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3574Y1 - 트러스트 골조시스템을 위한 거푸집 패널 - Google Patents

트러스트 골조시스템을 위한 거푸집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3574Y1
KR200383574Y1 KR20-2005-0003666U KR20050003666U KR200383574Y1 KR 200383574 Y1 KR200383574 Y1 KR 200383574Y1 KR 20050003666 U KR20050003666 U KR 20050003666U KR 200383574 Y1 KR200383574 Y1 KR 2003835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ormwork
main body
frame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36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호
Priority to KR20-2005-00036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35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35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35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08Forms, which are completely dismantled after setting of the concrete and re-built for next pouring
    • E04G11/12Forms, which are completely dismantled after setting of the concrete and re-built for next pouring of elements and beams which are mounted during erection of the shuttering to brace or couple the elements
    • E04G11/16Forms, which are completely dismantled after setting of the concrete and re-built for next pouring of elements and beams which are mounted during erection of the shuttering to brace or couple the elements with beams placed within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4Spacers placed on the bottom of the mould

Abstract

본 고안은 시공성이 향상된 철근골조와 거푸집으로 이루어진 트러스트(trussed) 골조시스템을 위한 거푸집 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설되는 구조물의 두께에 맞게 건설현장에서 작업자가 일일이 철근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로 상호 결속하여 골조를 형성하는 배근과정을 생략하여 작업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철근공장에서 기성품으로 생산되도록 개발된 종래 철근 골조체와, 거푸집, 그리고 상기 골조체와 상기 거푸집 패널을 위한 간격유지구를 도입한 벽체용 트러스트 골조시스템을 위한 거푸집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트러스트 골조시스템을 위한 거푸집 패널은 일정간격을 두고 끼움공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판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끼움공 위치에 슬라이드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고, 상기 본체와 접촉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쐐기 형상으로 돌설되어 있고, 최저점 부근의 확장부와 최저점에서 최고점까지 이어져 있으며 상기 확장부와 연통된 협소부로 이루어진 슬릿이 형성된 쐐기부를 포함하는 활주판; 및 상기 활주판이 상기 본체에 부착된 상태로 미끄러지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활주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트러스트 골조시스템을 위한 거푸집 패널{PANEL FOR TRUSSED FRAMEWORK SYSTEM FOR CONSTRUCTION MOLD}
본 고안은 시공성이 향상된 철근골조와 거푸집으로 이루어진 트러스트(trussed) 골조시스템을 위한 거푸집 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설되는 구조물의 두께에 맞게 건설현장에서 작업자가 일일이 철근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로 상호 결속하여 골조를 형성하는 배근과정을 생략하여 작업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철근공장에서 기성품으로 생산되도록 개발된 종래 철근 골조체와, 거푸집, 그리고 상기 골조체와 상기 거푸집 패널을 위한 간격유지구를 도입한 벽체용 트러스트 골조시스템을 위한 거푸집 패널에 관한 것이다.
실용신안등록 제0369373호(2004.21.24) 『단면의 형상이 반원형인 핀을 가지는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시스템』과 실용신안등록 제0373487호(2005.01.07) 『노치부가 형성된 결속수단을 가지는 거푸집 체결구조』에는 거푸집 내에 배근되는 철근이 벽체 또는 바닥체와 같은 건축 구조물의 두께에 상응하도록 주철근을 일일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하고 상호 결속하여 철근 골조를 형성하는 작업을 개선하기 위하여 개발된 기성 철근 골조체를 거푸집에 배열할 경우 시공의 편리성과, 철근골조와 거푸집의 결속력 향상과, 콘크리트 타설 후 돌출된 철근 제거의 용이성 도모를 위하여 제안된 것이다.
건설현장이 아닌 철근공장 등에서 기성품으로 생산되는 철근 골조체는 도 1(실용신안등록 제0369373호의 공보의 도 1과 같음)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 두께에 상응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두 주철근(210)과 상기 주철근(210)의 간격유지와 보강을 위한 보조철근(213)을 포함하는 골조체(210)이다.
공사현장에서 상기 골조체(210)는 지그재그 형태로 접힌 상기 보조철근(213)의 절곡 돌출부(213a)가 거푸집 패널(221A)(221B)의 장방형 슬릿(221a)에 끼워지는 형태로 고정되고 패널(221A)(221B)과 상기 돌출부(213a) 사이에 형성되는 구멍에 철근(217)을 가로 질러 거푸집과 골조체(210)를 고정하는 형태이다. 상기 구조물(210)의 주철근(221A)(221B)은 상기 거푸집 내부에서 횡방향 철근(215)과 철사로 체결되어 보강된다.
상기 두 등록실용신안에서 상기 보조철근(213)의 돌출부(213a)는 거푸집 패널(121A)(121B)과 철근 구조물(210)이 일정 간격 떨어져 있도록 하여 타설된 벽체에서 주철근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두 등록실용신안의 구성은 종래 거푸집 패널과 골조체의 주철근 사이에 간격유지를 위한 지지체를 일일이 개재하여야 하였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콘크리트 타설 후 거푸집 해체시 노출된 상기 보조철근(213)의 돌출부(213a)는 절단하여 제거한다.
그러나 공장에서 제조된 기성 슬릿 형성 패널을 사용할 경우에도 작업환경의 변화에 따라 새롭게 슬릿을 형성할 경우가 존재하므로 불편함은 여전히 남게 된다.
나아가 등록고안들의 공보에 명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두 등록실용신안의 콘크리트 구조물은 건설현장이 아닌 공장에서 조립된 후 건설현장으로 이송되는 것으로 명시되어 있다.
그 이유는 골조체(210)와 거푸집 패널(221A)(221B)과 유격 없이 확고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각 골조체(210)의 보조철근(213) 절곡 돌출부(213a)가 모두 거푸집 패널(221A)(221B) 슬릿(221a)으로 돌출되도록 하면서 일일이 결속 철근(217)을 끼우는 작업이 긴장도, 정밀성, 숙련도, 그리고 많은 근력의 소모를 요하는 작업이어서 건설현장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을 조립하기에는 어렵기 때문이다.
또 건설현장 인근이 아닌 외지에서 축조물, 특히 집합건물(소위 '아파트')의 축조물을 위하여 특정 크기와 형상을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생산하여 운반하기에는 많은 비용이 소모되고, 원하는 축조물에 맞는 구조물을 운송하기에 알맞게 분체화여야 하므로 고안의 목적과 효과인 배근 작업의 간편성 및 안전성, 그리고 비용절감이 미약해질 수밖에 없다.
이러한 이유들로 상기 실용신안들의 골조체는 공사현장 인근의 공장에서 조립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공사현장의 여건에 따라서 공장의 인접성은 보장되지 않을 수 있다.
또 상기 두 등록실용신안은 거푸집 패널(221A)(221B)에 일일이 상기 보조철근(213)의 돌출부(213a)를 위한 슬릿, 특히 장방형 슬릿(221a)을 형성시켜야 하므로 건설현장에서 거푸집 패널에 일일이 슬릿을 형성할 경우 작업지연의 원인이 된다.
아울러 통상적으로 상기 두 등록실용신안에서는 통상적으로 합판소재로 되어 있는 거푸집 패널에 장방형 슬릿을 형성할 경우 충격이나 일정 무게 이상이 가해지면 패널이 형성된 상기 슬릿을 기점으로 하여 찢어지기 쉽다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종래의 거푸집 골조시스템에서 기성 철근 골조체를 거푸집에 배열할 경우 작업의 불편함이 여전히 남아 있는 문제점과 거푸집 패널의 장방형 슬릿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특히 배근 작업의 편리성을 위하여 고안된 실용신안등록 제0369373호 및 실용신안등록 제0373487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거푸집 패널에 부착되고 쐐기부를 가져서 기성 철근 골조체와 거푸집의 결속수단인 간격유지구의 끼움부를 확고하고 물어서(bite) 거푸집에 고정할 수 있는 활주판이 부착되어 있는 거푸집 패널을 제공하여 철근 골조체와, 거푸집, 그리고 상기 골조체와 상기 거푸집 패널을 위한 간격유지구를 도입한 트러스트 골조시스템을 건설현장에서 신속하게 조립하는데 크게 이바지하여 건축의 반복성과 신속성, 고품질화, 그리고 대량생산성을 보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은 상기 활주판의 활주를 위한 수단과 아울러 패널과 패널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를 도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0369373호 및 실용신안등록 제0373487호의 경우와 같이 거푸집 패널에 장방형 슬릿을 형성할 필요 없이 원형 구멍을 형성하면 충분하여 현장 적응성이 뛰어나면서도 패널이 파손될 위험이 없는 골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트러스트 골조시스템을 위한 거푸집 패널은 일정간격을 두고 끼움공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판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끼움공 위치에 슬라이드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고, 상기 본체와 접촉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쐐기 형상으로 돌설되어 있고, 최저점 부근의 확장부와 최저점에서 최고점까지 이어져 있으며 상기 확장부와 연통된 협소부로 이루어진 슬릿이 형성된 쐐기부를 포함하는 활주판; 및 상기 활주판이 상기 본체에 부착된 상태로 미끄러지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활주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2에서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패널(P)이 사용되는 트러스트(trussed) 골조시스템(S)은 크게 골조체(50)와,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패널(P)을 포함하는 거푸집, 그리고 상기 골조체(50)의 가장 외곽 주철근(51)과 상기 거푸집 패널(P)을 일정 간격 떨어뜨리는 역할을 하는 간격유지구(60)를 포함한다.
골조시스템(S)이 벽체를 위한 것일 경우 상기 골조체는 수직으로 세워져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배열되고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패널(P)은 상기 골조체의 적어도 양측면에 배열될 것이다.
또 골조시스템(S)이 슬라브(slab)를 위한 것일 경우 상기 골조체는 수평으로 눕혀져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배열되고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패널(P)은 상기 골조체의 하부에 배열될 것이다.
상기 골조체(50)가 공장에서 기성품으로 생산될 경우에는 도 5, 도 6, 그리고 도 7에서 보다 자세히 확인할 수 있듯이 서로 일정 간격 떨어져 있는 두 주철근(51A)(51B)과 상기 주철근의 간격유지와 보강을 위한 보조철근(53)으로 되어 있다. 상기 보조철근(53)은 일정하게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되어 상기 절곡부위 마다 상기 주철근(51A)(51B)과 결합된다.
상기 골조체는 가상의 동일 평면상에서 둘 이상의 주철근을 배열한 2차원 형태나 서로 다른 평면상에서 셋 이상의 주철근을 배열한 3차원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는데, 이때 가장 외곽에 배열된 주철근 사이의 거리는 건설되는 벽체의 두께에 상응하게, 즉 최외곽에 배열된 주철근 사이의 간격이 상기 벽체의 두께 보다 좁게 배열되어야 한다는 제한을 받는다. 이러한 제한은 타설된 벽체에서 콘크리트 외부로 철근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공장에서 제조된 상기 골조체(50)는 건설현장으로 이송되어 원하는 벽체의 형상에 맞게 수직으로 배열되고 그 양측이 거푸집 패널(P)과 결합되는데, 우선 슬라브를 위한 거푸집인 경우, 거푸집 패널(P) 상부에 일정 간격 떨어져 배열된 서로 다른 골조체(50)의 주철근(51A)(51B)과 주철근은 결속 철사(미도시 됨)에 의하여 횡방향 보강철근(55)에 의하여 엮인다.
또 상기 거푸집 패널(P)과 상기 골조체(50)는 간격유지구(60)에 의하여 일정 간격 떨어지게 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간격유지구(60)는 연결부, 지지부재, 그리고 끼움부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는 형태의 것으로, 우선 그 연결부(61)가 갈고리 형상을 가지며, 상기 골조체(50)의 주철근(51A)(51B)에 연결된다.
도 6 및 도 7에서 상기 간격유지구(60)의 핵심인 지지부재(65)는 슬라브를 위한 골조체(50)에서 거푸집 패널(P) 내측면과 접촉하면서 상기 골조체(50)를 지지한다.
상기 지지부재(65)는 콘 형상의 콘크리트 소재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콘 형상의 부재 상부 및/또는 하부에는 콘크리트가 마찰 또는 충격에 의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합성수지 또는 금속 소재의 와셔(65a)(65b)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콘 형상의 지지부재(65)가 콘크리트로 이루어질 경우 벽체의 타설 후 거푸집을 제거하여도 외부에 가능한 간격유지구의 철근부재(연결부와 끼움부를 이루는 부재)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동시에 간격유지구와 콘크리트 벽체 사이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콘 형상의 지지부재(65)는 횡단면적이 넓은 상부가 상기 골조체의 가장 외곽 주철근(51A)(51B)과 접촉하고, 횡단면적이 보다 좁은 하부가 거푸집의 패널(P) 내측면과 접촉한다.
즉, 상기 지지부재(65)는 상기 골조체(50)의 주철근 중 가장 외곽의 하부 주철근(51B)과 상기 거푸집 패널(P)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형태이다.
또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상기 연결부(61)와 상기 끼움부(63)는 상기 콘 형상 부재(65)에 내장된 그 이음부에 노치(notch)부(미도시 됨)가 형성되어 있고, 연결부(61)의 반대쪽, 즉 끼움부(63)의 단부에는 단면적확장부, 특히 육각형의 횡단면을 갖는 단면적확장부(67)가 형성되어 있어서 슬라브 또는 벽체 타설 후 거푸집 제거시 렌치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단면적확장부(67)를 돌려 상기 노치부를 기점으로 상기 끼움부(33)를 상기 연결부(31)로부터 끊어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간격유지구(60)의 단면적확장부, 특히 육각형 단면적확장부(67)는 트러스트 골조시스템(S)에서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패널(P)과 직접적으로 결합되고 본 고안의 패널(P)의 핵심인 쐐기 형상 활주판(20)을 도입하는 직접적인 단초로서, 상기 단면확장부(67)와 상기 활주판(20)은 상기 골조체(50)와 상기 거푸집 패널(P)을 체결하는 간격유지구(60)가 거푸집 패널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의 역할을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패널(P)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일정간격을 두고 끼움공(11)(도 5 참조)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판상의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끼움공(11) 위치에 슬라이드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는 활주판(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활주판(20)은 상기 본체(10)와 접촉하는 지지부(21)와, 상기 지지부(21)에서 쐐기 형상으로 돌설되어 있는 쐐기부(23)로 이루어진다.
상기 쐐기부(23)는 최저점 부근, 특히 상기 지지부(21)와 동일 평면상에 가깝게 형성되어 있는 확장부(25a)와 상기 최저점에서 최고점까지 이어져 있고 상기 확장부(25a)와 연통된 협소부(25b)로 이루어진 슬릿(25)을 갖는다.
또 상기 활주판(20)은 활주수단에 의하여 상기 패널 본체(10)에 부착되고 미끄러지면서 왕복 이동될 수 있는데, 먼저 도 2에 도시된 활주수단은 상기 활주판(20) 양측부에 형성된 요입부(27a)(27b)와 상기 요입부를 외측에서 물(bite) 수 있는 걸림편(33a)(33b)이 돌설된 고정판(3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고정판(30)은 상기 본체(10)의 끼움공(11)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간격유지구(60)의 끼움부(33), 특히 단면적 확장부(67)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31)과, 고정판(30)의 패널(P) 고정을 위하여 네 귀퉁이에 형성된 고정공(35)을 갖는다.
상기 고정판(30)의 걸림편(33a)(33b)의 내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활주판(20) 요입부(27a)(27b) 외측면 사이의 거리 보다 약간 길어 활주판의 원활한 미끄러짐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다른 형태의 활주수단은 상기 활주판(120) 양측부에 치우쳐 형성된 활주장공(127a)(127b)과, 상기 활주장공(127a)(127b)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10)에 결합된 체결부재인 못(129)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못(129)은 통상적인 나사못이나 리벳 등의 체결부재로 대체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활주판(120)을 이루는 구성요소의 참조부호는 도 2의 활주판(20)의 구성요소의 참조부호와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가 동일한 것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는 것으로 앞서 설명한 도 2의 활주판(20)과 관련된 기재에 준하는 것으로, 간략한 설명을 위하여 생략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활주판(20)(120)의 양단은 일정 각도로 절곡된 상승부(20A,20B)(120A,120B)를 갖는다. 상기 상승부는 망치와 같은 공구로 활주판(20)(120)을 살짝살짝 쳐서 활주판(20)(120)이 상기 간격유지구(60)의 끼움부(63)를 쉽게 물거나 풀 수 있게 하기 위한 타격부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패널(P)은 패널과 패널의 연결을 위한 연결구(4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구(50)는 먼저 상기 본체(10)의 테두리에 일정 간격을 두고 결합되어 있고, 상기 본체(10)의 측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절곡된 접촉편(41a)과, 상기 접촉편(41a)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된 이탈방지편(41b)으로 이루어진 걸림브라켓(41A)을 포함하는 결합부재(41)를 갖는다. 상기 결합부재(41) 상기 패널(P)과의 결합을 위한 다수의 결합공(43)이 본체에 형성되어 있어 체결부재(43a)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연결구(50)는 상호 인접한 두 패널(P) 본체(10)에 결합된 상기 두 결합부재(41)를 결속하기 위한 연결부재(45)를 갖는다.
상기 연결부재(45)에는 인접한 상기 두 결합부재(41) 걸림브라켓(41A)의 이탈방지편(41b)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확장부(45a)와 상기 걸림브라켓(41A)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면서 두 결합부재(41)를 조일 수 있는 협소부(45b)로 이루어진 결속장공(45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45)의 상부는 절곡되어 있는 정지편(45B)을 갖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패널을 사용하여 골조시스템(S), 특히 슬라브를 위한 골조시스템을 조립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되는 슬라브의 두께에 상응하는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주철근(51A)(51B)과 상기 주철근의 간격유지와 보강을 위한 보조철근(53)으로 이루어진 골조체(50)를 제조한다. 상기 골조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2차원 또는 3차원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보조철근(53)은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된 형태이고 각 절곡부 마다 상기 주철근(51A)(51B)과 용접되어 있다.
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 떨어진 다수의 끼움공(11)이 천공 형성되어 있는 본체(10)와 여기에 결합된 고정판(30), 활주판(20), 그리고 패널연결구(40)의 결합부재(41)를 갖는 거푸집 패널(P)을 준비하여 상기 골조체(50)와 함께 건설현장으로 이동한다. 상기 패널(P) 본체(10)의 끼움공(11) 천공은 필요에 따라 건설현장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서 건설현장에 도착하여 작업대에서 거푸집 패널(P)과 상기 골조체(50) 및 간격유지구(60)를 조립하여 슬라브를 위한 골조시스템(S)을 제조한다.
상기 작업대는 축조물, 특히 집합건물과 같이 다층이면서 같은 구조의 건물이 단지를 이루어 대단위로 건설되는 건물을 건설함에 있어 한 층 또는 한 가호(家戶)의 슬라브 자체, 또는 슬라브를 둘 이상으로 분할한 각 분할구역의 크기에 맞는 형태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제조된 골조시스템을 타워크레인 등의 장비로 들어 올릴 경우와 골조시스템(S)을 지지할 벽체의 축조 위치를 감안하면 건물의 방이나 거실 등과 같은 각 거주 구획에 상응하는 골조시스템(S)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골조시스템(S)의 제조에 있어 거푸집 패널(P) 상부에 상기 골조체(50) 배열하는 것과, 골조체(50)를 상호 결속하고 이어서 간격유지구(60)를 배열한 다음 그 위에 거푸집 패널(P)을 결합하는 두 가지 방식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후 골조시스템(S)의 벽체 상부로의 안치 공정을 고려할 때 전자의 방식이 바람직할 것이므로, 이하에서는 이 경우를 위주로 설명한다.
먼저 지면에서 일정 정도, 특히 작업자가 팔을 뻗어 닿을 수 있을 정도의 높이가 떨어져 있는 작업대에 거푸집 패널(P)을 올려놓고, 하나의 골조체(50)와 상기 거푸집 패널(P)의 끼움공(11) 수와 일치하는 간격유지구(60)를 연결부(61)를 통하여 결속시키면서 배열한다. 이때 상기 간격유지구(60)의 끼움부(63)는 패널(P)의 끼움공(11)에 삽입되고, 상기 지지부재(65)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하부 주철근(51B)과 패널(P)이 위치한다. 이렇게 패널(P) 상부에 배열된 골조체(50)들은 또 별도의 횡방향 보강철근(55) 다수와 통상적인 결속 철사를 이용하여 상호 결속된다.
이에 앞서 원하는 골조시스템(S)의 크기에 맞는 거푸집 형성을 위하여 상기 패널(P)은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한 연결구(4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패널(P) 본체(10)의 접면에 못(43a) 등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결합공(43)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재(41)와, 인접한 두 결합부재(41)의 걸림브라켓(41A)을 결속하는 연결부재(45)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재(45)의 브라켓(41A)을 위한 결속장공(45A)은 브라켓(41A)의 이탈방지편(41b)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확장부(45a)와 브라켓(41A)의 이탈방지편(41b)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면서 두 결합부재(41)를 접촉편(41a)을 조일 수 있는 협소부(45b)로 이루어져 있다.
이어서 도 2,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작업대의 하부에서 거푸집 패널(P)의 본체(10) 끼움공(11)과 고정판(30)의 삽입공(31) 및 활주판(20) 쐐기부(23)의 슬릿(25) 확장부(25a)를 관통하여 노출된 간격유지구(60)의 끼움부(63)를 상기 활주판(30)의 쐐기부(23)로 고정한다.
작업자가 상기 활주판(20)의 상승부(20A)를 망치와 같은 공구로 톡톡 치면 상기 활주판(20)의 요입부(27a)(27b)는 상기 고정판(30)의 걸림편(33)(33b)를 타고 슬라이드 되고, 상기 쐐기부(23) 슬릿(25)의 협소부(25b)는 상기 간격유지구(60) 끼움부(63)를 꽉 조이고, 상기 쐐기부(23) 상부와 상기 간격유지구(60)의 단면적확장부(67)는 상호 밀착된다.
결국 상기 단면적확장부(67) 내면, 상기 활주판(20)의 쐐기브(23) 상면, 지지부(21)의 하면, 상기 거푸집 패널(P) 본체(10)의 하상면, 상기 지지부재(65)의 하상면, 골조체(50)의 주철근(11B)(11A)의 각 하면과 상면, 그리고 상기 간격유지구(60)의 연결부(31) 하면이 서로 확고하게 밀착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에 따른 패널(P)을 이용한 거푸집 골조시스템(S)은 웬만한 충격이나 하중에도 견고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완성된 골조시스템(S)은 골조체(50)들과 거푸집 패널(P)들이 상기 간격유지구(60), 활주판(20)에 의하여 확고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또한 도 4와 같이 상기 패널(P) 상호간은 패널연결구(40)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조된 상기 골조시스템(S)을 타워크레인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미리 축조된 벽체 상부에 올려 걸쳐 안치시킨다.
마지막으로 본 고안에 따른 골조시스템(S)의 벽체 안착과 상호 결속이 완료되면 상기 골조시스템 상부로 레미콘 또는 콘크리트 몰타르를 붙고 다짐과 고르기 과정을 거쳐 양생한다.
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간격유지구(60)가 노치부를 가질 경우 양생 단계 후 거푸집 해체시 끼움부(63) 단부의 단면적확장부(67)를 비틀어 노치부를 기점으로 끼움부를 분리제거하면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트러스트 골조시스템을 위한 거푸집 패널은 거푸집 패널에 부착되고 쐐기부를 가져서 기성 철근 골조체와 거푸집의 결속수단인 간격유지구의 끼움부를 확고하고 물어서(bite) 거푸집에 고정할 수 있는 활주판이 부착되어 있는 거푸집 패널을 제공하여 철근 골조체와, 거푸집, 그리고 상기 골조체와 상기 거푸집 패널을 위한 간격유지구를 도입한 트러스트 골조시스템을 건설현장에서 신속하게 조립하는데 크게 이바지하여 건축의 반복성과 신속성, 고품질화, 그리고 대량생산성을 보장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골조시스템은 건물, 특히 집합건물과 같이 다층이면서 같은 구조의 건물이 단지를 이루어 대단위로 건설되는 건물의 벽체를 건설함에 있어 한 층 또는 한 가호(家戶)의 벽체 자체, 또는 벽체를 둘 이상으로 분할하여 각 분할구역의 크기와 형상에 맞게 골조시스템을 제조하고, 타워 크레인 등을 사용하여 이미 축조된 벽체 상부에 벽체를 위한 골조시스템을 안치하는 방식으로 건축물을 축조함으로써 타이로드를 체결하는 등 일일이 배근작업을 하거나 동바리 등의 버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공기(工期)를 단축할 수 있고, 인건비 및 자재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배근 작업이나 벽체 양생 후 돌출 철근 제거 작업, 그리고 동바리 설치 및 해체 작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확고하게 연결된 골조시스템을 이용하므로 벽체의 강도 균일성이 크므로 세월이 흘러도 건축물의 고품질 유지가 가능하고, 소요되는 자재가 적으므로 폐기물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그리고 벽체를 위한 골조의 설치 및 거푸집 해체에 있어 소음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획기적인 고안이라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거푸집 패널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실용신안등록 제0369373호의 공보 도 1에 도시된 골조시스템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패널의 사시도,
도 3은 도 2와 다른 형태의 활주수단을 갖는 활주판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패널연결구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패널 연결구를 이용하여 슬라브(slab)를 위한 골조시스템을 축조한 분해사시도,
도 6은 간격유지구의 사시도,
도 7은 골조시스템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패널 본체 11: 끼움공
20: 활주판 21: 지지부
23: 쐐기부 25: 슬릿
30: 고정판 33a,33b: 걸림편
40: 패널연결구 41: 결합부재
41A: 걸림부라켓 45: 연결부재
45A: 결속장공 50: 골조체
60: 간격유지구

Claims (5)

  1. 일정간격을 두고 끼움공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판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끼움공 위치에 슬라이드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고,
    상기 본체와 접촉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쐐기 형상으로 돌설되어 있고, 최저점 부근의 확장부와 최저점에서 최고점까지 이어져 있으며 상기 확장부와 연통된 협소부로 이루어진 슬릿이 형성된 쐐기부를 포함하는 활주판; 및
    상기 활주판이 상기 본체에 부착된 상태로 미끄러지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활주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트러스트 골조시스템을 위한 거푸집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수단은
    상기 활주판 양측부에 형성된 요입부; 및
    상기 본체의 끼움공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끼움공에 상응하는 삽입공과, 상기 활주판의 요입부와 접촉하는 두 걸림편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트 골조시스템을 위한 거푸집 패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수단은
    상기 활주판 양측부에 형성된 활주장공; 및
    상기 활주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에 결합된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트 골조시스템을 위한 거푸집 패널.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판의 양단은 일정 각도로 절곡된 상승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트 골조시스템을 위한 거푸집 패널.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테두리에 일정 간격을 두고 결합되어 있고, 상기 본체의 측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절곡된 접촉편과, 상기 접촉편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된 이탈방지편으로 이루어진 걸림브라켓을 포함하는 결합부재; 및
    인접한 패널 본체에 결합된 상기 두 결합부재를 결속하며, 인접한 상기 두 결합부재 걸림브라켓의 이탈방지편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확장부와 상기 걸림브라켓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면서 두 결합부재를 조일 수 있는 협소부로 이루어진 결속장공을 포함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패널연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트 골조시스템을 위한 거푸집 패널.
KR20-2005-0003666U 2005-02-07 2005-02-07 트러스트 골조시스템을 위한 거푸집 패널 KR2003835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666U KR200383574Y1 (ko) 2005-02-07 2005-02-07 트러스트 골조시스템을 위한 거푸집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666U KR200383574Y1 (ko) 2005-02-07 2005-02-07 트러스트 골조시스템을 위한 거푸집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3574Y1 true KR200383574Y1 (ko) 2005-05-06

Family

ID=43685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3666U KR200383574Y1 (ko) 2005-02-07 2005-02-07 트러스트 골조시스템을 위한 거푸집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357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9797B2 (en) Structure constructed using precast members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KR100498815B1 (ko) 거푸집조립체를 이용한 슬라브용 트러스 골조시스템
KR200481707Y1 (ko) 거푸집 겸용 외장벽판
WO2008030009A1 (en) Interior/exterior pane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0343960B1 (ko) 강콘크리트 구조시스템
KR100501546B1 (ko) 거푸집조립체를 이용한 벽체용 트러스 골조시스템
KR200414349Y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연결구조
JP5532468B1 (ja) スラブ内の型枠支持部材
KR200383574Y1 (ko) 트러스트 골조시스템을 위한 거푸집 패널
KR20080066574A (ko) 골판지소재의 거푸집패널을 이용한 거푸집조립체
KR100546839B1 (ko) 계단용 트러스 골조시스템
KR20070027432A (ko) 철근조립체와 거푸집과 천정 판넬을 고정핀으로 고정시키는결속구
KR20100090553A (ko) 멀티 슬래브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KR200414945Y1 (ko) 유러폼의 슬라브 타설용 데크패널
KR200430300Y1 (ko) 건축물의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 받침장치에 적합한보강받침대
KR200442723Y1 (ko) 키를 이용한 거푸집 연결구조
KR100612938B1 (ko) 벽 및 슬라브 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848081B1 (ko) 조립형 갱폼의 지지부 연장 설치 구조
KR100612662B1 (ko)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철근망 조립시공법
KR20140130808A (ko) 거푸집 겸용 외장벽판
KR101320697B1 (ko) 거푸집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연결 방법
KR102242175B1 (ko) 조립식 더블 월 pc 제조 금형
KR101386415B1 (ko)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와 모듈러 건축물의 모듈유닛 및 그 제작방법
KR100654640B1 (ko) 들보용 거푸집 조립체
KR200166886Y1 (ko) 강콘크리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