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6819Y1 - 냉·난방기의 토출구커버 - Google Patents

냉·난방기의 토출구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6819Y1
KR200376819Y1 KR20-2004-0035142U KR20040035142U KR200376819Y1 KR 200376819 Y1 KR200376819 Y1 KR 200376819Y1 KR 20040035142 U KR20040035142 U KR 20040035142U KR 200376819 Y1 KR200376819 Y1 KR 2003768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discharge hole
fragrance
air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51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형택
Original Assignee
송형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형택 filed Critical 송형택
Priority to KR20-2004-00351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68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68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68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난방기용 토출구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냉·난방기(H)의 토출구(G)에 걸어지는 브라켓(11)과, 냉·난방기(H) 내부에서 가열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공(12)이 형성된 커버본체(10); 커버본체(10)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방향제부(40)가 수납되며 바닥으로 다수개의 수납부통공(22)이 형성된 수납부(20); 수납부(20)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그 수납부(20)를 개폐하는 것으로서, 방향제부(40)로부터 발산되는 방향제향이 토출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제1서브토출공(32)이 형성된 뚜껑(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난방기의 토출구커버{A HOLE COVER OF COOLING AND HEATING SYSTEM}
본 고안은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가 토출되는 냉·난방기의 토출구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방향제부가 일체화된 냉·난방기의 토출구커버에 관한 것이다.
난방을 하는 난방기의 종류는 다양한데, 예를 들면 라디에이터, 온풍기, 캐비닛히터, 전기히터, 가스히터등이 있으며, 이중 공기를 데워서 난방하는 난방기로는 라디에이터와 온풍기가 있다. 이러한 라디에이터나 온풍기와 같은 난방기는 열매체가 흐르는 열교환기나 연소가 이루어지는 연소기를 구비하며, 공기는 열교환기나 연소기를 경유하면서 가열된 후 토출구를 통하여 토출됨으로써 난방기 주위를 난방하게 된다. 또한 냉방기의 종류도 냉풍기, 에어콘 등 여러가지가 있으며, 공기가 열교환기를 경유하여 냉각된 후 토출구를 통하여 토출됨으로써 실내를 냉방하게 된다.
이때,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에는 손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토출구커버가 장착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냉·난방기는 밀폐된 공간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공기는 냉·난방기를 순환하면서 재가열 또는 냉각시키게 되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냄새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냄새는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유발하고, 더욱 심한 경우에는 고통을 수반하기도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냉·난방기의 토출구에 설치되고 방향제부가 내장되어, 공기중의 냄새를 제거하는 냉·난방기용 토출구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냉·난방기용 토출구커버는, 냉·난방기(H)의 토출구(G)에 걸어지는 브라켓(11)과, 상기 냉·난방기(H) 내부에서 가열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공(12)이 형성된 커버본체(10); 상기 커버본체(10)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방향제부(40)가 수납되며 바닥으로 다수개의 수납부통공(22)이 형성된 수납부(20); 상기 수납부(20)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그 수납부(20)를 개폐하는 것으로서, 상기 방향제부(40)로부터 발산되는 방향제향이 토출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제1서브토출공(32)이 형성된 뚜껑(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뚜껑(30)에는 상기 제1서브토출공(32)을 통하여 토출되는 방향제향의 양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제1서브토출공(32)의 면적을 가변시키는 가변부재(35)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뚜껑(30)에 있어서, 상기 제1서브토출공(32)의 중앙에 제1관통공(30a)이, 그리고 상기 제1서브토출공(32)의 외주측에 원호홈(33)이 형성되고; 상기 가변부재(35)에 있어서 상기 제1관통공(30a)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제2관통공(35a)이 형성되고, 상기 제2관통공(35a)의 주위에는 상기 제1서브토출공(32)과 동일한 형상의 제2서브토출공(37)이 형성되며, 가장자리에는 상기 원호홈(33)을 관통하여 상기 뚜껑(30)의 상부로 돌출되는 손잡이(38);가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냉·난방기용 토출구커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토출구커버가 냉·난방기의 토출구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토출구커버가 냉·난방 시설이 되어 있는 실내바닥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a 및 1b의 토출구커버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있어서, 방향제향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가변부재 구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냉·난방기용 토출구커버(1)는, 냉·난방기(H)의 토출구(G)에 설치되는 커버본체(10)와, 커버본체(10)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방향제부(40)가 수납되며 바닥으로 다수개의 수납부통공(22)이 형성된 수납부(20)와, 수납부(20)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그 수납부(20)를 개폐하는 뚜껑(30)을 포함한다. 방향제부(40) 내부에는 다수개의 방향제가 고형 형태 또는 액상 형태로 수납되어 있다.
상기 토출구커버(1)는 냉·난방 시설이 되어 있는 실내 마루바닥 또는 천정에 냉·난방의 토출구(G)가 설치된 곳에도 설치가능하다.
커버본체(10)에는 냉·난방기(H)의 토출구(G)에 걸어질 수 있도록 브라켓(1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커버본체(10)에는 냉·난방기(H) 내부에서 가열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공(12)이 형성되어 있다.
수납부(20)는 커버본체(10)의 대략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방향제부(40)가 수납될 수 있도록 움푹 패어진 형상을 가진다. 수납부(20) 바닥에는, 가열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수납부통공(22)이 형성되어 있다.
뚜껑(30)은 수납부(20)의 일측에 설치되어 그 수납부(20)를 개폐한다. 이때, 뚜껑(30)에는 방향제부(40)로부터 발산되는 방향제향이 토출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제1서브토출공(32)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1서브토출공(32)을 통하여 토출되는 방향제향의 양을 조절하기 위하여, 제1서브토출공(32)의 면적을 가변시키는 가변부재(35)를 설치할 수 있다. 가변부재(35)는 뚜껑(30)의 하부면에 설치되어서 제1서브토출공(32)의 면적을 가변시킨다.
가변부재(35)가 뚜껑(30)에 설치되는 구조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뚜껑(30)의 소정부, 여기서는 다수개의 제1서브토출공(32)의 중앙 위치에 제1관통공(30a)이, 그리고 제1서브토출공(32)의 외주측에 원호홈(33)이 형성된다.
가변부재(35)의 대략 중심에는 제1관통공(30a)에 대응되는 제2관통공(35a)이 형성되고, 제2관통공(35a)의 주위에는 제1서브토출공(32)과 동일한 형상의 제2서브토출공(37)이 형성된다. 또한, 가변부재(35)의 가장자리에는 원호홈(33)을 관통하여 뚜껑(30)의 상부로 돌출되는 손잡이(38)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가변부재(35)는 전체적으로 원판 형상이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여, 가변부재(35)를 뚜껑(30)의 하단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힌지부재(34)를 제2관통공(35a)과 제1관통공(30a)을 관통시킴으로써, 가변부재(35)는 뚜껑(3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원호홈(33)을 통하여 뚜껑(30)의 상부로 돌출된 손잡이(38)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제1서브토출공(32)과 제2서브토출공(37)이 상호 일치하거나 어긋남으로써, 결과적으로 방향제향이 토출되는 토출공의 면적이 변하게 된다. 따라서, 제1서브토출공(32)과 제2서브토출공(37)을 통하여 토출되는 방향제향의 양이 가변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가변부재(35)는 뚜껑(30)에 대하여 회전되는 구조로 설명되었으나, 가변부재가 뚜껑에 대하여 슬라이딩 결합되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방향제향이 토출되는 서브토출공의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면,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냉·난방기용 토출구커버에 따르면, 방향제부가 내장됨으로써 냉·난방기에 의하여 토출되는 공기중의 냄새가 중화된다. 또한, 뚜껑에 가변부재를 설치할 경우, 발생되는 방향제향의 양을 조절할 수 있어 보다 쾌적한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토출구커버가 냉·난방기의 토출구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토출구커버가 냉·난방 시설이 되어 있는 실내바닥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a 및 1b의 토출구커버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있어서, 방향제향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가변부재 구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토출구커버 10 ... 커버본체
11 ... 브라켓 12 ... 토출공
20 ... 수납부 22 ... 수납부통공
30 ... 뚜껑 30a ... 제1관통공
32 ... 제1서브토출공 33 ... 원호홈
35 ... 가변부재 35a ... 제2관통공
37 ... 제2서브토출공 38 ... 손잡이
40 ... 방향제부

Claims (4)

  1. 냉·난방기(H)의 토출구(G)에 걸어지는 브라켓(11)과, 상기 냉·난방기(H) 내부에서 가열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공(12)이 형성된 커버본체(10);
    상기 커버본체(10)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방향제부(40)가 수납되며 바닥으로 다수개의 수납부통공(22)이 형성된 수납부(20);
    상기 수납부(20)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그 수납부(20)를 개폐하는 것으로서, 상기 방향제부(40)로부터 발산되는 방향제향이 토출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제1서브토출공(32)이 형성된 뚜껑(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기용 토출구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30)에는 상기 제1서브토출공(32)을 통하여 토출되는 방향제향의 양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제1서브토출공(32)의 면적을 가변시키는 가변부재(35)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기용 토출구커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30)에 있어서 상기 제1서브토출공(32)의 중앙에 제1관통공(30a)이, 그리고 상기 제1서브토출공(32)의 외주측에 원호홈(33)이 형성되고;
    상기 가변부재(35)에 있어서 상기 제1관통공(30a)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제2관통공(35a)이 형성되고, 상기 제2관통공(35a)의 주위에는 상기 제1서브토출공(32)과 동일한 형상의 제2서브토출공(37)이 형성되며, 가장자리에는 상기 원호홈(33)을 관통하여 상기 뚜껑(30)의 상부로 돌출되는 손잡이(3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기용 토출구커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G)는 냉·난방 시설이 되어 있는 실내의 마루바닥 또는 천정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기용 토출구커버.
KR20-2004-0035142U 2004-12-10 2004-12-10 냉·난방기의 토출구커버 KR2003768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142U KR200376819Y1 (ko) 2004-12-10 2004-12-10 냉·난방기의 토출구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142U KR200376819Y1 (ko) 2004-12-10 2004-12-10 냉·난방기의 토출구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6819Y1 true KR200376819Y1 (ko) 2005-03-14

Family

ID=43678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5142U KR200376819Y1 (ko) 2004-12-10 2004-12-10 냉·난방기의 토출구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681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795B1 (ko) * 2007-10-12 2008-05-30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원적외선 방사 헤드라이너
KR101826360B1 (ko) * 2011-12-02 2018-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795B1 (ko) * 2007-10-12 2008-05-30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원적외선 방사 헤드라이너
KR101826360B1 (ko) * 2011-12-02 2018-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41707A (en) Scent dispensing air register
KR100885556B1 (ko) 공기 조화기
KR100802632B1 (ko) 냉난방 수면장치
KR200376819Y1 (ko) 냉·난방기의 토출구커버
US20160302327A1 (en) Electronic equipment with double cooling
KR20120025172A (ko) 선풍기용 냉각장치
KR100381160B1 (ko) 공기조화기
JPH0233064Y2 (ko)
SK11682003A3 (sk) Veko na rozvod vzduchu z konvektora
JPH0533874Y2 (ko)
KR100854152B1 (ko) 공기조화시스템
JP3031087U (ja) 車両空調装置用の付属構造
KR20070038353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JP2008014556A (ja) 放射冷暖房装置
CN216702421U (zh) 浴室柜
CN217031381U (zh) 空调器
JP7322310B1 (ja) 冷却保湿盆状体、冷却保湿器具、冷却保湿飼育ケース、及び冷却保湿飼育ケースを用いた昆虫の飼育方法。
JPH07294090A (ja) 冷蔵庫
JPH0233070Y2 (ko)
CN116336557A (zh) 空调器
CN205807769U (zh) 一种用于空调的ptc加热组件及空调系统
JPH04217733A (ja) 空気調和機
KR101295917B1 (ko) 업소용 바닥 냉풍 공급장치
JP3541103B2 (ja) 温調庫機器
CN115435375A (zh) 取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