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5835Y1 - 저장용기 - Google Patents

저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5835Y1
KR200375835Y1 KR20-2004-0032927U KR20040032927U KR200375835Y1 KR 200375835 Y1 KR200375835 Y1 KR 200375835Y1 KR 20040032927 U KR20040032927 U KR 20040032927U KR 200375835 Y1 KR200375835 Y1 KR 2003758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inlet
cap
lid
inn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29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요진코스메플라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요진코스메플라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요진코스메플라스트
Priority to KR20-2004-00329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58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58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58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품을 보관하기 위한 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용기의 입구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입구부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 내캡과, 상기 내캡과 고정 결합되는 외캡으로 구성되며, 상기 내캡의 상면은 상기 용기의 입구부에 삽입되도록 하부를 향해 돌출된 마개가 형성되어 이루어져, 상기 용기와 뚜껑을 체결하면 상기 마개가 상기 용기의 입구부에 삽입되어 상기 입구부를 완전히 밀폐시켜 상기 용기의 내부에 저장된 화장품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저장용기{STORAGE CONTAINER}
본 고안은 화장품을 보관하기 위한 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장품이 저장되는 용기의 입구부를 개폐하는 뚜껑이 이중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의 입구부와 체결시 견고하게 결합되고 이로인해 화장품의 누출을 방지하여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성들의 피부화장을 위해 사용되는 화장품은 액체, 분말, 크림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상기 화장품은 대체적으로 딱딱한 재질의 합성수지나 유리재질 또는 유연한 성질의 튜브로 이루어진 실린더 형태의 용기에 저장되고 이러한 용기류들은 대체적으로 상부의 입구부가 몸체에 비해 좁은 형태로 구비되어 있으면서 상기 입구부를 뚜껑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용기의 뚜껑은 대부분 용기의 기밀성 또는 밀폐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뚜껑을 나사식으로 개폐토록 구성한 것이 보편적이고, 또는 상기 뚜껑을 억지끼움식으로 개폐토록 하는 개선된 용기뚜껑의 구성도 알려져 사용되고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화장품 용기는 용기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된 뚜껑의 구조에 의해 사용자의 의도와는 관계없이 외부로 배출되어져 내용물의 낭비는 물론 주변 환경을 더럽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이 보완하기 위하여 뚜껑과 용기의 기밀성을 증대시킬 필요가 있었으며 일예로 첨부된 도 6에 도시된 화장품 용기가 있다.
상기 화장품 용기는 입구부(112)에 나사산(113)이 형성된 용기(110)와, 상기 입구부(112)와 나사결합되는 뚜껑(12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뚜껑(120)은 상기 입구부(112)의 나사결합되는 외측뚜껑(121)과 상기 외측뚜껑(121)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입구부(112)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입구부(112)를 개폐하는 내측뚜껑(122)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상기 뚜껑(120)의 결합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외측뚜껑(121)의 상면 저면에는 원형의 결합부(123)가 하부를 향해 돌출되어 있고, 내측뚜껑(122)은 원형의 관체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123)의 내부로 억지끼움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외측뚜껑(121)과 일체가 된 후 상기 용기(110)와 결합될 때는 상기 외측뚜껑(121)을 상기 입구부(112)와 나사결합 시키면서 상기 내측뚜껑(122)을 상기 입구부(112)에 삽입하여 상기 용기(110)를 밀폐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 화장품 용기(1)는 상기 용기(110)의 입구부(112) 내경과 상기 내측뚜껑(122)의 외경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뚜껑(120)의 분리 또는 결합 시 상기 내측뚜껑(122)이 외측뚜껑(121)과 분리될 우려가 있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용기(110)의 내부에 저장된 화장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용기의 입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뚜껑이 외캡과 내캡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진 이중구조이며 특히 상기 내캡의 상면이 하부를 향하여 돌출형성되어 상기 입구부의 개폐시 상기 상면자체가 상기 입구부에 삽입 또는 분리된 구조를 가져서 용기의 밀폐력 및 기밀성은 향상시키고 분리도 용이한 저장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입구부에 체결되어 상기 내용물을 보호하는 뚜껑으로 구성된 저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입구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입구부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 내캡과; 상기 내캡과 고정 결합되는 외캡으로 구성되며, 상기 내캡의 상면은 상기 용기의 입구부(12)에 삽입되도록 하부를 향해 돌출된 마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상기 용기의 입구부 외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의 끝단 길이방향 하부로는 돌기형태의 스토퍼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내캡의 내주면에는 상기 나사부에 대응하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캡의 내주면에는 상기 스토퍼에 걸리도록 돌기형태의 스토퍼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상기 마개는 상기 입구부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측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상기 내캡의 외주면 둘레에는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외캡의 내주면 둘레에는 끼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하, 상기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본 고안에 따른 저장용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장용기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저장용기는 용기(1)와 뚜껑(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용기(1)는 화장품을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된 사각의 관체로 형성된 몸체(11)와, 상기 몸체(11)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부로 연장되어 화장품이 배출되도록 횡단면이 원형태를 가지는 입구부(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입구부(12)의 외주면에는 상기 뚜껑(2)이 결합되도록 나사산 형태의 나사부(1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입구부(12)의 외주면 둘레를 감도록 형성된 나사산 끝단부의 길이방향 하부로는 일자형의 스토퍼(14)가 연장 형성되어 상기 뚜껑(2)이 상기 입구부(12)에 완전히 체결되었을 때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잠금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용기(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딱딱한 성질을 가지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에틸렌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튜브를 사용하여 외부에서 압력을 가하면 형태변화가 이루어져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도 있다.
상기 뚜껑(2)은 상기 용기(1)의 입구부(12)와 결합 또는 분리되어 상기 입구부(12)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입구부(12)와 결합되는 내캡(23)과 상기 내캡(23)을 보호하고 고정하기 위한 외캡(21)으로 구성된다.
상기 내캡(23)의 외형은 하부가 개방된 사각의 관체로 형성되고 그 내부는 상기 입구부(12)가 삽입 결합되도록 상기 입구부(12)의 외주면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그 내주면 둘레에는 상기 입구부(12)와 결합되도록 상기 입구부(12)에 형성된 나사부(13)에 대응되는 형태의 나사부(25)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캡(23)의 내주면 둘레를 감도록 형성된 나사부(25) 끝단부의 길이방향 하부로는 돌기형태의 스토퍼(26)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내캡(23)이 상기 입구부(12)에 완전히 체결되었을 때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잠금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내캡(23)의 외주면 둘레에는 후술되는 외캡(21)의 끼움홈(22)에 결합되도록 끼움돌기(24)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내캡(23)의 상면은 상기 내캡(23)이 상기 입구부(12)와 결합되었을 때 상기 입구부(12)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부를 향해 돌출형성되어 있다.(이하 상기 하부를 향해 돌출된 상면을 마개(27)라 칭한다.)
상기 마개(27)는 상기 입구부(12)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용기(1)의 내부에 저장된 화장품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그 측면(28)이 상기 입구부(12)의 내주면과 동일한 둘레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마개(27)의 측면(28)에서 저면(29)으로 연장되는 모서리부분은 경사를 가지도록 절단된 절단부(30)가 형성되어 상기 마개(27)가 상기 입구부(12)에 삽입될 때 상기 절단부(30)에 의해 용이하게 삽입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개(27)의 측면(28) 자체는 하부로 갈수록 좁은 둘레를 가지도록 경사면(31)으로 형성되어 상기 입구부(12)에 삽입시 상기 입구부(12)와의 접촉면적이 작아 상기 입구부(12)와 결합 또는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외캡(21)은 상기 내캡(23)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내캡(23)을 고정시키고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내캡(23)이 삽입되도록 사각의 관체로 형성되고 그 내주면 둘레에는 상기 내캡(23)에 형성된 끼움돌기(24)에 대응하는 끼움홈(22)이 형성되어 상기 내캡(23)을 외캡(21)에 삽입하면 상기 끼움돌기(24)가 끼움홈(22)에 고정삽입되어 상기 내캡(23)과 외캡(21)은 일체가 된다. 이때 상기 내캡(23)과 외캡(21)은 가열, 접착 등 다양한 접합방법에 의해 결합되어 견고하게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캡(23)과 외캡(21)이 결합되어 일체화된 뚜껑(2)을 용기(1)에 결합 또는 분리함으로써 저장용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내캡(23)과 외캡(21)은 합성수지로 성형되며 상기 외캡(21)은 내캡(23)에 비해 단단하게 형성되고 상기 내캡(23)은 유연하게 형성되어 탄성을 가지므로 상기 내캡(23)은 외부의 힘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
상기 뚜껑(2)을 상기 용기(1)에 결합시킬 때는 상기 뚜껑(2)을 입구부(12)의 상부와 접촉시키고 상기 뚜껑(2)의 내캡(23)에 형성된 나사부(25)와 상기 입구부(12)에 형성된 나사부(13)를 결합시켜 상기 뚜껑(2)을 하강시키면서 상기 내캡(23)의 외부에 고정된 외캡(21)에 압력을 가하면 상기 내캡(23)의 마개(27)가 상기 입구부(12)로 삽입되어 상기 용기(1)의 입구부(12)를 밀폐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마개(27)의 측면(28) 하부는 절단부가 형성되어 상기 입구부(12)에 삽입될 때 상기 절단부에 의해 상기 마개(27)가 용이하게 상기 입구부(12)의 내부로 삽입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뚜껑(2)과 입구부(12)의 나사결합이 완료되면 상기 내캡(23)의 내주면에 형성된 스토퍼(26)가 상기 입구부(12)의 스토퍼(14)와 결합되어 상기 뚜껑(2)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반면, 상기 뚜껑(2)을 상기 용기(1)에서 분리시킬 때는 상기 뚜껑(2)을 회전시켜 상기 입구부(12)와의 나사결합을 해지시키면 상기 뚜껑(2)이 입구부(12)의 상부로 상승하면서 상기 입구부(12)에 삽입되어 있던 상기 마개(27)가 상기 입구부(12)에서 인출됨으로써 상기 용기(1)의 입구부(12)가 개방되어 상기 용기(1)의 내부에 저장된 화장품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저장용기는 상기 용기의 입구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입구부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 내캡과, 상기 내캡과 고정 결합되는 외캡으로 구성되며, 상기 내캡의 상면은 상기 용기의 입구부에 삽입되도록 하부를 향해 돌출된 마개가 형성되어 이루어져, 상기 용기와 뚜껑을 체결하면 상기 마개가 상기 용기의 입구부에 삽입되어 상기 입구부를 완전히 밀폐시켜 상기 용기의 내부에 저장된 화장품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었고, 또한 상기 외캡과 내캡은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이므로 상기 뚜껑과 용기의 결합 또는 분리가 간편하게 이루어졌다.
또한, 상기 용기의 입구부에 삽입되는 마개의 측면이 하부를 향해 좁은 직경을 가지도록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입구부와 접촉면적이 작아 상기 용기와 결합 또는 분리가 더욱 간편하게 이루어졌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저장용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내캡의 A-A선 단면도,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저장용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저장용기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저장용기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6은 종래의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기 2 : 뚜껑
11: 몸체 12 : 입구부
13 : 나사부 14 : 스토퍼
21 : 외캡 22 : 끼움홈
23 : 내캡 24 : 끼움돌기
25 : 나사부 26 : 스토퍼
27 : 마개 28 : 측면
29 : 저면 30 : 절단부
31 : 경사면

Claims (4)

  1.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1)와 상기 용기(1)의 입구부(12)에 체결되어 상기 내용물을 보호하는 뚜껑(2)으로 구성된 저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1)의 입구부(12)에 결합되도록 상기 입구부(12)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 내캡(23)과;
    상기 내캡(23)과 고정 결합되는 외캡(21)으로 구성되며,
    상기 내캡(23)의 상면은 상기 용기(1)의 입구부(12)에 삽입되도록 하부를 향해 돌출된 마개(2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의 입구부(12) 외주면에는 나사부(13)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13)의 끝단 길이방향 하부로는 돌기형태의 스토퍼(14)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내캡(23)의 내주면에는 상기 나사부(13)에 대응하는 나사부(25)가 형성되고, 상기 내캡(23)의 내주면에는 상기 스토퍼(14)에 걸리도록 돌기형태의 스토퍼(26)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27)는 상기 입구부(12)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측면(28)이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캡(23)의 외주면 둘레에는 끼움돌기(24)가 형성되고, 상기 외캡(21)의 내주면 둘레에는 끼움홈(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KR20-2004-0032927U 2004-11-22 2004-11-22 저장용기 KR2003758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927U KR200375835Y1 (ko) 2004-11-22 2004-11-22 저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927U KR200375835Y1 (ko) 2004-11-22 2004-11-22 저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5835Y1 true KR200375835Y1 (ko) 2005-03-11

Family

ID=43677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2927U KR200375835Y1 (ko) 2004-11-22 2004-11-22 저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583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0127A (en) Dispensing taps
KR101207314B1 (ko) 화장품용기
KR102386380B1 (ko)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
KR200375835Y1 (ko) 저장용기
KR20190023436A (ko) 화장품 용기
JP4928625B2 (ja) 開封手段付き容器
JP4293661B2 (ja) 液体化粧料の収納容器
KR200493583Y1 (ko) 원터치 캡 일체형 화장품 용기
KR101684846B1 (ko) 밸브구조를 포함한 회전식 온 오프 화장품용기
KR100985326B1 (ko) 개봉 흔적이 남는 밀봉장치를 구비한 액체용기용 클로저
JP5328413B2 (ja) 塗布具
KR200389430Y1 (ko) 보조커버가 구비된 화장품용 뚜껑
JP5076184B2 (ja) キャップ付き注出口体
JP2021041946A (ja) スクリューキャップ
JP2021187450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KR200262120Y1 (ko)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
EP4196402B1 (en) A cap and a container
KR101386308B1 (ko) 도어기능을 갖는 마스카라 용기
KR200228291Y1 (ko) 용기 뚜껑
KR20210000545U (ko) 주출구 주변의 오염방지기능을 갖는 용기 마개
KR200207835Y1 (ko) 용기와 뚜껑의 결합구조
KR200300455Y1 (ko) 용기뚜껑
KR20230112849A (ko) 원터치 음료용기 뚜껑
WO2005097612A1 (en) Drinking cup
KR20210001062U (ko) 소형 식품저장용기에 사용되는 일체형 노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