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7592A - 수산물용 물의 처리방법 및 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산물용 물의 처리방법 및 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7592A
KR20100107592A KR1020090025730A KR20090025730A KR20100107592A KR 20100107592 A KR20100107592 A KR 20100107592A KR 1020090025730 A KR1020090025730 A KR 1020090025730A KR 20090025730 A KR20090025730 A KR 20090025730A KR 20100107592 A KR20100107592 A KR 20100107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ozone
aquatic products
activated carb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5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5417B1 (ko
Inventor
박명진
Original Assignee
영어조합법인 현진해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어조합법인 현진해양 filed Critical 영어조합법인 현진해양
Priority to KR1020090025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5417B1/ko
Publication of KR20100107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7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5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5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inorganic 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산물의 양식, 유통, 보관, 가공처리에 사용되는 물의 살균, 정수, 및 수질안정을 위한 수산물용 물의 처리방법 및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고형물을 여과하여 걸러내고, 오존을 접촉한 후, 수산물에 독성을 끼치는 산화물을 제거하고, 규산을 도입하여 상기 수산물용 물을 처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산물용 물의 처리방법은, 오존을 통해 살균함으로써 살균력이 재현가능하면서도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이를 또다시 활성탄과 광합성 세균, 그리고 필요시 제올라이트를 통과시킴으로써 오존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잔류독성을 제거하여 냄새 발생이나 변색을 막았으며, 마지막으로 규산을 사용함으로써 수산물용 물 및 이러한 물로 처리된 수산물의 안전성이 제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처리방법 또는 처리시스템에 의해 처리된 수산물용 물은 위생적이고 그 수질이 안정되어, 수조에 사용시 물갈이 주기를 현저히 연장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작업의 편의성, 경제성 뿐만 아니라 환경친화성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결과를 가져온다.
Figure P1020090025730
수산물, 처리, 살균, 여과, 오존, 규산, 활성탄

Description

수산물용 물의 처리방법 및 처리시스템 {Treatment Process of Water for Aquatic Products and Treatment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수산물의 양식, 유통, 보관, 가공처리에 사용되는 물의 살균, 정수, 및 수질안정을 위한 수산물용 물의 처리방법 및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고형물을 여과하여 걸러내고, 오존을 접촉한 후, 수산물에 독성을 끼치는 산화물을 제거하고, 규산을 도입하여 상기 수산물용 물을 처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수산물의 양식, 유통, 보관, 가공처리에 사용되는 담수나 해수는, 물리적인 방법에 의한 정수만을 하여 사용하거나, 살균을 한다 하더라도 염소나 자외선 등을 이용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모래나 기타 여과재를 통한 물리적인 방법만으로는 상기 담수나 해수에 포함된 세균들을 완전히 제거하기 어려우며, 염소나 자외선은 장기적으로 수산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살균방법은 장치의 유지보수가 어렵고 살균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곤란하다. 나아가, 살균이 된다 하더라도 처리 도중 수산물에 독성을 갖는 물질이 발생할 수 있어 물의 안정성이 없거나, 심한 냄새로 인하여 식품으로서의 가치를 손상시키는 경우가 발생하여 왔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한 수산물용 물의 처리방법이 절실히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산물의 양식, 유통, 보관, 가공처리에 사용되는 안정한 수질의 물을 얻기 위해, 고형물을 여과하여 걸러내고, 오존을 접촉한 후, 수산물에 독성을 끼치는 산화물을 제거하고, 규산을 도입하여 상기 물을 처리하는 수산물용 물의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처리방법의 구현을 위해, 여과조, 오존 접촉조, 산화물 제거조, 및 집수조를 포함하는 수산물용 물의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산물용 물 처리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 수산물용 물에 포함된 고형물을 제거하는 단계;
(B) 상기 고형물이 제거된 수산물용 물을 오존과 반응시키는 단계;
(C) 상기 오존과 반응시킨 수산물용 물이 활성탄층을 통과하는 단계; 및
(D) 상기 활성탄층을 통과한 수산물용 물을 규산과 반응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계 (A)의 고형물을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수산물용 물이 모래층, 활성탄층, 또는 모래 및 활성탄 층을 통과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A)의 모래층, 활성탄층, 또는 모래 및 활성탄 층은 석회석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C)의 활성탄층은 광합성 세균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C)의 활성탄층은 제올라이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산물용 물 처리방법은 상기 단계 (B)에서 수산물용 물과 반응하지 않고 배출되는 미반응 오존이 활성탄층을 통과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수산물용 물 처리시스템은
모래층, 활성탄층, 또는 모래 및 활성탄 층을 포함하는 여과층을 내부에 구비하고, 수산물용 물이 상부로 유입되어 상기 여과층을 통과한 후 하부에서 배출되는 여과조,
상기 여과조에 의해 여과된 수산물용 물이 상부로 유입되어 하부에서 배출되고, 오존 발생기에서 발생한 오존이 하부로 유입되어 상기 수산물용 물과 접촉한 다음 상기 수산물용 물과 반응하지 않은 미반응 오존은 상단에서 배출되는 오존 접촉조,
활성탄층을 포함하는 산화물 제거층을 내부에 구비하고, 상기 오존 접촉조에서 배출된 수산물용 물이 상부로 유입되어 상기 산화물 제거층을 통과한 후 하부에서 배출되는 산화물 제거조,
상기 산화물 제거조에서 배출된 수산물용 물이 상부로 유입되어 하부로 배출되고, 규산이 상부로 유입되어 상기 수산물용 물과 혼합되는 집수조,
산소를 공급받아 오존을 발생시키고, 상기 오존을 상기 오존 접촉조의 하부로 공급하는 오존 발생기, 및
활성탄층을 포함하는 오존 제거층을 내부에 구비하고, 상기 오존 접촉조의 상단에서 배출된 오존이 하부로 유입되어 상기 오존 제거층을 통과하며 포집되는 오존 제거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여과층은 석회석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화물 제거층은 광합성 세균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화물 제거층은 제올라이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존 접촉조는 1 내지 3 개로 구성되고, 상기 오존 발생기에서 발생한 오존은 상기 여과조에서 직접 배출되는 수산물용 물이 유입되는 오존 접촉조에만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산물용 물 처리시스템은 상기 오존 접촉조에서 배출되는 수산물용 물의 일부를 살균수로서 회수하는 밸브를 상기 오존 접촉조 또는 상기 오존 접촉조와 상기 산화물 제거조 사이에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산물용 물 처리시스템은 상기 산화물 제거층의 역류 세척 (back washing)용 유입구가 상기 산화물 제거조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산물용 물 처리시스템은 상기 산화물 제거조의 폭기처리용 공기 유입구가 상기 산화물 제거조의 하부에 구비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화물 제거조, 집수조, 또는 산화물 제거조 및 집수조는 주기적 으로 폭기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오존 접촉조와 상기 산화물 제거조 사이, 상기 산화물 제거조와 상기 집수조 사이, 또는 상기 오존 접촉조와 상기 산화물 제거조 사이 및 상기 산화물 제거조와 상기 집수조 사이의 수산물용 물의 배관은 스테인레스 또는 우레탄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산물용 물의 처리방법은, 자외선이나 염소 대신 오존을 통해 살균함으로써 살균력이 재현가능하면서도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이를 또다시 활성탄과 광합성 세균, 그리고 필요시 제올라이트를 통과시킴으로써 오존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잔류독성을 제거하여 냄새 발생이나 변색을 막았으며, 마지막으로 규산을 사용함으로써 수산물용 물 및 이러한 물로 처리된 수산물의 안전성이 제고되는 효과가 있다.
수산물의 양식, 유통, 보관, 가공처리는 대상어종에 따라 해수나 담수가 사용되며, 유통되는 수산물의 80 % 이상이 해산물이나, 본 발명의 이러한 효과는 해수 뿐만 아니라 담수에서도 발현된다. 대상어종 또한 활어 외에도, 갑각류 , 패류 , 연체동물 등 다양한 어종에 접목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처리방법 또는 처리시스템에 의해 처리된 수산물용 물을 이용하면 수산물의 양식, 유통, 보관, 가공처리에 있어 별도의 소독처리를 하지 않아도 수산물이 위생적으로 관리된다. 그리고, 종래 오존 처리시 독성물질로 작용하던 산화물을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수질이 안정된다. 그 결과, 수산물의 활력 및 생존력이 제고되고 질병에 노출될 가능성이 감소하여 전체적으로 폐사율이 감소하고 이는 경제성이 상승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의 처리방법 또는 처리시스템에 의해 처리된 수산물용 물은 위생적이고 그 수질이 안정되어, 수조에 사용시 물갈이 주기를 현저히 연장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종래에는 주 1 회 내외의 주기로 수조 내 물을 갈아야 했으나, 본 발명을 거친 수산물용 물은 월 1 회까지도 충분히 그 안정성이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사실은 수산물 가공공장 외에도 전국에 산재한 수많은 횟집을 고려할 때 작업의 편의성, 경제성 뿐만 아니라 환경친화성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결과를 가져온다.
나아가, 본 발명의 수산물용 물의 처리 도중에 발생하는, 구체적으로 오존 접촉조에서 배출되는 수산물용 물은 그 자체로 살균력을 보유하고 있다. 따라서, 이로 처리된 수산물은 수산물 조직에 손상이 가지 않으면서 세균 및 바이러스의 살균이 99 % 이상 진행되어, 생식용 수산물로서 상품성이 뛰어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 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수산물용 물'은 수산물이 서식하는 물 뿐만 아니라, 수산물 운반 차량, 수조, 수산물 자체 및 가공장비 등, 수산물의 양식, 유통, 보관, 가공처리에 일체에 사용되는 물을 가리킨다.
본 발명은 수산물의 양식, 유통, 보관, 가공처리에 사용되는 물을 살균, 정수 및 그 수질을 안정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수산물이 서식하는 물 뿐만 아니라, 수산물 운반 차량, 수조, 수산물 자체 및 가공장비 등의 살균, 정수 및 그 수질관리를 통해, 비가열 식품과 가열후 섭취식품 모두에 대해 수산물의 명확한 위생기준을 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산물용 물 처리방법은 먼저 수산물용 물에 포함된 미세부유물질 등 고형물을 제거하는 단계부터 시작된다. 즉, 수산물에 사용하고자 하는 물을 물리적 여과기에 통과시켜 여과 및 정수를 수행하고 그 결과 물의 투명도 상승과 암모니아 등의 분해를 달성한다.
이러한 고형물 제거단계는 상기 수산물용 물이 모래층, 활성탄층, 또는 모래 및 활성탄 층을 통과함으로써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래층, 활성탄층, 또는 모래 및 활성탄 층에 석회석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래층은 입경이 큰 고형물을 상기 수산물용 물로부터 제거하고, 미세 공극이 많은 활성탄층은 입경이 작은 고형물 뿐만 아니라 세균 등 미생물을 물리적으로 제거하여 살균 기능도 일부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석회석은 수산물용 물에 포함된 암모니아 등을 분해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고형물 제거단계를 거친 수산물용 물은 오존과 반응시켜 물 내의 세균 및 바이러스에 대한 살균을 실시한다.
전기방전을 통해 산소에 자극을 가하면 산소분자에 산소원자가 불안정하게 결합된 오존이 생성되는데, 이러한 오존은 그 자체로 우수한 살균성분일 뿐만 아니라, 특히 해수 중에서는 해수에 녹아있는 미량의 브롬, 염소등 성분들과 결합하여 또다른 제 3의 살균성분을 만들어 냄으로써 살균능력이 배가된다.
이와 같은 오존은 수산물용 물에 대해 99 % 이상의 살균효율을 달성할 수 있으나, 반대로 이렇게 오존처리된 물에 살아있는 수산물을 보관하면 생존율이 처리하지 않았을 때보다 50 % 이상 감소하여 활 수산물에는 바로 적용할 수 없다. 이는 오존이나 상기 제 3의 살균물질과 반응하여 생성된 산화물이 쉽게 제거되지 않고 남아 장기간 수산물과 접촉시 독성물질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이 점이 오존 살균의 큰 문제로 지적되어 왔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산화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한 것이 주요한 특징이다.
즉, 상기 오존과 반응시킨 수산물용 물이 활성탄층을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오존과의 반응에 의해 발생한 독성물질이 활성탄의 미세 공극에 흡착, 제거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활성탄층에 더하여 광합성 세균, 제올라이트, 또는 광합성 세균 및 제올라이트를 추가하여 상기 독성물질의 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다시 강한 폭기처리를 통해 오존을 완전히 제거하는데, 이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은 투입된 오존의 양에 비례한다.
오존 및 독성 산화물질이 제거된 수산물용 물은 바로 수산물에 사용되지 않고, 규산으로 추가 처리하게 되는데, 이 점이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을 이룬다. 규산은 이온교환능, 흡착능 및 분자체효과 (molecular sieving effect)를 가지고 있어, 수산물의 2 차 오염을 막고, 수질을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처럼 규산 처리까지 거친 물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 효과를 발현할 수 있는 수산물용 물로 기능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오존 처리단계에서 수산물용 물과 반응하지 않고 배출되는 미반응 오존은 별도의 활성탄층을 통과시켜, 오존으로 발생할 수 있는 오염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수산물용 물의 처리방법을 구현하는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바, 상기 수산물용 물의 처리시스템은 여과조, 오존 접촉조, 산화물 제거조, 및 집수조를 포함하고, 여기에 오존 발생기 및 오존 제거조를 추가로 포함한다.
먼저, 여과조는 모래층, 활성탄층, 또는 모래 및 활성탄 층을 포함하는 여과층을 내부에 구비하고, 수산물용 물이 상기 여과조의 상부로 유입되어 상기 여과층을 통과한 후 여과조의 하부에서 배출된다. 이를 통해 최초 물에 포함되어 있던 고형물이 제거되어 물의 투명도가 상승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여과층에 석회석을 첨가함으로써 암모니아 등의 물 속 오염물질도 분해할 수 있다.
상기 여과조에 의해 여과된 수산물용 물은 이어서 오존 접촉조의 상부로 유입되어 하부에서 배출되고, 별도의 오존 발생기에서 발생한 오존이 상기 오존 접촉조의 하부로 유입되어 상기 수산물용 물과 접촉한 다음 상기 수산물용 물과 반응하지 않은 미반응 오존은 오존 접촉조의 상단에서 배출된다. 이를 통해, 수산물용 물은 오존에 의한 살균이 이루어지며, 종래 자외선이나 염소 살균에 비해 재현가능하면서도 높은 수준의 살균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러한 오존 접촉조는 1 내지 3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오존 접촉조가 2 개 이상인 경우 별도의 오존 발생기에서 발생한 오존은 모든 오존 접촉조에 공급될 수도 있으나, 상기 여과조에서 직접 배출되는 수산물용 물이 유입되는 첫번째 오존 접촉조에만 유입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오존 발생기는 산소를 공급받아 방전관을 통하여 오존을 발생시키고, 이렇게 발생된 오존을 상기 오존 접촉조의 하부로 공급하는 장치를 가리킨다.
오존 접촉조에서 살균된 물은 미생물이 제거된 수산물용 뿐만 아니라, 오존 살균과정에서 발생한 산화물 등 독성물질도 함유하고 있어 이를 산화물 제거조에서 제거하는 것이 본 발명의 주요한 특징이다.
즉, 산화물 제거조는 활성탄층을 포함하는 산화물 제거층을 내부에 구비하고, 상기 오존 접촉조에서 배출된 수산물용 물이 산화물 제거조의 상부로 유입되어 상기 산화물 제거층을 통과한 후 산화물 제거조의 하부에서 배출된다. 본 발명은 특히 상기 산화물 제거층에 광합성 세균, 제올라이트, 또는 광합성 세균 및 제올라이트를 첨가함으로써 독성물질 제거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산화물 제거조에서 배출된 수산물용 물이 집수조의 상부로 유입되어 그 하부로 배출되고, 마찬가지로 규산이 별도의 유입구를 통해 집수조의 상부로 유입되어 상기 수산물용 물과 혼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처럼 수산물용 물을 규산으로 처리함에 따라 규산의 제 성능에 의해 수산물의 2 차 오염을 막고 수질의 안정화를 이룰 수 있게 된다.
한편, 오존 접촉조에서 배출되는 미반응 오존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오존 접촉조의 상단에서 배출된 오존이 별도의 오존 제거조 하부로 유입되고 그 내부의 활성탄층에 상기 오존이 포집됨으로써 오존의 배출로 인한 오염을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존 접촉조에서 배출되는 수산물용 물은 오존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살균수로서 활용이 가능한 바, 그 일부를 회수하는 밸브를 상기 오존 접촉조 또는 상기 오존 접촉조와 상기 산화물 제거조 사이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회수된 오존수에 수산물을 침지하여 개체의 크기별로 시간을 다르게 한다면 생식용 수산물로써 뛰어난 가치를 지니게 된다.
나아가, 상기 산화물 제거층의 장시간 사용으로 인한 공극 폐색을 방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역류 세척 (back washing)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유입구는 평소 수산물용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달리 상기 산화물 제거조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상기 오존 접촉조에서 배출된 수산물용 물은 평소에는 산화물 제거조의 상부로 유입되고, 주기적으로 하부로 유입되어 역류 세척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산화물 제거조는 별도로 그 하부에 공기 유입구를 구비하여 강하게 폭 기함으로써 수산물용 물 속에 함유된 오존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집수조 역시 그 하부에 공기 유입구를 구비하여 강하게 폭기함으로써 수산물용 물 속에 함유된 오존을 완전히 제거할 뿐만 아니라 산소를 많이 함유한 수산물용 물을 생산함으로써 이후 수산물 가공시 수산물의 활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상기 여과조, 오존 접촉조, 산화물 제거조의 하단에서 배출되는 배출수 및 침전물은 배출관을 통하여 폐수처리시설로 보내 처리한다.
또한, 오존이 함유된 물은 PVC나 에폭시 재질의 배관을 통과하는 경우 환경호르몬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오존 접촉조와 상기 산화물 제거조 사이, 상기 산화물 제거조와 상기 집수조 사이, 또는 상기 오존 접촉조와 상기 산화물 제거조 사이 및 상기 산화물 제거조와 상기 집수조 사이의 수산물용 물의 배관은 스테인레스 또는 우레탄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실시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래, 활성탄 및 석회석을 포함하는 여과층을 내부에 구비한 여과조, 제 1 오존 접촉조, 제 2 오존 접촉조, 활성탄, 광합성 세균 및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산화물 제거층을 내부에 구비한 산화물 제거조, 및 집수조를 연결하고, 상기 제 1 오존 접촉조의 하부에 오존 발생기를, 그리고 상부에 오존 제거조를 연결하였다. 또한, 상기 오존 발생기에 산소 발생기를 연결하고, 상기 산화물 제거조 및 집수조에 압축기를 연결하였다. 상기 여과조, 제 1 오존 접촉 조, 제 2 오존 접촉조, 산화물 제거조, 및 집수조의 재질은 스테인레스 304 또는 306으로 하였다. 상기 여과조 상부로 수산물용 물을 도입하여 상기 집수조 하부로 처리된 수산물용 물을 회수하였다.
시험예 1 : 광어 (1)
해수 중 광어를 0.4 kg/l의 밀도로 18 ℃, pH 7.5에서 보관시 시간 경과에 따른 광어의 토사물 및 점액질 분비량은 하기 표 1과 같다. 여기서 비교예는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일반 해수를 사용하였다.
경과시간 (시) 비교예 (ml) 실시예 (ml)
1 1000 960
2 900 400
3 700 320
4 300 150
4 시간 경과시 폐사량은 비교예에서 5 마리, 실시예에서 3 마리로 확인되었다.
시험예 2 : 광어 (2)
시험예 1과 동일한 과정을 거치되, 보관온도를 15 ℃로 변경하였다.
경과시간 (시) 비교예 (ml) 실시예 (ml)
1 730 720
2 590 255
3 475 210
4 280 132
4 시간 경과시 폐사량은 비교예에서 4 마리, 실시예에서 1 마리로 확인되었다.
시험예 3 : 참돔
시험예 1과 동일한 과정을 거치되, 밀도를 0.3 kg/l로 변경하였다.
경과시간 (시) 비교예 (ml) 실시예 (ml)
1 460 380
2 310 200
3 260 115
4 195 80
4 시간 경과시 폐사량 (개체가 뒤집어 헤엄치는 이상유영 포함)은 비교예에서 11 마리, 실시예에서 6 마리로 확인되었다.
시험예 4 : 꽃게
해수 중 꽃게를 보관시 시간 경과에 따른 투명도 측정결과를 하기 표 4와 같이 나타내었다. 상기 투명도에 따라 물갈이 시간을 결정하며, 지름 30 cm의 흰색 원판을 물 속에 넣고 테두리가 뚜렷하게 보이는 최대 심도를 측정하였다. 일반적으로 꽃게의 경우 투명도가 20 cm 미만이면 물갈이를 해야 폐사량이 줄어든다. 여기서 비교예는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일반 해수를 사용하였다.
경과시간 (시) 비교예 (cm) 실시예 (cm)
2 80 80
4 50 70
6 30 65
8 15 60
24 10 20
8 시간 경과시 폐사량은 비교예에서 11 kg, 실시예에서 6 kg로 확인되었다.
시험예 5 : 바지락
해수 1 l 중 바지락 100 g을 담아 온도 6 ℃에서 보관시 폐사율을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경과시간 (시) 비교예 (%) 실시예 (%)
12 0 0
24 5 1
36 25 5
48 50 20
60 60 40
72 70 45
해감은 비교예에서 48 시간까지 관찰되었으나, 실시예는 36 시간 이후에는 관찰되지 않았다.
시험예 6 : 낙지
해수 중 낙지 보관시 시간 경과에 따른 세균 수 변화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낙지를 보관하는 해수를 면봉으로 채취하고 BHI 배지에 도말한 후 30 ℃의 항온기로 24 시간 동안 배양한 결과 나타나는 콜로니 숫자를 측정하였다.
경과시간 (시) 비교예 (콜로니) 실시예 (콜로니)
12 84 2
24 124 5
36 162 6
48 154 6
상기 시험결과에 의하면 광어나 참돔 같은 활어에 있어서 스트레스로 인한 점액 분비량이 본 발명의 처리방법을 거친 수산물용 물의 경우 50 % 이상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갑각류, 특히 꽃게, 대게, 홍게의 경우 수조에 보관시 토해내는 오염물질이 적어져 물갈이 시간이 현저히 늦춰졌으며, 활어와 같이 감량 및 폐사율이 30 % 이상 개선되는 효과를 보였다.
다음으로, 패류(조개류)의 경우 해감 배출 지속시간이 비교예의 48 시간에서 36 시간으로 단축되었으며, 해감 이후 생존 패류를 새로운 수조로 이동하여 보관시 20 % 이상의 생존율 상승을 나타내었다.
연체류의 경우 생존 및 감량에 대해서는 비교예와 현격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지만, 세균수가 90 % 이상의 감소를 보여 식품위생에 있어는 분명한 차이가 보였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원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국한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산물용 물 처리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대한 공정도이다.

Claims (16)

  1. (A) 수산물용 물에 포함된 고형물을 제거하는 단계;
    (B) 상기 고형물이 제거된 수산물용 물을 오존과 반응시키는 단계;
    (C) 상기 오존과 반응시킨 수산물용 물이 활성탄층을 통과하는 단계; 및
    (D) 상기 활성탄층을 통과한 수산물용 물을 규산과 반응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산물용 물의 처리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의 고형물을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수산물용 물이 모래층, 활성탄층, 또는 모래 및 활성탄 층을 통과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물용 물의 처리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의 모래층, 활성탄층, 또는 모래 및 활성탄 층은 석회석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물용 물의 처리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의 활성탄층은 광합성 세균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물용 물의 처리방법.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의 활성탄층은 제올라이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물용 물의 처리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수산물용 물과 반응하지 않고 배출되는 미반응 오존이 활성탄층을 통과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물용 물의 처리방법.
  7. 모래층, 활성탄층, 또는 모래 및 활성탄 층을 포함하는 여과층을 내부에 구비하고, 수산물용 물이 상부로 유입되어 상기 여과층을 통과한 후 하부에서 배출되는 여과조,
    상기 여과조에 의해 여과된 수산물용 물이 상부로 유입되어 하부에서 배출되고, 오존 발생기에서 발생한 오존이 하부로 유입되어 상기 수산물용 물과 접촉한 다음 상기 수산물용 물과 반응하지 않은 미반응 오존은 상단에서 배출되는 오존 접촉조,
    활성탄층을 포함하는 산화물 제거층을 내부에 구비하고, 상기 오존 접촉조에서 배출된 수산물용 물이 상부로 유입되어 상기 산화물 제거층을 통과한 후 하부에서 배출되는 산화물 제거조,
    상기 산화물 제거조에서 배출된 수산물용 물이 상부로 유입되어 하부로 배출되고, 규산이 상부로 유입되어 상기 수산물용 물과 혼합되는 집수조,
    산소를 공급받아 오존을 발생시키고, 상기 오존을 상기 오존 접촉조의 하부로 공급하는 오존 발생기, 및
    활성탄층을 포함하는 오존 제거층을 내부에 구비하고, 상기 오존 접촉조의 상단에서 배출된 오존이 하부로 유입되어 상기 오존 제거층을 통과하며 포집되는 오존 제거조
    를 포함하는 수산물용 물의 처리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여과층은 석회석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물용 물의 처리시스템.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산화물 제거층은 광합성 세균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물용 물의 처리시스템.
  10.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산화물 제거층은 제올라이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물용 물의 처리시스템.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오존 접촉조는 1 내지 3 개로 구성되고, 상기 오존 발생기에서 발생한 오존은 상기 여과조에서 직접 배출되는 수산물용 물이 유입되는 오존 접촉조에만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물용 물의 처리시스템.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오존 접촉조에서 배출되는 수산물용 물의 일부를 살균수로서 회수하는 밸브를 상기 오존 접촉조 또는 상기 오존 접촉조와 상기 산화물 제거조 사이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물용 물의 처리시스템.
  13.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산화물 제거층의 역류 세척 (back washing)용 유입구가 상기 산화물 제거조의 하부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물용 물의 처리시스템.
  14.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산화물 제거조의 폭기처리용 공기 유입구가 상기 산화물 제거조의 하부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물용 물의 처리시스템.
  15.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산화물 제거조, 집수조, 또는 산화물 제거조 및 집수조는 주기적으로 폭기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물용 물의 처리방법.
  16.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오존 접촉조와 상기 산화물 제거조 사이, 상기 산화물 제거조와 상기 집수조 사이, 또는 상기 오존 접촉조와 상기 산화물 제거조 사이 및 상기 산화물 제거조와 상기 집수조 사이의 수산물용 물의 배관은 스테인레스 또는 우레탄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물용 물의 처리시스템.
KR1020090025730A 2009-03-26 2009-03-26 수산물용 물의 처리방법 및 처리시스템 KR101055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730A KR101055417B1 (ko) 2009-03-26 2009-03-26 수산물용 물의 처리방법 및 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730A KR101055417B1 (ko) 2009-03-26 2009-03-26 수산물용 물의 처리방법 및 처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7592A true KR20100107592A (ko) 2010-10-06
KR101055417B1 KR101055417B1 (ko) 2011-08-09

Family

ID=43129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5730A KR101055417B1 (ko) 2009-03-26 2009-03-26 수산물용 물의 처리방법 및 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54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53270A (zh) * 2013-10-31 2014-02-05 中国市政工程中南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中置臭氧强化生物滤池的污水处理方法与装置
CN106542650A (zh) * 2016-12-06 2017-03-29 衡阳茂晨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美国青蛙养殖污水的循环利用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519B1 (ko) * 2005-10-19 2007-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속도에 따른 수신된 단문 메시지의 선택적 음성출력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1244A (ko) * 1996-10-09 1997-01-21 오현제 자석과 오존을 이용한 물의 정화방법 및 정화장치
JP3377733B2 (ja) * 1997-09-30 2003-02-1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有害物質含有汚染水の処理方法及び装置
KR20000072335A (ko) * 2000-08-29 2000-12-05 유현숙 진정토양에 의한 수영장 용수의 정화방법
KR100538347B1 (ko) * 2003-12-12 2005-12-21 (주)엔바이로시스템 오폐수처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53270A (zh) * 2013-10-31 2014-02-05 中国市政工程中南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中置臭氧强化生物滤池的污水处理方法与装置
CN106542650A (zh) * 2016-12-06 2017-03-29 衡阳茂晨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美国青蛙养殖污水的循环利用方法
CN106542650B (zh) * 2016-12-06 2019-06-04 衡阳茂晨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美国青蛙养殖污水的循环利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5417B1 (ko) 2011-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94099C (zh) 对虾育苗用水综合处理方法
CN104521832A (zh) 一种鱼苗、成鱼养殖方法
WO2006093183A1 (ja) 海洋生物の育成用水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KR20100107592A (ko) 수산물용 물의 처리방법 및 처리시스템
JP6742128B2 (ja) オゾン処理と生物ろ過処理とを併存させた閉鎖循環型陸上養殖システムとその制御方法
JP2006142283A (ja) 浄水システム
JP2002159984A (ja) Toc成分の生物分解方法
Blogoslawski Enhancing shellfish depuration
KR20150093293A (ko) 해수를 이용한 살균수 제조방법 및 수산물 살균 시스템
JPH0646719A (ja) 水産用養殖装置
KR101249733B1 (ko) 어류양식용 해수공급장치 및 해수공급방법
JPH0818037B2 (ja) 用廃水の微生物処理装置
CN201509506U (zh) 一种水产养殖净水装置
CN204569597U (zh) 一种高效杀菌装置及具有该装置的泳池水处理循环系统
CN112125444A (zh) 一种桶装饮用水加工方法
KR200431050Y1 (ko) 수족관용 폐수 정화장치
JP2599799B2 (ja) 飼育装置
KR100801493B1 (ko) 수족관용 폐수 정화장치
CN201834824U (zh) 水净化机
JP3586454B2 (ja) 養殖用海水循環装置
JPH0622664A (ja) 水の浄化装置
KR20080093533A (ko) 정수기
JPH02290291A (ja) 再利用水の殺菌方法
JP2013027840A (ja) 海水浄化システム
CN111233223A (zh) 一种优质矿泉水的生产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