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8361Y1 - 서모스탯 - Google Patents

서모스탯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8361Y1
KR200388361Y1 KR20-2005-0008560U KR20050008560U KR200388361Y1 KR 200388361 Y1 KR200388361 Y1 KR 200388361Y1 KR 20050008560 U KR20050008560 U KR 20050008560U KR 200388361 Y1 KR200388361 Y1 KR 2003883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lamp
thermostat
circular base
upp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85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근수
Original Assignee
인창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창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창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085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83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83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83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7/00Thermally-actuated switches
    • H01H37/02Details
    • H01H37/04Bases; Housings; Moun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7/00Thermally-actuated switches
    • H01H37/02Details
    • H01H37/32Thermally-sensitive members
    • H01H37/52Thermally-sensitive members actuated due to deflection of bimetallic el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hermally Actuated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서모스탯의 클램프의 구조를 개선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도록, 내측에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이 설치되는 원형베이스와, 상기 원형베이스 상부를 덮는 상부커버, 상기 상부커버의 중앙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가동접점에 밀착되는 가이드핀, 상기 상부커버 위에 놓여져 상기 가이드핀을 탄력적으로 밀기 위한 디스크형 바이메탈, 상기 바이메탈 위로 덮어 씌워지고 외측면은 상기 원형베이스의 상단으로 연장되어 원형베이스 상단에 돌출 형성된 플랜지에 걸려 고정되는 캡, 상기 캡과 원형베이스에 덮어 씌워져 서모스탯의 외형을 이루고, 외측면에 클램프가 일체로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원형베이스의 각 접점과 연결되는 리드와이어,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면을 통해 내부공간에 충진되는 에폭시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하우징의 에폭시 충진면이 향하는 방향에 대해 각도를 두고 형성되어, 상기 클램프에 끼워지는 열감지체가 상기 에폭시 충진면에서 상기 각도로 어굿나게 배치되는 서모스탯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서모스탯{THERMOSTAT}
본 고안은 서모스탯(thermostat)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 고안자에 의해 선 출원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4-15980호를 개량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서모스탯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모스탯은 내장된 감열체에 의해 주위 온도 변화를 감지하여 개폐접점을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전기 부품이다.
상기 감열체로는 통상 디스크형태의 바이메탈이 사용되는 데, 감열체는 주위 온도가 제1설정 온도를 상회하게 되면 만곡되어 있는 모양태가 변위하고 주위 온도가 강하하여 제2설정 온도를 밑돌게 되면 다시 원래의 상태로 돌아오게 된다.
따라서 서모스탯은 이러한 감열체의 성질을 이용하여 개폐접점의 온/오프 상태를 전화시키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인은 선출원하여 제361294호로 등록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4-15980호를 통해 상기한 구조의 서모스탯에 설치되는 클램프의 구조를 개선하여 금속재료의 사용량과 설치에 따른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된 서모스탯을 제공한 바 있다.
그런데, 상기한 구조의 서모스탯은 하우징에 형성되는 클램프가 에폭시 수지의 충진방향으로 형성되어 에폭시수지와 하우징간에 틈이 생기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서모스탯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모스탯(100)의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110)은 개구된 일측면을 통해 리드와이어(120)가 연결되고 에폭시 수지(130)를 충진하여 마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0)에 형성되는 클램프(200)은 상기 하우징(110)에 와이어(120) 설치방향(도면상 x축 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클램프(200)은 클램프에 끼워지는 열감지체(300)가 상기 와이어(120)와 같은 방향으로 놓여지도록 하우징 상에 배치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구조는 파이프 형태의 열감지체(300)를 클램프(200)에 끼우게 되면 클램프(200)이 양쪽으로 벌어지면서 도면상 y축 양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하우징(110)과 에폭시(130) 사이의 "A"부분이 벌어지면서 틈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틈을 통해 수분이 하우징 내부로 침투되어 전기적 절연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 클램프의 선단이 하우징의 만곡부위쪽으로 연장되어 상기와 같이 힘이 y축 방향으로 집중되는 경우 단차 형성에 의한 살두께가 상대적으로 다른 부위보다 큰 만곡부위에서 크랙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높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서모스탯의 클램프의 구조를 개선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도록 된 서모스탯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서모스탯의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에 형성되는 클램프가 하우징의 에폭시수지 형성면에 대해 각도를 두고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클램프는 하우징의 에폭시수지 형성면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서모스탯은 원형 베이스에 설치되는 고정접점과 가동접점, 상기 원형베이스 상부를 덮는 상부커버, 이 상부커버의 중앙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가동접점에 밀착되는 가이드핀, 상기 상부커버 위에 놓여져 상기 가이드핀을 탄력적으로 밀기 위한 디스크형 바이메탈, 이 바이메탈 위로 덮어 씌워지고 외측면은 상기 원형베이스의 상단으로 연장되어 원형베이스 상단에 돌출 형성된 플랜지에 걸려 고정되는 캡, 상기 캡과 원형베이스 외측에 덮어 씌워져 외피를 이루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를 통해 원형베이스의 각 접점과 연결되는 리드와이어, 상기 개구부에 충진되어 개구부를 막는 에폭시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클램프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는 하우징의 개구부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배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 및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되는 클램프는 플라스틱으로 사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모스탯은 내부에 회로의 연결을 차단하기 위한 휴즈(fuse)가 더욱 설치될 수 있다.
이와같이 클램프를 하우징의 에폭시수지 충진면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배치함으로서 클램프가 벌어지더라도 하우징과 에폭시수지 사이가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서모스탯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서모스탯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본 고안의 서모스탯(10)은 원형 베이스(11)에 설치되는 고정접점(12)과 가동접점(13), 상기 원형베이스(11) 상부를 덮는 상부커버(14), 이 상부커버(14)의 중앙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가동접점(13)에 밀착되는 가이드핀(15), 상기 상부커버(14) 위에 놓여져 상기 가이드핀(15)을 탄력적으로 밀기 위한 디스크형 바이메탈(16), 이 바이메탈(16) 위로 덮어 씌워지고 외측면은 상기 원형베이스(11)의 상단으로 연장되어 원형베이스(11) 상단에 돌출 형성된 플랜지(17)에 걸려 고정되는 캡(18), 상기 캡과 원형베이스를 덮어 서모스탯의 외피를 이루며 상기 캡쪽 외측면에 클램프(24)가 일체로 형성된 하우징(19),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를 통해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원형베이스의 각 접점과 연결되는 리드와이어(20) 및 상기 하우징(19)의 개구부에 충진되는 에폭시수지(21)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서모스탯(10)의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19)은 플라스틱재질로 이루어지는 데, 캡과 접하는 상단 외측면에는 일측이 개방된 환형의 클램프(24)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같이 하우징(19) 자체에 클램프(24)를 일체로 형성시킴으로써 클램프(24) 설치에 따른 작업 공정을 생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클램프(24)의 구조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와 같이 환형의 구조 이외에 상기 서모스탯이 적용되는 기기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며, 하우징(19)에 일체로 형성되어야 함을 제외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하우징(19)은 일측면이 개방되어 상기 캡이 설치된 원형베이스(11)가 상기 개방된 측면을 통해 상기 하우징(19) 내부로 끼워져 설치되며, 하우징(19)의 내부 공간 및 개방된 측면은 에폭시수지(21)가 충진됨으로써 상기 캡(18)과 원형베이스(11) 및 상기 하우징(19) 내부로 진입되어 상기 원형베이스의 각 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리드와이어(20)를 고정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클램프(24)는 하우징(19)의 개구면에 충진되는 에폭시수지(21) 충진면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클램프(24)의 배치 방향이라 함은 클램프(24)에 끼워지는 파이프 형태의 열감지체(300)의 길이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9)에 대해 에폭시 수지(21) 충진면이 놓여진 X축방향에 대해 클램프(24)가 Y축방향으로 90도 틀어져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따라서 상기 클램프(24)에 끼워지는 파이프 형태의 열감지체(300)는 Y축방향으로 놓여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클램프(24)에 열감지체(300)가 끼워지게 되면 클램프(24)가 양쪽으로 벌어지게 되는 데, 이때 클램프(24)의 벌어지는 방향은 도면상 X축방향이 되므로 하우징(19)에는 X축방향 즉, 에폭시수지(21)가 충진된 면을 향해 힘이 가해지게 되어 하우징(19)과 에폭시수지(21) 사이가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클램프(24)는 하우징(19)의 단차진 외측면에 형성되는 데, 상기와 같이 클램프(24)의 양 선단이 단차진 면 중 직선부쪽(도면상 Y방향)을 향하여 형성됨으로서 클램프(24)에 열감지체(300)가 끼워지는 과정에서 클램프가 벌어져 하우징에 힘이 가해지더라도 하우징(19)에 크랙 등이 발생되는 것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는 상기 하우징의 단차면 형성을 위한 측면 살두께가 비교적 만곡부위보다 직선부쪽이 얇기 때문으로, 살두께가 얇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클램프(24)의 벌어짐에 따른 힘이 하우징에 가해지더라도 다른 부위보다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4와 도 5는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모스탯(10)으로 내부에 휴즈(22)가 설치된 구조의 서모스탯을 도시하고 있는 데, 이와같이 휴즈가 설치된 구조의 서모스탯 또한 서모스탯의 외피를 이루는 하우징(19)이 캡(18)과 원형베이스(11) 및 휴즈(22)를 덮어 씌워지고, 리드와이어가 설치되는 하우징의 개구부에는 에폭시수지(21)가 충진되어 내부 구성부를 고정시키게 되며, 상기 하우징(19)의 캡쪽 외측면에는 클램프(24)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24)는 하우징(19)의 개구면에 충진되는 에폭시수지(21) 충진면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에 대해 에폭시 수지 충진면이 놓여진 X축방향에 대해 클램프(24)가 Y축방향으로 90도 틀어져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따라서 상기 클램프(24)에 끼워지는 파이프 형태의 열감지체(300)는 Y축방향으로 놓여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클램프(24)에 열감지체(300)가 끼워지게 되면 클램프(24)가 양쪽으로 벌어지게 되는 데, 이때 클램프(24)의 벌어지는 방향은 도면상 X축방향이 되므로 하우징(19)에는 X축방향 즉, 에폭시수지(21)가 충진된 면을 향해 힘이 가해지게 되어 하우징(19)이 에폭시수지(21)로 눌려지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하우징(19)과 에폭시수지(21) 사이가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서모스탯에 의하면, 하우징에 대한 클램프의 설치 구조를 개선하여 하우징과 에폭시수지의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우징 내부로 수분 등의 침투를 방지하여 서모스탯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클램프에 열감지체 장착시 열감지체가 서모스탯의 와이어 방향과 다른 방향을 이룸으로서 장착이 용이한 잇점이 있다.
또한, 클램프가 하우징의 단차진 부분 중 비교적 살두께가 작은쪽으로 형성됨으로서 클램프에 걸리는 응력에 의해 하우징이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서모스탯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서모스탯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서모스탯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모스탯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모스탯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서모스탯 11 : 원형베이스
12 : 고정접점 13 : 가동접점
14 : 상부커버 15 : 가이드핀
16 : 바이메탈 17 : 플랜지
18 : 캡 19 : 하우징
20 : 리드와이어 21 : 에폭시수지

Claims (3)

  1. 내측에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이 설치되는 원형베이스와, 상기 원형베이스 상부를 덮는 상부커버, 상기 상부커버의 중앙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가동접점에 밀착되는 가이드핀, 상기 상부커버 위에 놓여져 상기 가이드핀을 탄력적으로 밀기 위한 디스크형 바이메탈, 상기 바이메탈 위로 덮어 씌워지고 외측면은 상기 원형베이스의 상단으로 연장되어 원형베이스 상단에 돌출 형성된 플랜지에 걸려 고정되는 캡, 상기 캡과 원형베이스에 덮어 씌워져 서모스탯의 외형을 이루고, 외측면에 클램프가 일체로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원형베이스의 각 접점과 연결되는 리드와이어,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면을 통해 내부공간에 충진되는 에폭시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하우징의 에폭시 충진면이 향하는 방향에 대해 각도를 두고 형성되어, 상기 클램프에 끼워지는 열감지체가 상기 에폭시 충진면에 대해 어굿나게 배치되는 서모스탯.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하우징의 에폭시 충진면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되는 서모스탯.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리드와이어를 연결하는 휴즈를 더욱 포함하는 서모스탯.
KR20-2005-0008560U 2005-03-29 2005-03-29 서모스탯 KR2003883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560U KR200388361Y1 (ko) 2005-03-29 2005-03-29 서모스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560U KR200388361Y1 (ko) 2005-03-29 2005-03-29 서모스탯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8361Y1 true KR200388361Y1 (ko) 2005-06-30

Family

ID=43689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8560U KR200388361Y1 (ko) 2005-03-29 2005-03-29 서모스탯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836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607Y1 (ko) * 2018-04-27 2018-10-11 김환남 방폭 써모스탯
CN110491727A (zh) * 2019-08-01 2019-11-22 广东万家乐燃气具有限公司 一种过热保护器安装支架及燃气热水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607Y1 (ko) * 2018-04-27 2018-10-11 김환남 방폭 써모스탯
CN110491727A (zh) * 2019-08-01 2019-11-22 广东万家乐燃气具有限公司 一种过热保护器安装支架及燃气热水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5208B2 (en) Integrated circuit package
CN106574767B (zh) 接线电部件的安装基座、相应照明模块、制造相关模块的方法和服饰
JP3725296B2 (ja) 測定抵抗体を有する温度センサ
US20090051052A1 (en) Semiconductor device
JP6410420B2 (ja) オブジェクト識別用トランスポンダ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161461B1 (en) Injection molded trim resistor assembly
JP5255365B2 (ja) 中継端子部材及びそれを備えた回路構造体、並びに電子ユニット
US11462850B2 (en) Oil temperature sensor
JP5215152B2 (ja) 電気接続箱
KR200388361Y1 (ko) 서모스탯
US6860635B2 (en) Sensor and housing with adjustable spacing element
WO2007015293A1 (ja) 温度スイッチの取付構造
CN110636719A (zh) 电子单元
KR101051190B1 (ko) 접착제를 이용한 fpc용 릴레이 커넥터
KR101948101B1 (ko) 전자 제어 장치
JPH08292106A (ja) 温度センサ
KR200361294Y1 (ko) 서모스탯
JP2007026421A (ja) 携帯型記憶装置
KR200299618Y1 (ko) 서모스탯
JPH08261847A (ja) 温度センサ
JP5962897B2 (ja) 移動体検出装置
KR200375282Y1 (ko) 서모스탯
US20220221361A1 (en) Physical quantity sensor-fixing structure
CN211740439U (zh) 温度传感器
CN114459622B (zh) 一种用于温度传感器的静电防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