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3487Y1 - 노치부가 형성된 결속수단을 가지는 거푸집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노치부가 형성된 결속수단을 가지는 거푸집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3487Y1
KR200373487Y1 KR20-2004-0025806U KR20040025806U KR200373487Y1 KR 200373487 Y1 KR200373487 Y1 KR 200373487Y1 KR 20040025806 U KR20040025806 U KR 20040025806U KR 200373487 Y1 KR200373487 Y1 KR 2003734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s
binding means
pair
facing
fasten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58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범준
김연진
Original Assignee
김연진
김범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연진, 김범준 filed Critical 김연진
Priority to KR20-2004-00258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34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34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34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04G17/047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simultaneously tying two facing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노출부 제거 작업시 산소절단기 등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다수의 작업자가 동시에 노출부 제거 작업을 할 수 있게 하여 공기를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고, 노출부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시멘트 벽체의 손상을 방지하고, 산소절단기 등의 복잡한 공구를 사용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일단에 노치부가 형성된 결속수단을 가지는 거푸집 체결구조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은 마주하는 한 쌍의 플레이트(10a,20a)와, 상기 마주하는 한 쌍의 플레이트(10a,20a) 사이를 지그재그로 교차하여 관통된 후 상기 플레이트(10a,20a)상에 고정되는 결속수단(30a)과, 상기 마주하는 한 쌍의 플레이트(10a,20a)사이에 고정되되 상기 결속수단(30a)에 의하여 지지되는 철근조립체(33a)를 포함하는 거푸집 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결속수단에 노치부(40a)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치부가 형성된 결속수단을 가지는 거푸집 체결구조에 의하여 달성된다.

Description

노치부가 형성된 결속수단을 가지는 거푸집 체결구조{The mold conjunction structure having a join means which formed a notch portion}
본 고안은 노치부가 형성된 결속수단을 가지는 거푸집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자가 고안한 "거푸집 체결구조"을 이용하여 거푸집을 설치, 양생을 마친 후 플레이트를 제거하였을 때 노출된 결속수단의 일부(이하 노출부라 한다.)를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해 일단에 노치부가 형성된 결속수단을 가지는 거푸집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중 아파트와 같이 내력벽으로 지어지는 건축구조물은 현장타설에 의하여 지어짐으로써 그 구성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현장 타설과정을 보면, 조립 설치되는 벽체용 거푸집 내에 배근되는 철근과 슬라브용 거푸집 내에 배근되는 철근을 일일이 작업자들이 연결시키고, 현장에서 벽체용 및 슬라브용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양생하여 벽체와 슬라브를 일체성 있도록 시공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시공방법은 철근 배근 작업, 즉, 철근을 일일이 작업자들이 철선으로 묶는 작업, 거푸집 설치 작업 및 제거작업, 슬라브를 지지하는 다수의 동바리를 설치하고 제거하는 등의 모든 작업을 현장에서 수행하게 됨으로써 첫째, 벽체와 함께 슬라브의 성형을 위한 거푸집 및 동바리 등을 설치하는 데에 많은 인력과 작업시간을 필요로하게 되었으며, 둘째, 타설된 미경화 콘크리트가 충분한 강도를 가질때 까지 거푸집을 존치시키게 되는 만큼의 작업 진행상의 공백 및 슬라브콘크리트의 양생기간 만큼 상층작업진행의 공백 등으로 인하여 공사기간이 길어질 수밖에 없었으며, 셋째, 슬라브, 동바리 및 벽체 거푸집 해체에 따른 번거로움과 안전사고의 염려가 상존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PC 슬라브용 판넬을 이용한 시공도 있으나, 이같은 PC 벽체용 판넬들간의 연결부위 작업은 첫째, 공장에서의 PC 슬라브용 판넬과 PC 벽체용 판넬 제작과 함께 그들을 설치하게 되는 현장에서의 조립작업에 높은 정밀성이 요구되었으며, 둘째, PC 슬라브용 판넬과 PC 벽체용 판넬 상호간을 연결하여 주는 연결부위의 강도가 국부적으로 취약하여 조립되는 건축구조물 전체의 내력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특히, 이러한 조립식 건축물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보다 세심한 시공 자세가 요구되고 있으나, 현장 관리자 또는 작업자 등의 무관심으로 인하여 부실시공 및 하자 발생을 감수할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정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자는 도 1에서 보는 것과 같이 마주하는 한 쌍의 플레이트(10,20)와, 상기 마주하는 한 쌍의 플레이트(10,20) 사이를 지그재그로 교차하여 관통된 후 상기 플레이트(10,20)상에 고정되는 결속수단(30)과, 상기 마주하는 한 쌍의 플레이트(10,20)사이에 고정되되 상기 결속수단(30)에 의하여 지지되는 철근조립체(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체결구조 및 시공방법에 관한 특허(출원번호 2004-51546호)를 출원한 바 있다. 한편, 도면에서 31은 수직철근, 32는 수평철근, 34는 핀을 나타낸다.
상기 특허(출원번호 2004-51546호)를 이용한 시공 방법에서 양생이 끝난 시멘트 벽체에서 플레이트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시멘트 벽체가 플레이트에 가하는 압력에 의해 결속수단과 플레이트 사이에 단단히 밀착되어 있는 핀을 제거한 후 노출부를 제거해야 한다. 이를 위해, 유압 절단기를 사용하여 핀과 접촉되어 있는 노출부의 일부를 제거, 핀을 자유롭게 한 후, 핀을 제거하고 그후에 플레이트를 제거한다. 그 후에, 노출부의 나머지 부분을 산소절단기 등을 사용하여 제거함으로써 시공과정이 마무리된다.
그러나, 이러한 시공 방법은 노출부 제거 작업을 작업자들이 일일이 수작업으로 해야 하고, 이를 제거하기 위해서 부피가 큰 별도의 공구를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첫째, 노출부를 제거하는 데 산소절단기 등의 부피가 큰 공구가 필요하고, 둘째, 노출부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양생된 시멘트 벽체가 손상될 수 있고, 셋째, 작업자 1인당 공구를 1개씩을 보급하는데는 현실적으로 한계가 있으므로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며, 넷째, 산소절단기 같은 공구는 사용하는데 주의를 요구하므로 안전사고의 염려가 상존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노출부 제거 작업시 산소절단기 등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다수의 작업자가 동시에 노출부 제거 작업을 할 수 있게 하여 공기를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고, 노출부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시멘트 벽체의 손상을 줄이고, 산소절단기 등의 복잡한 공구를 사용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일단에 노치부가 형성된 결속수단을 가지는 거푸집 체결구조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은 마주하는 한 쌍의 플레이트(10a,20a)와, 상기 마주하는 한 쌍의 플레이트(10a,20a) 사이를 지그재그로 교차하여 관통된 후 상기 플레이트(10a,20a)상에 고정되는 결속수단(30a)과, 상기 마주하는 한 쌍의 플레이트(10a,20a)사이에 고정되되 상기 결속수단(30a)에 의하여 지지되는 철근조립체(33a)를 포함하는 거푸집 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결속수단에 노치부(40a)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치부가 형성된 결속수단을 가지는 거푸집 체결구조에 의하여 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결속수단을 사용하였을 때의 거푸집 체결구조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결속수단을 사용한 경우로 결속수단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시멘트 벽체가 양생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과정을 거쳐 양생이 끝난 후 핀을 구속하고 있는 노출부의 일부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의 과정이 끝난 후 핀과 플레이트는 제거되고 노출부의 나머지 부분이 남아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의 과정이 끝난 후 노출부의 나머지 부분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 20a : 플레이트 11a,21a : 개구 30a : 결속수단 31a : 수직철근 32a : 수평철근 33a : 철근조립체
34a : 핀 40a : 노치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결속수단을 사용한 경우로 결속수단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시멘트 벽체가 양생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고안은 마주하는 한 쌍의 플레이트(10a,20a)와, 상기 마주하는 한 쌍의 플레이트(10a,20a) 사이를 지그재그로 교차하여 관통된 후 상기 플레이트(10a,20a)상에 고정되는 결속수단(30a)과, 상기 마주하는 한 쌍의 플레이트(10a,20a)사이에 고정되되 상기 결속수단(30a)에 의하여 지지되는 철근조립체(33a)를 포함하되, 상기 결속수단에 노치부(40a)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각각의 부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플레이트(10a,20a)에는 다수의 개구(11a,21a)가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11a,21a)는 후술하는 결속수단(30a)이 플레이트(10a)의 개구(11a,21a)를 통하여개구(11a,21a)와 대각선 방향으로 지그재그로 교차한 후 핀(34a)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플레이트(10a,20a)는 공지의 NT합판(슬라브용 큰크리트 거푸집)을 이용한다.
철근조립체(33a)는 상기 결속수단(30a)에 접한 상태에서 수직으로 고정되는 수직철근(31a)과, 상기 수직철근(31a)상에 수평방향으로 교차하여 고정되는 수평철근(32a)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수직철근(31a)과 수평철근(32a)이 접하는 부분은 용접에 의하여 고정할 수 있다.
결속수단(30a)은 두꺼운 철선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10a,20a) 사이를 지그재그로 관통하게 된다. 한편, 결속수단(30a) 중에서 상기 개구(11a,21a)사이로 노출되는 부분에는 핀(34a)이 삽입되어져 상기 결속수단(30a)이 상기 플레이트(10a,20a)상에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결속수단에는 노치부(40a)가 형성되며, 상기 노치부(40a)는 상기 플레이트(10a,20a)의 배면에서 1-5mm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다.
도 3은 도 2의 과정을 거쳐 양생이 끝난 후 핀을 구속하고 있는 노출부의 일부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 도 4는 도 3의 과정이 끝난 후 핀과 플레이트는 제거되고 노출부의 나머지 부분이 남아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과정이 끝난 후 노출부의 나머지 부분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거푸집 체결구조는 생산현장에 가까운 공장에서 미리 조립되어진 후 건설현장에서는 단지 벽시공위치에 세우기만 하고, 곧바로 시멘트를 타설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거푸집 체결구조를 조립하는 과정을 보면, 우선, 철근조립체(33a)의 수직철근(31a) 및 수평철근(32a)을 용접등으로 결합한 후 철근조립체(33a) 2개를 서로 마주하게 한 상태에서 지그재그 형태의 결속수단을 용접 등으로 고정한다.
이후, 결속수단(30a)의 외측단부에 플레이트(10a,20a)에 형성된 개구(11a,21a)를 접하게 한다. 이때 결속수단(30a)의 꺾어진 단부는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핀(34a)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핀(34a)을 결속수단(30a)의 단부에 노출된 공간을 통하여 삽입하게 되면, 핀(34a)이 플레이트(10a,20a)를 서로 결속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술한 과정에 의하여 조립된 본 고안에 의한 거푸집 체결구조는 건설현장으로 이송된다. 이후, 원하는 시공위치에 본 고안에 의한 거푸집 체결구조를 세워서 고정한다. 이후 양측의 플레이트(10a,20a)사이에 시멘트를 타설한 후 양생하고, 양생이 종료된 후 핀(34a)을 구속하고 있는 노출부의 일부를 유압절단기를 사용하여 절단하고, 상기 핀(34a)을 제거한 후 시멘트 벽체로부터 자유로워진 플레이트(10a,20a)를 제거한다. 이후, 노출부의 남은 부분에 힘을 가하면 노치부(40a)에 응력이 집중되어 작은 힘으로도 노출부가 손쉽게 제거된다. 즉, 시멘트 벽체의 외부로 노출되어 돌출된 결속수단의 절단된 끝단부분을 제거하여 시멘트 벽체의 면을 평판하게 한다. 한편, 플레이트는 제거할 수도 있으나, 제거하지 않고, 벽체의 일부로 남길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노치부는 단순히 노치에 한정 되지 않으며, 응력집중을 발생시킬 수 있는 방법들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노출부를 제거하는데 있어서 산소절단기 등의 복잡한 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단순한 공구만으로 노출부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여러명의 작업자가 동시에 작업을 할 수 있어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고, 노출부를 제거함에 있어 강한 힘을 필요로하지 않으므로 양생된 시멘트 벽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취급이 위험한 공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공구 사용 미숙 또는 실수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마주하는 한 쌍의 플레이트(10a,20a)와, 상기 마주하는 한 쌍의 플레이트(10a,20a) 사이를 지그재그로 교차하여 관통된 후 상기 플레이트(10a,20a)상에 고정되는 결속수단(30a)과, 상기 마주하는 한 쌍의 플레이트(10a,20a)사이에 고정되되 상기 결속수단(30a)에 의하여 지지되는 철근조립체(33a)를 포함하는 거푸집 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결속수단에 노치부(40a)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치부가 형성된 결속수단을 가지는 거푸집 체결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배면에서 1-5mm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수단을 가지는 거푸집 체결구조.
KR20-2004-0025806U 2004-09-08 2004-09-08 노치부가 형성된 결속수단을 가지는 거푸집 체결구조 KR2003734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806U KR200373487Y1 (ko) 2004-09-08 2004-09-08 노치부가 형성된 결속수단을 가지는 거푸집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806U KR200373487Y1 (ko) 2004-09-08 2004-09-08 노치부가 형성된 결속수단을 가지는 거푸집 체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3487Y1 true KR200373487Y1 (ko) 2005-01-15

Family

ID=49353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5806U KR200373487Y1 (ko) 2004-09-08 2004-09-08 노치부가 형성된 결속수단을 가지는 거푸집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348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78220B (zh) 一种钢筋模板一体化安装的混凝土剪力墙
KR100609184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기둥 접합부 구조
JP2008266910A (ja) 緊張材の定着部または偏向部の突起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308053B1 (ko) 저모멘트존을 이용한 pc기둥 접합구조
KR20070027431A (ko) 철근조립체와 거푸집과 천정 판넬을 스폿용접으로고정시키는 결속구
JP6308502B2 (ja) 張出し施工におけるプレテンション床版の構築方法
JP3999931B2 (ja) 塔状構造物の構築方法
KR200373487Y1 (ko) 노치부가 형성된 결속수단을 가지는 거푸집 체결구조
KR100812248B1 (ko) 선 조립철근 배근구조
KR100865133B1 (ko) 결속구, 선조립 콘크리트 구조물용 거푸집 구조체 및 이를이용한 시공방법
KR100612938B1 (ko) 벽 및 슬라브 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626326B1 (ko) 콘크리트 구조물
KR20220049720A (ko) 다층높이의 프리캐스트 벽체를 활용한 코어부 급속시공구조
JPH0673786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柱の接合方法
US4020132A (en) Construction joint for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KR102644063B1 (ko) 교량 슬래브 시공용 트러스 거더 거푸집
JPH05230913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製型枠およびコンクリート打込工法
JPH0340182B2 (ko)
KR200362827Y1 (ko) 콘크리트 구조물
JPH03281855A (ja) 建築物の床組工法
JPH06257218A (ja) 柱梁仕口部の型枠取付構造
JP2000017841A (ja) 鉄筋支持具、こ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壁、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464241Y1 (ko) 작업 편의성이 우수한 철근 일체형 데크플레이트
KR200383574Y1 (ko) 트러스트 골조시스템을 위한 거푸집 패널
KR200172618Y1 (ko) 콘크리트 천장 시공용 장선을 걸기 위한 브라켓 일체형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