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8911Y1 - 보조 파지부를 갖는 필기구용 홀더 - Google Patents

보조 파지부를 갖는 필기구용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8911Y1
KR200368911Y1 KR20-2004-0026108U KR20040026108U KR200368911Y1 KR 200368911 Y1 KR200368911 Y1 KR 200368911Y1 KR 20040026108 U KR20040026108 U KR 20040026108U KR 200368911 Y1 KR200368911 Y1 KR 2003689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ping portion
auxiliary gripping
writing instrument
writing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61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근
차대식
Original Assignee
차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대식 filed Critical 차대식
Priority to KR20-2004-00261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89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89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89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8Holders comprising finger g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12Holders for attachment to finger t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5/00Supports for attachment to hands or arms for facilitating writing or drawing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조 파지부를 갖는 필기구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필기구를 삽입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일단부를 통해 상기 필기구의 팁 부분이 노출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서 경사지게 연장되어 사용자의 검지와 중지 사이에 지지되는 보조 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파지부를 갖는 필기구용 홀더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의 일반적인 필기구에 삽입함으로써, 중지에 집중되는 압력이 보조 파지부로 인해 일정 부분 경감시킬 수 있으므로, 그립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장기간 필기구를 사용하여도 손에 가해지는 압박감을 줄일 수 있어 피로감을 덜 수 있고, 중지에 굳은살이 박히는 등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직경을 갖는 필기구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보조 파지부를 갖는 필기구용 홀더{Pen holder with auxiliary grip}
본 고안은 보조 파지부를 갖는 필기구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필기구의 팁 부분 외에도 사용자의 손가락 사이에 고정할 수 있는 보조 파지부를 두어 그립감을 개선하고 필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필기구에 끼워 사용하는 필기구 홀더에 관한 것이다.
볼펜, 연필, 만년필 등의 필기구는 일반적으로 심을 내부에 삽입한 몸체와 심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는 팁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팁 부분은 대체로 원뿔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팁 부분의 둘레를 엄지, 검지 및 중지를 사용하여 파지한 후 필기를 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엄지와 검지 사이에 대각선 방향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중지의 첫번째 마디에 필기구를 지지한 상태에서 엄지와 검지 끝에 힘을 주어 필기를 하게 된다. 필기시에 필기구는 종이의 표면에 대해서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중지가 팁의 저면에 위치하고 엄지 및 검지가 팁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엄지와 검지가 누르는 힘을 중지가 지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장시간 필기를 하는 경우 중지에 피로감이 발생되게 되고 굳은살이 박히기도 한다.
또한, 좁은 팁 부분에 세 개의 손가락을 모은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므로 손가락에 압박감 및 피로감을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팁 부분 주위에 탄성을 갖는 우레탄 재질의폼을 부착한 형태의 필기구가 판매되기도 한다. 이러한 형태의 필기구는 우레탄 재질의 폼으로 인해 어느 정도는 피로감을 경감할 수는 있으나, 필기구의 파지 형태가 바뀌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에는 종래와 동일한 문제점을 갖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필기구의 팁 부분 외에 별도의 파지부를 추가로 제공하여 팁 부분에 집중되는 힘을 분산시켜 편안한 그립감을 줄 수 있는 보조 파지부를 갖는 필기구용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보조 파지부를 갖는 필기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조 파지부를 갖는 필기구용 홀더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필기구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 파지부를 갖는 필기구용 홀더의 제2 실시예의 내부 공간 중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는 도 5에 도시된 필기구용 홀더에 필기구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5에 도시된 필기구용 홀더에 필기구를 고정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보조 파지부를 갖는 필기구용 홀더의 제3 실시예의 내부 공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에 심을 삽입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일단부를 통해 상기 심의 팁 부분이 노출되는 파지부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에 삽입되는 심과; 상기 몸체에서 경사지게 연장되어 사용자의 검지와 중지 사이에 지지되는 보조 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파지부를 갖는 필기구를 제공한다.
즉, 본 고안은 필기구의 팁 부분 외에도 몸체에 부착되어 검지와 중지 사이에서 파지될 수 있는 보조 파지부를 추가적으로 제공함으로써, 팁 부분에 집중되는 힘을 분산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를 통해서, 중지의 첫 번째 마디에 가해지는 힘을 경감할 수 있어 장기간 필기하여도 피곤함을 느끼지 않게 된다.
상기 보조 파지부는 필기구 몸체의 파지부, 일반적으로는 팁 부분 부근에서연장되도록 하며, 사용자의 검지와 중지가 연결되는 부분 근처까지 연장될 수 있는 길이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파지부는 상기 몸체에 대해 소정 각도로 연장되는 제1 보조 파지부와, 상기 제1 보조 파지부와 연결되며 상기 몸체에 대해 상기 제1 파지부 보다 작은 각도를 가지고 연장되는 제2 보조 파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즉, 보조 파지부 전체가 일직선으로 연장되는 경우 몸체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증가하기 때문에 휴대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제1 보조 파지부와 그 보다 더 작은 각을 갖고 연장되는 제2 보조 파지부를 두어 몸체로부터 돌출되는 길이를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보조 파지부 및 제2 보조 파지부 중 적어도 하나는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제1 보조 파지부 및 제2 보조 파지부 전체가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 질 수도 있으며, 어느 한쪽만이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실제 사용자의 검지와 중지 사이에 파지되는 부분은 일반적으로 제2 보조 파지부이므로 이 부분을 유연성 재질로 하여 그립감을 보다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제1 보조 파지부를 유연성 재질로 하는 경우 보관시에 차지하는 면적을 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와 상기 보조 파지부가 접하는 부분의 둘레에는 미끄럼 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본 고안은 또한, 내부에 필기구를 삽입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일단부를 통해 상기 필기구의 팁 부분이 노출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서 경사지게연장되어 사용자의 검지와 중지 사이에 지지되는 보조 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파지부를 갖는 필기구용 홀더를 제공한다.
상기 필기구용 홀더는 기본적으로는 상기 필기구와 동일한 원리를 갖는 것이나, 임의의 필기구를 내부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적용 범위를 넓힐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필기구용 홀더에 있어서도, 상술한 바와 같은 제1 및 제2 보조 파지부 및 미끄럼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몸체의 내부 공간은 필기구의 팁 부분이 노출되는 단부 부근은 일정한 직경을 가지며, 그 외의 부분은 타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확장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즉, 필기구와의 고정이 일단부에서만 이루어지도록 하고, 타단부 부근의 내벽은 필기구의 표면과 분리되도록 하여, 필기구의 삽입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의 내부 공간의 표면에는 상기 필기구의 팁 부분이 노출되는 단부로 갈수록 깊이가 증가하는 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홈의 내부에는 볼을 삽입하여 두는 것이 좋다. 즉, 상기 볼이 상기 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내부 공간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양이 달라지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직경을 갖는 필기구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의 내부 공간은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톱니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를 통해, 다양한 직경을 갖는 필기구가 삽입되는 경우에도 상기 돌출부가 변형되면서 필기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보조 파지부를 갖는 필기구 및 필기구 홀더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보조 파지부를 갖는 필기구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몸체(100)는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관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내부에는 심(110)이 삽입되어 있다. 상기 몸체(100)는 일반적인 플라스틱 수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단부에는 몸체(10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플랜지(102)가 위치한다. 상기 플랜지(102)로 인해서 상기 몸체(100)의 일단부는 두 개의 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는 데, 도 1에서 플랜지(102)의 오른쪽에 위치하는 부분은 덮개(106)를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덮개 거치대(104)가 된다.
상기 몸체(100)의 타단부에는 원뿔 형태의 파지부(108)가 위치한다. 상기 파지부(108)의 단부를 통해서 심(110)의 일단부가 노출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106)는 상기 파지부(108)의 외주부에 삽입되어 심(110)을 보호하게 된다. 한편, 상기 몸체(100) 중 상기 파지부(108)와 인접한 부분에는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지는 보조 파지부 몸체(120)가 위치한다. 상기 보조 파지부 몸체(120)는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공간 내부에 상기 필기구의 몸체(100)가 삽입되어 고정되게 된다. 이때, 상기 몸체(100)와 보조 파지부 몸체(120) 사이의 연결부가 단차 없이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몸체(100)에 상기 보조 파지부 몸체(120)의 두께만큼의 단차를 갖는 보조 파지부 몸체 설치부를 두는 것이 좋다.
즉, 상기 몸체(100) 중 상기 보조 파지부 몸체(120)가 끼워지는 부분을 몸체(100)의 표면보다 보조 파지부 몸체의 두께만큼의 단차를 갖도록 하여, 보조 파지부 몸체(120)가 몸체(100)의 외주부에 끼워진 경우, 양자의 연결부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보조 파지부 몸체(120)의 일측면에는 상기 몸체(100)로부터 일정한 각도를 두고 경사지게 연장되는 보조 파지부(122)가 형성된다. 상기 보조 파지부(122)는 상기 보조 파지부 몸체(120)와 일체로 구성되며, 보조 파지부 몸체(120)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1 보조 파지부(122a)와, 상기 제1 보조 파지부(122a)의 단부와 연결되며 제1 보조 파지부(122a)에 비해서 각 θ 만큼 몸체(100)와 접근하여 위치하는 제2 보조 파지부(122b)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제2 보조 파지부(122b)를 제1 보조 파지부(122a) 보다 몸체(100)에 가깝게 배치함으로써, 보조 파지부(122)가 몸체(100)로부터 돌출되는 거리를 줄일 수 있어 필기구를 소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조 파지부(122)의 형태를 크게 변형시키기 않아도 자연스럽게 제2 보조 파지부(122b)가 사용자의 검지와 중지 사이로 삽입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보조 파지부(122)와 몸체(100)의 사이에는 손가락을 올려둔 경우에 좌우로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안착홈(1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홈(123)의 외주부 중 보조 파지부(122)와 몸체(100)가 연결되는 지점은 원호 형태의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어, 사용자의 검지가 편안하게 안착될 수 잇도록 한다.
한편, 상기 보조 파지부 몸체(120)의 단부와 상기 몸체(100) 중 파지부(108)와 인접한 부분에는 다수의 돌기(124)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이 미끄러지지않고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에서 상기 보조 파지부 몸체(120)의 상부면, 즉 보조 파지부(122)가 위치하는 부분의 길이와, 반대편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는 바, 이는 미려한 외관을 위한 것이므로 임의의 형태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면의 길이와 하부면의 길이를 동일하게 형성하는 형태도 고려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상기 실시예가 파지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도 기본적으로 엄지, 검지 및 중지를 사용하여 파지하는 점에서는 종래와 동일하다. 즉, 사용자는 중지의 첫 번째 마디를 상기 파지부(108) 부근의 일측면에 접촉시킨 후, 엄지를 사용하여 상기 중지에 의해 지지되는 파지부(108)의 반대쪽면과 접촉시킨다. 이 상태에서, 검지를 상기 안착홈(123)의 상부를 지나서 상기 파지부(108)에 접촉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2 보조 파지부(122b)는 사용자의 중지와 검지가 연결되는 부분의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엄지, 검지 및 중지의 첫 번째 마디 외에도, 검지와 중지 사이에 보조 파지부가 끼워져서 지지되기 때문에, 중지의 첫 번째 마디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중지에 가해지는 압박감을 경감할 수 있어 장시간의 사용시에도 편안한 그립감을 유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보조 파지부를 갖는 필기구용 홀더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의 기본적인 원리는 상술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는 기존의 일반적인 필기구에 끼워서 사용할 수 있는홀더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상기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실시예에서의 몸체(200)는 내부에 필기구를 삽입하기 위한 공간을 갖는 중공형이며, 일단부에는 필기구의 팁 부분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팁 고정부(20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팁 고정부(202)는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필기구의 팁 부분과의 직경차이를 줄여서 편안한 그립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몸체(200)의 일측면에는 상술한 바와 동일한 보조 파지부(1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 파지부(122)는 몸체(200)와 연결되는 제1 보조 파지부(122a)와 상기 제1 보조 파지부에서 연장되는 제2 보조 파지부(122b)로 구분할 수 있고, 상기 보조 파지부(122)와 몸체(200) 사이에는 검지의 안정적인 안착을 위한 안착홈(12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200)는 유연성을 갖는 우레탄 재질로 구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의 내부 공간은 크게 두 가지의 영역으로 구별할 수 있으며, 상기 팁 고정부(202) 부분에 해당되는 제1 내부 공간(a)은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연장된다. 한편, 상기 제1 내부 공간(a)의 내경은 삽입될 수 있는 필기구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는데, 이로 인해 필기구의 몸체(10)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 내부 공간(a)이 필기구의 몸체(10)에 의해 어느 정도 압축되므로, 필기구의 몸체(10)와 상기 제1 내부 공간(a) 사이의 마찰력으로 인해 필기구가 상기 실시예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내부 공간(a)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 내부 공간(b)은 단부로 갈수록 내경이 확장되는 테이퍼 형태를 갖는다. 이로 인해, 상기 제2 내부 공간(b)은 필기구의 몸체(10)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실시예의 내부 공간에 필기구 몸체(10)를 삽입하거나 제거하는 것이 용이해 진다. 즉, 상기 제2 내부 공간(b)으로 인해 필기구 몸체 사이와 유격이 생기므로 삽입이 용이해지며, 제거시에도 과도한 마찰력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손쉬운 제거가 가능하다. 물론, 상기 제1 내부 공간(a)에 의한 마찰력이 적용되고 있으므로 상기 필기구는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마찰력의 크기는 상기 제1 내부 공간(a)의 직경 및 길이를 변경하여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파지 방식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 홀더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 실시예의 외형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상기 제2 실시예 중 내벽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2 실시예의 내벽에는 몸체(3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30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302)의 깊이는 팁 고정부(202)로 갈수록 깊어지는 형태이다. 상기 홈(302)의 내부에는 볼(306)이 삽입되어 있는 데, 상기 볼(306)의 직경은 상기 홈(302)의 폭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홈(302)의 내부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설정된다. 또한, 상기 홈(302)의 표면에는 상기 볼(306)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304)가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볼(306)은 도 5에서 상기 홈(302)의 최하부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내벽으로부터 돌출되지 않으나, 상부로 이동할수록 상기 내벽으로부터 돌출되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실시예에 필기구 몸체(10)가 삽입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 실시예의 내부 공간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지며, 팁 고정부(202) 부근에 위치하는 제1 내부 공간(c)은 반대쪽 단부로 갈수록 내경이 증가하는 형태이고, 상기 홈(302)이 형성되는 제2 내부 공간(d)은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설정된다. 여기서, 상기 필기구 몸체(10)의 직경은 상기 제2 내부 공간(d)의 내경보다 작으나 상기 볼(306)과 상기 제1 내부 공간(c)의 내벽에 접촉한 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상기 몸체(300)는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신축성을 가지며, 상기 팁 고정부(202)는 타부분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기 때문에 타부분에 비해서 변형이 용이하고, 상기 볼(306)은 상기 홈(302) 내부에서의 위치에 따라서 돌출되는 정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임의의 직경을 갖는 필기구가 삽입되어도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해진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실시예에 필기구를 삽입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우선, 상기 팁 고정부(202)를 아래로 배치시킨 상태에서 필기구 몸체(10)를 상기 몸체(300)의 내부 공간에 삽입한다. 이 때, 상기 볼(306)은 홈(302)의 하단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며, 상기 제1 내부 공간은 일정 부분 변형되면서 상기 필기구 몸체(10)와 일정한 압력을 가하면서 접촉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2 실시예를 회전시켜서 상기 팁 고정부(202)가 상부에위치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볼(306)은 자중에 의해서 아래로 이동하면서 상기 내부 공간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고, 결국 상기 필기구 몸체(10)와 접촉하는 지점에서 멈추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볼(306)이 위치한 지점에 해당되는 몸체(300)의 일부분을 손가락을 사용해서 누르면서, 상기 필기구 몸체(10)를 도 7b에서 아래쪽으로 잡아당긴다. 손가락에 의한 압력이 가중되어, 상기 볼(306)과 필기구 몸체(10) 사이에는 강한 마찰력이 생기게 되고, 필기구 몸체(10)가 아래로 이동하면서 상기 마찰력에 의해 볼(306)도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볼(306)은 상기 홈(302)의 내벽을 압축시키게 되고, 사용자가 손가락을 떼어도 홈(302) 내벽에 의해 상기 볼(306)은 상기 필기구 몸체(10) 일정한 압력을 가하게 되므로, 볼(306)과 필기구 몸체(10) 사이에는 필기구를 고정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마찰력이 발생하게 된다. 결국, 상기 필기구 몸체(10)는 상기 제1 내부 공간의 내벽과 상기 볼에 의해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도 7a의 과정에서 필기구 몸체를 삽입하는 경우에, 이 후의 과정에서 필기구를 일정 부분 빼내는 것을 고려하여 필기구 몸체가 삽입되는 양을 조절해야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 홀더의 제3 실시예의 내부 공간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3 실시예의 외형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3 실시예의 내부 공간에는 내부 공간의 중심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다수의 돌출부(40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402)는 삼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몸체(4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된다. 또한, 각각의 돌출부(402)는 서로인접하여 배치되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 형태를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402)의 단부들이 형성하는 가상의 원보다 큰 직경을 갖는 필기구가 삽입되면, 상기 돌출부(402)의 단부가 필기구에 의해 눌려지면서 변형되고, 돌출부(402)의 단부와 필기구 몸체간에 발생하는 마찰력으로 인해서 필기구가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402)의 형태는 반드시 삼각형일 필요는 없으며, 사다리꼴과 같은 다각형 단면을 가질 수도 있으며, 반원형과 같은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돌출부(402)들이 반드시 서로 연결된 형태로 배치될 필요는 없으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원주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의 일반적인 필기구에 삽입함으로써, 중지에 집중되는 압력이 보조 파지부로 인해 일정 부분 경감시킬 수 있으므로, 그립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장기간 필기구를 사용하여도 손에 가해지는 압박감을 줄일 수 있어 피로감을 덜 수 있고, 중지에 굳은살이 박히는 등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직경을 갖는 필기구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내부에 필기구를 삽입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일단부를 통해 상기 필기구의 팁 부분이 노출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서 경사지게 연장되어 사용자의 검지와 중지 사이에 지지되는 보조 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파지부를 갖는 필기구용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파지부는 상기 몸체에 대해 소정 각도로 연장되는 제1 보조 파지부와, 상기 제1 보조 파지부와 연결되며 상기 몸체에 대해 상기 제1 파지부 보다 작은 각도를 가지고 연장되는 제2 보조 파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파지부를 갖는 필기구용 홀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파지부 및 제2 보조 파지부 중 적어도 하나는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파지부를 갖는 필기구용 홀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상기 보조 파지부가 접하는 부분의 둘레에는 미끄럼 방지부가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파지부를 갖는 필기구용 홀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부 공간은 필기구의 팁 부분이 노출되는 단부 부근은 일정한 직경을 가지며, 그 외의 부분은 타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파지부를 갖는 필기구용 홀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부 공간의 표면에는 상기 필기구의 팁 부분이 노출되는 단부로 갈수록 깊이가 증가하는 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홈의 내부에는 볼이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파지부를 갖는 필기구용 홀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부 공간은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톱니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파지부를 갖는 필기구용 홀더.
KR20-2004-0026108U 2004-09-10 2004-09-10 보조 파지부를 갖는 필기구용 홀더 KR2003689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108U KR200368911Y1 (ko) 2004-09-10 2004-09-10 보조 파지부를 갖는 필기구용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108U KR200368911Y1 (ko) 2004-09-10 2004-09-10 보조 파지부를 갖는 필기구용 홀더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2591A Division KR100625257B1 (ko) 2004-09-10 2004-09-10 보조 파지부를 갖는 필기구 및 필기구용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8911Y1 true KR200368911Y1 (ko) 2004-12-03

Family

ID=49352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6108U KR200368911Y1 (ko) 2004-09-10 2004-09-10 보조 파지부를 갖는 필기구용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891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21313B2 (ja) 筆記具用グリップ
US6488426B1 (en) Writing instrument with finger gripping device
US8926203B1 (en) Writing instrument gripping aid and writing instrument having the same
US6206595B1 (en) Writing utensil
US3887286A (en) Finger-tip writing instrument
JPH08314571A (ja) ペン入力情報機器
US5988908A (en) Barrel with finger gripping means
US9333796B2 (en) Fingertip mountable writing instrument
JP3987711B2 (ja) 筆記用具
US5791798A (en) Multi-purpose writing instrument
US20060147246A1 (en) Grip for hand held instruments
KR100625257B1 (ko) 보조 파지부를 갖는 필기구 및 필기구용 홀더
CN1078142C (zh) 笔记文具用帽
KR200368911Y1 (ko) 보조 파지부를 갖는 필기구용 홀더
WO2015087852A1 (ja) ボールペン
JP2008273030A (ja) 毛筆
JP6291237B2 (ja) ボールペン
CN219405945U (zh) 二指贴靠式指头笔
KR200348228Y1 (ko) 필기 도구 구조
KR20220132167A (ko) 손가락펜
JP7538843B2 (ja) 筆記具
KR200469322Y1 (ko) 책갈피용 볼펜 및 샤프
JP2001310583A (ja) 筆記具
KR200433435Y1 (ko) 보조 그립부를 갖는 필기구
KR200299413Y1 (ko) 브이자형 필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19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