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7450Y1 - 방화문의 보강대 구조 - Google Patents

방화문의 보강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7450Y1
KR200377450Y1 KR20-2004-0033781U KR20040033781U KR200377450Y1 KR 200377450 Y1 KR200377450 Y1 KR 200377450Y1 KR 20040033781 U KR20040033781 U KR 20040033781U KR 200377450 Y1 KR200377450 Y1 KR 2003774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fire
fire door
reinforcing rod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37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춘남
Original Assignee
지춘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춘남 filed Critical 지춘남
Priority to KR20-2004-00337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74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74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74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82Flush doors, i.e. with completely flat surface
    • E06B3/827Flush doors, i.e. with completely flat surface of metal without an internal frame, e.g. with exterior panels substantially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46Door leaves with provisions for locks, hinges or other fittings

Abstract

본 고안은 방화문의 상하단을 보강하기 위해 설치되는 보강대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방화문의 상하단에 방화문을 보강하기 위해 앞뒤 철판사이에 삽입 설치되는 보강대에서, 상기 보강대의 양쪽 플랜지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용접구멍이 형성되고, 보강대의 한쪽 선단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도어를 강제로 닫아 주는 방화용 힌지가 설치되는 힌지설치홈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방화문의 보강대 설치구조는 보강대를 방화문의 앞뒤 철판사이의 좁은 공간에서 용접할 때 양쪽 플랜지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개의 용접구멍을 통하여 용접함으로써 초보자라도 튼튼하면서 간단하게 용접을 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보강대의 선단에 형성된 힌지설치홈을 방화용 힌지의 치수에 맞추어 미리 정확하게 절개해 둠으로써, 먼저 보강대를 고정설치한 후에 보강대의 힌지설치홈 속에 방화용 힌지를 끼워 넣으면 방화용 힌지가 정확하게 제위치에 맞추어 결합되어지게 되므로 방화용 힌지를 어려움 없이 간단하게 정확한 위치에 삽입 설치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방화문의 보강대 구조{Construction of a reinforcing member for fire door}
본 고안은 방화문의 보강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강대를 간단한 방법으로 튼튼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강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방화용 힌지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한 방화문의 보강대구조에 관한 것이다.
방화문이란 건물 등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화재가 더 이상 도어가 설치된 곳을 통하여 다른 곳으로 전파되지 않게 하기 위한 것으로, 튼튼한 구조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통상의 방화문은 철판으로 이루어져 방화문의 앞뒤에 철판이 배치되고, 이들 앞뒤 철판의 내부에 불에 잘 타지 않는 충전제 또는 보강재가 설치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앞뒤 양쪽 철판의 상하단에는 방화문의 내부를 화염으로부터 완전하게 차단함과 더불어 방화문의 구조를 튼튼하게 보강하기 위해 양쪽에 플랜지를 갖춘 보강대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보강대는 방화문의 앞뒤 철판에 양쪽의 플랜지를 통하여 용접으로 고정되는데, 방화문의 앞뒤 철판의 좁은 공간사이에서 폭이 좁은 보강대의 플랜지를 앞뒤 철판에 용접하기가 곤란하였다.
따라서, 숙련자가 아니면 보강대를 방화문의 앞뒤 철판에 튼튼하게 용접하기가 쉽지 아니하였고, 보강대가 튼튼하게 용접되지 않으면 방화문의 기능을 완전하게 발휘할 수가 없다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통상의 방화문에는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화염을 통하여 화재의 전파를 차단하기 위해 열려져 있던 문이 자동적으로 닫히게 하는 방화용 힌지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방화용 힌지는 방화문의 기본적인 개폐용 힌지와는 별개로 설치되어 있으면서, 대개 상기 보강대의 한쪽 선단에 설치되어 비상시에 도어를 닫아 주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방화용 힌지가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도어의 한쪽 선단에서부터 정확한 위치에 설치되어야 한다는 조건이 있다.
또한, 상기 방화용 힌지는 보강대가 설치된 방화용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보강대를 관통하여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방화문의 제작과정상 보강대를 2장의 철판 상하단 사이에 보강대를 설치하여 문의 형태를 갖춘 후에 방화용 힌지를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보강대를 설치한 후에 방화용 힌지를 설치하기가 상당히 번거롭고 어려운 작업이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방화문의 보강대에서 제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앞뒤 철판의 상하단에 설치되는 보강대를 간단하게 용접 고정시킬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방화용 힌지를 보강대를 관통하여 방화문의 내부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한 방화문의 보강대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방화문 보강대 설치구조는, 방화문의 상하단에 방화문을 보강하기 위해 앞뒤 철판사이에 삽입 설치되는 보강대에 있어서, 상기 보강대의 양쪽 플랜지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용접구멍이 형성되고, 보강대의 한쪽 선단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도어를 강제로 닫아 주는 방화용 힌지가 설치되는 힌지설치홈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방화문의 보강대 설치구조는 보강대를 방화문의 앞뒤 철판사이의 좁은 공간에서 용접할 때 양쪽 플랜지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개의 용접구멍을 통하여 용접함으로써 초보자라도 튼튼하면서 간단하게 용접을 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보강대의 선단에 형성된 힌지설치홈을 방화용 힌지의 치수에 맞추어 미리 정확하게 절개해 둠으로써, 먼저 보강대를 고정설치한 후에 보강대의 힌지설치홈 속에 방화용 힌지를 끼워 넣으면 방화용 힌지가 정확하게 제위치에 맞추어 결합되어지게 되므로 방화용 힌지를 어려움 없이 간단하게 정확한 위치에 삽입 설치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면 1은 본 고안에 따른 방화문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면 2 은 보강대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방화문은 앞뒤 철판(1, 3)사이의 상하단에 보강대(5)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보강대(5)는 양쪽에 플랜지(7)를 각각 구비하고서, 상기 플랜지(7)에 다수개의 용접 구멍(9)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강대(5)에는 한쪽 선단에서부터 소정의 길이(L)만큼 까지 힌지설치홈(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힌지설치홈(11)에 인접한 보강대(5)의 중간면(13)에 다수개의 보울트체결공(1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설치홈(11)속에 고정용 브라켓(17)이 일체로 형성된 방화용 힌지(19)가 삽입되어 상기 고정용 브라켓(17)을 통하여 보울트체결공(15)에 고정 체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고정용 브라켓(17)이 결합되는 보울트체결공(15)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플랜지(7)에는 용접구멍(9)이 다른 곳보다 좁은 간격으로 형성시켜 용접부분을 증대시켜 줌으로써, 방화용 힌지(19)가 고정용 브라켓(17)을 통하여 나사 결합되는 부분의 강도를 보강시켜 줄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설치홈(11)의 길이(L)는 방화문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는 방화용 힌지(19)의 사이즈에 따라 달라지는데, 기본적으로 방화용힌지(19)의 중심위치(C)가 정해지면, 방화용 힌지(19)의 직경크기에 맞추어 따라 결정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힌지설치홈(11)의 길이(L)는 방화용 힌지(19)를 안쪽으로 밀어붙여 밀착시키면, 방화용 힌지(19)의 중심(C)이 정확하게 설치위치와 일치하게 맞추어 결정하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보강대(5)는 도면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뒤 철판(1,3)사이의 상하단에 양쪽의 플랜지(7)가 일치하도록 맞추어 끼워 넣은 다음, 플랜지(7)에 형성된 용접구멍(9)을 통하여 용접을 하면 상기 플랜지(7)가 양쪽 철판(1,3)에 튼튼하게 용접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즉, 용접을 할 때 용접봉이 녹아 붙는 용융금속이 용접구멍(9)을 통하여 플랜지(7)와 철판(1,3)을 더욱 견고하게 연결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보강대(5)를 설치한 후에 보강대(5)에 일정한 사이즈에 맞추어 미리 형성시킨 힌지설치홈(11)에 방화용힌지(19)를 밀착시키면, 방화용 힌지(19)에 일체로 연결된 고저용 브라켓(17)이 보울트 체결공(15)과 자동으로 일치되어지게 되므로, 상기 보울트 체결공(15)에 보울트를 체결하기만 하면 간단하게 방화용 힌지(19)를 정확한 제위치에 결합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도면 1 내지 도면 4까지에 나타낸 보강대(5)의 구조는 상기 힌지설치홈(11)이 보강대의 한쪽 선단쪽으로 개방 형성된 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인데 반하여, 도면 5와 도면 6에 도시한 보강대(5)는 상기 힌지설치홈(11)이 원형으로 이루어진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 5와 도면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힌지설치홈(11)을 원형으로 형성시키는 경우에는, 방화용 힌지(19)의 중심(C)과 직경에 맞추어 구멍을 뚫어 주면되는데, 이렇게 원형의 방화용 힌지(19)를 미리 형성시킨 보강대(5)를 도면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뒤 철판(1,3)사이에 끼워 넣은 다음 용접구멍(9)을 통하여 용접한 후에, 상기 힌지설치홈(11)에 방화용 힌지(19)를 끼워 넣기만 하면 방화용 힌지(19)의 설치 위치가 정확하게 맞추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방화문의 보강대 설치구조는 방화문의 앞뒤 철판(1,3) 사이의 상하단에 끼워져 설치되는 보강대(5)의 양쪽 플랜지(7)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용접 구멍(9)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용접 구멍(9)을 통하여 용접을 하면 초보자라도 단단하고 튼튼하게 용접을 할 수가 있어 편리함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보강대(5)는 방화용 힌지(19)를 설치하기 위한 힌지설치홈(11)을 미리 형성시켜 용접 고정함으로써, 보강대(5)를 설치한 후에 방화용 힌지(19)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구멍을 뚫지 않고, 간단하게 상기 힌지설치홈(11)속에 방화용 힌지(19)를 끼워 넣기만 하면 정확하게 결합위치가 세팅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보강대(5)를 사용하면 방화용 힌지(19)를 간단한 작업으로 정확한 위치에 설치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보강대가 설치된 방화문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도면 1의 A - A 선을 따른 단면도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보강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은 도면 2에 따른 보강대에 방화용 도어힌지를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보강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는 도면 4에 따른 보강대에 방화용 도어힌지를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철판 3 - 철판
5 - 보강대 7 - 플랜지
9 - 용접구멍 11 - 힌지설치홈
13 - 중간면 15 - 보울트체결공
17 - 고정용 브라켓 19 - 방화용힌지

Claims (1)

  1. 방화문의 상하단에 방화문을 보강하기 위해 앞 뒤철판(1,3)사이에 삽입 설치되는 보강대에서,
    상기 보강대(5)의 양쪽 플랜지부(7)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용접구멍(9)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대(5)의 한쪽 선단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도어를 강제로 닫아 주는 방화용 힌지(19)가 설치되는 힌지설치홈(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의 보강대 설치구조
KR20-2004-0033781U 2004-11-29 2004-11-29 방화문의 보강대 구조 KR2003774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3781U KR200377450Y1 (ko) 2004-11-29 2004-11-29 방화문의 보강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3781U KR200377450Y1 (ko) 2004-11-29 2004-11-29 방화문의 보강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7450Y1 true KR200377450Y1 (ko) 2005-03-10

Family

ID=43679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3781U KR200377450Y1 (ko) 2004-11-29 2004-11-29 방화문의 보강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745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0469A (ko) 2022-08-31 2024-03-07 (주)동광명품도어 덧판 구조를 가지는 무용접 단열 방화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0469A (ko) 2022-08-31 2024-03-07 (주)동광명품도어 덧판 구조를 가지는 무용접 단열 방화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95971B2 (ja) 金属構造物のための剛性ネジ止めユニット
US5042216A (en) Locking element for a wall facade structure
JP4546915B2 (ja) 木造建築用連結金物
JP7032254B2 (ja) 建材の連結部材、その連結具、その連結構造及びその連結方法
CN106030014A (zh) 连接装置及具有该连接装置的淋浴门组件
KR200377450Y1 (ko) 방화문의 보강대 구조
US6112471A (en) Adapter for mounting strike within cavity of door arrangement
JP2008082052A (ja) 鋼殻沈埋トンネル内面への内装パネル取付構造
JP7068078B2 (ja) 建材の連結具及びその連結方法
US7121531B1 (en) Gate with lock housing
KR200418408Y1 (ko) 울타리의 결합 구조
US7703178B2 (en) Hinge
KR101250254B1 (ko) 방화문의 힌지장치
KR20060102687A (ko) 조립 방화문
KR100485363B1 (ko) 선박용 방화도어
JP7085589B2 (ja) 建材の連結構造
JP6727090B2 (ja) Alc取付枠とその組立工法
JP7085588B2 (ja) 建材の連結構造及びその連結具
JP6624835B2 (ja) 制震ダンパー用金物、及びその制震ダンパー用金物を使用した壁構造
KR100541572B1 (ko) 지지판을 이용한 철문과 힌지의 연결구조 및 그 지지판의제조방법
JP2020169563A (ja) 建材の連結具、その連結構造及びその連結方法
KR200421490Y1 (ko) 보안형 상부 피봇힌지
JP5179117B2 (ja) 足場の壁つなぎ取付け金物
JP2020169560A (ja) 建材の連結部材及びその連結構造
JP2018003302A (ja) 門扉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