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5282Y1 - 서모스탯 - Google Patents

서모스탯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5282Y1
KR200375282Y1 KR20-2004-0033377U KR20040033377U KR200375282Y1 KR 200375282 Y1 KR200375282 Y1 KR 200375282Y1 KR 20040033377 U KR20040033377 U KR 20040033377U KR 200375282 Y1 KR200375282 Y1 KR 2003752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thermostat
housing
circular bas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33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근수
Original Assignee
인창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창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창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333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52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52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52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7/00Thermally-actuated switches
    • H01H37/02Details
    • H01H37/04Bases; Housings; Moun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7/00Thermally-actuated switches
    • H01H37/02Details
    • H01H37/32Thermally-sensitive members
    • H01H37/52Thermally-sensitive members actuated due to deflection of bimetallic el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hermally Actuated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클램프의 장착구조를 개선함으로써 클램프의 장착성과 조립성을 향상시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된 서모스탯을 제공함에 있다.
이에 본 고안은 내측에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이 설치되는 원형베이스와, 상기 원형베이스 상부를 덮는 상부커버, 상기 상부커버의 중앙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가동접점에 밀착되는 가이드핀, 상기 상부커버 위에 놓여져 상기 가이드핀을 탄력적으로 밀기 위한 디스크형 바이메탈, 상기 바이메탈 위로 덮어 씌워져 원형베이스 상단에 설치되는 캡, 상기 캡이 설치된 원형베이스가 끼워져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 형성된 체결부의 슬릿을 통해 끼워져 하우징에 고정되는 클램프,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충진되는 수지를 포함하는 서모스탯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서모스탯{THERMOSTAT}
본 고안은 서모스탯(thermostat)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클램프의 구조를 개선하여 장착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된 서모스탯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모스탯은 내장된 감열체에 의해 주위 온도 변화를 감지하여 개폐접점을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전기 부품이다.
상기 감열체로는 통상 디스크형태의 바이메탈이 사용되는 데, 감열체는 주위 온도가 제1설정 온도를 상회하게 되면 만곡되어 있는 모양태가 변위하고 주위 온도가 강하하여 제2설정 온도를 밑돌게 되면 다시 원래의 상태로 돌아오게 된다.
따라서 서모스탯은 이러한 감열체의 성질을 이용하여 개폐접점의 온/오프 상태를 전화시키게 되는 것이다.
본 출원인에 의해 기 출원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2-30241호는 상기한 구조의 서모스탯의 외형을 플라스틱재질로 구성하여 캡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금속재료의 사용량과 에폭시수지의 사용량을 줄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된 서모스탯을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구조의 서모스탯은 캡의 윗면에 서모스탯 설치용 클램프가 용접 등으로 부착설치되는 구조로, 용접 등의 작업량 증가로 제조 단가가 상승하는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종래의 서모스탯은 통상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클램프를 캡 외측면에 용접시켜 설치함에 따라 용접 작업에 따른 비용이 추가되고 용접불량에 따라 클램프가 캡에서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용접 불량이 발생한 경우 캡으로부터 클램프가 용이하게 떨어져 나가 제품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서모스탯의 클램프의 장착구조를 개선함으로써 클램프의 장착성과 조립성을 향상시켜 서모스탯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된 서모스탯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서모스탯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서모스탯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서모스탯으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서모스탯의 클램프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와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서모스탯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개략적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서모스탯 11 : 원형베이스
12 : 고정접점 13 : 가동접점
14 : 상부커버 15 : 가이드핀
16 : 바이메탈 17 : 터미널
18 : 캡 20 : 하우징
21 : 에폭시수지 23 : 슬릿
26 : 체결부 27 : 충진공간
28 : 리브 30 : 클램프
31 : 고정부 32 : 파지부
33 : 절결부 34 : 돌기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서모스탯을 이루는 하우징에 클램프를 끼우고 그 사이에 수지를 충진하여 고정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서모스탯은 원형 베이스에 설치되는 고정접점과 가동접점, 상기 원형베이스 상부를 덮는 상부커버, 상기 접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원형베이스 외측으로 설치되는 터미널, 상기 상부커버의 중앙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가동접점에 밀착되는 가이드핀, 상기 상부커버 위에 놓여져 상기 가이드핀을 탄력적으로 밀기 위한 디스크형 바이메탈, 이 바이메탈을 덮어 상기 원형베이스에 설치되는 캡, 상기 원형베이스가 끼워지도록 중앙에 홀이 형성되고 서모스탯의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슬릿을 통해 끼워져 하우징에 고정설치되는 클램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클램프는 상기 하우징 내부로 충진되는 수지를 매개로 하우징에 고정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수지의 충진공간이 충분히 확보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지와 클램프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클램프의 내측 선단에는 클램프의 삽입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절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수지 충진 공간내에서 상기 클램프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유동 방지 리브가 형성되어 클램프의 양면을 지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클램프는 일단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슬릿을 통해 끼워져 하우징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캡으로 연장되고 그 끝단이 캡을 향해 절곡되어 서모스탯이 장착될 파이프 등이 클램프와 상기 캡 사이에 탄력적으로 끼워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서모스탯이 장착되는 온도발열체의 크기에 따라 클램프와 상기 캡 사이의 거리를 달리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슬릿으로 끼워지는 클램프의 일측면에 슬릿에 대한 클램프의 삽입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확인 돌기가 표시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서모스탯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서모스탯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서모스탯으로 단면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본 고안의 서모스탯(10)은 원형 베이스(11)에 설치되는 고정접점(12)과 가동접점(13), 상기 접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원형베이스 외측으로 설치되는 터미널(17), 상기 원형베이스(11) 상부를 덮는 상부커버(14), 이 상부커버(14)의 중앙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가동접점(13)에 밀착되는 가이드핀(15), 상기 상부커버(14) 위에 놓여져 상기 가이드핀(15)을 탄력적으로 밀기 위한 디스크형 바이메탈(16), 이 바이메탈(16) 위로 덮어 씌워지고 외측면은 상기 원형베이스(11)의 상단으로 연장되어 원형베이스(11) 상단에 고정되는 캡(18), 중앙에 형성된 홀(25)을 통해 상기 캡(18)이 설치된 원형베이스(11)가 끼워져 설치되고 서모스탯의 외피를 이루는 하우징(20), 상기 하우징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원형베이스에 설치된 각 터미널(17)에 접속되는 리드와이어(50) 및 상기 하우징(20) 내부 공간에 충진되는 에폭시수지(21), 상기 하우징(20) 일측에 형성된 슬릿(23)을 통해 상기 하우징(20)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에폭시 수지에 의해 고정되는 클램프(30)를 포함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 (24)는 원형베이스(11)에 각 접점(12,13)과 터미널(17)을 연결설치하기 위한 리벳이다.
여기서 상기 클램프(30)는 강성과 더불어 자체적으로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예컨대 스테인레스 등의 철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클램프(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얇은 띠형태의 판재로 상기 슬릿(23)을 통해 하우징(20) 내부로 삽입되는 고정부(31)와, 이 고정부(31)에서 상기 캡(18) 쪽으로 연장되어 실질적으로 캡과의 사이에 상기 서모스탯(10)이 체결될 온도발열체(10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절곡된 파지부(32)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31)는 하우징(20) 내부에서 수지에 의해 묻혀 접착 고정되는 부분으로 수지와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도록 양 측단 일측이 안쪽으로 절결된 절결부(33)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31)의 파지부(32)쪽 끝단쪽에는 고정부(31)의 삽입정도를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돌기(34)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돌기(34)의 위치까지 상기 고정부(31)를 하우징(20) 내부로 삽입시킴으로써 파지부(32)와 상기 캡(18) 사이의 간격을 서모스탯(10)이 체결될 온도발열체(100)의 직경에 맞춰 알맞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파지부(32)는 끝단은 V자 형태로 절곡되어 끝단이 바깥쪽으로 벌어져 상기 온도발열체(100)가 파지부(32) 끝단과 캡(18) 사이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고 파지부(32)와 캡(18) 사이로 진입된 이후에는 쉽게 빠져나가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파지부(32)의 온도발열체 접면에는 리브(35)를 더욱 형성하여 고정력과 더불어 파지부(32)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서모스탯(10)의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20)은 플라스틱재질로 이루어지는 데, 중앙에는 상기 원형베이스(11)가 끼워질 수 있도록 원형의 홀(25)이형성되며 외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클램프(30) 고정을 위해 내부가 빈 체결부(26)가 일체로 형성되며, 체결부(26)의 캡(18) 쪽 선단에는 상기 클램프(3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슬릿(23)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26)의 내부에는 슬릿(23)을 통해 끼워진 상기 클램프(30)의 고정부(31) 사이로 수지가 충분히 유입될 수 있도록 수지 충진 공간(27)을 이루며, 내부 전면과 배면에는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리브(28)가 형성되어 상기 충진 공간(27) 내로 진입된 고정부(31)의 양 면을 지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31)가 충진 공간(27) 내에서 유동되지 않고 수지(21)와 제대로 접합될 수 있으며,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30)의 고정부(31)는 양 측단에 절결부(33)가 형성되어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충진 공간(27) 내부로 수지가 채워지게 되면 수지는 상기 절결부(33)에도 채워져 마치 상기 절결부(33)가 수지에 대한 걸림턱 역할을 하게 되어 고정력을 배가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의 조립과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원형베이스(11)는 내부에 고정접점(12)과 가동접점(13)이 설치되어 리벳(24)을 통해 원형베이스(11) 외측에 놓여지는 각 터미널(17)과 연결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원형베이스(11) 상부에 상부커버(14)가 놓여지고 그 중앙으로 가이드핀(15)이 끼워져 가동접점(13) 위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커버 위쪽에 원형의 바이메탈(16)이 놓여지고 그 외측으로 캡(18)이 씌워져 상기 원형베이스(11)에 가압 설치됨으로써 하나의 모듈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모듈형태로 조립된 원형베이스(11)는 하우징(20)의 중앙에 형성된 홀(25)을 통해 끼우고 하우징(20) 내부로 리드와이어(50)를 삽입하여 상기 터미널(17)과 연결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20)의 외측에 형성된 체결부(26)의 슬릿(23)을 통해 클램프(30)의 고정부(31)를 삽입시킨다.
상기 고정부(31)에는 삽입위치를 가시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돌기(34)가 형성되어 있어서 작업자는 상기 돌기(34)의 위치가 상기 체결부(26) 끝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부(31)를 삽입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31)의 삽입 정도에 따라 클램프(30)의 파지부(32)와 상기 캡(18)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크기가 달라지게 되고, 상기 클램프(30)는 서모스탯이 설치되는 기기의 온도발열체(100) 직경에 따라 알맞은 위치에 돌기(3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상기 돌기(34)가 체결부(26)에 다다를때까지 상기 고정부(31)를 슬릿(23)에 삽입시킴으로서 캡(18)과 클램프(30)의 파지부(32) 사이의 공간 크기를 상기 온도발열체(100)의 크기에 정확히 맞출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클램프(30)를 이용하여 서모스탯(10)을 기기의 온도발열체(100)의 용이하게 체결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원형베이스(11)와 클램프(30)가 하우징(20)에 결합된 상태에서 하우징(20)의 개방된 밑면과 상기 체결부(26) 내부의 충진 공간(27)에 에폭시 수지(21)를 주입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상기 원형베이스(11) 및 상기 클램프(30)를 하우징(20)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에폭시 수지(21)가 경화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26) 내부의 충진공간(27)으로 에폭시 수지가 주입됨과 더불어 클램프(30)의 고정부(31)에 형성된 절결부(33)로 에폭시수지(21)가 유입되어 고정부(31)를 확실히 고정시킬 수 있게 되어 상기 체결부(26)로부터 클램프(30)의 고정부(3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보다 개선된 서모스탯을 제공함을 알 수 있다.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고안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서모스탯에 의하면, 서모스탯의 클램프 구조를 개선하여 서모스탯과의 결합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종래 용접구조에 비하여 클램프의 구조적 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서모스탯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의 용접공정을 생략할 수 있게 되어 서모스탯 제조공정을 단축시키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서모스탯이 설치될 온도발열체의 직경에 관계없이 동일한 형태의 클램프를 온도발열체의 크기에 맞춰 삽입 위치만을 조정함으로써 사용할 수 있게 되어부품 설계와 제조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이고 이에 따라 서모스탯의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게 되어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Claims (5)

  1. 내측에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이 설치되는 원형베이스와,
    상기 원형베이스 상부를 덮는 상부커버,
    상기 상부커버의 중앙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가동접점에 밀착되는 가이드핀,
    상기 상부커버 위에 놓여져 상기 가이드핀을 탄력적으로 밀기 위한 디스크형 바이메탈,
    상기 바이메탈 위로 덮어 씌워져 원형베이스 상단에 설치되는 캡,
    상기 캡이 설치된 원형베이스가 끼워져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 형성된 체결부의 슬릿을 통해 끼워져 하우징에 고정되는 클램프,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충진되는 수지를 포함하는 서모스탯.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체결부에 형성된 슬릿을 통해 체결부 내부의 충진공간으로 끼워지고 상기 충진공간으로 주입되는 수지에 의해 고정되는 서모스탯.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체결부로 삽입되는 내측 선단 양 측단에 절결홀이 형성된 서모스탯.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충진공간 내부에 유동방지 리브가 형성되어 상기 클램프의 양면을 지지하는 서모스탯.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슬릿으로 끼워지는 클램프의 일측면에 클램프의 삽입 정도를 표시하기 위한 돌기가 형성된 서모스탯.
KR20-2004-0033377U 2004-11-25 2004-11-25 서모스탯 KR2003752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3377U KR200375282Y1 (ko) 2004-11-25 2004-11-25 서모스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3377U KR200375282Y1 (ko) 2004-11-25 2004-11-25 서모스탯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5282Y1 true KR200375282Y1 (ko) 2005-02-07

Family

ID=49445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3377U KR200375282Y1 (ko) 2004-11-25 2004-11-25 서모스탯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528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877Y1 (ko) 2009-10-30 2011-08-02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모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877Y1 (ko) 2009-10-30 2011-08-02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모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06587B2 (en) Electronic clinical thermometer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7891270B2 (en) Grip
US6590776B2 (en) Sensor device
JP2009110708A (ja) 電池パック
US7640812B2 (en) Flexible board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nsor
JP2008089573A (ja) センサー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及びそのセンサー
KR200375282Y1 (ko) 서모스탯
JP4755872B2 (ja) 携帯型記憶装置
US20100014557A1 (en) Electronic thermometer
JP2003178732A (ja) パック電池
KR101412362B1 (ko) 모터 보호기 부착 시스템
JP2002025633A (ja) 電池パック
US20070210107A1 (en) Snap-action flange
JP6717350B2 (ja) 温度センサ装置
JP4138524B2 (ja) センサ装置
KR101948101B1 (ko) 전자 제어 장치
US11111891B2 (en) Fuel supply device
KR200388361Y1 (ko) 서모스탯
JP2009133637A (ja) 回転検出装置及び回転検出装置の生産方法
KR200361294Y1 (ko) 서모스탯
JPH1123378A (ja) 温度センサ
EP3628540B1 (en) Windshield sensing device
KR200397391Y1 (ko) 스타트 램프용 소켓
EP0052369B1 (en) Temperature detection device
KR200299618Y1 (ko) 서모스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