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7078Y1 - 너트가 부착된 매입용 앵커 - Google Patents

너트가 부착된 매입용 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7078Y1
KR200377078Y1 KR20-2004-0029972U KR20040029972U KR200377078Y1 KR 200377078 Y1 KR200377078 Y1 KR 200377078Y1 KR 20040029972 U KR20040029972 U KR 20040029972U KR 200377078 Y1 KR200377078 Y1 KR 2003770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anchor
bolt
socke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99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식
Original Assignee
이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식 filed Critical 이근식
Priority to KR20-2004-00299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70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70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70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6Movable inspection or maintenance platforms, e.g. travelling scaffolding or vehicles specially designed to provide access to the underside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14Elements with sockets
    • E04B1/4121Elements with sockets with internal threads or non-adjustable captive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너트가 부착된 매입용 앵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 점검통로 등의 시설물을 매달기 위해 콘크리트 구조물에 시공하는 매입용 앵커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에 매입되어 앵커 역할을 수행하는 앵커부재와; 너트 형상으로 일 측에는 상기 앵커부재가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앵커고정부를 형성하고 다른 일 측에는 너트형 나사산이 구비되어 볼트고정부를 형성하는 소켓너트와; 상기 소켓너트를 소정의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일정한 형상을 가진 판에 상기 소켓너트의 볼트고정부에 대응하여 볼트 구멍이 형성되고 거푸집에 일시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임시고정용 리벳구멍이 추가로 형성된 판부재와; 상기 판부재를 설치하고자 하는 소정의 위치에 배치한 후 연질의 리벳으로 거푸집과 판부재를 임시로 결합하는 임시고정리벳과; 상기 소켓너트의 볼트고정부 위치에 맞게 부착물을 고정하면서 조립되는 부착용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너트가 부착된 매입용 앵커를 이루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너트가 부착된 매입용 앵커{A EMBEDED ANCHOR WITH SOCKET NUT}
본 고안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시설물을 부착하고자 할 때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 구조물 중 교대나 교각 등에 점검통로 등의 시설물을 부착하고자 할 때, 콘크리트 타설전에 미리 너트가 부착된 매입용 앵커를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콘크리트가 굳은 후에 부착하고자 하는 시설물을 미리 매입된 너트에 볼트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너트가 부착된 매입용 앵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시설물을 부착하거나 고정하고자 할 때 적용하는 방법은 철근코크리트 구조물을 완성한 후 시설물을 설치하고자 하는 소정의 위치에 드릴로 천공한 후 세트 앵커나 케미컬 앵커를 매입하여 고정한 후 시설물과 함께 볼트로 조립하는 방법이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은 구조물을 완성한 후에 앵커 매입을 위한 구멍을 콘크리트에 뚫게 되므로 구조물에 손상을 주게 되고, 천공시에 콘크리트 표면 가까이에 배치된 철근과 간섭현상이 발생하여 철근이 손상되거나 원하는 위치에 맞게 천공할 수 없게 되며, 앵커이 근입깊이가 철근과의 간섭에 따라 일정하지 않고 작아질 수 있어 앵커의 허용력이 작아지고 신뢰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너트부를 형성하는 소켓너트의 일 측에는 앵커부재를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앵커고정부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는 볼트 조립을 위한 볼트고정부가 형성되어 쉽게 앵커와 볼트가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소켓너트의 앵커고정부는 볼트고정부와 동일한 단면으로 관통되어 그 내부에 너트형 나사산을 형성하여 앵커부재와 나사결합 할 수 있도록 앵커고정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소켓너트의 앵커고정부는 상기 앵커부재를 용접결합 할 수 있도록 일정 두께로 밀폐시키는 평면을 일 측 단부에 형성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앵커부재로 육각 볼트나 원형볼트 등 볼트를 이용함으로써 볼트 머리가 앵커헤드부의 역할을 하고 나사부는 소켓너트에 나사결합 함으로서 상기 소켓너트와 쉽게 결합하고 철근이 간섭될 시는 볼트를 조이거나 풀어 볼트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서 철근과의 간섭을 쉽게 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앵커부재로 웰딩스터드를 사용함으로서 상기 소켓너트에 압점용접으로 쉽게 소켓너트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소켓너트보다 작은 크기의 단면을 가지는 앵커부재가 소켓 너트에 부착되어 콘크리트 속에 배치되는 철근과의 간섭을 쉽게 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다수 개의 소켓너트를 소정의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판부재를 이용하여 다수 개의 소켓너트를 판부재에 부착한 후 다시 판부재를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형성을 위한 거푸집에 고정하여 다수 개의 소켓너트를 한꺼번에 설치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판부재에 소형의 리벳구멍을 형성하여 거푸집에 임시고정리벳으로 일시적으로 고정하게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소켓너트가 부착된 판부재를 콘크리트 타설 전에 미리 거푸집에 고정하여 구조물과 일체가 되게 함으로서 높은 신뢰성을 갖는 지지부를 형성하고 구조물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콘크리트에 매입되어 앵커 역할을 수행하는 앵커부재와; 너트 형상으로 일 측에는 상기 앵커부재가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앵커고정부를 형성하고 다른 일 측에는 너트형 나사산이 구비되어 볼트고정부를 형성하는 소켓너트와; 상기 소켓너트를 소정의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일정한 형상을 가진 판에 상기 소켓너트의 볼트고정부에 대응하여 볼트 구멍이 형성되고 거푸집에 일시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임시고정용 리벳구멍이 추가로 형성된 판부재와; 상기 판부재를 설치하고자 하는 소정의 위치에 배치한 후 연질의 리벳으로 거푸집과 판부재를 임시로 결합하는 임시고정리벳과; 상기 소켓너트의 볼트고정부 위치에 맞게 부착물을 고정하면서 조립되는 부착용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너트가 부착된 매입용 앵커를 이루도록 한 것이다.
상기 앵커부재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육각 볼트나 원형 볼트를 이용한 볼트 타입과 웰딩 스터드를 이용한 스터드 타입을 사용할 수 있는데 볼트 타입의 경우는 볼트 머리가 볼트의 몸통부 단면보다 크게 형성되어져 있어 앵커부재의 앵커헤드로 이용할 수 있고 그 반대측의 끝부분에 형성된 나사산으로는 소켓너트와 쉽게 나사결합 할 수 있는 앵커결합부를 갖는 장점이 있다. 스터드 타입은 그 자체가 한 쪽 끝 부분에 앵커헤드가 형성되어져 있고 그 반대측 끝부분은 압점용접을 할 수 있는 용접부가 형성되어 있어 소켓너트와 쉽게 용점결합 할 수 있다.
상기 소켓너트는 일반적인 너트 형상을 한 연결너트 타입이나 한 쪽이 밀폐된 너트 형상의 타입이 적용될 수 있는데 양자 모두 일반적인 너트 보다는 2배 이상 긴 것이 특징이다. 연결너트 타입의 소켓너트는 일 측에는 상기 볼트 타입의 앵커부재와 나사 결합 하여 앵커부재가 고정되고 다른 일 측에는 차후에 부착될 시설물이 부착용볼트와 함께 결합되는 것이다. 한 쪽이 밀폐된 너트 형상 타입의 소켓너트는 일 측에는 상기 웰딩스터드 타입의 앵커부재가 압점용점으로 부착되고 다른 일 측에는 차후에 부착될 시설물이 부착용볼트와 함께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앵커부재의 단면 크기는 상기 소켓너트의 단면 크기보다 작게 형성하는데 이는 콘크리트 속에 배치되는 철근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철근이 배치되는 부분에는 작은 단면을 가진 앵커부재가 유리함에 기인하는 것이며, 상기 볼트 타입 앵커부재의 단면 크기가 차후에 부착되는 부착용볼트의 단면과 그 크기가 동일하면 단면의 허용력을 고려할 때 구조역학적으로 충분하기 때문이다.
상기 판부재는 상기 소켓너트를 다수개 부착한 후 시설물이 부착될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소켓너트의 볼트고정부에 대응하여 볼트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볼트구멍이 형성되고, 또한 이 판부재를 거푸집에 임시로 고정하기 위한 리벳구멍이 형성되는데 이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는 동안 판부재가 소정의 위치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임시고정리벳은 상기 판부재를 설치하고자 하는 소정의 위치에 배치하여 거푸집에 밀착한 후 거푸집에 리벳구멍을 뚫고 리벳으로 고정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때 사용하는 리벳의 재질은 알루미늄 등과 같이 연질의 리벳을 적용하여 거푸집 해체시에 드릴로 쉽게 리벳을 해체할 수 있도록 하며, 거푸집의 내측에는 철근이 배근되어 작업자가 쉽게 접근할 수 없는 것을 감안하여 한 쪽에서 리벳 작업이 가능한 브라이드 리벳을 적용하도록 한다.
상기 부착용볼트는 상기의 너트가 부착된 매입용 앵커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과 함게 완성된 후 시설물을 부착하고자 하는 위치에 배치한 후 소켓너트에 나사결합하여 조립하게 되며 이로서 본 고안에 따른 시설물의 부착이 완료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인 너트가 부착된 매입용 앵커의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의 도시에 의하여,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 시설물을 부착하고자 할 때 적용이 가능한 너트가 부착된 매입용 앵커에 있어서, 콘크리트에 매입되어 앵커 역할을 수행하는 앵커부재(100)와 너트 형상으로 일 측에는 상기 앵커부재(100)가 부착되도록 하는 앵커고정부(210)를 형성하고 다른 일 측에는 볼트가 고정 될 수 있도록 너트형 나사산이 형성되는 볼트고정부(220)를 형성하는 소켓너트(200)와 상기 소켓너트(200)를 소정의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일정한 형상의 판에 상기 소켓너트(200)의 볼트고정부(220)에 대응하여 볼트구멍(320)이 형성되고 거푸집에 일시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임시고정용 리벳구멍(310)이 형성된 판부재(300)와 상기 판부재(300)를 설치하고자 하는 소정의 위치에 배치한 후 연질의 리벳으로 거푸집과 판부재를 임시로 결합하는 임시고정리벳(400)과 상기 소켓너트(200)의 볼트고정부(220) 위치에 맞게 부착물을 고정하면서 조립되는 부착용볼트(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너트가 부착된 매입용 앵커를 이루도록 한 것이다.
상기 앵커부재(100)는 기 공지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육각 볼트나 원형 볼트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통상적으로 볼트 머리의 단면은 볼트 몸통부의 단면보다 크게 형성되어져 있어 앵커부재(100)에서 앵커헤드(11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그 반대측의 끝부분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져 앵커결합부(120)를 형성하여 소켓너트(200)와 쉽게 나사결합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소켓너트(200) 일반적인 너트 형상을 한 것이나 그 길이는 일반적인 너트보다 2배 이상 길어 양 측에서 볼트가 안전하고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 것인데, 소켓너트(200)의 일 측에는 상기 앵커부재(100)의 앵커결합부(120)가 나사로 연결되어 조립되고 다른 일 측은 상기 판부재(300)에 용접되어 고정되며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완성 후에 부착되는 시설물을 고정하는 부착용볼트(500)가 연결되어 조립되게 된다.
상기 판부재(300)는 상기 소켓너트(200)를 다수개 부착할 수 있도록 일정한 형상과 넓이를 가진 판으로 형성되며 소켓너트(200)의 볼트고정부(220)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차후에 조립되는 부착용볼트(500)가 통과할 수 있는 볼트구멍(320)이 형서되고, 또한 이 판부재(300)를 거푸집에 임시로 고정하기 위한 소형의 리벳구멍(310)이 다수 개 추가로 형성되어 이루어 진다.
상기 임시고정리벳(400)은 상기 판부재(300)를 설치하고자 하는 소정의 위치에 배치하여 거푸집에 밀착한 후 거푸집에 리벳구멍(310)을 뚫고 임시고정리벳(400)으로 고정하는 것이며 리벳의 재질은 알루미늄과 같은 연질의 리벳을 적용하여 거푸집 해체시에 드릴로 쉽게 리벳을 해체할 수 있도록 하며, 거푸집의 내측에는 철근이 배근되어 작업자가 쉽게 접근할 수 없는 것을 감안하여 한 쪽에서 리벳 작업이 가능한 브라이드 리벳을 적용하도록 한다.
상기 부착용볼트(500)는 통상적인 육각볼트나 원형볼트 등을 사용하며 상기 소켓너트(200)의 볼트고정부(220)와 결합할 수 있는 규격을 적용하여 매입용 앵커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과 함게 완성된 후 시설물을 부착하고자 하는 위치에 배치한 후 소켓너트(200)에 나사결합하여 조립하게 된다.
도 6 내지 도 8은 너트가 부착된 매입용 앵커에 관한 제 2의 실시예로 상기 앵커부재(100)로는 웰딩스터드를 적용하고, 상기 소켓너트(200)로는 일반적인 너트형상의 일 측 단부에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외측 표면은 평면을 형성하며 밀폐시키는 앵커고정부(210)를 형성하여 상기 웰딩스터드가 쉽게 압점용점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앵커부재(100)로 사용되는 웰딩스터드는 기 공지된 바와 같이 일 측 단부는 앵커헤드(110)가 형성되어 있고 다른 단부에는 압점용점을 할 수 있도록 용접부가 형성되어 앵커결합부(120)가 있으며, 그 규격이 다양하여 소켓너트(200)의 단면에 맞는 규격을 쉽게 구할 수 있어 본 고안에서 이루고자 하는 앵커부재(100)로서의 기능을 쉽게 이룰 수 있다.
상기 소켓너트(200)로 사용되는 일 측이 밀폐된 너트는 일반적인 너트 형상의 일 측 단부를 밀폐시키고 밀폐된 외측 표면은 평면으로 형성하며 웰딩스터드가 쉽게 압점용점 될 수 있는 앵커고정부(210)를 형성하며, 다른 단부는 너트형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부착용볼트(500)가 쉽게 나사결합 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부착용볼트(500)가 형성된 단부는 상기 판부재(300)에 고정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너트가 부착된 매입용 앵커의 효과로는,
콘크리트 타설전에 미리 콘크리트 속에 매입되어 콘크리트 구조물과 일체로 형성되므로 견고하고 신뢰성 높은 앵커부를 간단한 방법으로 정밀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앵커부재(100)의 단면이 상기 소켓너트(200)의 단면보다 작게 적용할 수 있고 상기 앵커부재(100)로 볼트를 적용할 경우 볼트를 조이거나 풀어 길이를 조절할 수도 있어 쉽게 철근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앵커부재(100)로는 육각볼트 또는 원형볼트 또는 웨딩스터드를 적용하여 높은 강도를 갖는 앵커부를 형성할 수 있고, 시중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어 제작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켓너트(200)로는 연결너트나 원형의 소켓을 적용하여 높은 강도를 갖는 연결부를 양측 단부에 형성하며, 시중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어 자재 제작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앵커부재(100)와 하중을 전달하는 부착용볼트(500)가 소켓너트(200)를 통하여 직접 연결됨으로서 하중경로가 단순하여 앵커부의 신뢰성이 높다.
또한, 상기 앵커부재(100)와 부착용볼트(500)가 소켓너트(200)를 통하여 직접 연결됨으로서 상기 판부재(300)가 앵커를 고정하는 역할만 하며 하중은 전달하지 않아 얇은 판을 적용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다.
또한, 상기 임시고정리벳(400)는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동안 상기 판부재를 임시로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므로 매우 작은 단면을 적용할 수 있어 거푸집의 손상을 최소화 하며 정밀한 시공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임시고정리벳(400)은 브라인드 리벳을 적용하여 통상적인 볼트체결 작업과 달리 작업자가 거푸집의 한 쪽에서 체결작업과 해체작업이 가능하여 시공을 쉽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의 너트가 부착된 매입용 앵커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의 너트가 부착된 매입용 앵커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의 앵커부재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의 소켓너트의 측단면도 및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의 판부재의 정면도,
도 6는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의 너트가 부착된 매입용 앵커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의 앵커부재의 측단면도,
도 8는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의 소켓너트의 측단면도 및 정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의 시공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앵커부재 110: 앵커헤드
120: 앵커결합부 200: 소켓너트
210: 앵커고정부 220: 볼트고정부
300: 판부재 310: 리벳구멍
320: 볼트구멍 400: 임시고정리벳
500: 부착용볼트

Claims (5)

  1.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 시설물을 매달기 위해 시공하는 매입용 앵커에 있어서,
    일 측의 단부에는 앵커헤드가 형성되고 다른 단부는 소켓너트에 고정되는 앵커부재와, 상기 앵커부재와 일 측 단부가 결합되고 다른 단부는 너트형 나사산이 형성되어 볼트고정부를 형성하는 소켓너트와, 상기 소켓너트 다수 개가 부착되며 소정의 형상과 넓이를 갖는 판부재와, 상기 판부재를 거푸집에 일시적으로 고정하는 임시고정리벳, 상기 소켓너트의 볼트고정부 위치에 맞게 부착물을 고정하면서 조립되는 부착용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가 부착된 매입용 앵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재는 볼트머리를 갖는 통상의 육각볼트나 원형볼트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며, 이에 대응하여 결합하는 소켓너트는 통상의 육각너트나 원형너트가 길게 늘어난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 측의 너트부에는 앵커부재가 나사결합되고 다른 일측의 너트부에는 부착용볼트가 나사결합되는 볼트고정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가 부착된 매입용 앵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재는 일 측에는 앵커헤드를 갖고 다른 일 측에는 압점용접을 하도록 용접부가 형성된 통상의 웰딩스터드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며, 이에 대응하여 결합하는 소켓너트는 통상의 육각너트나 원형너트의 일 측 단부가 일정 두께로 밀폐되어 이루어져 상기 웰딩스터드가 압점용접되며 다른 일측의 너트부에는 부착용볼트가 나사결합되는 볼트고정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가 부착된 매입용 앵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부재는 상기 소켓너트의 볼트고정부에 대응하여 볼트구멍이 형성되며 임시고정용 리벳구멍을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가 부착된 매입용 앵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고정리벳은 거푸집의 한 쪽 측면에서 리벳 체결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브라인드 리벳임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가 부착된 매입용 앵커.
KR20-2004-0029972U 2004-10-23 2004-10-23 너트가 부착된 매입용 앵커 KR2003770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9972U KR200377078Y1 (ko) 2004-10-23 2004-10-23 너트가 부착된 매입용 앵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9972U KR200377078Y1 (ko) 2004-10-23 2004-10-23 너트가 부착된 매입용 앵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5085A Division KR100707685B1 (ko) 2004-10-23 2004-10-23 너트가 부착된 매입용 앵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7078Y1 true KR200377078Y1 (ko) 2005-03-11

Family

ID=43678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9972U KR200377078Y1 (ko) 2004-10-23 2004-10-23 너트가 부착된 매입용 앵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707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025B1 (ko) * 2005-11-09 2007-03-29 주식회사 에스코테크놀로지 교좌 지지구
KR101053644B1 (ko) 2009-05-21 2011-08-02 (주)건정 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합벽 거푸집
KR101636407B1 (ko) * 2015-07-31 2016-07-05 (주)바로건설 벽돌 현가 시공용 매립브라켓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조적방법
KR20190038986A (ko) * 2018-06-18 2019-04-10 주식회사 신원알피씨 시설물 설치를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기초 앵커 설치용 자력식 지그 및 그 지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025B1 (ko) * 2005-11-09 2007-03-29 주식회사 에스코테크놀로지 교좌 지지구
KR101053644B1 (ko) 2009-05-21 2011-08-02 (주)건정 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합벽 거푸집
KR101636407B1 (ko) * 2015-07-31 2016-07-05 (주)바로건설 벽돌 현가 시공용 매립브라켓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조적방법
KR20190038986A (ko) * 2018-06-18 2019-04-10 주식회사 신원알피씨 시설물 설치를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기초 앵커 설치용 자력식 지그 및 그 지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KR102108417B1 (ko) * 2018-06-18 2020-05-11 주식회사 신원알피씨 시설물 설치를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기초 앵커 설치용 자력식 지그 및 그 지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7685B1 (ko) 너트가 부착된 매입용 앵커
KR20100037696A (ko) 매입형 앵커 및 그 설치방법
JP6202448B2 (ja) インサートアンカーボルトの取付治具
KR200377078Y1 (ko) 너트가 부착된 매입용 앵커
JP3771105B2 (ja) コンクリート棒状構造体の補強器具および補強方法
KR100620253B1 (ko) 거푸집설치용 거푸집판넬 및 그 제조방법
JP3022514B1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への板体の取り付け方法
US8087211B2 (en) Composite anchor bolt and method for installation
JP5711035B2 (ja) アンカー及びアンカーの固定方法
JP2000240196A (ja) 鋼板コンクリート構造のタイバー取付方法およびタイバー
JP3822880B2 (ja) 鋼管構造物の補強部材集合体
KR200415020Y1 (ko) 거푸집판넬의 연결조립구
JPH07127142A (ja) 閉鎖型断面を備えた鉄骨材の接合構造と接合方法
JP5207070B2 (ja) 被接合部材のコンクリート構造物への接合構造
KR100306028B1 (ko) 강관말뚝 머리부와 콘크리트 기초의 결합구조
JP2007510110A (ja) 締結要素
KR20140063339A (ko) 신·구 콘크리트 접합용 전단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신·구 콘크리트 접합방법
JP2005257045A (ja) アンカー及びアンカーの施工方法
JPH10195810A (ja) コンクリート舗装用ソケット付きタイバー
JPH04327624A (ja) あと施工アンカーの定着方法
JPH0337609B2 (ko)
JPH0721681Y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梁の連結部構造
KR101087258B1 (ko) 앵커볼트 및 콘크리트 보수 보강용 패널
JP3828005B2 (ja) 削孔芯出し治具及び削孔芯出し治具を用いた削孔方法
JP5362532B2 (ja) 法面保護工の補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18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