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3126Y1 - 차잎 분쇄용 도기 - Google Patents

차잎 분쇄용 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3126Y1
KR200383126Y1 KR20-2005-0003885U KR20050003885U KR200383126Y1 KR 200383126 Y1 KR200383126 Y1 KR 200383126Y1 KR 20050003885 U KR20050003885 U KR 20050003885U KR 200383126 Y1 KR200383126 Y1 KR 2003831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nding
pottery
main body
tea leaf
t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38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태
Original Assignee
김영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태 filed Critical 김영태
Priority to KR20-2005-00038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31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31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31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2Rolling or shredding tea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밀대가 위치하는 분쇄용 홈부분을 받침대와 받침공으로 분리하므로서 장기간 사용후 본체를 교체하지 않고 받침대만을 교체할 수 있는 차잎 분쇄용 도기로서,
밀대(10)와; 상기 밀대(10)를 사용하여 차잎을 넣고 분쇄하기 위한 분쇄홈부(22)과 손가락홈(24)을 형성한 본체(20); 상기 본체(20)의 상면을 덮기 위한 덮개(30)를 포함하며, 혹은 본체(20)에 형성된 개구부(21)을 통하여 분쇄홈부(42)이 형성된 받침대(40)가 분리/결합되는 차잎 분쇄용 도기를 제공하며,혹은 중심부에 축공(27)을 형성한 연마면(25)과, 이 연마면(25)의 연부를 따라 배출로(21)를 형성하되 그 일단에 배출구(26)를 형성한 본체(20);및 상기 연마면(25)위에 회전가능하게 재치되도록 바닥 중심부에 축핀(54)과,차잎 투입로(53)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연마면(25)에 대응하는 연마면(55)을 이루며,상면에는 차잎 투입용 요입공간(52)을 이루되 그 일부에 파지축(51)이 편심/고정되는 회전체(50)를 포함한다.
본 고안은 밀대가 접촉되는 받침대를 착탈토록 하므로서 수명이 개선된 분쇄용 도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잎 분쇄용 도기{Ceramics for grinding tea leaves}
본 고안은 차잎 분쇄용 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밀대가 위치하는 분쇄용 홈부분을 받침대와 개구부로 분리시키므로서 장기간 사용후 본체를 교체하지 않고 받침대만을 교체할 수 있는 차잎 분쇄용 도기이며, 전통 맷돌을 응용하여 회전체의 상면에 소정의 차잎등의 재료가 흩어지지 않게 투입되는 요입공간을 새롭게 한 차잎 분쇄용 도기이며, 밀대가 사용되는 분쇄홈부을 형성한 본체와 덮개를 셋트화하여 상품가치를 높이고, 손가락홈을 통하여 운반이 용이하게 한 새로운 차잎 분쇄용 도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알려진 여러가지 가정용 분쇄용 도기들은 한결같이 분쇄홈부을 형성한 본체와 밀대로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사용후 먼지등의 이물질이 쉽게 내용물속에 가라앉게 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일이 임시 덮개를 만들어 사용하게 되며, 본체와 밀대가 수공작업되어 대량 셋트화한 상품으로 제조될 수 없는 단점이 있었으며, 분쇄홈부을 형성한 분쇄기 본체의 분쇄홈부이 장기간 사용후 마모되어 닳아 없어져 본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단점도 있다.
또한, 전통 맷돌의 구조와 같이 만들어진 가정용의 간이 분쇄도구로 사용하기에는 상기한 먼지를 방지할 수 없음은 물론 운반이 불편하고, 분쇄용 재료의 투입이 부적당한 차잎등의 투입공간이 없어 불편하며, 콤팩트화한 맷돌로서 가정에서나 약국등에서 간단하게 사용하기에는 이러한 단순 맷돌구조만으로는 여러가지 불편함이 수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 차잎등의 분쇄재료를 가정이나 약국등에서 간단하게 분쇄하는 도구로서 셋트화한 상품으로서의 가치를 높이고, 먼지나, 벌레, 이물질등의 침입이 방지되는 구조가 개선된 분쇄용 도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본쇄용 전통 도기를 제공함에 있어 밀대와 접촉하는 분쇄홈부부분을 분리/조립가능하게 하여 본체의 수명이 개선된 분쇄용도기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전통맷돌을 이용하여 차잎등을 분쇄하기 위한 가정용의 간단한 차잎 분쇄용 도기를 제공함에 있어 투입재료들의 투입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맷돌형 차잎 분쇄용 도기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차잎 분쇄용 도기는,
밀대와; 상기 밀대를 사용하여 차잎을 넣고 분쇄하기 위한 분쇄홈부을 형성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면을 덮기 위한 덮개를 포함하는 차잎 분쇄용 도기로서 달성된다.
본 고안의 차잎 분쇄기용 도기의 상기 본체는 저면에 운반시 손가락이 들어가는 손가락홈을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차잎 분쇄기용 도기는 원형 혹은 사각형등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차잎 분쇄기용 도기의 상기 본체는 분쇄홈부을 형성한 받침대와, 이 받침대가 안착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로 착탈/조립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고안의 차잎 분쇄기용 도기는,
중심부에 축공을 형성한 연마면과, 이 연마면의 연부를 따라 배출로를 형성하되 그 일단에 배출구를 형성한 본체;및 상기 연마면위에 회전가능하게 재치되도록 바닥 중심부에 축핀을 형성함과 아울러 차잎 배출공을 형성하고, 저면은 상기 연마면에 대응하는 연마면을 이루며, 상면에는 차잎 투입용 요입공간을 이루되 그 일부에 손잡이를 편심/형성하며, 이 요입공간의 바닥에는 상기 배출공에 연통하는 차잎 공급용 입구가 형성된 회전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차잎 분쇄기용 도기의 상기 회전체와 본체는 덮개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차잎 분쇄기용 도기의 상기 회전체의 손잡이는 요입공간에 수직/고정된 고정체임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중 도 1은 본 고안 차잎 분쇄용 도기의 제1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차잎 분쇄용 도기의 제1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따르는 본 고안 차잎 분쇄용 도기의 제1실시예의 구조는 크게 원반형의 밀대(10)와, 상기 밀대(10)를 사용하여 차잎을 넣고 분쇄하기 위한 분쇄홈부(22)을 형성한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상면을 덮기 위한 덮개(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밀대(10)는 원반형으로 작업자가 손으로 쥐고 상기 분쇄홈부(22)에 놓인 차잎등을 반복/연마하기 위한 일종의 연마도구이다.
아울러 본 고안 차잎 분쇄용 도기의 상기 본체(20)는 저면에 운반시 손가락이 들어가는 손가락홈(24)을 그 하단 연부를 따라 형성하므로서 사용 전,후 운반이 편리하다.
이와같은 구조의 본 고안 차잎 분쇄용 도기는 상기 덮개(30)와 본체(20)를 사각형으로 실시하지만 후술하는 바와같이 원형으로 혹은 여러가지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첨부 도면중 도 3은 본 고안 차잎 분쇄용 도기의 제2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차잎 분쇄용 도기의 제2실시예의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따르는 본 고안 차잎 분쇄용 도기의 제2실시예 역시 상기한 원반형의 밀대(10)와, 상기 밀대(10)를 사용하여 차잎을 넣고 분쇄하기 위한 분쇄홈부(22)을 형성한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상면을 덮기 위한 덮개(30)로 이루어지며, 손가락홈(24)을 그 하단 연부를 따라 형성하며, 상기 덮개(30)와 본체(20)를 원형으로 실시하여서 된다.
첨부 도면중 도 5는 본 고안 차잎 분쇄용 도기의 제3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 차잎 분쇄용 도기의 제3실시예의 분리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따르는 본 고안 차잎 분쇄용 도기 역시 크게 원반형의 밀대(10)와, 본체(20)와, 덮개(30)와, 받침대(40)로 이루어진다.
밀대(10)는 원반형을 이루며, 필요에 따라 막대형등 여러가지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원반형으로 설명하였다.
상기한 본체(20)는 중앙부에 개구부(23)을 형성하고, 그 하단에 손가락홈(24)을 형성하며, 연부를 따라 재치연부(21)을 형성하여서 된다.
받침대(40)는 상기 개구부(23)에 안착됨과 아울러 분쇄홈부(42)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개구부(23)에 대응하는 대략 타원구조의 상면이 요입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개구부(23)가 타원형을 이룬 구멍이므로 이 개구부(23)에서 착탈/조립되기 위해서는 이 보다 큰 타원형의 상면이 요입된 형태를 갖어야 개구부(23)에서 빠지지 않는다.
덮개(30)는 상기 본체(20)의 상면을 덮기에 충분한 형태를 이룬다.
첨부 도면중 도 7은 본 고안 차잎 분쇄용 도기의 제 4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 차잎 분쇄용 도기의 제 4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 차잎 분쇄용 도기의 제4실시예로서 덮개를 분리한 사용상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 차잎 분쇄용 도기의 제 4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따르는 본 고안 제4실시예의 차잎 분쇄용 도기는 크게 구분하여 본체(20)와, 회전체(50)와, 덮개(30)로 이루어진다.
본체(20)는 그 상부 중심부에 축공(27)을 형성한 평평하게 연마면(25)을 형성하고, 이 연마면(25)의 재치연부를 따라 내측으로 홈이 지게 하여 덮개(30)이 재치되는 재치연부(21)를 형성하며, 이 재치연부(21)는 내측으로 경사진 홈을 이룸과 아울러 후술하는 배출구(26)측으로 경사진 배출로를 이룬다. 이 재치연부(21)의 일단에는 주둥이 형의 배출로를 형성한 배출구(26)를 마련한다.
회전체(50)는 상기 연마면(25)위에 회전가능하게 재치되도록 저면 중심부에 축핀(54)과, 차잎 투입로(53)의 배출측이 뚫려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연마면(25)에 대응하는 바닥 연마면(55)을 이루며, 상면은 차잎 투입용 요입공간(52)을 이루되 그 일부에 파지축(51)이 직립하여 회전가능하게 편심/고정된다.
상기 파지축(51)은 상기 요입공간(52)의 소정위치에 직립/고정되며, 그 상면 내측으로 회전가능한 혹은 고정상태의 파지간(56)을 형성하여서 된다.
물론 파지간(56)의 회전은 그 저부에 축핀과 축홈을 형성하므로서 가능하지만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축회전구조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덮개(30)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이 상기 회전체(50)를 내부에 위치하도록 덮으면서 상기 본체(20)의 재치연부(21)상에서 그 하연부가 재치되도록 놓여진다.
이와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 차잎 분쇄용 도기들의 실시예별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면 도 2와 도 4에서 도시하는 본 고안 제1,제2실시예의 단면도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본 고안 차잎 분쇄용 도기의 사용은 덮개(30)를 열어 분리한 상태에서 밀대(10)를 사용하여 분쇄홈부(22)에 넣어진 차잎을 분쇄하므로서 차잎의 수공적인 분쇄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 차잎 분쇄용 도기의 운반시에는 상기 본체(20) 저면에 형성된 손가락홈(24)에 손가락을 넣어 사용 전,후의 운반시에 편리하다.
아울러 밀대(10),본체(20),덮개(30)등에는 여러가지 전통문양이 각인될 수 있으며, 그 문양들의 디자인에 대해서는 본 고안에서는 다루지 않기로 한다.
특히, 이러한 차잎 분쇄용 도기의 전체 형태는 사각형,원형외에도 타원형 혹은 거북이형 본체와 그 덮개등의 다양한 형태에 적용이 가능하며, 이러한 다양한 형태에 대한 적용예는 일일이 설명하지 않아도 본 고안 차잎 분쇄용 도기의 상기한 실시예들의 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한편, 상기 실시예3의 본 고안 차잎 분쇄용 도기의 작용은 도 6에서 도시하는 분리 단면도를 통하여 설명된다.
이 실시예의 본 고안 차잎 분쇄용 도기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밀대(10)와, 중앙부에 개구부(23)을 형성한 본체(20)와, 상기 개구부(23)에 안착됨과 아울러 분쇄홈부(42)이 형성된 받침대(40)와, 상기 본체(20)의 상면을 덮기 위한 덮개(30)로 이루어진 원형의 차잎 분쇄용 도기이며, 상기 받침대(40)내에 넣어진 차잎을 밀대(10)로서 수작업으로 분쇄하게 된다. 분쇄된 차잎분말은 받침대(40)를 들아올려 다른 그릇등에 옮겨 담도록 하므로서 앞서 설명된 실시예1,2들에 비하여 편리하며, 장기간 사용후 받침대(40)가 닳더라도 받침대(40)만의 교체로서 본체의 교체없이 재사용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이 제3실시예의 차잎 분쇄용 도기 역시 덮개(30)내측에 밀대(10),받침대(40)를 위치시킨 뒤 덮어두므로서 보관이 용이하며, 본체(20)바닥측 손가락홈(24)를 통하여 운반이 편리한 것은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다.
첨부 도면 도 7 내지 도 10에서 보여주는 본 고안 차잎 분쇄용 도기는 전통 맷돌과 유사하지만, 이하 설명되는 회전체(50)의 구조와 덮개(30)가 구비되는 점에서 개선된 차이를 보여준다.
이 실시예의 차잎 분쇄용 도기는 본체(20)와, 회전체(50)와, 덮개(30)로 이루어지며, 본체(20)위에 회전체(50)를 올려놓고 차잎의 즙액을 압착/분쇄하는 작업이 가능해진다.
즉, 회전체(50)의 상기 연마면(25)위에 회전가능하게 재치되도록 저면 중심부에 축핀(54)이 축공(27)에 끼워지게 안착시킨다. 이 상태에서 회전체(50)의 요입공간(52)내에 차잎등의 분쇄 혹은 압착/연마용 재료를 집어넣고 회전시키면 투입로(53)의 뚫려 있는 입구를 통하여 차잎등의 재료가 투입로(53)하부로 낙하/배출되면서 하부 연마면(25)(55)끼리 맞닿는 부분에서 분쇄가 이루어지며, 분쇄된 차잎/즙액은 재치연부(21)를 따라 흐르다가 배출구(26)를 통하여 배출된다.
물론 재치연부(21)는 덮개(30)의 재치턱 기능을 수행하기도 하지만 주로 연마된 차잎 분쇄즙이 원활하게 배출되는 경사진 배출로로서 기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파지축(51)은 상기 요입공간(52)의 소정위치에 직립/고정되며, 그 상면 내측으로 회전가능한 혹은 고정상태의 파지간(56)을 형성하여 회전 가능하게 하지만 고정상태로도 실시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 차잎 분쇄용 도기는 덮개내에 밀대를 위치한 상태로 본체를 덮을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손가락홈을 통하여 운반이 용이한 효과를 가진 새로운 차잎 분쇄용 도기를 제공하게 된다.
아울러 이러한 분쇄용 도기의 형태가 원형 혹은 사각형등의 형태로 다양화할 수 있어 가정이나 약국등에서 간단하게 차잎의 분말 가공이 가능해지는 간이 분쇄용 도기를 제공할 수 있어 도기를 통한 셋트화한 상품을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본 고안 차잎 분쇄용 도기는 종래 알려진 일반적인 본체 구조를 개선하여 밀대가 위치하는 분쇄용 홈부분을 받침대와 받침공으로 분리하므로서 장기간 사용후 본체를 교체하지 않고 받침대만을 교체할 수 있어 본체의 재사용이 가능한 개선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고안 차잎 분쇄용 도기는 그동안 알려진 전통 맷돌을 응용하여 차잎등의 즙액을 제공하는 맷돌(분쇄용 도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회전체의 상면에 소정의 차잎등의 재료가 안전하게 투입되는 요입공간을 새롭게 하므로서 재료의 투입이 더욱 편리해진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고안 차잎 분쇄용 도기의 제1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차잎 분쇄용 도기의 제1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차잎 분쇄용 도기의 제2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차잎 분쇄용 도기의 제2실시예의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 차잎 분쇄용 도기의 제3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 차잎 분쇄용 도기의 제3실시예의 분리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 차잎 분쇄용 도기의 제 4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 차잎 분쇄용 도기의 제 4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 차잎 분쇄용 도기의 제4실시예로서 덮개를 분리한 사용상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 차잎 분쇄용 도기의 제 4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밀대, 20:본체, 21:재치연부, 22:분쇄홈부, 23:개구부,24:손가락홈,
25:연마면, 26:배출구, 27:축공, 30:덮개, 40:받침대,42:분쇄홈부,
50:회전체, 51:파지축, 52:요입공간, 53:투입로, 54:축핀, 55:연마면,
56:파지간,

Claims (7)

  1. 차잎 분쇄용 도기에 있어서,
    밀대(10);
    상기 밀대(10)가 반복하여 접촉되도록 상면 소정위치에 분쇄홈부(22)을 형성한 본체(20); 및
    상기 밀대(10)와 본체(20)를 덮기 위한 덮개(30)를 포함하는 차잎 분쇄용 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는 그 하연부를 따라 손가락이 들어가는 손가락홈(24)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잎 분쇄용 도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는 개구부(23)를 더 포함하는 차잎 분쇄용 도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의 분쇄홈부(22)는 상기 개구부(23)에서 착탈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잎 분쇄용 도기.
  5. 차잎 분쇄용 도기에 있어서,
    상면에 축공(27)을 가진 연마면(25)과, 이 연마면(25)의 테두리를 따라 즙액이 흐르는 경사진 재치연부(21)를 형성하며, 재치연부(21)의 소정위치에 배출구(26)를 형성한 본체(20);및
    상기 본체(20)의 연마면(25)위에서 회전가능하게 재치되어 차 재료가 분쇄/압착되도록 바닥부는 연마면(55)을 이루되 중심부에 축핀(54),투입로(53)출구를 각각 형성하고, 그 상면에는 회전 손잡이용 파지축(51)을 형성하되 차재료 투입용 요입공간(52)을 형성한 회전체(50)를 포함하여서 되는 차잎 분쇄용 도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50)를 포함한 전체를 커버하기 위한 덮개(3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차잎 분쇄용 도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축(51)은 회전가능한 파지간(56)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잎 분쇄용 도기.
KR20-2005-0003885U 2005-02-14 2005-02-14 차잎 분쇄용 도기 KR2003831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885U KR200383126Y1 (ko) 2005-02-14 2005-02-14 차잎 분쇄용 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885U KR200383126Y1 (ko) 2005-02-14 2005-02-14 차잎 분쇄용 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3126Y1 true KR200383126Y1 (ko) 2005-04-29

Family

ID=43684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3885U KR200383126Y1 (ko) 2005-02-14 2005-02-14 차잎 분쇄용 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312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90846B2 (ja) 電動粉挽き機
US20180271328A1 (en) Compact pocket-sized and funneled herb or tobacco grinder
US4212430A (en) Hand-held pulverizer
EP2767201A1 (en) A grinding unit, a cartridge for the grinding unit and use of same for grinding coffee beans
KR200383126Y1 (ko) 차잎 분쇄용 도기
US4343437A (en) Condiment grinder
EP0227879B1 (en) Grinder for use in grinding apparatus
CA1233450A (en) Disc pulverizer
US5007592A (en) Disposable peppermill
KR100743574B1 (ko) 분쇄기
JP2002263012A (ja) 電動式薬味類碾砕器
KR100916526B1 (ko) 고추분쇄기
JP6795815B2 (ja) コーヒー豆粉砕器
ES2296647T3 (es) Cabezal triturador.
WO1984000484A1 (en) Condiment grinder
KR200188586Y1 (ko) 곡물 분쇄기
JPS62237952A (ja) 微粉砕機の粉砕手段
KR200400153Y1 (ko) 맷돌
JP4099009B2 (ja) 粉砕機
JP4021986B2 (ja) 粉砕機
KR200466044Y1 (ko) 맷돌
KR20010037763A (ko) 고추 분쇄기
CN1304706A (zh) 食物磨碎机
JP3082969U (ja) 上臼回転式石臼
KR20180001820U (ko) 커피분쇄기용 지그 및 그 지그가 장착된 커피분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