)을 장착한 라면용기(80)에 대하여 조리된 라면이 자동라면조리기로부터 배출되면, 이후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부(40)를 젓가락 등으로 집어 뚜껑(100)을 라면용기(80)로부터 쉽게 탈거할 수 있다. 이후 조리된 라면을 시식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를 경우 뚜껑으로서 그 내부의 열을 보존하여 라면의 조리시간을 단축하고 이물질로부터 내용물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뚜껑은 그 사용 시 자동라면조리기에 별도의 기구적인 해결책을 요구하지 않으며, 상기 자동라면조리기에서 배출되는 조리된 라면을 담은 용기를 사용자가 뜨거움을 느끼지 않고 잡을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뚜껑은 용기로부터 쉽게 탈거 될 수 있다.
이로서 본 고안의 목적이 달성되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사상에 따라 그 권리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 뚜껑을 보이는 도면;
도 2는 상기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 뚜껑이 라면용기에 장착된 상태를 보이는 도면; 그리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 뚜껑에서 손잡이부와 날개부를 비교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80: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
100: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 뚜껑
10: 윗면 20: 날개부
40: 손잡이부 45: 거치부
Claims (2)
- (a)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의 뚜껑으로서;(b) 상기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의 내부 공동부보다 크기가 작아 상기 내부 공동부에 인입될 수 있는 크기의 윗면과;(c) 상기 윗면의 대향되는 두 측부에서 외측으로 경사져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손잡이부와;(d) 상기 윗면에서 상기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측부와 교차되어 대향하는 두 측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되는 날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e) 상기 날개부로부터 윗면까지의 높이는 상기 라면용기의 내부공동부의 높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의 뚜껑.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손잡이부는 그 끝단에 상기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의 테두리부에 거치되는 거치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 뚜껑.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05496U KR200384567Y1 (ko) | 2005-03-02 | 2005-03-02 |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 뚜껑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05496U KR200384567Y1 (ko) | 2005-03-02 | 2005-03-02 |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 뚜껑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84567Y1 true KR200384567Y1 (ko) | 2005-05-16 |
Family
ID=43686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05496U KR200384567Y1 (ko) | 2005-03-02 | 2005-03-02 |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 뚜껑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84567Y1 (ko) |
-
2005
- 2005-03-02 KR KR20-2005-0005496U patent/KR20038456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030346B1 (en) | Moisture adding microwave lid apparatus | |
KR20090068085A (ko) | 남비 뚜껑 손잡이 | |
JP2002240886A (ja) | 液体用の運搬および貯蔵容器 | |
KR101244277B1 (ko) | 중탕기 | |
KR200384567Y1 (ko) |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 뚜껑 | |
KR101435756B1 (ko) | 진공기능을 갖는 조리용기용 패킹 | |
JP2001287776A5 (ko) | ||
KR200384568Y1 (ko) | 자동라면조리기용 라면용기 뚜껑 | |
JP2003190011A (ja) | 積重ね加熱調理容器 | |
JP2007000042A (ja) | 包装食品およびその調理方法 | |
KR200388274Y1 (ko) | 수막 제거수단을 구비한 조리용기 | |
KR200383876Y1 (ko) | 뚜껑 겸용 후라이팬 | |
JP2011168311A (ja) | 電子レンジ用容器 | |
JP5625440B2 (ja) | 蒸し器 | |
JP3204124U (ja) | 食品容器 | |
KR200238404Y1 (ko) | 가스와 버너의 수납기능을 갖는 코펠 | |
JP2011183105A (ja) | 電子レンジ調理容器 | |
JP7321896B2 (ja) | 飲料用サーバー | |
KR102067287B1 (ko) | 조리 용기 | |
KR200336996Y1 (ko) | 냄비의 국자 및 주걱수용장치 | |
KR200215663Y1 (ko) | 전기보온밥통용 보조용기 | |
KR200167429Y1 (ko) | 물탱크를 구비한 보온밥통 | |
KR200492127Y1 (ko) | 이중 뚜껑 구조의 다용도 용기 | |
JP3205664U (ja) | 電子レンジ用内箱 | |
KR200320853Y1 (ko) | 조리용 용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