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8942Y1 - 경사주행이 가능한 ems 캐리어 - Google Patents

경사주행이 가능한 ems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8942Y1
KR200378942Y1 KR20-2004-0036665U KR20040036665U KR200378942Y1 KR 200378942 Y1 KR200378942 Y1 KR 200378942Y1 KR 20040036665 U KR20040036665 U KR 20040036665U KR 200378942 Y1 KR200378942 Y1 KR 2003789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lley
wheel
monorail
auxiliary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66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수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366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89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89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89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04Monorai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3/00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to special systems or purposes
    • B61C13/04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to special systems or purposes for elevated railways with rigid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5/00Couplings for special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G5/02Couplings for special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upling articulated trains, locomotives and tenders or the bogies of a vehicle; Coupling by means of a single coupling bar; Couplings preventing or limiting relative lateral movement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7/00Brakes with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track
    • B61H7/02Scotch blocks, skids, or like track-engaging shoes
    • B61H7/04Scotch blocks, skids, or like track-engaging shoes attached to railway vehicles
    • B61H7/06Sk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경사주행이 가능한 EMS 캐리어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은 운반물을 이송하는 캐리어가 수평레일 구간 뿐만 아니라 경사레일 구간의 이동 주행이 모두 가능하게 되므로 최적의 라인 구성이 가능하고, 유지보수 비용 절감과 초기 설비 투자를 최소화 할 수 있는 EMS 캐리어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주행모터가 구비되어 자체동력에 의해 모노레일을 따라 주행하도록 설치되는 프론트 트롤리와, 상기 프론트 트롤리와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모노레일에 설치되어 프론트 트롤리의 구동력에 의해 주행하는 리어 트롤리와, 상기 프론트 트롤리와 리어 트롤리를 연결하는 로더바로 구성된 경사주행이 가능한 EMS 캐리어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경사주행이 가능한 EMS 캐리어{Electrical mono-rail system carrier capable of moving uphill slope}
본 고안은 경사주행이 가능한 EMS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생산라인에 설치되어 자동차 부품을 다음 공정으로 운반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터에 직결되어 있는 전동휠과 보조휠의 구름마찰을 이용해 수평레일구간 뿐만 아니라 경사레일 구간의 주행도 가능하도록 구성된 EMS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EMS(Elecrical Mono-rail System) 캐리어는 자동화 생산라인에서 부품을 다음공정으로 고속 운반하거나, 공정과 공정간을 연결시켜주는 운반 설비로서, 주행모터의 구동에 의해 레일을 따라 주행하며 부품을 운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종래의 EMS 캐리어는 수평 구간의 제품 이송에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다른 컨베이어라인의 간섭이나 기타 간섭물에 의하여 제품을 경사로 이송시켜야 할 경우 별도의 승·하강 장치를 사용하여 제품을 이송시켜야만 함으로써 다양한 구조를 갖는 생산라인에 유연하게 대응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과 함께 많은 설비 투자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EMS 캐리어는 부스바(Bus-bar)와 집전자(Collecter)의 접촉에 의한 방식에 의해 주행모터에 전원이 공급되는 구조로서, 마찰에 의한 마모, 소음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안출되는 것으로, 그 목적은 운반물을 이송하는 캐리어가 수평레일 구간 뿐만 아니라 경사레일 구간의 이동 주행이 모두 가능하게 되므로 최적의 라인 구성이 가능하고, 유지보수 비용 절감과 초기 설비 투자를 최소화 할 수 있는 EMS 캐리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고안은 다수의 가이드롤러에 의해 모노레일에 결합되어 이동하는 프론트 바디의 상단부에 설치된 브라켓에 의해 지지되어 모노레일의 상면과 구름마찰운동을 하는 전동휠이 구비되고, 상기 전동휠을 구동하기 위한 주행모터 및 감속기가 프론트 바디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경사레일구간의 주행시 모노레일의 상부에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고정가이드레일에 의해 상기 전동휠과 밀착되어 회전하며 수평레일 주행시 복원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해 전동휠과 이격되도록 상기 브라켓에 설치된 보조휠로 구성된 보조휠유니트가 구비된 프론트 트롤리와, 상기 프론트 트롤리와 일정거리를 유지하는 리어 바디가 다수의 가이드롤러에 의해 모노레일에 결합설치되고, 상기 리어 바디의 상단부에 설치된 브라켓에 의해 지지되어 모노레일의 상면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아이들휠이 구비되며, 경사레일구간의 주행시 상기 고정가이드레일에 의해 상기 아이들휠과 밀착되어 회전하며 수평레일 주행시 복원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해 아이들휠과 이격되도록 상기 브라켓에 설치된 보조휠로 구성된 보조휠유니트가 구비된 리어 트롤리와, 상기 프론트 트롤리와 리어 트롤리를 연결하며, 경사레일 또는 곡선레일의 주행시 프론트 트롤리와 리어 트롤리의 상대적인 위치변화를 수용하기 위해 수평축과 수직축에 의해 종·횡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양단이 프론트 트롤리와 리어 트롤리에 각각 결합되는 로더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론트 트롤리와 리어 트롤리의 보조휠유니트는 브라켓의 양측면에 일측단이 축결합된 한쌍의 지지축과, 상기 브라켓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통해 양단이 한쌍의 지지축에 결합되어 보조휠을 지지하는 회전축과, 상기 고정가이드레일에 의한 보조휠과 전동휠 또는 아이들휠의 접촉시 보조휠의 회전축을 전방으로 밀어주도록 지지축에 설치되어 접촉압력을 조절하는 접촉력조절스프링 및 접촉력조절너트와, 상기 회전축에 연결된 보조브라켓과 브라켓의 사이에 설치되어 수평구간의 주행시 보조휠과 전동휠 또는 아이들휠이 이격되도록 보조휠을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론트 트롤리와 리어 트롤리의 바디 저면에는 모노레일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캐리어의 역방향 주행을 방지하는 쐐기형의 안티백이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를, 도 2 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를, 도 3 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를, 도 4 는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은 주행모터(12)가 구비되어 자체동력에 의해 모노레일(60)을 따라 주행하도록 설치되는 프론트 트롤리(10)와, 상기 프론트 트롤리(10)와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모노레일(60)에 설치된 리어 트롤리(20)와, 상기 프론트 트롤리(10)와 리어 트롤리(20)를 연결하는 로더바(50)로 구성되어 있다.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프론트 트롤리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를,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프론트 트롤리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프론트 트롤리(10)는 프론트 바디(11)와, 상기 프론트 바디(11)를 모노레일(60)에 결합시켜 안내하는 다수의 가이드롤러(15)와, 상기 프론트 바디(11)의 상단부에 설치된 주행모터(12)와, 상기 주행모터(12)에 의해 회전하도록 브라켓(14)에 설치된 전동휠(13)과, 상기 전동휠(13)과 구름마찰을 하여 경사레일구간의 주행이 가능토록 하는 보조휠유니트(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프론트 바디(11)는 'ㄷ'자 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블록으로서, 다수의 가이드롤러(15)에 의해 모노레일(60)에 결합되어 모노레일(60)을 따라 주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롤러(15)는 프론트 트롤리(10)가 좌우 및 전후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모노레일(60)을 따라 프론트 트롤리(10)가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부 가이드롤러(15a)와 하부 가이드롤러(15b) 및 저면 가이드롤러(15c)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가이드롤러(15a)는 4개의 롤러가 프론트 바디(11)의 상단부에 설치된 것으로 구성되어 모노레일(60)의 상부 양측에서 모노레일(60)과 구름접촉을 하며 프론트 바디(11)를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 가이드롤러(15b)는 4개의 롤러가 프론트 바디(11)의 하단부에 설치된 것으로 구성되어 모노레일(60)의 하부 양측에서 모노레일(60)과 구름접촉을 하며 프론트 바디(11)를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저면 가이드롤러(15c)는 프론트 바디(11)의 저면 전후에 한쌍의 롤러가 설치되어 모노레일(60)의 저면과 구름접촉을 함으로써 프론트 트롤리(10)가 주행 중 전후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주행모터(12)는 프론트 바디(11)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이 주행모터(12)의 출력축에는 감속기(12a)가 설치되며, 이 감속기(12a)의 출력축이 전동휠(13)에 연결되어 전동휠(13)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전동휠(13)은 프론트 바디(11)의 상부에 구비된 브라켓(14)에 설치되어 있으며, 견고하고 복원력과 마찰력이 뛰어난 벌코란(Vulkollan)이 코팅되어 있다.
또한, 상기 주행모터(12)는 기존의 전원공급 방식인 부스바(Bus-bar)와 집전장치의 접속구조에서 탈피하여 유도전류를 이용한 비접촉방식으로 전원을 공급받는 것으로서, 모노레일(60)의 일측에 전원 케이블(91)이 설치되고, 이 전원 케이블(91)을 통해 흐르는 전기를 이용해 자체적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전기발생블록(92)이 프론트 바디(11)에 구비되어 마모와 소음이 없이 전기발생블록에서 발전된 전기를 주행모터(12)로 공급하여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보조휠유니트(30)는 도 9 및 도 10과 같이 브라켓(14)의 양측면에 일측단이 축결합된 한쌍의 지지축(34)과, 상기 브라켓(14)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홈(14a)을 통해 양단이 한쌍의 지지축(34)에 결합되어 보조휠(31)을 지지하는 회전축(35)과, 상기 고정가이드레일(70)에 의한 보조휠(31)과 전동휠(13)의 접촉시 회전축(35)을 전방으로 밀어주도록 지지축(34)에 설치되어 접촉압력을 조절하는 접촉력조절스프링(32) 및 접촉력조절너트(36)와, 상기 보조휠(31)의 회전축(35)에 상단부가 연결된 보조브라켓(37)과 브라켓(14)의 사이에 설치되어 수평구간의 주행시 보조휠(31)과 전동휠(13)이 이격되도록 보조휠(31)을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33)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회전축(35)과 지지축(34)은 회전축(35)의 양끝단에 형성된 구멍에 지지축(34)이 삽입된 것으로 결합되어 있어 고정가이드레일(70)과 보조휠(31)의 접촉시 회전축(35)은 브라켓(14)에 형성된 가이드홈(14a) 및 지지축(34)의 축방향을 따라 후방 하부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촉력조절스프링(32)은 회전축(35)이 지지축(34)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방향으로 반력을 발생시키도록 지지축(34)에 설치되어 보조휠(31)과 전동휠(13)의 접촉력을 조절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접촉력조절너트(36)는 지지축(34)의 끝단에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체결정도에 따라 접촉력조절스프링(32)의 초기 압축상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조휠(31)과 전동휠(13)의 접촉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복원스프링(33)은 브라켓(14)과 보조브라켓(37)의 사이에 설치되어 보조브라켓(37)을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반력을 발생시킴으로서 수평구간의 주행시 보조브라켓(37)을 상승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보조브라켓(37)에 연결된 회전축(35)이 상승하여 보조휠(31)과 전동휠(13)을 이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리어 트롤리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를, 도 8 은 본 고안에 따른 리어 트롤리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리어 트롤리(20)는 주행모터(12)를 제외한 모든 구성이 프론트 트롤리(10)와 동일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토록 하며 개략적인 구조에 대해서만 설명토록 한다.
상기 리어 트롤리(20)는 모노레일(60)에 결합되는 리어 바디(21)와, 상기 리어 바디(21)의 상하부에 설치되어 모노레일(60)과 리어 바디(21)를 결합하며 리어 바디(21)가 모노레일(60)을 따라 안정적으로 주행하도록 상부 가이드롤러(25a)와 하부 가이드롤러(25b) 및 저면 가이드롤러(25c)로 구성된 가이드롤러(25)와, 상기 리어 바디(21)의 상부에 설치된 브라켓(24)에 설치되어 모노레일(60)의 상면과 접촉하여 회전하는 아이들휠(23)과, 경사레일구간의 주행시 아이들휠(23)과 접촉하여 회전하는 보조휠(41) 및 이 보조휠(41)과 아이들휠(23)의 접촉력 및 보조휠(41)의 위치를 복원시키는 한쌍의 접촉력조절스프링(42) 및 복원스프링(43)이 구비된 보조휠유니트(4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보조휠유니트(40)는 프론트 트롤리(10)에 설치된 보조휠유니트(30)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24a는 가이홈, 44는 지지축, 45는 회전축, 46은 접촉력조절너트, 47은 보조 브라켓이다.
상기 로더바(50)는 프론트 트롤리(10)와 리어 트롤리(20)를 연결하는 한편, 운반물을 들 수 있는 행거가 설치되는 것으로, 양단이 수평축(52)과 수직축(53)에 의해 프론트 트롤리(10)와 리어 트롤리(20)에 연결되어 있다.
즉, 프론트 바디(11)와 리어 바디(21)의 저면에는 수평축(52)이 체결되는 힌지브라켓(16,26)이 형성되고, 이 힌지브라켓(16,26)에 연결바(51)의 일측이 수평축(52)에 의해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 연결바(51)에 로더바(50)의 일측이 수직축(53)에 의해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경사레일구간 또는 곡선레일구간의 주행시 프론트 트롤리(10)와 리어 트롤리(20)와의 위치변화를 로더바(50)가 수직·수평방향으로 회전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프론트 트롤리(10)의 저면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센서 브라켓(80)이 설치되고, 이 센서 브라켓(80)의 선단에 근접센서(81)가 설치되는 한편, 리어 트롤리(20)의 저면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센싱 플레이트(82)가 설치되어 있어 모노레일(60)을 따라 순차적으로 주행하는 다수의 캐리어들이 작업진행의 속도차에 의해 상호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전방에 위치한 캐리어가 정지해 있는 경우, 상기 근접센서(81)는 전방에 위치한 캐리어의 센싱 플레이트(82)를 센싱하게 되면서, 캐리어를 정지시키는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서 주행중인 캐리어를 자동으로 정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프론트 트롤리(10)와 리어 트롤리(20)의 저면에는 역주행을 방지하는 안티백(17,27)이 각각 설치되고, 이 안티백(17,27)은 프론트 바디(11)와 리어 바디(21)의 저면에 각각 회전가능토록 설치되며, 캐리어의 정방향 주행시에는 모노레일(60)의 저면과 낮은 마찰저항이 발생되도록 상부 전면이 부드러운 곡면형으로 형성되는 한편, 주행모터(12)의 이상 또는 기타 요인으로 인해 캐리어가 역방향으로 주행하게 될 경우, 모노레일(60)의 저면과 높은 마찰저항을 형성하도록 상부 후면이 쐐기형으로 형성되어 경사레일구간에서 케리어가 정지했을 경우에도 캐리어가 후진하게 되어 발생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프론트 바디(11)의 상부 소정위치에는 브러쉬(18)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브러쉬(18)는 캐리어의 주행시 모노레일(60)의 상면을 쓸고 지나가게 됨으로써, 모노레일(60)의 상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이 전동휠(13)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모노레일(60)에 설치된 전원 케이블(91)과 전기발생블록(92)에 의해 자체적으로 발생된 전기가 주행모터(12)로 공급되어 주행모터(12)가 작동하게 되면, 주행모터(12)의 회전력이 감속기(12a)를 통해 전동휠(13)로 전달되어 전동휠(13)이 회전하게 되며, 이때 전동휠(13)이 모노레일(60)의 상면과 접촉하여 회전하게 되므로 프론트 트롤리(10)는 모노레일(60)을 따라 주행을 시작하게 된다.
한편, 상기 프론트 트롤리(10)와 로더바(50)에 의해 연결된 리어 트롤리(20)도 프론트 트롤리(10)와 함께 모노레일(60)을 따라 주행하게 된다.
한편, 경사레일구간의 경우, 모노레일(60)의 상부에는 모노레일(60)의 상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고정가이드레일(70)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경사레일구간으로 프론트 트롤리(10)가 진입하게 되면서 보조휠유니트(30)의 보조휠(31)이 고정가이드레일(70)에 의해 눌려 전동휠(13)과 접촉되면서 회전되어 경사레일구간의 주행이 가능하게 되고, 이와 같은 보조휠유니트(30)가 리어 트롤리(20)에도 구비되어 있어 경사레일구간에서도 캐리어의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모노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캐리어가 수평레일구간과 곡선레일구간 및 경사레일구간에 상관없이 원활한 주행이 가능하므로, 별도의 승·하강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며, 이로 인해 설비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비접촉식 전원공급구조에 의해 기존 마찰에 의한 소음 및 마모등을 방지하여 보다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4 는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프론트 트롤리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프론트 트롤리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리어 트롤리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8 은 본 고안에 따른 리어 트롤리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9 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휠유니트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10 은 본 고안에 따른 보조휠유니트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론트 트롤리 (11) : 프론트 바디
(12) : 주행모터 (12a) : 감속기
(13) : 전동휠 (14) : 브라켓
(14a) : 가이드홈 (15) : 가이드롤러
(15a) : 상부 가이드롤러 (15b) : 하부 가이드롤러
(15c) : 저면 가이드롤러 (16) : 힌지브라켓
(17) : 안티백 (18) : 브러쉬
(20) : 리어 트롤리 (21) : 리어 바디
(23) : 아이들휠 (24) : 브라켓
(24a) : 가이드홈 (25) : 가이드롤러
(25a) : 상부 가이드롤러 (25b) : 하부 가이드롤러
(25c) : 저면 가이드롤러 (26) : 힌지브라켓
(27) : 안티백 (30) : 보조휠유니트
(31) : 보조휠 (32) : 접촉력조절스프링
(33) : 복원스프링 (34) : 지지축
(35) : 회전축 (36) : 접촉력조절너트
(37) : 보조 브라켓 (40) : 보조휠유니트
(41) : 보조휠 (42) : 접촉력조절스프링
(43) : 복원스프링 (44) : 지지축
(45) : 회전축 (46) : 접촉력조절너트
(47) : 보조 브라켓 (50) : 로더바
(51) : 연결바 (52) : 수평축
(53) : 수직축 (60) : 모노레일
(70) : 고정가이드레일 (80) : 센서 브라켓
(81) : 근접센서 (82) : 센싱 플레이트
(91) : 전원 케이블 (92) : 전기발생블록

Claims (3)

  1. 다수의 가이드롤러(15)에 의해 모노레일(60)에 결합되어 이동하는 프론트 바디(11)의 상단부에 설치된 브라켓(14)에 의해 지지되어 모노레일(60)의 상면과 구름마찰운동을 하는 전동휠(13)이 구비되고, 상기 전동휠(13)을 구동하기 위한 주행모터(12) 및 감속기(12a)가 프론트 바디(11)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경사레일구간의 주행시 모노레일(60)의 상부에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고정가이드레일(70)에 의해 상기 전동휠(13)과 밀착되어 회전하며 수평레일 주행시 복원스프링(33)의 반발력에 의해 전동휠(13)과 이격되도록 상기 브라켓(14)에 설치된 보조휠(31)로 구성된 보조휠유니트(30)가 구비된 프론트 트롤리(10)와,
    상기 프론트 트롤리(10)와 일정거리를 유지하는 리어 바디(21)가 다수의 가이드롤러(25)에 의해 모노레일(60)에 결합설치되고, 상기 리어 바디(21)의 상단부에 설치된 브라켓(24)에 의해 지지되어 모노레일(60)의 상면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아이들휠(23)이 구비되며, 경사레일구간의 주행시 상기 고정가이드레일(70)에 의해 상기 아이들휠(23)과 밀착되어 회전하며 수평레일 주행시 복원스프링(43)의 반발력에 의해 아이들휠(23)과 이격되도록 상기 브라켓(24)에 설치된 보조휠(41)로 구성된 보조휠유니트(40)가 구비된 리어 트롤리(20)와,
    상기 프론트 트롤리(10)와 리어 트롤리(20)를 연결하며, 경사레일 또는 곡선레일의 주행시 프론트 트롤리(10)와 리어 트롤리(20)의 상대적인 위치변화를 수용하기 위해 수평축(52)과 수직축(53)에 의해 종·횡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양단이 프론트 트롤리(10)와 리어 트롤리(20)에 각각 결합되는 로더바(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주행이 가능한 EMS 캐리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트롤리(10)와 리어 트롤리(20)의 보조휠유니트(30,40)는 동일한 구성으로서, 브라켓(14,24)의 양측면에 일측단이 축결합된 한쌍의 지지축(34,44)과, 상기 브라켓(14,24)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홈(14a,24a)을 통해 양단이 한쌍의 지지축(34,44)에 결합되어 보조휠(31,41)을 지지하는 회전축(35,45)과, 상기 고정가이드레일(70)에 의한 보조휠(31,45)과 전동휠(13) 또는 아이들휠(23)의 접촉시 보조휠(31,41)의 회전축(35,45)을 전방으로 밀어주도록 지지축(34,44)에 설치되어 접촉압력을 조절하는 접촉력조절스프링(32,42) 및 접촉력조절너트(36,36)와, 상기 회전축(35,45)에 연결된 보조브라켓(37,47)과 브라켓(14,24)의 사이에 설치되어 수평구간의 주행시 보조휠(31,41)과 전동휠(13) 또는 아이들휠(23)이 이격되도록 보조휠(31,41)을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33,4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주행이 가능한 EMS 캐리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트롤리(10)와 리어 트롤리(20)의 바디 저면에는 모노레일(60)의 저면에 접촉하여 캐리어의 역방향 주행시 큰 마찰저항을 발생하여 역방향 주행을 방지하는 쐐기형의 안티백(17,27)이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경사주행이 가능한 EMS 캐리어.
KR20-2004-0036665U 2004-12-24 2004-12-24 경사주행이 가능한 ems 캐리어 KR2003789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665U KR200378942Y1 (ko) 2004-12-24 2004-12-24 경사주행이 가능한 ems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665U KR200378942Y1 (ko) 2004-12-24 2004-12-24 경사주행이 가능한 ems 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8942Y1 true KR200378942Y1 (ko) 2005-03-17

Family

ID=43680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6665U KR200378942Y1 (ko) 2004-12-24 2004-12-24 경사주행이 가능한 ems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894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8570B1 (ko) 2022-11-29 2023-05-04 (주)대경기계 차량의 바디를 이송하기 위한 이동대차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8570B1 (ko) 2022-11-29 2023-05-04 (주)대경기계 차량의 바디를 이송하기 위한 이동대차장치
KR20240080084A (ko) 2022-11-29 2024-06-05 (주)대경기계 차량 바디를 틸팅할 수 있는 이동대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81456B1 (en) Cable transportation system
US4480157A (en) Overhead running carrier
US4776282A (en) Self-running device for a transporting carrier
US20020175040A1 (en) Conveying device for persons, with directly driven step bodies and a step body for such a device
US5303656A (en) Monorail tramcar type conveyor
KR200378942Y1 (ko) 경사주행이 가능한 ems 캐리어
CN218370074U (zh) 一种半包围结构的摆渡车及应用其的物料转运系统
KR101503267B1 (ko) 급곡선 및 급구배의 운행이 가능한 레일 바이크
US4770106A (en) Rail vehicle
JPH0872709A (ja) 搬送装置の走行輪支持装置
CN110422184B (zh) 一种智能巡逻设备
JPH01317864A (ja) 自動車ドアの搬送装置
JP3444517B2 (ja) 搬送装置
CN215401253U (zh) 一种在回转轨道配合次级板的导向装置及分拣轨道和设备
JP2689775B2 (ja) 荷搬送装置
JPH0716533Y2 (ja) モノレール式キャリヤ
JPH06239448A (ja) 自走台車使用の搬送設備
CN216736112U (zh) 一种适用于轮对或转向架的限制单元及agv小车
JP2513031Y2 (ja) 搬送用モノレ―ル電車のトロリ―
JPH0648891B2 (ja) トラバーサの給電装置
JP2002264802A (ja) 荷搬送設備
JPH0813641B2 (ja) 自走体使用の搬送装置
JP2538303Y2 (ja) 搬送用電車
JP2741282B2 (ja) 台車搬送装置
JPS60193757A (ja) 床上モノレ−ルによる無人搬送方式における電動台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