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2006Y1 - 토류벽 시공시 사용된 파일을 인출하기 위한 파일이형재 - Google Patents

토류벽 시공시 사용된 파일을 인출하기 위한 파일이형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2006Y1
KR200372006Y1 KR20-2004-0026856U KR20040026856U KR200372006Y1 KR 200372006 Y1 KR200372006 Y1 KR 200372006Y1 KR 20040026856 U KR20040026856 U KR 20040026856U KR 200372006 Y1 KR200372006 Y1 KR 2003720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sheet
file
hole
earth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68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승호
정연창
Original Assignee
황승호
정연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승호, 정연창 filed Critical 황승호
Priority to KR20-2004-00268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20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20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20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02D13/02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specially adapted for placing or removing bulk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9/00Removing sheet piles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or parts thereof
    • E02D9/02Removing sheet piles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or parts thereof by withdra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설 흙막이 토류벽의 강도를 증강시키기 위하여 사용된 파일을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인출하기 위한 파일이형재에 관한 것으로,
지반에 적당한 깊이로 굴착된 파일공에 삽입 설치되는 H형 파일의 외주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한 파일공에 설치된 후 타설되는 콘크리트몰탈이 파일의 외주에 접촉하지 못하게 하여 타설된 콘크리트몰탈이 경화된 후 파일만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일이형재에 있어서,
상기 파일이형재는, 파일공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몰탈의 타설압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지는 플라스틱재로 성형되어 상기한 파일공의 하단(바닥)에서부터 지상으로 돌출되는 높이까지의 파일 외주면 전체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포장시트와;
상기 포장시트를 파일에 밀착상태가 유지되게 하면서 견고하게 결착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포장시트의 외주에 한곳 이상으로 감아서 결속하는 결속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안이다.

Description

토류벽 시공시 사용된 파일을 인출하기 위한 파일이형재{Frame to draw out beam}
본 고안은 건물 신축을 위한 기초 터파기 굴착공사시 지반의 붕괴 및 침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굴착공사 전에 터파기 굴착 경계부위에 미리 시공되는 가설 흙막이 토류벽을 구축하기 위해 사용되는 금속제 파일(H형 빔)을 토류벽 시공 후 재사용하기 위하여 콘크리트가 타설된 굴착공에서 인출하기 용이하도록 미리 금속제 파일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토류벽 시공시 사용된 파일을 인출하기 위한 이형재에 관한 것이다.
토목 및 건축현장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축조를 위한 지반 굴착공사시 굴착 배면의 토사 붕괴, 침하 방지 및 변위 억제를 통해 인접 지반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가설 흙막이 공사를 수행하고 있다.
최근 건물이 밀집된 도심지의 경우에는 기존 건물에의 근접 시공이 빈번해짐에 따라 지반 굴착으로 인한 지반의 침하 또는 붕괴 및 주변 건물의 안정성에 대한 요구가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가설 흙막이 공사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가설 흙막이 시공공법은 크게 토류벽 공법과 토류벽 지지공법으로 분류되며, 그 중 도심지에서의 건축공사에 특히 적합한 토류벽 공법은 지반붕괴방지 및 굴착 배면 지하수위의 저하 및 이로 인한 토사유출을 방지하여 인접 지반의 변위 및 인접 건물의 침하를 최소화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도심지의 건축공사에 사용되는 가설 흙막이 토류벽 공법은, 소일시멘트벽공법(S.C.W 공법)과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공법(C.I.P 공법) 등의 연속벽체 공법이 주로 사용되며, 이러한 가설 흙막이 토류벽 공법의 굴착보조공법으로는 L.W grouting, S.G.R grouting, J.S.P 공법 등이 차수 및 지반보강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한 토류벽 공법에서는 연속벽체 속에 H형강 파일(H형 빔)을 삽입하여 토류벽체의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토류벽 공법은 지반을 미리 굴착된 파일공에 H형 파일을 삽입한 후 파일공으로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하여 토류벽을 구축하게 되며, 이렇게 구축된 토류벽은 파일공에 타설된 콘크리트 기둥의 강도만으로도 지반의 침하 및 붕괴를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이에 따라 콘크리트 기둥속에 매설되어 있는 고가의 금속재 파일은 불필요하게 사장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와 같이 콘크리트 속에 매설된 금속재 파일은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게 될 뿐만 아니라 일정 시간이 경과된후에는 부식 등의 원인에 의해 토양 오염을 가중시키는 문제도 뒤따르게 된다.
또한, 추후 재건축에 따른 굴착 작업시 상기한 금속재 파일에 의해 굴착 장애를 일으키게 되며, 또 콘크리트 기둥을 파괴시킨 후 얻어진 파일은 변형으로 인해 재사용이 불가능하여 고철로 취급되거나 또는 산업 폐기물로 분류되는 등 이중의 환경오염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가설 흙막이 토류벽 시공시 사용된 H형 파일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공법이 한국 특허출원 제2002-8778호 및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40902호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특허출원발명의 가설 흙막이 토류벽 공법은 이중 부직포층에 내입된 폴리머 또는 벤토나이트로 이루어진 이형 피복재가 H형 파일을 감산 상태로 파일공에 함께 삽입시키고, 이어서 파일공에 타설된 큰크리트 몰탈의 양생과정에서 이형 피복재가 수분을 흡수하여 겔 상태로 변화되게 하므로서 H형 파일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하며, 파일 인출후에는 파일이 인출된 구멍에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하여 토류벽의 강성은 유지되게 하면서 고가의 파일은 인출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시공 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고, 또 금속재 파일의 부식에 의한 환경오염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추후 건물이 노후되어 재건축하고자 할 때 금속재 파일에 의한 굴착장애를 일으키는 않는 등의 장점이 있는 반면에, 상기한 공법에 사용되는 이형 피복재는 내,외의 부직포와 그 부직포의 사이에 충진된 폴리머 또는 벤토나이트에 의한 이형 피복층으로 이루어진 것인바, 이러한 이형 피복재는 제작단가 매우 비싸 공사비의 부담을 가중시키므로 비경제적이고, 특히 흡수성 재질에 의해 우천작업시에는 품질 관리의 문제점이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등록실용신안은 플라스틱 재질로 된 내,외측시트지의 상,하단을 접착하여 밀봉하되, 양 시트지의 상,하단 사이에 고압공기를 충전시킬 수 있는 다수의 공간부가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상으로 형성시킨 후 후 상기한 각 공간부에 고압공기를 충전시켜주는 구조로서 이형재를 형성하고 있는데, 이러한 구조의 이형재는 그 단면이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어 H형 빔 파일이 수용되는 내부용적이 크고, 또 이형재가 플라스틱 시트지로 되어 있어 강도가 약할 뿐 아니라 H형 빔의 양단(서로 평행한 상태로 마주하게 형성된 분분)은 이형재의 내측시트지 양측에 밀착될 수 있지만 중간부분(서로 평행하는 양단을 이어주는 부분)과의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H형 빔 파일을 이형재 내부로 삽입시킨 상태에서 이형재의 외측으로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하였을시 H형 빔 파일의 중간부분과의 사이에 빈공간을 형성시키게 되는 이형재의 양측부분은 콘크리트몰탈의 타설압에 대한 저항력이 약해 파괴되는 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으며, 또 장척물인 H형 빔 파일의 양단을 이형재의 양측 내측시트지에 밀착되게 끼워주는 작업이 매우 힘들고 까다로우며, 또 상기한 이형재는 공사현장 마다 달라지는 H형 빔 파일의 길이에 맞추어 제작하기가 매우 곤란(길이 조정을 위해 이형재의 중간을 잘라내게 되면 고압의 공기가 충전되는 공간부가 오픈되어 공기충전이 곤란해짐)하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따라서 각 공사현장에서 사용되는 H형 빔 파일의 길이에 맞추어 주문 생산을 해야 하므로 생산성이 매우 나쁘다는 점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또 종래 기술에서의 이형재는 단순히 H형 빔 파일을 감싸도록 설치되었을 뿐 이형재를 파일에 견고하게 결속시키지 못하였기 때문에 파일을 미리 파놓은 굴착공에 삽입시킬 때 이형재가 굴착공 내주면에 접촉하게 될 때에는 이형재가 파일과 함께 굴착공으로 삽입되지 못하고 파일만 삽입되는 현상이 나타날 우려가 있어 이형재가 제구실을 하지 못하게 되어 파일의 인출작업이 상당히 어려워지는 것은 차치하더라도 파일을 재사용할 수 없게 된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콘크리트몰탈의 타설압에도 견딜 수 있는 강도를 지닌 플라스틱제 시트로 구성되어 H형 빔으로 된 파일의 외주를 감싼 채 그 파일에 견고하게 결착된 상태로 설치되어 파일을 운반하는 도중이나 파일공에 삽입시킬 때 파일에서 벗겨지거나 또는 밀려나지 않고 파일에 포장 설치된 상태 그대로 파일공에 삽입 설치시킬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플라스틱 시트가 파손되지 않도록 하므로서 토류벽 시공 후 파일을 손상시키지 않고 파일을 원형 그대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재사용을 가능케하는 파일이형재를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고안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지반에 적당한 깊이로 굴착된 파일공에 삽입 설치되는 H형 파일의 외주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한 파일공에 설치된 후 타설되는 콘크리트몰탈이 파일의 외주에 접촉하지 못하게 하여 타설된 콘크리트몰탈이 경화된 후 파일만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일이형재에 있어서,
상기 파일이형재는, 파일공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몰탈의 타설압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지는 플라스틱재로 성형되어 상기한 파일공의 하단(바닥)에서부터 지상으로 돌출되는 높이까지의 파일 외주면 전체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포장시트와; 상기 포장시트를 파일에 밀착상태가 유지되게 하면서 견고하게 결착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포장시트의 외주에 한곳 이상으로 감아서 묶어주는 결속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포장시트는 지지돌기가 종횡으로 다수열 돌출 형성된 내면시트와, 상기한 지지돌기의 개구부를 차단시키기 위하여 내면시트의 외측에 외면시트를 접합하여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장시트는 지지돌기가 파일에 접촉하도록 감겨져 파일과 포장시트 사이에는 지지돌기에 의하여 파일공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몰탈에 함유되어 있던 물기 및 파일공으로 스며드는 지하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물기배출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속구는 금속선재, 섬유선재, 플라스틱선재 및 접착테이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장시트는 파일의 양측 날개 각각의 외측에서 결착되는 체결크립에 의하여 파일에 고정 설치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파일을 지상에서의 운반 및 파일공으로 삽입하는 도중에 포장시트의 하단이 파손되는 것을 보호하기 위하여 포장시트의 하단을 감싸주는 하단보호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의 (A)(B)(C)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하여 파일굴착공에 파일이형재를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및 파일 시공상태의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파일이형재의 설치구조에 대한 일실시예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파일이형재의 설치구조에 대한 일실시예 평면도.
도 4의 (a)(b)(c)는 본 고안의 파일이형재의 포장시트 구조도로서,
(a)는 포장시트의 평면도이며
(b)(c)는 포장시트의 내면시트와 외면시트를 접합하기 전 상태와 접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파일이형재의 포장시트를 파일 감싸준 실시예의 평면도.
도 6의 (a)∼(e)는 본 고안의 파일이형재의 포장시트로 파일에 감싸 포장하는 과정에서부터 파일굴착공에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하는 과정을 순서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파일이형재의 설치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일부 분리 저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실시예의 정면도.
도 9는 도 7의 실시예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포장시트 11,12 : 내,외면시트
13 : 지지돌기 14 : 물기배출통로
2 : 접착테이프 3 : 결속구
4 : 파일공 5 : 크립
6 : 보호커버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의 (a)(b)(c)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하여 파일굴착공에 파일이형재를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및 파일 시공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파일이형재의 설치구조에 대한 일실시예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파일이형재의 설치구조에 대한 일실시예 평면도이며, 도 4의 (a)(b)(c)는 본 고안의 파일이형재의 포장시트 구조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파일이형재의 포장시트를 파일 감싸준 실시예의 평면도이며, 도 6의 (a)∼(e)는 본 고안의 파일이형재의 포장시트로 파일에 감싸 포장하는 과정에서부터 파일굴착공에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하는 과정을 순서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파일이형재의 설치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일부 분리 저면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실시예의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7의 실시예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부호 1은 포장시트(1)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포장시트(1)는 플라스틱 재질로서 콘크리트몰탈의 타설압력을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지면서 비교적 얇은 두께로 성형되는 것으로서, 포장시트(1)는 도 4의 도시와 같이 내,외면시트(11)(12)가 접합된 구조로 형성되는데, 상기한 내면시트(11)에는 외면시트(12)의 반대쪽을 향해 다수의 지지돌기(13)가 종횡으로 다수열 돌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한 각 지지돌기(13)들은 외면시트(12)에 내부가 차단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포장시트(1)는 내면시트(11)에 종횡으로 다수열 돌출된 지지돌기(13)가 파일(P)의 외주면에 접촉되게 설치되므로서 파일(P)의 외면과 포장시트(1) 사이에는 물기배출통로(14a)를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포장시트(1)는 도 6의 도시예와 같은 순서로 파일(P)에 설치된다.
먼저, 도 7의 (a)도시와 같이 포장시트(1)의 일단을 파일(P)의 일측 날개에 밀착시킨 상태로 시작하여 도면 중 화살표 방향으로 포장시트(1)를 파일(P) 외주에 감싸준다음, 도 7의 (b)와 같이 파일(P)의 일측 날개 중간부분에서 만나게 되는 포장시트(1) 양단을 외측에서 접착테이프(청테이프 등)(2)로 접착시켜주게 되면 포장시트(1)는 파일(P)의 외주면 전체를 감싼 상태가 되는데, 상기 포장시트(1) 자체는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것이므로 탄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포장시트(1)를 파일(P) 외주에 감싸줄 때에는 작업원이 수작업으로 포장시트(1)를 강제로 구부리면서 파일(P)에 밀착시키는 상태로 감싸도록 설치한 후 포장시트(1)의 양단을 접착테이프(2)로 접착시키게 되면 포장시트(1) 자체는 파일(P) 외주 전체를 감쌀 수 있는 면적을 가지고 있게 되지만, 파일(P) 외주에 밀착시키던 힘을 제거하게 되면 포장시트(1)는 원래 상태로 복귀하려는 탄력이 작용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 포장시트(1)를 도 6의 (b)와 같이 강제로 감싸준 상태에서 도 6의 (c) 도시와 같이 포장시트(1)의 외주를 결속구(3)로 감아주면서 단단하게 묶어주게 되면 포장시트(1)는 파일(P) 외주를 감싼 상태로 파일에 고정되는 것이다. 그러나 앞에서 설명한 바 있듯이 포장시트(1) 자체는 원래 상태(성형 당시의 펼쳐진 상태)로 펼쳐지려는 탄력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파일(P)의 양측 날개 외측에는 결속구(3)의 결속력에 의해 포장시트가 밀착될 수 있는 반면에, 양측 날개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는 포장시트는 결속구(3)의 결속력이 직접적으로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파일의 양측 날개 내측에는 포장시트(1)가 벌어진 상태(도 6의 (c) 참조)로 설치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포장시트(1)를 파일(P)에 고정시키깅 위한 결속구(3)는 포장시트(1)가 파일(P)에 단단하게 묶어줄 수 있도록 적어도 한 곳 이상을 묶어주는데, 본 고안에서는 도 2의 도시와 같이 포장시트(1)의 상단에서부터 하단까지 적당한 간격을 두고 복수 곳에 결속구(3)로 묶어준 것을 실시예로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결속구(3)는 포장시트(1)를 파일(P)에 단단하게 묶어줄 수 있는 재질로 된 것이면 만족하다. 예를 들어, 결속구(3)는 금속선재, 섬유선재, 플라스틱선재 및 청테이프 등과 같은 접착테이프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결속구(3)에 의하여 포장시트(1)가 단단하게 묶여져 있는 파일(P)을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미리 굴착되어 있는 파일공(4)(도 1의 (a) 참조)으로 운반하여 삽입 설치하는 것이며(도 2의 (b) 및 도 6의 (d) 참조), 이어서 파일공(4)에 삽입된 파일(P)의 외주 공간으로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하게 되면 파일(P)의 양측 날개 내측에 벌어진 상태로 설치되었던 포장시트(1)의 벌어진 부분은 타설된 콘크리트압력에 의해 파일(P) 외주에 밀착(도 6의 (e) 참조)되므로서, 파일공(4)에 콘크리트몰탈의 타설량을 설계대로 타설할 수 있게 되며, 또한 파일공(4)에 파일(P)을 삽입 설치하고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할 때 콘크리트몰탈에 함유되어있던 물기를 포함하여 파일공 바닥으로 지하수가 스며들 경우에는 그 물기는 파일공(4) 바닥에 고여있지 않고 포장시트(1)의 하단에서부터 물기배출통로(14)를 통하여 상향으로 배출되므로서 파일공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는 강한 강도로 구축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토류벽을 설계에 의한 강도로 구축 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도 7 내지 도 9의 도시예와 같이 포장시트(1)를 파일(P)에 결속시킬 수 있다. 즉, 도 7 및 도 8의 도시와 같이 포장시트(1)를 파일(P)에 감싸도록 설치할 때 파일(P)의 양측 날개 외측에서 포장시트(1)를 협지하는 크립(5)을 적당한 간격으로 설치하게 되면 포장시트(1)는 파일(P) 양측 날개의 내,외면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한 크립(5)은 파일의 양측 날개 내면을 협지하는 일측 단부가 파일의 중간부분을 눌러줄 수 있는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하므로서 포장시트(1)가 파일(P)의 외주 전체에 밀착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며, 이와 같이 크립(5)을 사용하여 파일(P) 외주에 포장시트(1)가 밀착되게 설치함에 있어서도 결속구(3)로서 포장시트(1)를 파일(P)에 단단하게 묶어주는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그리고, 포장시트(1)가 설치된 파일(P)을 크레인 등으로 운반하는 과정에서 파일(P)의 하단부분이 지상에 접촉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렇게 파일(P)의 하단이 지상에 접촉하는 상태로 운반될 때에는 포장시트(1)의 하단부분이 파손되는 현상이 반드시 발생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8 및 도 10의 도시와 같이 파일(P)의 하단을 감싸고 있는 포장시트(1)의 하단부분 중 파일의 양측 날개를 감싸고 있는 부분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6)를 조립하므로서 파일(P) 운반시 포장시트(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한 보호커버(6)는 파일(P)의 양측 날개를 감싸고 있는 포장시트(1) 하단부분만을 적당한 높이로 커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내측 중간부분에는 절개부(6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보호커버(6)는 파일의 양측 날개와 그를 감싸고 있는 포장시트(1)의 하단 양측부분은 은폐시킨 상태로 감싸주게 되며, 파일의 중간부분과 그곳을 감싸고 있는 포장시트의 중간부분은 노출된 상태가 되는데, 통상 파일(P)을 운반할 때에는 파일의 양측 날개부분만 지상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파일 운반시 파일의 양측 날개부분을 감싸게 되는 보호커버(6)가 지상에 접촉하게 되고 포장시트(1)는 접촉하지 않게 되므로서 파일의 운반시 포장시트(1)의 하단부가 파손되는 것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또한 파일(P)의 중간부분을 감싸고 있는 포장시트(1)의 중간부분은 노출된 상태이므로 파일공(4) 바닥에 고여잇게 되는 물기는 그 노출된 부분의 물기배출통로(14)를 통해 상향으로의 배출이 이루어져 파일공(4)에는 물기가 고여있지 않게 되므로서 이에 따라 토류벽을 설계대로의 콘크리트 강도로 구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토류벽의 강도를 증강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H형 파일(P)의 외주를 감싸도록 설치된 포장시트(1)가 파일에서 벗겨지거나 밀려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단단하게 묶인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포장시트(1)가 포장된 파일(P)을 파일공(4)에 삽입 설치할 때 포장시트(1)가 파일공(4) 내주면에 접촉하게 되거나 또는 내주면에서 돌출된 돌출부위에 걸리게 되는 현상이 발생되더라도 포장시트(1)는 파일(P)에 결속된 상태 그대로 파일공(4)으로 삽입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포장시트(1)는 파일공(4)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몰탈이 파일(P)에 접촉하지 못하도록 차단시키게 되어 토류벽 시공후 파일에 콘크리트몰탈이 묻어있지 아니한 상태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파일 인출시 파일(P)에는콘크리트의 접합력이 작용되지 않고 포장시트(1)와의 마찰력만 작용토록 하므로서 파일의 인출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이점을 제공하여 토류벽의 강도를 증강시키기 위하여 사용되었던 파일을 손상 내지 변형시키지 않고 인출할 수 있게 되므로서 토류벽 시공후 인출되는 파일의 재사용율을 높일 수 있게 하는 특징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건물 신축시 터파기 공사 전에 시공되는 가설 흙막이 토류벽을 시공할 때 토류벽의 강도를 증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H형 파일의 외주를 감싸주는 포장시트를 파일에 단단하게 고정시킨 상태로 결속시킬 수 있으므로 파일을 파일공에 삽입 설치할 때 포장시트가 파일에서 벗겨지거나 또는 밀려나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게 하며, 또 파일을 감싸도록 설치된 포장시트가 파일의 양측 날개 내측면에 밀착되지 않고 약간 벌어지진 상태가 되더라도 파일공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몰탈의 타설압에 의해 파일의 양측 날개 내측면에 밀착되는 상태가 되므로서 콘크리트몰탈을 설계에 의한 타설량으로 타설하여 구축할 수 있게 되므로서 토류벽의 강도를 설계대로 구축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토류벽의 내측에 터파기 공사와 건축물의 지하층을 구축한 후 토류벽에 사용되었던 파일의 인출작업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파일을 손상이나 변형시키지 않고 원래 상태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파일의 재사용율을 높일 수 있게 하는 등의 커다란 장점이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6)

  1. 지반에 적당한 깊이로 굴착된 파일공에 삽입 설치되는 H형 파일의 외주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한 파일공에 설치된 후 타설되는 콘크리트몰탈이 파일의 외주에 접촉하지 못하게 하여 타설된 콘크리트몰탈이 경화된 후 파일만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일이형재에 있어서,
    상기 파일이형재는, 파일공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몰탈의 타설압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지는 플라스틱재로 성형되어 상기한 파일공의 하단(바닥)에서부터 지상으로 돌출되는 높이까지의 파일 외주면 전체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포장시트와; 상기 포장시트를 파일에 밀착상태가 유지되게 하면서 견고하게 결착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포장시트의 외주에 한곳 이상으로 감아서 묶어주는 결속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류벽 시공시 사용된 파일을 인출하기 위한 파일이형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시트는 지지돌기가 종횡으로 다수열 돌출 형성된 내면시트와, 상기한 지지돌기의 개구부를 차단시키기 위하여 내면시트의 외측에 외면시트를 접합하여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토류벽 시공시 사용된 파일을 인출하기 위한 파일이형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시트는 지지돌기가 파일에 접촉하도록 감겨져 파일과 포장시트 사이에는 지지돌기에 의하여 파일공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몰탈에 함유되어 있던 물기 및 파일공으로 스며드는 지하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물기배출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토류벽 시공시 사용된 파일을 인출하기 위한 파일이형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구는 금속선재, 섬유선재, 플라스틱선재 및 접착테이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류벽 시공시 사용된 파일을 인출하기 위한 파일이형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시트는 파일의 양측 날개 각각의 외측에서 결착되는 체결크립에 의하여 파일에 고정 설치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토류벽 시공시 사용된 파일을 인출하기 위한 파일이형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파일을 지상에서의 운반 및 파일공으로 삽입하는 도중에 포장시트의 하단이 파손되는 것을 보호하기 위하여 포장시트의 하단을 감싸주는 하단보호커버가 설치되는 것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토류벽 시공시 사용된 파일을 인출하기 위한 파일이형재.
KR20-2004-0026856U 2004-09-18 2004-09-18 토류벽 시공시 사용된 파일을 인출하기 위한 파일이형재 KR2003720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856U KR200372006Y1 (ko) 2004-09-18 2004-09-18 토류벽 시공시 사용된 파일을 인출하기 위한 파일이형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856U KR200372006Y1 (ko) 2004-09-18 2004-09-18 토류벽 시공시 사용된 파일을 인출하기 위한 파일이형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2006Y1 true KR200372006Y1 (ko) 2005-01-10

Family

ID=49443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6856U KR200372006Y1 (ko) 2004-09-18 2004-09-18 토류벽 시공시 사용된 파일을 인출하기 위한 파일이형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200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92552A (ko) 현장타설파일을 이용한 무지보 하향골조 시공방법
KR100862977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널말뚝 시공방법
US4459063A (en) Building construction
KR20210024808A (ko) Cip 공법용 띠장 간극채움재
KR200363400Y1 (ko) 토류벽 시공시 사용된 에이취형 파일을 인출하기 위한이형재
KR100849226B1 (ko) ClP에 의한 흙막이 가시설 및 이 시공 방법
KR100834920B1 (ko) 흙막이 시공 파일용 피막시트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시공방법
KR200372006Y1 (ko) 토류벽 시공시 사용된 파일을 인출하기 위한 파일이형재
KR200370627Y1 (ko) 토류벽 시공시 사용된 파일을 인출하기 위한 파일이형재
JP3045481B2 (ja) 場所打ちコンクリート杭の施工方法
KR100592102B1 (ko) 건축물 기초흙막이 토류벽 보강구조
JP2006057312A (ja) 杭体とプレキャスト版との接合方法
JP2005113672A (ja) パイルの引き出し工法,及びパイルの異種被覆材
KR20090078684A (ko) H빔으로 이루어진 엄지 말뚝을 구비한 지지말뚝, 이를이용한 합성 벽체 및 그 시공방법
JP2009068203A (ja) 親杭横矢板からなる土留め壁、親杭横矢板からなる土留め壁の止水構造、及び親杭横矢板からなる土留め壁の構築方法、並びに親杭横矢板からなる土留め壁の止水工法
KR20200137297A (ko) 흙막이 가시설의 시공방법
KR100469536B1 (ko) 연장이음부를 갖는 가설흙막이 벽체용 파일의 이형피복형성구조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인출공법
KR100969778B1 (ko) ㄷ자 형강이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된 구조의 엄지 말뚝을구비한 지지말뚝을 이용한 합성 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637899B1 (ko) 교각 직접 기초 가시설 및 그 시공방법
KR102310265B1 (ko) 연직차수벽기초의 시공 방법
KR102174966B1 (ko) 폐기물 매립장 에어돔 기초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JP2012233347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と補強地盤との一体化構造および一体化方法
JP2001279737A (ja) 貯水工法及び貯水構造
CN220080027U (zh) 一种基坑临时立柱与底板相交节点处理结构
KR101053070B1 (ko) 이중피복된 간격유지 엄지말뚝과 그를 이용한 영구 흙막이벽 및 영구 흙막이벽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