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1319Y1 - 수족관 장치 - Google Patents

수족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1319Y1
KR200381319Y1 KR20-2005-0001188U KR20050001188U KR200381319Y1 KR 200381319 Y1 KR200381319 Y1 KR 200381319Y1 KR 20050001188 U KR20050001188 U KR 20050001188U KR 200381319 Y1 KR200381319 Y1 KR 2003813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urifier
tank
water purifier
aquar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11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승해
Original Assignee
(주)세계로유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계로유통 filed Critical (주)세계로유통
Priority to KR20-2005-00011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13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13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13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족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조 바닥측에 형성된 각종 부유물 및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여과조(114)와, 미세필터를 이용하여 물 속의 이물질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마이크로 필터가 장착되어 상기 여과조(114)를 통과한 물 및 외부에서 공급되는 원수를 정화하기 위한 제 1 정수장치(102)와, 물 속의 염소를 제거하고 항균 항취 작용을 수행하는 활성탄소필터가 장착되어 상기 제 1 정수장치(102)를 통과한 물을 정화하는 제 2 정수장치(104)와, 상기 제 2 정수장치를 통과한 물을 정화하는 제 3 정수장치(106)와, 상기 제 3 정수장치에서 공급되는 물을 냉각하여 수조로 공급하기 위한 냉각기(108)를 포함하며, 상기 제 3 정수장치(106)는 하우징 내에 은도금볼을 채운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수족관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족관 장치{An aquatic plant apparatus}
본 고안은 수족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횟집 등에 설치하여 활어가 살 수 있게 하는 수족관 장치 중에서 특별히 환경에 민감한 1급수 어종이 살 수 있게 하는 수족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송어 등 1급수에서만 살 수 있으며 환경에 민감한 어종은 횟집에서 활어 상태로 보존하는 데 성공하지 못하여 이를 회로 먹기 위해서는 도심을 벗어나 양식장까지 가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그 이유는 1급수 정도의 수질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종래의 기술로는 달성하기 어려웠으며 이를 달성하려면 매우 고가의 장비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수지가 맞지 않기 때문이다.
본 고안에서는 제 3에 걸친 정수 시스템을 통하여 1급수 어종이 살 수 있는 친환경적인 클린 수족관을 제공함으로써 1급수 수준을 장기간 유지가능하게 함으로써 일반 횟집에서도 1급수 어종을 활어상태로 장기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특히 은도금된 은도금볼(ball)과 수처리용 세라믹볼로 채워진 최종 정수 장치를 통과한 물만 수족관에 공급함으로써 은 나노 작용과 세라믹의 작용으로 살균처리된 물을 수족관에 공급하여 1급수 어종의 생명을 장기간 건강하게 유지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수족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조 바닥측에 형성된 각종 부유물 및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여과조(114)와, 미세필터를 이용하여 물 속의 이물질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마이크로 필터가 장착되어 상기 여과조(114)를 통과한 물 및 외부에서 공급되는 원수를 정화하기 위한 제 1 정수장치(102)와, 물 속의 염소를 제거하고 항균 항취 작용을 수행하는 활성탄소필터가 장착되어 상기 제 1 정수장치(102)를 통과한 물을 정화하는 제 2 정수장치(104)와, 상기 제 2 정수장치를 통과한 물을 정화하는 제 3 정수장치(106)와, 상기 제 3 정수장치에서 공급되는 물을 냉각하여 수조로 공급하기 위한 냉각기(108)를 포함하며, 상기 제 3 정수장치(106)는 하우징 내에 은도금볼을 채운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수족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3 정수장치의 하우징 내에는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세라믹볼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는 네 종류의 필터 시스템을 거쳐서 물을 수조로 공급하고 수조의 물을 단계적 지속적으로 재순환 시킴으로써 물의 오염을 막고 최상의 수질 상태를 유지시킨다. 우선 수조의 바닥측에는 부유물 및 이물질 등을 걸러주는 여과조(114)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러한 여과조를 거쳐서 부유물 및 이물질이 1차적으로 걸러진 물을 재순환시켜 다시 수조로 공급하게 된다.
여과조에서 걸러진 물은 제 1 정수장치(102), 제 2 정수장치(104), 제 3 정수장치(106)에서 순차적으로 정수처리된다. 물론 여과조를 통해 재 순환 되는 물만을 사용하면 물이 점점 줄어들게 되므로 수량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만큼은 외부의 원수를 원수공급 파이프를 통해 공급하게 된다.
제 1 정수장치 내지 제 3 정수장치는 각각 정수 특성에 있어 특징이 있다. 제 1 정수장치는 5㎛ 정도의 미세 마이크로 필터를 이용하여 물속의 이물질을 흡착하고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 2 정수장치는 활성탄소필터(active carbon filter)를 통해 물 속의 염소를 제거하고 항균 항취 작용을 수행한다. 제 3 정수장치는 도 2와 같이 하우징 내에 은도금볼을 채운 구조로 형성되어, 은나노 작용을 통하여 물을 정화하게 된다. 제 3 정수장치의 하우징 내에는 추가적으로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세라믹볼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세라믹볼은 맥반석, 황옥, 옥돌 등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세라믹으로 구성된다.
은도금볼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은은 범용적인 항균제로서 잘 알려진 물질로서 콜로이드 형태의 은은 세균을 비롯한 균류 및 바이러스 등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으면서도 부작용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은이 미세 입자(1∼100 nm)로 분산되어진 나노실버 용액의 경우에는 쉽게 세포 속으로 침투하여 바이러스, 박테리아, 곰팡이 등이 호흡할 때 필요한 효소의 기능을 정지시켜 질식시킴으로써 이들을 죽게 한다. 이는 병균의 신진대사를 막아 살균하는 것과 더불어 금속의 은이 방출하는 은의 전기적 부하가 병균의 생식 기능을 억제하기 때문이다.
미세 입자의 은은 전기분해법, 액상환원법, 그라인딩법(grinding) 등의 물리적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고순도의 안정한 나노실버를 얻기 위해서는 지금까지 주로 전기분해법이 사용되었다. 전기 분해법은 증류수에 순수한 은(99.99%)를 넣고 저온에서 저전류를 발생시켜 방전되어 나온 극소 미립자 형태의 은이 용액에 용해되어 포함되게 함으로써 얻는다.
나노실버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선 유해균, 곰팡이균 등의 번식 억제 기능 및 제균 기능이 탁월하여,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병원 내 제 2 감염 등을 막아 주며, 인체에서 분비되는 땀, 노폐물에 의해 번식하는 세균의 증식을 막고 제균을 하여 악취를 근본적 막아 준다. 한편 자외선을 차단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며, 나아가 전자파를 차폐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은는 모든 금속 중에서 금 다음으로 뛰어난 전기 도전성을 갖고 있어서 정전기 발생을 방지한다.
한편 본 고안의 제 3 정수장치는 볼(ball)의 외표면에 음도금을 하거나 나노실버 입자를 포함하는 액상의 혼합물을 도포하고 건조하여, 나노실버 작용에 의해 바이러스, 박테리아, 곰팡이 균류 등이 호흡할 때 필요한 효소의 기능을 정지시켜 질식시킴으로써 이들을 죽게하는 나노실버 도포층이 막의 형태로 형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은나노볼을 하우징 내에 포함하여 제 2 정수장치를 통과한 물이 제 3 정수장치를 거치면서 은나노볼에 직접 접촉되게 하여 세균이 제거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여과조를 걸러 나온 물은 3차에 걸쳐 단계별로 정수된다. 우선 1차로 제 1 정수장치(102)에서 마이크로 필터에 의해 물속의 이물질이 제거되며, 제 2 정수장치(104)에서 활성탄소필터(active carbon filter)를 통해 물 속의 염소가 제거되고 항균 항취되며, 최종적으로 제 3 정수장치(106)에서 은나노 작용 또는 원적외선 방사 작용에 의하여 정화되게 된다. 3차에 걸쳐 정화된 물은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기(108)를 통하여 각 어종에 있어 최적의 생장 온도로 맞추어져 공급된다. 예를 들어 송어의 경우는 10 ℃ 내지 13 ℃의 온도로 맞추어져서 공급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물이 여과조, 세 개의 정수 장치 및 냉각기를 거치면서 순환하기 위한 순환시스템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펌프(116)와 다수의 밸브가 구비됨은 물론이다.
펌프는 물을 강제적으로 순환시켜 주는 힘을 제공하며 여과조와 펌프 사이의 밸브, 펌프의 출력측에 형성된 밸브, 원수 공급 라인에 형성된 밸브, 냉각기의 배출측에 형성된 밸브 등 다수의 밸브가 필요에 따라 설치되어 물의 유량을 조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도 3에는 송어의 경우를 예로 들어 실험한 결과가 표로 도시되어 있다. 즉, 본 고안의 장치를 사용하여 수족관의 수질 및 송어의 상태를 확인한 표이다. 탁도, 냄새는 오염 정도에 따라 상, 중, 하로 분류하였고 하루 세 번에 걸쳐 관찰하였다. 비고란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2일째 물을 5분의 1 교환하여 주었고 제 4일째 5분의 1, 제 6일째 3분의 1을 교환하여 주었다. 이렇게 며칠에 한 번 정도 물을 일부 교환하기만 하면 송어의 활동성이 지속적으로 양호하게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제 5일째 접어들면서 물의 탁도가 탁해지고 수족관에서 비린내음이 나는 것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제 6일째 물을 3분의 1을 교환하고 그 원인을 분석하여 제 1 정수장치의 마이크로 필터를 교환하여 주자 다시 물의 탁도가 좋아짐을 관찰할 수 있었다.
도 4에는 본 고안의 장치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1급수 어종인 송어를 서식시킨 경우의 탁도, 냄새 및 활동성 등의 관찰 결과를 그래프로 도시한 것이다. x축에 해당하는 시간은 10시간이 한 눈금의 단위에 해당한다. 이에 의하면 70시간을 넘어서면서 탁도가 급격히 흐려짐을 알 수 있다. 4일째 물을 3분의 1 교체하여 주자 탁도가 다시 좋아지게 됨을 알 수 있다. 계열 3에 해당하는 활동성을 보면 지속적으로 높은 상태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송어의 생태에 아무런 문제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물은 여과기를 거쳐서 재순환되고 며칠에 한 번 정도 일부를 교체하여 주면 된다.
도 3 및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본 고안에서는 네 단계에 걸친 여과 및 정수 시스템을 통하여 물을 정수하면서 재순환시켜 살균 정화된 수질을 장기간 유지가능하게 하여 송어 등의 1급수 어종을 문제 없이 살 수 있게 한다.
특히 은도금된 은도금볼(ball)과 수처리용 세라믹볼로 채워진 최종 정수 장치를 통과한 물만 수족관에 공급함으로써 은 나노 작용과 세라믹의 작용으로 살균처리된 물을 수족관에 공급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3 정수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수족관 장치의 테스트 표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수족관 장치의 테스트 결과 그래프이다.
<주요 도면 부호에 관한 설명>
102 : 제 1 정수 장치 104 : 제 2 정수 장치
106 : 제 3 정수 장치 108 : 냉각기 110 : 원수 공급관
112 : 산소 발생기 114 : 여과조 116 : 펌프

Claims (2)

  1. 수족관 장치에 있어서,
    수조 바닥측에 형성된 각종 부유물 및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여과조(114)와,
    미세필터를 이용하여 물 속의 이물질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마이크로 필터가 장착되어 상기 여과조(114)를 통과한 물 및 외부에서 공급되는 원수를 정화하기 위한 제 1 정수장치(102)와,
    물 속의 염소를 제거하고 항균 항취 작용을 수행하는 활성탄소필터가 장착되어 상기 제 1 정수장치(102)를 통과한 물을 정화하는 제 2 정수장치(104)와,
    상기 제 2 정수장치를 통과한 물을 정화하는 제 3 정수장치(106)와,
    상기 제 3 정수장치에서 공급되는 물을 냉각하여 수조로 공급하기 위한 냉각기(108)를 포함하며,
    상기 제 3 정수장치(106)는 하우징 내에 은도금볼을 채운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수족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정수장치의 하우징 내에는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세라믹볼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장치.
KR20-2005-0001188U 2005-01-14 2005-01-14 수족관 장치 KR2003813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188U KR200381319Y1 (ko) 2005-01-14 2005-01-14 수족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188U KR200381319Y1 (ko) 2005-01-14 2005-01-14 수족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1319Y1 true KR200381319Y1 (ko) 2005-04-14

Family

ID=43682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1188U KR200381319Y1 (ko) 2005-01-14 2005-01-14 수족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131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739B1 (ko) * 2006-03-29 2007-08-01 옥철호 수조 내 나노 물방울 생성 장치
KR101378003B1 (ko) 2012-04-13 2014-03-24 문경수 수족관용 여과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739B1 (ko) * 2006-03-29 2007-08-01 옥철호 수조 내 나노 물방울 생성 장치
KR101378003B1 (ko) 2012-04-13 2014-03-24 문경수 수족관용 여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52897B2 (ja) 半導体装置製造工程用超純水の製造のための殺菌組成物及びこれを利用した超純水製造装置の殺菌方法
KR100439195B1 (ko) 광촉매 반응에 의한 용수 살균 방법 및 장치
US20070295653A1 (en) Particles with silver carried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KR20170034532A (ko) 천연바이오 추출물과 농축미생물 기능성 세라믹을 연계한 저수지 녹조제거 및 수질정화장치
WO2011053034A2 (ko) 생물 활성탄과 입상 활성탄을 이용한 정수 시스템 및 정수 방법
KR200381319Y1 (ko) 수족관 장치
JP2001161212A (ja) 養殖システム
JP4608765B2 (ja) Toc成分の生物分解方法
KR102179050B1 (ko) 플라즈마 혼합 기체 기포발생 보조수조를 구비한 수족관
JP2010036082A (ja) 複合循環抗菌浴槽システム、複合循環抗菌給湯システム、複合循環抗菌クーリングタワーシステム、複合循環抗菌プールシステム、複合循環抗菌上下水道システム及び複合循環抗菌農業漁業水産業用水システム
JP2007196145A (ja) 接触濾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47687A (ja) 水の浄化装置
JP3751147B2 (ja) 浄化剤及びそれを用いた浄水装置
KR20100107592A (ko) 수산물용 물의 처리방법 및 처리시스템
KR20120133763A (ko) 수족관 물 자동 정화장치
KR20100093572A (ko) 액체 활성화 장치
KR101264260B1 (ko) 어류양식용 해수공급방법
JP2001190166A (ja) 養殖・栽培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KR200366936Y1 (ko) 은폼 어항용 정수 장치
JP2599800B2 (ja) 飼育装置
CN204569597U (zh) 一种高效杀菌装置及具有该装置的泳池水处理循环系统
JPH10493A (ja) 汚水処理装置
CN214546597U (zh) 一种海洋硬骨鱼类刺激隐核虫分离系统
KR200279760Y1 (ko) 수족관 용수 여과장치
JP2599799B2 (ja) 飼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