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4966B1 - 폐기물 매립장 에어돔 기초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폐기물 매립장 에어돔 기초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4966B1
KR102174966B1 KR1020200097419A KR20200097419A KR102174966B1 KR 102174966 B1 KR102174966 B1 KR 102174966B1 KR 1020200097419 A KR1020200097419 A KR 1020200097419A KR 20200097419 A KR20200097419 A KR 20200097419A KR 102174966 B1 KR102174966 B1 KR 102174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undation
air dome
vertical order
wall
p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7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나
홍태민
황순종
오준혁
황적승
Original Assignee
시지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지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시지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200097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49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4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4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0Bulkheads or similar walls made of prefabricated parts and concrete, including reinforced concrete,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D5/38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making by use of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5/4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making by use of mould-pipes or other moulds with enlarged footing or enlargements at the bottom of the p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돔 지붕이 설치되는 폐기물 매립장에서, 매립지 외곽을 따라 슬러리월을 연속 시공하여 형성된 연직차수벽기초 상단에 에어돔 하단이 고정되는 상부기초블록을 설치함으로써, 차수벽을 에어돔 기초로 활용하여 공기 단축 및 공사비 절감이 가능한 폐기물 매립장 에어돔 기초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 폐기물 매립장 에어돔 기초 구조는 폐기물 매립지의 외곽을 따라 연속 배치되는 것으로 슬러리월로 형성되는 연직차수벽기초; 상기 연직차수벽기초의 상단 내외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상부에 다우얼바가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월; 상기 연직차수벽기초 및 가이드월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다우얼바가 내부에 정착되는 상부기초블록; 상단이 연직차수벽기초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부기초블록 내부에 정착되도록 상기 연직차수벽기초의 내부에 구비되는 인발저항파일; 및 상기 상부기초블록의 상부에 하단이 고정 설치되는 에어돔;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기물 매립장 에어돔 기초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Foundation structure of air dome in waste landfill sit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에어돔 지붕이 설치되는 폐기물 매립장에서, 매립지 외곽을 따라 슬러리월을 연속 시공하여 형성된 연직차수벽기초 상단에 에어돔 하단이 고정되는 상부기초블록을 설치함으로써, 차수벽을 에어돔 기초로 활용하여 공기 단축 및 공사비 절감이 가능한 폐기물 매립장 에어돔 기초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에 대한 것이다.
매립지는 해안에 위치한 경우가 많다. 이에 해양 측에서 매립지 내부로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매립지 내 침출수가 주변 토양이나 해양으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차수벽이 설치된다.
이에 기존에는 특허 제10-0635327호에서와 같이, 매립지를 오픈컷한 후 차수시트를 시공하거나 시트파일을 연속 시공하여 차수벽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종래 차수시트는 내부 굴착 후 시공하므로, 굴착 공사 중 물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 또한, 시트파일 역시 차수 역할만 하도록 시공되는 것으로서 횡력에 대한 저항력에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내부 터파기시 외부 토압 지지가 곤란하고, 이에 따라 토압 지지를 위해 스트럿 등 별도의 가지지시설을 설치해야 하는 등 번거로움이 있다.
한편, 종래에는 지붕 없이 개활지에 폐기물을 매립하는 노지형 매립지가 많았으나 최근에는 악취 차단 및 우수로 인한 침출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붕형 매립지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매립 시설은 무주 대공간으로 형성되어야 하므로, 지붕을 트러스 구조로 형성하고 매립지 외곽에 옹벽 등 수직부재를 축조하여 지붕을 지지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대규모 지붕 시설은 공사비와 공기가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옹벽 높이가 높아 주변 지역 조망권에 영향을 미쳐 민원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공사비가 저렴하고 공기가 짧은 에어돔을 이용한 지붕형 매립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에어돔은 풍하중 작용시 기초 인발력이 크게 발생하고, 풍진동에 의해 기초부에 발생하는 진동 피로로 인하여 손상 우려가 있다. 이에 기초 설계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따라서 기존에는 차수벽 내측에 별도의 앵커를 시공하여 앵커 하단을 경질지반 내에 정착함으로써, 에어돔 하중을 지지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 에어돔이 차수벽 내측에 위치하여야 하므로 대지 이용 효율이 떨어진다. 아울러 차수벽 시공과 에어돔 기초 시공이 별개로 이루어지므로, 공기 지연은 물론 공사비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에어돔 지붕이 설치되는 폐기물 매립장에서, 차수벽을 에어돔 기초로 활용함과 동시에 공기 단축 및 공사비 절감의 효과가 있는 폐기물 매립장 에어돔 기초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폐기물 매립지의 외곽을 따라 연속 배치되는 것으로 슬러리월로 형성되는 연직차수벽기초; 상기 연직차수벽기초의 상단 내외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상부에 다우얼바가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월; 상기 연직차수벽기초 및 가이드월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다우얼바가 내부에 정착되는 상부기초블록; 상단이 연직차수벽기초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부기초블록 내부에 정착되도록 상기 연직차수벽기초의 내부에 구비되는 인발저항파일; 및 상기 상부기초블록의 상부에 하단이 고정 설치되는 에어돔;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매립장 에어돔 기초 구조를 제공한다.
삭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인발저항파일의 외주면에는 인발저항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매립장 에어돔 기초 구조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연직차수벽기초의 내부에는 수직 및 수평철근이 배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매립장 에어돔 기초 구조를 제공한다.
삭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상부기초블록이 설치되는 가이드월의 상부에는 내외측 가이드월을 가로질러 전당보강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다우얼바와 인발저항파일은 상기 전단보강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부기초블록의 내부에 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매립장 에어돔 기초 구조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전단보강플레이트의 중앙에는 전단보강플레이트를 관통하는 인발저항파일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매립장 에어돔 기초 구조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폐기물 매립장 에어돔 기초 구조를 시공하기 위한 것으로, (a) 연직차수벽기초 위치의 지반에 내외로 상호 이격된 한 쌍의 가이드월을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가이드월 사이 지반을 굴착하여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트렌치의 내부에 인발저항파일을 삽입하는 한편, 트렌치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연직차수벽기초를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연직차수벽기초 및 가이드월의 상부에 상부기초블록을 시공하는 단계; 및 (e) 상기 상부기초블록의 상부에 에어돔의 지지케이블 및 멤브레인을 결합하여 고정하는 단계;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매립장 에어돔 기초 구조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돔 지붕이 설치되는 폐기물 매립장에서, 매립지 외곽을 따라 슬러리월을 연속 시공하여 형성된 연직차수벽기초 상단에 에어돔 하단이 고정되는 상부기초블록을 설치하여 구성되는 폐기물 매립장 에어돔 기초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연직차수벽기초 자체를 에어돔 하중을 지지하는 기초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연직차수벽기초가 넓은 면적에 걸쳐 지반과 밀착되므로, 횡하중에 대하여 연직차수벽기초와 지반과의 접촉면에서 에너지 소산이 용이하다.
아울러 연직차수벽기초 시공만으로 에어돔 기초가 완성되므로, 앵커 등 별도의 기초 시공이 생략되어 공기가 크게 단축되고, 공사비가 절감된다.
뿐만 아니라 에어돔 하부가 최외곽 연직차수벽기초 상부에 바로 결합되므로, 내부 면적을 극대화하여 대지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폐기물 매립장 에어돔 기초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일실시예에 의한 인발저항링이 구비된 에어돔 기초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인발저항링이 구비된 에어돔 기초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연직차수벽기초 내부에 철근이 배근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가이드월 상부에 다우얼바가 돌출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전단보강플레이트와 인발저항파일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 폐기물 매립장 에어돔 기초 구조의 시공 방법에 대한 단계별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폐기물 매립장 에어돔 기초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폐기물 매립장 에어돔 기초 구조는 폐기물 매립지(1)의 외곽을 따라 연속 배치되는 것으로 슬러리월로 형성되는 연직차수벽기초(2); 상기 연직차수벽기초(2)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부기초블록(3); 및 상기 상부기초블록(3)의 상부에 하단이 고정 설치되는 에어돔(4);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에어돔 지붕이 설치되는 폐기물 매립장에서 차수벽을 에어돔 기초로 활용함과 동시에 공기 단축 및 공사비 절감이 가능한 폐기물 매립장 에어돔 기초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수벽과 지붕 구조물 기초를 별도로 시공하는 종래 공법과 달리, 차수벽 자체로 에어돔 기초 역할을 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매립지(1)의 외곽을 따라 슬러리월을 연속되게 시공함으로써 연직차수벽기초(2)를 형성하고, 연직차수벽기초(2)의 상단에 에어돔(4)의 하단이 고정되는 상부기초블록(3)을 설치하여 에어돔(4)의 하중을 연직차수벽기초(2)가 지지하도록 한다.
상기 연직차수벽기초(2)는 지하연속벽으로 시공되어 에어돔(4)의 하중을 연직차수벽기초(2)와 지반 사이 마찰력에 의해 지지한다.
상기 연직차수벽기초(2)는 매립지(1)의 외곽을 따라 연속된다. 그러므로 지반과의 접촉 면적이 매우 커 연직차수벽기초(2)를 경질지반까지 시공하지 않더라도 큰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연직차수벽기초(2)는 넓은 면적에 걸쳐 지반과 밀착되므로, 풍하중으로 인한 풍진동 발생시 연직차수벽기초(2)와 지반과의 접촉면에서 에너지 소산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연직차수벽기초(2)의 시공만으로 에어돔 기초가 완성된다. 그러므로 앵커 등 에어돔(4) 지지를 위한 별도의 기초 시공이 생략되어 공기가 크게 단축되고, 공사비가 절감된다.
아울러 상기 에어돔(4)의 하부가 최외곽 연직차수벽기초(2) 상부에 바로 결합되므로, 내부 면적을 극대화하여 대지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상부기초블록(3)은 에어돔(4)을 구성하는 멤브레인(41)이나 지지케이블(42)의 간격에 따라 복수 개를 상호 이격 설치 가능하다.
상기 상부기초블록(3)의 상부에는 에어돔(4)의 멤브레인(41)과 멤브레인(41) 지지를 위한 지지케이블(42)이 고정되는 고정구(31)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직차수벽기초(2)의 내부에는 상단이 연직차수벽기초(2)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부기초블록(3) 내부에 정착되는 인발저항파일(5)이 구비될 수 있다.
지붕 구조물의 연직하중에 의한 압축력은 상부기초블록(3)과 연직차수벽기초(2) 간 접합면의 지압 응력(bearing stress)에 의해 직접 전달 가능하다.
그러나 에어돔(4)은 지지케이블(42)의 인발력이 주로 상부기초블록(3)에 크게 작용한다.
따라서 상부기초블록(3)의 인발력을 연직차수벽기초(2)로 전달하기 위해, 연직차수벽기초(2) 내에 인발저항파일(5)을 설치하고 인발저항파일(5)의 상단을 연직차수벽기초(2)의 상부로 돌출시켜 상부기초블록(3) 내부에 정착한다.
이에 따라 상기 에어돔(4)의 지지케이블(42)에 의한 인발력 작용시, 상부기초블록(3)의 하중이 인발저항파일(5)로 전달된다. 그리고 인발저항파일(5)의 주면마찰력에 의해 인발력이 연직차수벽기초(2)에 전달되며, 이는 연직차수벽기초(2)와 지반 사이 마찰력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인발저항파일(5)은 강관, 강봉, 나사형 강봉 등을 사용 가능하다.
상기 인발저항파일(5)의 상단에는 상부기초블록(3) 내부 정착력을 확보를 위해 정착플레이트(51)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의한 인발저항링이 구비된 에어돔 기초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인발저항링이 구비된 에어돔 기초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발저항파일(5)의 외주면에는 인발저항링(5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발저항파일(5)의 직경이 작아 충분한 주면마찰력을 확보하기 어렵거나 인발력이 큰 경우 등에 대비하여 인발저항파일(5)의 인발저항력을 높이기 위해, 인발저항파일(5)의 외주면에 인발저항링(5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인발저항링(52)은 도 2와 같이 상향으로 경사진 링플레이트로 구성하거나 도 3과 같은 헬릭스 형태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4는 연직차수벽기초 내부에 철근이 배근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직차수벽기초(2)의 내부에는 수직 및 수평철근(21)이 배근될 수 있다.
상기 연직차수벽기초(2)는 에어돔(4)의 인발력에 주로 저항하는 것으로서, 연직차수벽기초(2)는 인발력에 저항하도록 충분한 인장 강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또한, 내부 매립 공간 터파기시 터파기의 높이가 직고 5m 이상일 경우 높이 3m마다 1m 높이의 소단을 설치하여야 하는데, 소단으로 인해 연직차수벽기초(2)의 내외부 토압에 불균형이 발생하여 연직차수벽기초(2)에 휨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연직차수벽기초(2)는 매립지(1)의 외곽을 따라 연속 배치되고 상부의 상부기초블록(3)은 에어돔(4)의 지지케이블(42) 위치에만 구비되는 경우, 상부기초블록(3) 주변에서 응력 집중이 발생하여 연직차수벽기초(2)의 전단 파괴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연직차수벽기초(2)의 내부에 수직 및 수평철근(21)을 배근함으로써, 연직차수벽기초(2)의 인장 강성을 충분히 확보하도록 한다. 아울러 연직차수벽기초(2)가 휨 부재로서 불균형 토압에 저항하며, 상부기초블록(3) 주변에서 응력 집중으로 인한 연직차수벽기초(2)의 전단 파괴를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수직 및 수평철근(21)은 인발저항파일(5) 주변 콘크리트를 보강하여, 에어돔(4)의 풍진동에 의한 연직차수벽기초(2) 콘크리트의 피로 파괴를 방지한다.
상기 수직 및 수평철근(21)은 응력이 크게 작용하는 연직차수벽기초(2)의 상부 부분에만 배근될 수도 있다.
도 5는 가이드월 상부에 다우얼바가 돌출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직차수벽기초(2)의 상단 내외측에는 각각 가이드월(6)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기초블록(3)은 가이드월(6)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기초블록(3)이 설치되는 가이드월(6)의 상부에는 다우얼바(61)가 돌출 형성되어 상부기초블록(3)의 내부에 정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기초블록(3)에 고정되는 지지케이블(42)은 경사 배치되므로, 수직 분력에 의한 인발력 뿐 아니라 수평 분력에 의한 전단력도 작용한다.
그런데 상기 연직차수벽기초(2)의 두께가 에어돔(4) 하부를 지지하는 상부기초블록(3)의 부재의 폭보다 작은 경우, 연직차수벽기초(2)와 상부기초블록(3) 간 접합부가 이러한 전단력에 취약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직차수벽기초(2)를 시공하기 위해서 연직차수벽기초(2)의 상단 내외측에는 가이드월(6)을 설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직차수벽기초(2)가 시공될 위치에 내외측으로 상호 이격되게 한 쌍의 가이드월(6)을 형성한다. 그리고 한 쌍의 가이드월(6) 사이를 굴착하여 트렌치(20)를 형성한 후, 트렌치(20)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연직차수벽기초(2)를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월(6)은 이후 철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이드월(6)을 철거하지 않고, 상부기초블록(3)과 연직차수벽기초(2) 사이 전단력 보강을 위해 활용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월(6)은 연직차수벽기초(2) 시공을 위한 트렌치(20) 시공시 표토층을 보호할 뿐 아니라 연직차수벽기초(2) 시공 이후에도 존치되는 영구 구조물로서 상부기초블록(3)을 접합하기 위한 부재로 이용 가능하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월(6)에 다우얼바(61)를 설치하고 상부로 돌출시켜, 다우얼바(61)의 상부가 상부기초블록(3) 내부에 정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기초블록(3)에 작용하는 수평력에 대해 다우얼바(61)가 가이드월(6)로 응력을 전달하고, 횡방향으로 연속되는 가이드월(6) 내측의 넓은 면적을 통해서 연직차수벽기초(2)로 응력을 전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전단 응력을 분산하여 안정적 지지가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월(6)은 연직차수벽기초(2)와 마찬가지로 횡방향으로 연속 배치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월(6)의 내부에는 철근(62)을 배근하여 전체 가이드월(6)이 일체 거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6은 전단보강플레이트와 인발저항파일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기초블록(3)이 설치되는 가이드월(6)의 상부에는 내외측 가이드월(6)을 가로질러 전당보강플레이트(7)가 구비되고, 상기 다우얼바(61)와 인발저항파일(5)은 상기 전단보강플레이트(7)를 관통하여 상부기초블록(3)의 내부에 정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연직차수벽기초(2)의 내외측으로 상호 이격되게 구비되는 가이드월(6)은 전단보강플레이트(7)로 서로 연결하여 일체 거동하도록 함으로써 전단 내력을 증대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우얼바(61) 및 인발저항파일(5)은 전단보강플레이트(7)를 관통하여 상부기초블록(3) 내부에 정착된다.
이에 상기 전단보강플레이트(7)에 의해 다우얼바(61), 인발저항파일(5), 가이드월(6) 및 상부기초블록(3)이 구조적으로 일체 거동할 수 있다.
상기 전단보강플레이트(7)는 상부기초블록(3)보다 크기를 작게 형성하여 상부기초블록(3) 내부에 매입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단보강플레이트(7)의 중앙에는 전단보강플레이트(7)를 관통하는 인발저항파일(5)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관(7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관(71)은 상부기초블록(3)과 연직차수벽기초(2)의 접합부에서 인발저항파일(5)의 외부를 감싼다. 이에 상기 가이드관(71)은 상부기초블록(3)과 연직차수벽기초(2) 사이에서 인발저항파일(5)을 보강하여 접합부 전단 성능을 향상시킨다.
뿐만 아니라 상기 가이드관(71)은 인발저항파일(5) 설치 후 연직차수벽기초(2) 콘크리트 타설시, 인발저항파일(5)의 위치를 고정한다.
상기 인발저항파일(5)의 상단에 정착플레이트(51)가 구비된 경우, 정착플레이트(51)가 가이드관(71)의 상단에 걸려 인발저항파일(5) 설치시 인발저항파일(5)이 하부로 이탈되지 않고 위치가 고정된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 폐기물 매립장 에어돔 기초 구조의 시공 방법에 대한 단계별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 폐기물 매립장 에어돔 기초 구조의 시공 방법은 전술한 본 발명 폐기물 매립장 에어돔 기초 구조를 시공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먼저, (a) 연직차수벽기초(2) 위치의 지반에 내외로 상호 이격된 한 쌍의 가이드월(6)을 설치한다(도 7).
상기 (a) 단계에서는 연직차수벽기초(2) 위치의 지반을 줄파기한 후 철근(62)을 배근하고 다우얼바(61)가 상부로 일정 길이 돌출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가이드월(6)을 완성한다.
다음으로, (b) 상기 가이드월(6) 사이 지반을 굴착하여 트렌치(20)를 형성한다(도 8).
상기 트렌치(20)는 한 쌍의 가이드월(6) 사이 지반을 선행 굴착한 후 안정액을 투입하여 공벽을 보호하면서 설계된 깊이까지 굴착하여 형성한다.
그리고 (c) 상기 트렌치(20)의 내부에 인발저항파일(5)을 삽입하는 한편, 트렌치(20)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연직차수벽기초(2)를 형성한다(도 9).
상기 (c) 단계에서는 트렌치(20) 내부에 콘크리트 타설하여 연직차수벽기초(2)를 형성한다.
상기 (b) 단계 및 (c) 단계는 일체로 시공할 수도 있고, 분할 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인발저항파일(5)은 콘크리트 타설 전 시공될 수도 있고, 콘크리트 타설 후 경화되기 전에 근입하여 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전단보강플레이트(7)가 구비되는 경우, 콘크리트 타설 전 또는 콘크리트 타설 후에 전단보강플레이트(7)를 시공할 수 있다.
이후, (d) 상기 연직차수벽기초(2) 및 가이드월(6)의 상부에 상부기초블록(3)을 시공한다(도 10).
상기 연직차수벽기초(2) 및 가이드월(6) 상부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부기초블록(3)을 시공할 수 있다.
상기 전단보강플레이트(7)가 설치된 경우, 전단보강플레이트(7)는 상부기초블록(3) 내에 매입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e) 상기 상부기초블록(3)의 상부에 에어돔(4)의 지지케이블(42) 및 멤브레인(41)을 결합하여 고정한다.
상기 (e) 단계에서는 상부기초블록(3) 상부에 고정구(31)를 설치하고 고정구(31)에 지지케이블(42) 및 멤브레인(41)을 고정하여 시공을 완료한다(도 1).
1: 매립지
2: 연직차수벽기초
20: 트렌치
21: 수직 및 수평철근
3: 상부기초블록
31: 고정구
4: 에어돔
41: 멤브레인
42: 지지케이블
5: 인발저항파일
51: 정착플레이트
52: 인발저항링
6: 가이드월
61: 다우얼바
62: 철근
7: 전단보강플레이트
71: 가이드관

Claims (8)

  1. 폐기물 매립지(1)의 외곽을 따라 연속 배치되는 것으로 슬러리월로 형성되는 연직차수벽기초(2);
    상기 연직차수벽기초(2)의 상단 내외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상부에 다우얼바(61)가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월(6);
    상기 연직차수벽기초(2) 및 가이드월(6)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다우얼바(61)가 내부에 정착되는 상부기초블록(3);
    상단이 연직차수벽기초(2)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부기초블록(3) 내부에 정착되도록 상기 연직차수벽기초(2)의 내부에 구비되는 인발저항파일(5); 및
    상기 상부기초블록(3)의 상부에 하단이 고정 설치되는 에어돔(4);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매립장 에어돔 기초 구조.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인발저항파일(5)의 외주면에는 인발저항링(5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매립장 에어돔 기초 구조.
  4. 제1항에서,
    상기 연직차수벽기초(2)의 내부에는 수직 및 수평철근(21)이 배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매립장 에어돔 기초 구조.
  5. 삭제
  6. 제1항에서,
    상기 상부기초블록(3)이 설치되는 가이드월(6)의 상부에는 내외측 가이드월(6)을 가로질러 전단보강플레이트(7)가 구비되고, 상기 다우얼바(61)와 인발저항파일(5)은 상기 전단보강플레이트(7)를 관통하여 상부기초블록(3)의 내부에 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매립장 에어돔 기초 구조.
  7. 제6항에서,
    상기 전단보강플레이트(7)의 중앙에는 전단보강플레이트(7)를 관통하는 인발저항파일(5)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관(71)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매립장 에어돔 기초 구조.
  8. 제1항에 의한 폐기물 매립장 에어돔 기초 구조를 시공하기 위한 것으로,
    (a) 연직차수벽기초(2) 위치의 지반에 내외로 상호 이격된 한 쌍의 가이드월(6)을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가이드월(6) 사이 지반을 굴착하여 트렌치(20)를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트렌치(20)의 내부에 인발저항파일(5)을 삽입하는 한편, 트렌치(20)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연직차수벽기초(2)를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연직차수벽기초(2) 및 가이드월(6)의 상부에 상부기초블록(3)을 시공하는 단계; 및
    (e) 상기 상부기초블록(3)의 상부에 에어돔(4)의 지지케이블(42) 및 멤브레인(41)을 결합하여 고정하는 단계;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매립장 에어돔 기초 구조의 시공 방법.
KR1020200097419A 2020-08-04 2020-08-04 폐기물 매립장 에어돔 기초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174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419A KR102174966B1 (ko) 2020-08-04 2020-08-04 폐기물 매립장 에어돔 기초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419A KR102174966B1 (ko) 2020-08-04 2020-08-04 폐기물 매립장 에어돔 기초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4966B1 true KR102174966B1 (ko) 2020-11-05

Family

ID=73249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7419A KR102174966B1 (ko) 2020-08-04 2020-08-04 폐기물 매립장 에어돔 기초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496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665B1 (ko) * 2007-03-15 2007-05-28 삼보지질 주식회사 지하연속벽 시공을 위한 스틸 가이드 월과 이를 이용한지하연속벽 시공방법
KR20190088326A (ko) * 2018-01-18 2019-07-26 현대건설주식회사 현장 타설 말뚝으로 보강된 케이슨 및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665B1 (ko) * 2007-03-15 2007-05-28 삼보지질 주식회사 지하연속벽 시공을 위한 스틸 가이드 월과 이를 이용한지하연속벽 시공방법
KR20190088326A (ko) * 2018-01-18 2019-07-26 현대건설주식회사 현장 타설 말뚝으로 보강된 케이슨 및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3796B1 (ko)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중앙 버팀보 연결구조
KR100633795B1 (ko) 장지간 조립식 띠장의 정착장치
JP7017980B2 (ja) 地盤改良構造および掘削方法
JP2007205077A (ja) 仮締め切り工法
US20200263380A1 (en) Tubular rivet foundation for onshore wind turbine generators
KR101612521B1 (ko) 변형억제 및 합벽식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JP2010090608A (ja) 地下空間の構築方法及び地下空間の構造
KR102223856B1 (ko) 폐기물 매립장 기초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CN106088133B (zh) 用于沙漠地区的输电线路复合基础
JP3761323B2 (ja) 建造物の建て替え方法
JP2000352296A (ja) 地下構造物直下の通路の形成方法
CN210288419U (zh) 一种用于大跨距逆作基坑的反立柱斜撑加固系统
KR102174966B1 (ko) 폐기물 매립장 에어돔 기초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JP3692805B2 (ja) 既存建物の免震化工法
JP7338119B2 (ja) 浮上り抑制構造、及び逆打ち工法
JP2017214722A (ja) 基礎構造物の施工方法および基礎構造物
CN215715401U (zh) 一种可拆卸土钉墙结构
JP5777435B2 (ja) 小規模建築物用基礎の補強工法
CN108005119A (zh) 支护墙廊一体化的混凝土管廊及其安装方法
CN106988337A (zh) 一种用于减小条形浅基础房屋不均匀沉降的加固方法
JP4475116B2 (ja) 立坑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KR100637899B1 (ko) 교각 직접 기초 가시설 및 그 시공방법
JP3160485U (ja) 深礎基礎杭体鉄筋籠の坑内建込工法
KR100858712B1 (ko)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코너 연결장치
KR20080000243A (ko) 보강토 교각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