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8628Y1 - 왕복 이동장치의 변위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왕복 이동장치의 변위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8628Y1
KR200378628Y1 KR20-2004-0037634U KR20040037634U KR200378628Y1 KR 200378628 Y1 KR200378628 Y1 KR 200378628Y1 KR 20040037634 U KR20040037634 U KR 20040037634U KR 200378628 Y1 KR200378628 Y1 KR 2003786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cam member
fastening
displacemen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76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영
곽재훈
이우호
최영일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376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86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86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86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 B65H5/021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by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2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having an operating surface contacting only one face of the material, e.g. roller
    • B65H2301/44322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having an operating surface contacting only one face of the material, e.g. roller be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50Driving mechanisms
    • B65H2403/51Cam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20Belts
    • B65H2404/26Particular arrangement of belt, or belts
    • B65H2404/269Particular arrangement of belt, or belts other arrangements
    • B65H2404/2693Arrangement of belts on movable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왕복 이동장치의 변위를 조절하기 위한 변위 조절 장치가 개시된다. 변위 조절 장치는 왕복 이동장치와 연동하는 회전축에 장착되는 축심부, 축심부에 대해 결합각을 변경하여 고정시킬 수 있으며 왕복 이동장치의 변위에 대응하여 소정의 중심각을 갖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된 캠 플랜지를 포함하는 캠 부재, 및 캠 부재에 인접하게 장착되어 캠 플랜지에 의한 변화를 감지하는 캠 센서를 포함한다. 관련된 캠 부재 및 캠 센서는 일단 설치를 완료하면 미세한 조정을 할 수가 없으며, 이로 인해 장치 전체를 분해, 수리 및 조립하는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한다. 하지만, 캠 부재가 축심부에 대해 결합각을 달리 하면서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주변 장치 전체를 분해 및 조립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왕복 이동장치의 변위 조절 장치{APPARATUS OF REGULATING THE BOUNDARY OF A SHUTTLE MOVING PART}
본 고안은 왕복 이동장치(Shuttle Moving Part)의 이동 경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상하 또는 좌우로 왕복이동을 하는 왕복 이동장치가 움직일 수 있는 경계를 조절하기 위한 변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관련된 승하강 왕복 이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된 왕복 이동장치(10)는 푸쉬 플레이트(Push Plate)로서 상하로 왕복 이동을 하며, 왕복 이동장치(10)의 본체(40)가 아래로 이동하여 하부에 위치한 용지와 밀착할 수 있으며,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용지 또는 용지들을 전후 방향으로 이송할 수가 있다.
왕복 이동장치(10)는 외부 동력원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는다. 전달되는 회전력은 구동축(21)을 통해 전달되며, 구동축(21)에 장착된 제1 기어(22)는 인접하여 맞물린 제2 기어(23)와 함께 회전을 함으로써 종동축을 회전시킬 수가 있다.
제1 기어(22) 및 제2 기어(23)에 대응하여 랙(32, 33)이 좌우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1 기어(22) 및 제2 기어(23)의 회전에 의해서 본체(40)가 상하로 이동할 수가 있다.
본체(40)의 하부에는 롤러(34)들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롤러(34)들은 벨트(35)로 연결되어 함께 연동을 한다. 푸쉬 플레이트는 상승하여 출력물 또는 기타 용지들이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용지가 유입된 하강하여 한 장 또는 그 이상의 용지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송할 수가 있다. 용지(P)를 원활하게 이송하기 위해서 왕복 이동장치(10)의 벨트(35)는 용지(P)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구동축(21)에는 왕복 이동장치(10)의 상하 변위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장치가 장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관련된 변위 조절 장치는 구동축(21)에 고정되는 축심부(52), 축심부(52)에 고정되는 캠(54), 및 캠(54)의 회전량을 측정하기 위한 캠 센서(56)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축심부(52)가 장착되는 구동축(21)은 디-컷(D-cut)으로 처리되어 있으며, 축심부(52)의 중앙 허브 역시 디-컷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축심부(52)는 구동축(21)과 일체로 고정되며, 구동축(21)과 함께 동일한 회전량만큼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축심부(52)의 축심 돌기도 디-컷으로 처리되어 있으며, 축심 돌기에 대응하는 캠(54)의 홀 역시 디-컷으로 처리되어 있다. 따라서 축심부(52) 및 캠(54)도 서로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함께 회전할 수가 있다.
도 2는 상단 경계에 있는 왕복 이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3은 하단 경계에 있는 왕복 이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왕복 이동장치(10)는 상하로 이동할 수 있으며, 왕복 이동장치(10)가 움직이는 상하 경계(boundary)는 캠(54)의 캠 플랜지에 의해서 결정된다. 캠 플랜지는 축심부(52)의 주변으로 부채꼴(sector)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 경계 및 상단 경계에 해당하는 캠 플랜지의 단부(54a, 54b)가 캠 센서(56)를 통과하면서 왕복 이동장치(10)의 상단 및 하단 경계를 실질적으로 결정할 수가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왕복 이동장치(10)의 본체(40)가 상단 경계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때 캠 플랜지의 단부(54b)가 캠 센서(56)에 위치하고 있다. 이때 구동축(21)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하면서, 본체(40)가 하강하기 시작하고, 구동축(21)과 함께 캠(54) 역시 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한다.
캠(54)이 회전하는 동안 캠 플랜지는 캠 센서(56)를 통과하게 되고, 구동축(21)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은 외부로부터 지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단 경계에 대응하는 캠 플랜지의 단부(54a)가 캠 센서(56)를 통과하면서, 캠 플랜지의 변화에 대한 신호가 전달되며, 이 신호에 대응하여 구동축(21)으로 전달되는 회전력은 중단될 수가 있다.
용지(P)를 이송하기 위해서라면, 이때 본체(40)의 하단은 용지(P)의 상면과 밀착하여야 한다. 하지만, 문제는 용지(P)가 1장이어서 두께가 얇고, 그 결과 본체(40)가 하단 경계에 위치하여도 용지(P)의 상면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간격으로 두고 이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체(40)의 하단이 용지(P)로부터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있으며, 정상적으로 용지(P)를 이송할 수가 없다.
도 4는 관련된 왕복 이동장치에서 도 3에 도시된 문제점의 해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체(40)를 하강시켜 용지(P)에 밀착시킨 후, 캠(54)을 돌려 캠 플랜지의 단부가 캠 센서(56)에 위치하도록 보정할 수가 있다. 하지만, 관련된 왕복 이동장치(10)에서 구동축(21), 캠(54), 축심부(52), 제1 기어(22) 등은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를 보정하기 위해서 왕복 이동장치(10)뿐만 아니라 그 장치를 포함하는 메인 시스템도 분해하여 보정하고 다시 조립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분해하여 보정하는 과정 역시 상호 견고하게 고정된 부품들을 정밀하게 이동시켜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과정이 복잡하고 한번에 보정이 성공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구동모터를 일정 시간 이상 더 작동시킴으로써 본체(40)를 하방으로 가압하고, 본체(40)를 하단 경계 이하로 충분히 눌러서 용지(P)와 본체(40) 간의 밀착을 확실히 유지하는 방법이 제안될 수 있다. 하지만, 과도한 부하는 오히려 구동 모터에 무리를 줄 수 있어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본체(40)의 하단이 용지(P)가 놓인 스택 지지대를 타격함에 따라 오히려 반동에 의해 본체(40)가 위로 튕겨질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일 목적은 상하, 좌우 또는 전후로 왕복 이동을 하는 왕복 이동장치의 양단 경계를 보정함에 있어서, 복잡한 해체 없이도 간단하게 캠의 각도 보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왕복 이동장치의 변위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왕복 이동장치의 변위 조절 장치는 왕복 이동장치와 연동하는 회전축에 장착되는 축심부, 축심부에 대해 결합각을 변경하여 고정시킬 수 있으며 왕복 이동장치의 변위에 대응하여 소정의 중심각을 갖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된 캠 플랜지를 포함하는 캠 부재, 및 캠 부재에 인접하게 장착되어 캠 플랜지에 의한 변화를 감지하는 캠 센서를 포함한다.
관련된 축심부 및 캠의 연결부는 디-컷으로 처리되어 상호 회전할 수가 없다. 하지만, 본 고안에 따른 축심부 및 캠 부재는 상호 결속시킬 수 있으되, 영구히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축심부 및 캠 부재 간의 결합각을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축심부 및 캠 부재 간의 결합각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 및 구조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캠 부재에 원호(arc) 형상의 체결용 슬릿을 형성하고, 체결용 슬릿을 통해 결합각을 달리하면서 체결구를 통해 임의로 결합각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축심부 및 캠 부재의 서로 밀착하는 면에 방사형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요철을 형성하고, 상기 요철의 결합에 의해서 결합각을 변경하고 변경된 결합각을 유지시킬 수가 있다.
참고로, 본 고안은 상하, 좌우 또는 전후로 직선 운동을 하는 본체의 변위를 조절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직선 이외의 일정한 궤적으로 형성하되 회전축의 회전과 연동할 수 있는 본체의 변위를 조절하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고안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캠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캠 부재(110)는 캠 홀(116)이 형성된 중심체 및 중심체의 주변으로 형성된 캠 플랜지(111)를 포함한다. 캠 플랜지(111)는 중심체의 주변으로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캠 플랜지(111)는 각 단부에 해당하는 제1 단부(112) 및 제2 단부(114)를 포함한다. 캠 플랜지(111)는 제1 및 제2 단부(112, 114)를 기준으로 캠 센서(56)를 통과할 수 있다.
중심체의 중앙에는 캠 홀(1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캠 홀(116)의 주변으로는 서로 마주보는 혹은 균일 간격으로 배치된 2개의 체결용 슬릿(118)이 형성된다. 체결용 슬릿(118)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체결용 슬릿의 개수 혹은 체결용 슬릿 간의 간격 등은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가 있다.
참고로, 도 1에서 도시된 캠(54)의 캠 홀은 디-컷으로 처리되어 있는 반면, 도 6에 도시된 캠 부재(110)의 캠 홀(116)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심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축심부의 정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축심부(120)는 허브가 형성된 몸체를 포함하며, 몸체의 정면에는 캠 홀(116)에 대응하여 형성된 축심 돌기(126)가 형성되고, 축심 돌기(126)의 주변으로 플랜지(122)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122)에는 2개의 체결공(128)이 서로 대향하게 형성되어 있다. 체결구(132)가 체결공(128)에 고정되는 나사인 경우, 체결구(132)에는 수나사가 형성되며 체결공(128)에는 암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체결공(128)을 통과하는 체결구가 볼트이고 볼트(bolt)에 대향하여 너트(nut)가 제공될 수도 있으며, 이때 체결공(128)에는 암나사 등이 형성되지 않을 수가 있다.
또한, 축심부(120)의 허브는 디-컷으로 처리된 축을 수용하기 위해서 디-컷 형상의 홀을 포함하지만, 축심 돌기(126) 및 캠 홀(116)은 상호 자유로운 회전을 위해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위 조절 장치의 구조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10은 도 9의 변위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참고로, 본 변위 조절 장치는 이전에 설명된 캠 부재(110) 및 축심부(120)의 설명 및 도면을 참고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가 있다.
잠시 도 4를 참조하면, 본체의 하단 경계를 보정하기 위해서는, 캠(54)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하단 경계에 해당하는 캠 플랜지의 단부(54a)를 캠 센서(56)로 이송하여야 할 것이다. 하지만, 캠 홀 및 축심부(52)가 디-컷으로 처리된 연결부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축(21)을 해체하지 않는 이상 회전각을 변경하는 것이 용이하지가 않다.
다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캠 부재(110) 및 축심부(120)가 상호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체결공(128)으로부터 체결구(132)를 분리시키면, 캠 부재(110) 및 축심부(120)를 상호 분리시킬 수 있으며, 체결공(128)에 대한 위치를 기준으로 캠 부재(110)를 좌우로 회전시킬 수가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부재(11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캠 플랜지(111)의 제1 단부(112)가 캠 센서(56)에 위치하도록 결합각을 변경할 수가 있다.
참고로, 이는 왕복 이동장치가 어느 한쪽 단부에 위치한 것으로서, 결정의 기준이 되는 단부의 위치에 따라 제1 단부(112) 또는 제2 단부(114)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축심부(120)가 회전축에 고정된 후, 캠 부재(110)의 체결용 슬릿(118)을 통해 체결구(132)를 통과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체결구(132)를 약간만 풀어 캠 부재(11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원하는 방식에 따라 캠 부재(110)의 회전각을 달리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변위 조절 장치는 일정 궤적을 따라 움직이는 장치의 일 단부 또는 타 단부의 경계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하, 좌우 또는 전후로 왕복 이동을 하는 왕복 이동장치의 양단 경계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변위 조절 장치는 캠 부재를 돌림으로써 초기 설정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가 있다. 또한, 복잡한 해체 없이도 간단하게 캠 부재의 각도 보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관련된 승하강 왕복 이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상단 경계에 있는 왕복 이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은 하단 경계에 있는 왕복 이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는 관련된 왕복 이동장치에서 도 3에 도시된 문제점의 해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캠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심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축심부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위 조절 장치의 구조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변위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변위 조절 장치 110:캠 부재
111:캠 플랜지 112,114:제1 단부, 제2 단부
116:캠 홀 118:체결용 슬릿
120:축심부 122:플랜지
126:축심 돌기 128:체결공

Claims (4)

  1. 왕복 이동장치의 변위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왕복 이동장치와 연동하는 회전축에 장착되는 축심부;
    상기 축심부에 대해 결합각을 변경하여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 왕복 이동장치의 변위에 대응하여 소정의 중심각을 갖는 부채꼴 형상의 캠 플랜지를 포함하는 캠 부재; 및
    상기 캠 부재에 인접하게 장착되어 상기 캠 플랜지에 의한 변화를 감지하는 캠 센서;를 구비하는 왕복 이동장치의 변위 조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 부재는 상기 축심부의 축 주변에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체결용 슬릿을 포함하며, 상기 축심부의 플랜지에는 상기 체결용 슬릿에 대응하여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캠 부재는 상기 체결공 및 상기 체결공에 대응하는 체결구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이동장치의 변위 조절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용 슬릿은 상기 축심부의 주변을 따라 균일 또는 불균일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체결용 슬릿에 대응하여 상기 체결공도 균일 또는 불균일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이동장치의 변위 조절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심부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축심 돌기 및 상기 축심 돌기의 주변으로 형성된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캠 부재는 상기 축심 돌기를 수용하기 위한 원형의 캠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이동장치의 변위 조절 장치.
KR20-2004-0037634U 2004-12-31 2004-12-31 왕복 이동장치의 변위 조절 장치 KR2003786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634U KR200378628Y1 (ko) 2004-12-31 2004-12-31 왕복 이동장치의 변위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634U KR200378628Y1 (ko) 2004-12-31 2004-12-31 왕복 이동장치의 변위 조절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7920A Division KR20060078321A (ko) 2004-12-31 2004-12-31 왕복 이동장치의 변위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8628Y1 true KR200378628Y1 (ko) 2005-03-16

Family

ID=43680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7634U KR200378628Y1 (ko) 2004-12-31 2004-12-31 왕복 이동장치의 변위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862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50812B2 (ja) ネジ類供給装置
US5983785A (en) Contact toaster with infinite adjustment
KR200378628Y1 (ko) 왕복 이동장치의 변위 조절 장치
KR20060078321A (ko) 왕복 이동장치의 변위 조절 장치
JP7505235B2 (ja) ベルト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RU212949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дачи отдельных листов на печатный цилиндр листовой ротационной печатной машины
JP2000035090A (ja) 連動歯車の角度調整機構
EP0968944B1 (en) Sheet feeding apparatus for a corrugated fiberboard container making machine
JP3608109B2 (ja) 電動式射出機構
JP2007089556A (ja) 生地圧延装置
JP7026947B2 (ja) 装飾部品駆動装置
US7121200B2 (en) Roller parallelism adjustment structure
KR100403179B1 (ko) 라미네이터용 히팅롤러의 간극 조절장치
JPH0143630B2 (ko)
JP2020138814A (ja) ロール紙ステアリング装置、印刷装置及びロール紙ステアリング装置の組付け方法
JPH0512447U (ja) 板状体折曲げ装置
JPH0530806Y2 (ko)
JPH08319049A (ja) ロールガイダー
KR100507671B1 (ko) 나이프 소프트 롤 및 홀드 다운 롤을 구비한 사이드트리머 장치
JPH11246021A (ja) ベルト駆動装置及びそのベルト片寄り量調整方法
JPH0531946U (ja) 給紙部と見当部間の紙流れタイミング調整装置
JP2587453B2 (ja) 両方向印字熱転写シリアルプリンタ
JPH0789646A (ja) 用紙送り装置
KR200299194Y1 (ko) 비닐 포장백의 스텐드 형성장치
KR100464263B1 (ko) 비닐 포장백의 스텐드 형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