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0382Y1 - 사출압축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사출압축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0382Y1
KR200380382Y1 KR20-2005-0000139U KR20050000139U KR200380382Y1 KR 200380382 Y1 KR200380382 Y1 KR 200380382Y1 KR 20050000139 U KR20050000139 U KR 20050000139U KR 200380382 Y1 KR200380382 Y1 KR 2003803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injection
compression molding
unit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01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템
Priority to KR20-2005-00001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03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03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03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5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using mould parts movable during or after injection, e.g. injection-compression moulding
    • B29C45/561Injection-compress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5/77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of velocity or pressure of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5/80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of relative position of moul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5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using mould parts movable during or after injection, e.g. injection-compression moulding
    • B29C45/561Injection-compression moulding
    • B29C2045/5665Compression by transversely movable mould parts

Abstract

본 고안은 사출압축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사출압축성형장치는 금형을 개폐하는 압축성형부와 용융수지를 금형사이에 공급하는 사출부를 포함하는 사출압축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출부의 사출압력에 의하여 이동된 금형의 위치를 검출하는 금형위치검출부; 상기 금형위치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위치에서 금형을 압축하는 압축성형부; 상기 금형위치검출부로부터 상기 사출부의 사출압력에 의한 금형의 이동이 검출되면 상기 압축성형부에 미리 설정된 압력까지 증압을 지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사출압축성형장치에 의하면 종래 사출성형방법에서의 문제점인 성형물의 성능저하를 개선시키면서도 종래 압축성형장치의 문제점인 높은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사출압축성형장치{.}
본 고안은 사출압축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사출부의 사출압력에 의하여 미세하게 이동된 금형의 위치를 검출하여 상기 위치에서 압축성형함으로써 저비용으로도 성형물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사출압축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사출성형에서는 폐쇄된 금형공간(캐비티)에 게이트로부터 용융수지를 공급하기 때문에 수지의 배향이 발생됨과 동시에 게이트부근은 압력이 높아지므로 잔류 스트레인이 남는다. 이 때문에 성형품에 휘임과 비틀림이 발생되기 쉽고, 게이트 부근의 물성이 저하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방된 금형에 적당량의 용융수지를 사출공급하고, 그 다음에 형틀을 죄어서 압축성형하는 사출압축성형방법(공개번호 제 특1990-701500호)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은 개방된 금형의 정확한 위치를 측정하여야 함에 따라 위치센서 또는 액츄에이터 등의 정밀제어가 필요하여 사출성형장치의 제조비용이 과다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 사출성형방법에서의 문제점인 성형물의 성능저하를 개선시키면서도 종래 압축성형장치의 문제점인 높은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사출압축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사출압축성형장치는 금형을 개폐하는 압축성형부와 용융수지를 금형사이에 공급하는 사출부를 포함하는 사출압축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출부의 사출압력에 의하여 이동된 금형의 위치를 검출하는 금형위치검출부; 상기 금형위치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위치에서 금형을 압축하는 압축성형부; 상기 금형위치검출부로부터 상기 사출부의 사출압력에 의한 금형의 이동이 검출되면 상기 압축성형부에 미리 설정된 압력까지 증압을 지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출압축성형장치의 구성도이며, 상기 도1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사출압축성형장치는 크게 압축성형부(10), 사출부(20), 금형(30), 금형위치검출부(40), 제어부(50)로 구성되어 있다.
압축성형부에는 형체실린더(13)와, 형판(15)이 포함되어 구성되어 있다. 압축성형부에서의 압축은 금형내의 캐비티압력 또는 형체실린더의 압력을 압력센서로 측정하여 미리 설정된 압력까지 감압 또는 증압하여 압축을 실행하게 된다. 금형내의 캐비티 및 형체실린더의 압력을 센싱하여 이를 제어하는 유압회로에 대한 것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금형(30)은 상기 이동금형(31)과 고정금형(33)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정금형에는 용융수지가 주입되는 주입구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용융수지가 상기 이동금형과 고정금형 사이의 캐비티 안에 사출충전된다.
사출부(20)는 스크류와 스크류회전모터와 사출실린더로 구성되며, 사출실린더의 슬라이드작용으로 수지를 사출하게 된다.
금형위치검출부(40)는 금형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센서로 구성되어 있다. 압축성형부에서 실린더내의 압력을 감압한 상태에서 사출부로부터 용융수지가 사출되면 금형이 미세하게 열리게 되며, 미세하게 열린 금형의 위치를 감지한다.
제어부(50)는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형체실린더 내의 압력을 제어한다. 제어부는 시작단계에서 형체실린더의 압력을 증압하여 금형을 닫은 후에는, 형체실린더의 압력을 초저압으로 감압제어한다. 사출이 시작됨과 동시에 사출압에 의하여 금형이 미세하게 이동되면 상기 금형위치검출부로부터 금형의 이동에 대한 정보를 받아 전술한 압축성형부에 증압을 지시하여 금형을 압축시킨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작용을 도 2 내지 도 3에 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시작단계로서 금형이 닫혀 있는 상태이다. 이 때 제어부에 의하여 캐비티내의 압력은 감압된다. 이 경우 캐비티 내의 압력은 사출압력이 500 내지 1000 kgf/cm2 인 경우에 있어서 50 내지 300kgf/cm2 정도가 바람직하다.
도 2(b)는 사출이 시작되면서 금형이 열린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전 단계에서 형체실린더내의 압력은 감압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사출압에 의하여도 이동금형(31)이 최초의 위치(41)에서 미세하게 사출압에 의해 이동된 위치(42)로 이동되는 것이다. 이동금형의 이동은 본 고안과 기존의 선행고안과의 커다란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는데, 사출하기전 미리 특정의 위치에 금형을 고정시키는 것이 아니고 사출과 동시에 사출압에 의하여 금형이 이동됨에 특징이 있다.
도 2(c)는 압축성형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사출압에 의하여 이동금형이 이동되면 사출압에 의해 이동된 위치(42) 근방의 금형위치검출부에 의하여 금형의 이동이 제어부로 전달되고, 제어부에서는 압축성형부에 미리 설정된 압력까지 증압을 지시하여 금형을 전진 압축하게 한다.
도 2(d)는 마지막 단계로서 금형내의 수지가 냉각되어 취출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것이다. 마지막 단계를 마치면 다시 처음 단계로 부터 반복하게 된다.
최초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종래 사출성형방법에서의 문제점인 성형물의 성능저하를 개선시키면서도 종래 압축성형장치의 문제점인 높은 제조비용을 줄일 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출압축성형장치의 구성도,
도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출압축성형장치를 이용한 사출압축성형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출압축성형장치를 이용한 사출압축성형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압축성형부 20: 사출부
30: 금형 40: 금형위치검출부
50: 제어부 100: 형폐단계
200: 형체부감압단계 300: 형개단계
400: 증압단계 500: 압축성형단계
600: 냉각 및 취출단계

Claims (1)

  1. 금형을 개폐하는 압축성형부와 용융수지를 금형사이에 공급하는 사출부를 포함하는 사출압축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출부의 사출압력에 의하여 이동된 금형의 위치를 검출하는 금형위치검출부;
    상기 금형위치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위치에서 금형을 압축하는 압축성형부;
    상기 금형위치검출부로부터 상기 사출부의 사출압력에 의한 금형의 이동이 검출되면 상기 압축성형부에 미리 설정된 압력까지 증압을 지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압축성형장치.
KR20-2005-0000139U 2005-01-04 2005-01-04 사출압축성형장치 KR2003803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139U KR200380382Y1 (ko) 2005-01-04 2005-01-04 사출압축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139U KR200380382Y1 (ko) 2005-01-04 2005-01-04 사출압축성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0405A Division KR100695426B1 (ko) 2005-01-04 2005-01-04 사출압축성형장치 및 사출압축성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0382Y1 true KR200380382Y1 (ko) 2005-03-29

Family

ID=43682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0139U KR200380382Y1 (ko) 2005-01-04 2005-01-04 사출압축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038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68261B2 (ja) 成形条件設定方法及び射出成形機の制御方法
TW201217144A (en) Molding method of injection molding machine
WO1990001404A1 (en) Nozzle touch device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JPH0155085B2 (ko)
KR200380382Y1 (ko) 사출압축성형장치
KR100695426B1 (ko) 사출압축성형장치 및 사출압축성형방법
JP3918386B2 (ja) 射出成形機の型締力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21011049A (ja) 射出成形機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112976519B (zh) 一种两板机锁模力的自调整方法
JP2009208412A (ja) 射出成形機の制御方法
JP5278111B2 (ja) 射出成形機
JPH0622832B2 (ja) 射出圧縮成形方法及び装置
JPH11170321A (ja) トグル式射出成形機の型締力調整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8238655A (ja) 射出圧縮成形方法
JP2001239563A (ja) トグル式射出成形機の型締力調整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8281747A (ja) 射出成形機の型締制御方法および型締制御装置
JP3401854B2 (ja) プラスチックのインモ−ルドコ−ティング法
JPH04312825A (ja) 射出成形機の制御方法
JPS6394807A (ja) 射出圧縮成形方法
JPH06198694A (ja) 型締力制御装置
JP3265923B2 (ja) 射出圧縮成形方法および装置
JP3261219B2 (ja) 射出成形機の保圧切換方法および装置
JPS59146825A (ja) トグル式射出成形機の型締力温度補償装置
JP4278592B2 (ja) 射出成形機の金型保護方法
JP2009255463A (ja) 射出成形機および射出成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24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