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0387Y1 - 리니어모터를 이용한 사출품 취출장치 - Google Patents

리니어모터를 이용한 사출품 취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0387Y1
KR200380387Y1 KR20-2005-0000393U KR20050000393U KR200380387Y1 KR 200380387 Y1 KR200380387 Y1 KR 200380387Y1 KR 20050000393 U KR20050000393 U KR 20050000393U KR 200380387 Y1 KR200380387 Y1 KR 2003803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linear motor
base member
moving member
injection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03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훈
Original Assignee
유도스타자동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도스타자동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도스타자동화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003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03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03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03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2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using means movable from outside the mould between mould parts, e.g. robots
    • B29C45/4208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using means movable from outside the mould between mould parts, e.g. robots and driven by the movable mould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5/768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ejected articles, e.g. weight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2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using means movable from outside the mould between mould parts, e.g. robots
    • B29C2045/4266Robot grippers movable along three orthogonal a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Linear Mo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리니어모터를 이용한 사출품 취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출품을 취출하여 일정공간으로 이송하는 취출장치의 X축 이송수단과 Y축 이송수단을 리니어모터의 구동원리를 이용하여 구성함으로서 이송속도를 향상시키고 소음을 감소시키며 분진이 발생되지 않는 사출품 취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는 X축 이송수단과, Y축 이송수단과, Z축 이송수단으로 구성되는 사출품 취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X축 이송수단과, Y축 이송수단의 구동원리를 리니어모터의 구동원리를 채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X축 이송수단과 Y축이송수단을 리니어모터의 작동 원리를 채용하여 구성함으로서, 기존의 서보모터와 같은 회전형 모터를 사용하는 방식에 비해 X축 및 Y축으로 직선운동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부가적인 장치가 필요 없어 제작이 간단하고 기계가공 및 조립오차가 적어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리니어모터를 이용한 사출품 취출장치{Injection product extract appratus using linear motor}
본 고안은 리니어모터를 이용한 사출품 취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출품을 취출하여 일정공간으로 이송하는 취출장치의 X축 이송수단과 Y축 이송수단을 리니어모터의 구동원리를 이용하여 구성함으로서 이송속도를 향상시키고 소음을 감소시키며 분진이 발생되지 않는 사출품 취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품 취출 장치는 사출품을 취출하는 기계장치로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트롤박스(10)의 제어에 따라 y축, x축, z축으로 이동하는 제1아암(20), 제2아암(30) 및 제3아암(40)으로 이루어져 컨베이어(50) 상의 사출품(A)을 취출하여 이송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3아암(10,20,30)을 직선 왕복운동시키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서보모터와 같은 회전형 모터(미도시됨)를 이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형 모터는 제어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이를 직선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레크(rack)와 피니언(pinion)을 이용하는 등의 별도의 기어수단 등을 이용하므로 그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소음이 심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그와같은 작동으로 인한 분진 등의 발생가능성이 있어, 정밀 가공공정을 위한 클린룸(cleen room) 등에서는 그와 같은 취출장치를 사용하기에는 적절하지 않은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리니어모터를 이용하여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고속제어가 가능한 리니어모터를 적용한 사출품 취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정밀가공공정을 수행하는 클린룸에서 사용이 적합한 리니어모터를 이용한 사출품 취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리니어모터를 이용한 사출품 취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컨트롤박스(102)가 구비되는 베이스프레임(100)의 상부에 고정되는 제1베이스부재(120)와 상기 제1베이스부재(120)의 상부를 직선왕복하는 제1이동부재(130)로 이루어진 X축 이송수단(110)과, 상기 제1이동부재(130)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2베이스부재(150)와 상기 베이스부재(150)의 상부를 직선왕복하는 제2이동부재(160)로 이루어진 Y축 이송수단(140)과, 상기 제2이동부재(160)의 일측에는 제3베이스부재(180)와 상하로 승강되어 사출품을 픽업하는 픽업수단(200)이 하단에 구비되는 제3이동부재(190)로 이루어진 Z축 이송수단(170)으로 구성되는 사출품 취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이스부재(12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되, 그 상부에는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영구자석(122)이 배치되고, 상기 영구자석(122)의 양측에는 선형의 가이드레일(124,125)이 구비되고; 상기 제1이동부재(130)는 상기 제1베이스부재(120)의 상부 위치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자기장을 발생하여 X축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제1가동자(134)가 상기 영구자석(122)을 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가동자(134)의 양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25,125)에 의해 안내되는 가이드부재(136,137)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베이스부재(120)의 일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제1위치표시수단(126)이 구비되고, 상기 제1이동부재(130)의 일측에는 상기 제1위치표시수단(126)의 표식을 감지하는 제1위치감지수단(138)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베이스부재(120)의 양단에는 상기 제1이동부재(130)가 일정구간 이내에서 직선 왕복운동하게 하기 위한 스토퍼(128,128')가 각각 구비되되, 상기 스토퍼(128,128')에는 손잡이(128a,128a')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베이스부재(150)는 Y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한쌍의 바디(151,151')가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나란하게 구비되고 그 일단부는 상기 제1이동부재(130)의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연결부(154)가 구비되되, 상기 한쌍의 바디(151,151') 상단에는 선형의 가이드레일(155,156)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바디(151)의 내측부에는 영구자석(152)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고; 상기 제2이동부재(160)의 양측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55,156)에 걸쳐지는 가이드부재(166,167)가 구비되고, 그 하부 일측에는 전원이 공급되면 자기장을 발생하여 Y축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제2가동자(163)가 상기 영구자석(152)을 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바디(151')의 내측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제2위치표시수단(157)이 구비되고, 상기 제2이동부재(160)의 일측 하부에는 상기 제2위치표시수단(157)의 표식을 감지하는 제2위치감지수단(164)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리니어모터를 이용한 사출품 취출장치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리니어모터를 이용한 사출품 취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리니어모터를 이용한 사출품 취출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리니어모터를 이용한 사출품 취출장치의 좌측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리니어모터를 이용한 사출품 취출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X축 이송수단의 구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Y축 이송수단의 구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리니어모터를 이용한 사출품 취출장치의 구성을 도 2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리니어모터를 이용한 사출품 취출장치는 금형에 의해 사출성형되는 사출품(A)을 다른 위치로 이송시키는 장치로서, 상부가 대략 직사각형 모양을 하며 하부를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100)의 상부에 제1베이스부재(120)와 제1이동부재(130)로 이루어진 X축 이송수단(110)이 설치되고, 상기 제1이동부재(130)의 상부 일측에 제2베이스부재(150)와 제2이동부재(160)로 이루어진 Y축 이송수단(140)이 설치되고, 상기 제2이동부재(160)의 상부 일측에 제3베이스부재(180)와 사출품을 픽업(pickup)하는 픽업수단(200)이 구비되는 제3이동부재(190)로 이루어진 Z축 이송수단(170)이 설치된다.
이때, 수평이송수단인 상기 X축 이송수단(110)과 Y축 이송수단(140)은 리니어모터(linear motor)의 구동원리를 이용하여 구성되는데 이는 회전형 모터의 기본 구조를 직선상으로 전개하여 전기에너지를 직접 직선 운동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해 제1 및 제2가동자(132,162)와 다수의 영구자석(122,152)을 일렬로 배치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하, 상기 X축 이송수단(110)과 Y축 이송수단(140) 및 Z축 이송수단(170)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X축 이송수단(110)은 베이스프레임(100)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제1베이스부재(120)가 고정 설치되는데 그 상부에는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영구자석(122)이 배치되고, 상기 영구자석(122)의 양측에는 선형의 가이드레일(124,125)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베이스부재(120)의 측면에는 다수의 눈금이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금속띠 형상의 제1위치표시수단(126)이 길이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베이스부재(120)의 상부 양단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손잡이(128a,128a')가 구비되는 스토퍼(128,128')가 일체로 결합되어 제1이동부재(130)가 궤도를 이탈하여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손잡이(128a,128a')는 본 고안에 따른 사출품 취출장치를 다른 장소로 이동시에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1베이스부재(120)의 상부에는 상기 제1베이스부재(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운동하는 제1이동부재(130)가 구비되는데, 제1이동부재(130)의 하부에는 컨트롤박스(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원이 공급되면 자기장을 발생하는 자기코일(132)이 배치되는 제1가동자(134)가 구비되고, 그 상부에는 Y축 이송수단(140)의 제2베이스부재(150)의 일측부가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1이동부재(130)의 하단에 구비되는 제1가동자(134) 양측부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24,125)을 따라 상기 제1이동부재(130)가 원활히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홈(136a,137a)이 형성되는 가이드부재(136,137)가 각각 구비되는데 상기 가이드부재(136,137)가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24,125)의 상부에 면접촉되어 가이드레일(124,125)에 의해 안내된다.
한편, 상기 제1이동부재(130)의 측면에는 상기 제1위치표시수단(126)의 표식을 감지하여 상기 제1이동부재(130)가 이동시에 정밀한 위치제어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센서인 제1위치감지수단(138)이 상기 제1위치표시수단(126)을 향하여 설치되는데, 상기 제1위치감지수단(138)은 발광부와 수광부로 이루어진 포토센서(photo sensor)로 구성된다.
이와같은 제1이동부재(130)의 상부에는 Y축 이송수단(140)이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1이동부재(130)의 X축 왕복운동시에 일체로 이동된다.
상기 Y축 이송수단(140)은 일측 하부가 상기 X축 이송수단(110)의 제1이동부재(120)의 상부에 상기 X축 이송수단(110)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고 Y축 이동방향의 수평방향으로 고정되는 제2베이스부재(150)가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2베이스부재(150)는 Y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한쌍의 바디(151,151')가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나란하게 구비되고 그 단부에는 연결부(154)가 구비되어 중앙부가 파지된 형상으로, 상기 한쌍의 바디(151,151') 상단에는 선형의 가이드레일(155,156)이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일측 바디(151)의 내측부에는 영구자석(152)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바디(151)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타측 바디(151')의 내측부에는 다수의 눈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금속띠 형상의 제2위치표시수단(157)이 길이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바디(151)의 단부에는 스토퍼(153)가 일체로 결합되어 제2이동부재(160)의 궤도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같은 제2베이스부재(150)의 가이드레일(155,156)에는 제2이동부재(160)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이동부재(160)는 하부 일측에 상기 영구자석(152)에 대향되어 자기장을 발생하는 자기코일(162)이 배치되는 제2가동자(163)가 구비되고, 타측 하부에는 상기 제2위치표시수단(157)의 표식을 감지하여 이동시에 정밀제어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제2위치감지수단(164)이 구비되고, 상기 제2이동부재(160)가 원활히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홈(166a,167a)이 형성되는 가이드부재(166,167)가 양측 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55,156)의 상부에 면접촉되어 가이드레일(155,156)에 의해 안내된다.
한편, 상기 제2이동부재(160)의 상부에는 Z축 이송수단(170)을 구성하는 제3베이스부재(180)가 고정되어 상기 제2이동부재(160)의 Y축 이동시에 일체로 움직이게 된다.
이와같은 제3베이스부재(180)는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는 특성상 리니어모터의 구성원리를 채용함이 적절하지 못하여 통상적인 회전형 모터(182)를 이용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제2이동부재(160)의 중앙부에 일체로 구비되고 일측에는 서보모터와 같은 회전형 모터(182)를 수평방향으로 설치하고, 그 모터(182)의 구동축(182a)에는 풀리(pulley)(184)가 일체로 결합시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3베이스부재(180)의 중앙부에는 관통홀(186)이 형성되고 그 내주면에 가이드홈(187)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86)에는 수직방향으로 상하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이 가능한 제3이동부재(190)가 구비되는데, 이는 상기 회전형 모터(182)의 구동시에 상기 풀리(184)과 치합되어 직선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한 벨트(belt)(192)가 길이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상기 가이드홈(187)에 의해 안내되는 가이드레일(194)이 구비되어 직선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물론 상기 벨트(192)와 풀리(184) 사이에 다수의 연결용 기어(미도시됨)를 더 구비하여 구성함도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3이동부재(190)의 하단에는 금형(미도시됨)에 의해 사출성형되는 사출품(A)을 픽업(pickup)하는 픽업수단(200)이 구비되어 상기 제3이동부재(190)의 직선운동시에 함께 승강된다.
한편, 상기 제2베이스부재(150)의 가이드레일(155)에는 상기 제2이동부재(160)와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어 Y축상에서 이동되는 보조이동부재(210)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이동부재(210)에는 Z축상으로 이동되는 보조 이송수단인 스푸루 픽업수단(220)이 구비되어 금형의 스푸루(미도시됨)를 제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푸루 픽업수단(220)은 모터(230)를 이용하여 벨트(240)와 풀리(242)를 동일하게 사용하여 승강되는 것으로 그 작동원리는 상기 Z축 이송수단(170)의 구동원리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X축 이송수단(110)과, Y축 이송수단(140) 및 Z축 이송수단(170)은 전원공급부(미도시됨)로 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Y축 이송수단(140)의 일측에 구비되는 컨트롤박스(102)의 제어에 의해 제1이동부재(130)와 제2이동부재(160)의 제1가동자(132)와 제2가동자(162) 및 모터(182,230)를 구동시켜, X축/Y축/Z축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리니어모터를 이용한 사출품 취출장치의 작동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금형에서 분리된 사출품(A)을 픽업하기 위해서는 전원공급부로 부터 전원을 투입받고 작동하는 컨트롤박스(102)의 제어에 의해 제어신호를 X축 이송수단(110)의 제1이동부재(130)의 제1가동자(134)에 인가하게 되면 자기장을 발생하여 제1베이스부재(120)의 영구자석(122)과 함께 인력(引力)이 작용하거나 또는 척력(斥力)이 작용하여 제1이동부재(130)가 X축상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정밀한 위치제어를 하기 위해 제1베이스부재(120)의 측면에 구비되는 제1위치표시수단(126)의 표식을 제1이동부재(130)에 구비되는 제1위치감지수단(138)으로 측정하여 그 측정된 감지신호를 상기 컨트롤박스(102)로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박스(102)는 그 위치를 판별하고 현재의 위치를 판별하여 상기 제1가동자(134)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구동시켜 제1이동부재(130)를 정밀하게 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이동부재(130)가 사출품(A)을 픽업하기 위한 X축방향의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컨트롤박스(102)의 제어신호가 Y축 이송수단(140)의 제2이동부재(160)의 제2가동자(163)에 인가되고 자기장을 발생하여 제2베이스부재(150)의 바디(151)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영구자석(152)과 함께 인력 및 척력이 작용하여 제2이동부재(160)가 Y축상으로 이동하게 되며, 정밀한 위치제어를 하기 위해 제2베이스부재(150)를 구성하는 타측 바디(151')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제2위치표시수단(157)의 표식을 제2이동부재(160)의 하부일측에 구비되는 제2위치감지수단(164)으로 측정하여 그 측정된 감지신호를 상기 컨트롤박스(102)로 출력하게 되고, 상기 컨트롤박스(102)는 그 위치를 판별하여 현재 이동중인 위치를 판별하여 상기 제2가동자(162)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제2이동부재(160)를 정밀하게 이동시켜 위치제어를 하게 된다.
이와같은 X축 및 Y축 이동을 통해 사출품(A)을 픽업하기 위한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컨트롤박스(102)의 제어신호가 Z축 이송수단(170)의 제3베이스부재(180)에 설치되는 회전형 모터(182)에 인가되어 풀리(184)를 회전시키고 이는 제3이동부재(190)의 측면에 형성되는 벨트(192)와 치합되어 제3이동부재(190)를 상하로 승강시키며, 상기 제3이동부재(190)의 하단에 위치하는 픽업수단(200)으로 사출품(A)을 픽업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이동부재(160)와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어 하단에는 스푸루 픽업수단(220)이 구비되는 보조이동수단(210) 역시 컨트롤박스(102)의 제어신호에 의해 모터(230)를 구동하여 작동하고 스푸루를 제거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X축 이송수단과 Y축이송수단을 리니어모터의 작동 원리를 채용하여 구성함으로서, 기존의 서보모터와 같은 회전형 모터를 사용하는 방식에 비해 X축 및 Y축으로 직선운동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부가적인 장치가 필요 없어 제작이 간단하고 기계가공 및 조립오차가 적어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회전형 모터를 사용하는 방식에 비해 소음과 진동 및 분진의 발생이 억제되어 정밀가공 공정을 수행하는 클린룸(cleen room) 등에서의 사용이 유용하고, 사출품의 이송속도가 빨라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사출품 취출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리니어모터를 이용한 사출품 취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리니어모터를 이용한 사출품 취출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리니어모터를 이용한 사출품 취출장치의 좌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리니어모터를 이용한 사출품 취출장치의 평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X축 이송수단의 구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Y축 이송수단의 구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베이스프레임 102: 컨트롤박스
110: X축 이송수단 120: 제1베이스부재
122: 영구자석 124,125: 가이드레일
126: 제1위치표시수단 128,128': 스토퍼
130: 제1이동부재 134: 제1가동자
136,137: 가이드부재 138: 제1위치감지수단
140: Y축 이송수단 150: 제2베이스부재
152: 영구자석 157: 제2위치표시수단
160: 제2이동부재 163: 제2가동자
164: 제2위치감지수단 170: Z축 이송수단
180: 제3베이스부재 190: 제3이동부재

Claims (5)

  1. 컨트롤박스(102)가 구비되는 베이스프레임(100)의 상부에 고정되는 제1베이스부재(120)와 상기 제1베이스부재(120)의 상부를 직선왕복하는 제1이동부재(130)로 이루어진 X축 이송수단(110)과, 상기 제1이동부재(130)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2베이스부재(150)와 상기 베이스부재(150)의 상부를 직선왕복하는 제2이동부재(160)로 이루어진 Y축 이송수단(140)과, 상기 제2이동부재(160)의 일측에는 제3베이스부재(180)와 상하로 승강되어 사출품을 픽업하는 픽업수단(200)이 하단에 구비되는 제3이동부재(190)로 이루어진 Z축 이송수단(170)으로 구성되는 사출품 취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이스부재(12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되, 그 상부에는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영구자석(122)이 배치되고, 상기 영구자석(122)의 양측에는 선형의 가이드레일(124,125)이 구비되고;
    상기 제1이동부재(130)는 상기 제1베이스부재(120)의 상부 위치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자기장을 발생하여 X축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제1가동자(134)가 상기 영구자석(122)을 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가동자(134)의 양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25,125)에 의해 안내되는 가이드부재(136,137)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모터를 이용한 사출품 취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이스부재(120)의 일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제1위치표시수단(126)이 구비되고, 상기 제1이동부재(130)의 일측에는 상기 제1위치표시수단(126)의 표식을 감지하는 제1위치감지수단(138)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모터를 이용한 사출품 취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이스부재(120)의 양단에는 상기 제1이동부재(130)가 일정구간 이내에서 직선 왕복운동하게 하기 위한 스토퍼(128,128')가 각각 구비되되, 상기 스토퍼(128,128')에는 손잡이(128a,128a')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모터를 이용한 사출품 취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베이스부재(150)는 Y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한쌍의 바디(151,151')가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나란하게 구비되고 그 일단부는 상기 제1이동부재(130)의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연결부(154)가 구비되되, 상기 한쌍의 바디(151,151') 상단에는 선형의 가이드레일(155,156)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바디(151)의 내측부에는 영구자석(152)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고;
    상기 제2이동부재(160)의 양측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55,156)에 걸쳐지는 가이드부재(166,167)가 구비되고, 그 하부 일측에는 전원이 공급되면 자기장을 발생하여 Y축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제2가동자(163)가 상기 영구자석(152)을 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모터를 이용한 사출품 취출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51')의 내측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제2위치표시수단(157)이 구비되고, 상기 제2이동부재(160)의 일측 하부에는 상기 제2위치표시수단(157)의 표식을 감지하는 제2위치감지수단(164)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모터를 이용한 사출품 취출장치.
KR20-2005-0000393U 2005-01-06 2005-01-06 리니어모터를 이용한 사출품 취출장치 KR2003803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393U KR200380387Y1 (ko) 2005-01-06 2005-01-06 리니어모터를 이용한 사출품 취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393U KR200380387Y1 (ko) 2005-01-06 2005-01-06 리니어모터를 이용한 사출품 취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0387Y1 true KR200380387Y1 (ko) 2005-03-29

Family

ID=43682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0393U KR200380387Y1 (ko) 2005-01-06 2005-01-06 리니어모터를 이용한 사출품 취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038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523B1 (ko) * 2016-01-14 2017-02-22 주식회사 에이치에스씨 휴대용 단말기의 커넥터 인출용 클립 제조방법
KR101873358B1 (ko) * 2017-05-11 2018-07-02 유도썬스(주) 고속형 사출품 취출 로봇의 y축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고속형 사출품 취출 로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523B1 (ko) * 2016-01-14 2017-02-22 주식회사 에이치에스씨 휴대용 단말기의 커넥터 인출용 클립 제조방법
KR101873358B1 (ko) * 2017-05-11 2018-07-02 유도썬스(주) 고속형 사출품 취출 로봇의 y축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고속형 사출품 취출 로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465723U (zh) 一种注塑模内自动贴标机
CN102854594A (zh) 贴装机
CN107309868B (zh) 一种刀叉勺的侧取装置
KR200380387Y1 (ko) 리니어모터를 이용한 사출품 취출장치
CN113753529A (zh) 一种光学镜片模具自动拾取定位装置
US20150190957A1 (en) Injection molding tool
CN208811490U (zh) 一种自动锁螺丝设备
CN210998680U (zh) 一种大跨度拾取装置
CN110002175B (zh) 一种工业防尘导轨装置
CN216462924U (zh) 一种具备缓冲的螺母组装装置及花鼓自动组装设备
CN110834014A (zh) 夹具和激光加工设备
CN216330193U (zh) 勺盖组装设备
CN107160629B (zh) 注塑模内标自动贴标装置
CN213231369U (zh) 一种高精度小行程z轴升降机构
CN108582063A (zh) 一种内饰件下料机械手
CN114227647A (zh) 一种直立式多关节压铸取件机器人
CN214878377U (zh) 一种物料搬运机构
CN103465233A (zh) 一种以电磁力驱动的超高精度定位工作台
CN211920057U (zh) 一种中转取料设备
CN213356133U (zh) 自动上料装置
CN112630459B (zh) 一种移动扩增底座的三维上样装置
CN110829784A (zh) 一种kk直线电机模组
CN219436842U (zh) 短行程高速移动装置
CN216462925U (zh) 一种螺母自动组装装置及花鼓自动组装设备
CN217263241U (zh) 磁性件组合摆放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