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8765Y1 - 곡물 세척 용기 - Google Patents

곡물 세척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8765Y1
KR200368765Y1 KR20-2004-0026314U KR20040026314U KR200368765Y1 KR 200368765 Y1 KR200368765 Y1 KR 200368765Y1 KR 20040026314 U KR20040026314 U KR 20040026314U KR 200368765 Y1 KR200368765 Y1 KR 2003687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rice
washing
water
g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63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숙
Original Assignee
김형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숙 filed Critical 김형숙
Priority to KR20-2004-00263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87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87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87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4Devices for washing vegetabl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쌀 등을 담아 물에 씻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쌀을 씻은 물을 배출할 때 쌀알이 함께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쌀 씻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가 개구된 보울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저면에는 쌀의 세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몸체의 일측 상부에는 세척수가 배출되기 위한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출공이 형성된 측면은 쌀 등의 내용물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깊은 턱 또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세척수를 배출할 때 쌀 등의 내용물이 외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곡물 세척 용기 {A vessel for washing grain}
본 고안은 쌀 등의 곡물을 담아 물에 씻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쌀을 씻은 물을 배출할 때 쌀알이 함께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쌀 씻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가정에서 식사를 준비하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것이 주식으로 사용되는 쌀 또는 기타 곡물들을 세척하는 일이다. 대부분의 곡물들은 판매되는 그 자체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적어도 한번 이상 물에 씻은 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렇게 곡물을 씻는 용도로 대부분 바가지 또는 보울타입의 용기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바가지 또는 보울타입의 용기의 경우 곡물을 씻은 후 세척한 물을 따라 버리는 과정에서 곡물이 함께 씻겨져 내려가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즉,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 형상의 보울 용기 또는 바가지 등의 경우에는 대략 둥근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의 일측에는 물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요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사용자가 용기를 요홈부 쪽으로 기울임을 통해 세척수를 배출시키는 바, 이 경우 요홈부를 통해 씻겨진 내용물, 즉 곡물 등이 함께 흘러내리는 경우가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도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용기의 일측에 배수구를 형성하여 이 배수구를 통해 세척수를 배출하는 등의 용기가 개발되어 사용되어졌으나 물의 배출이 용이하지 않고 물을 배출하기 위해 용기를 기울일 경우 내용물이 기울여진 용기의 상부로 함께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어려웠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용기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쌀 등의 곡물을 세척하는 경우 곡물의 유실을 방지하면서 효율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최소한의 비용으로 용기를 제작함으로서 대중적인 용기를 보급하게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용기를 도시한 것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단면도
도 4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용기 2 : 테두리
3 : 저면 4 : 측면
5 : 턱 6 : 배출공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부가 개구된 보울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 상부에는 세척수가 배출되기 위한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출공이 형성된 측면은 쌀 등의 내용물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깊은 턱 또는 홈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선택적으로 상기 용기 몸체의 바닥면에 다수의 돌기를 형성하여 곡물 등을 세척하기가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측면도 및 사용상태도를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2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용기(1)는 상부가 개구되어 테두리(2)를 가지는 보울 형상의 용기로서, 저면(3)에는 수평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수평면에서 용기의 상부 테두리 까지의 측면(4)은 완만한 원호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용기 일측면은 깊게 턱(5)이 형성되어 있고 턱이 형성된 부분에서 용기의 상부 테두리 근처까지는 다수의 배출공(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출공은 곡물알(7)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가급적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배출공표면이 용기면과 평평하게 되어 있어 곡물알이 배수공을 막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배수공은 바닥면으로부터 상당한 높이 이상에서부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바닥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확보함으로서 사용자가 곡물 등을 세척하기 위해 물을 사용할 때 세척과정에서 물이 배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배수공이 형성된 배수면에는 바닥면으로부터는 완만하지만 턱의 중심에서부터는 상부로 급격한 경사를 가지는 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곡물을 세척한 후 세척수를 배출하기 위해 용기를 배수면을 아래로 하여 기울일 경우곡물이 이 턱에 걸려 위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세척수의 배수가 완료된 후 용기를 바로 할 경우에도 곡물이 아래로 완만하게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용기의 바닥면에는 곡물과 마찰면을 확대하기 위하여 다수의 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돌기를 통해 사용자가 곡물을 좀 더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용기의 재질은 어떠한 제품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일반적으로는 플라스틱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나 금속재질이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용기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는 곡물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척 후 세척수를 배출시킬 때 곡물이 세척수와 함께 유실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복잡한 구조를 갖는 것 보다 훨씬 경제적인 용기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Claims (2)

  1. 상부가 개구된 보울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 상부에는 세척수가 배출되기 위한 다수의 배출공이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출공이 형성된 측면은 쌀 등의 내용물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깊은 턱 또는 홈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세척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바닥면에는 다수의 돌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세척 용기.
KR20-2004-0026314U 2004-09-14 2004-09-14 곡물 세척 용기 KR2003687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314U KR200368765Y1 (ko) 2004-09-14 2004-09-14 곡물 세척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314U KR200368765Y1 (ko) 2004-09-14 2004-09-14 곡물 세척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8765Y1 true KR200368765Y1 (ko) 2004-12-03

Family

ID=49352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6314U KR200368765Y1 (ko) 2004-09-14 2004-09-14 곡물 세척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876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30704A1 (en) Sink
US9756984B2 (en) Container
KR101894044B1 (ko) 반려동물 급체방지용 식기세트
JPH08224204A (ja) コップ受け付水切りかご
CN102961005A (zh) 中式汤匙
KR200368765Y1 (ko) 곡물 세척 용기
US10238238B1 (en) Serving spoon with depression forming feature
JP2008302188A (ja) お玉杓子
KR101229406B1 (ko) 곡물 세척 용기
CN211944615U (zh) 食品容器
KR20090005536A (ko) 다용도 주방용기
KR200461981Y1 (ko) 쌀 세척 용기
US20190290047A1 (en) No-boil over cooking vessel lid
KR20210157270A (ko) 내용물 분리 기능을 갖는 식품 용기
KR200322723Y1 (ko) 곡물 세척 용기
JP6674970B2 (ja) ザル及びザルボウルセット
KR200494112Y1 (ko) 쌀 유통 및 세척용기
JP3851121B2 (ja) 水洗容器
KR20140146684A (ko)
CA104126S (en) Egg yolk separator
US20240099505A1 (en) System for producing distinctive food objects
JP3142476U (ja) キッチンボール
US11986129B1 (en) Egg cracker and yolk separator
KR200245648Y1 (ko) 소쿠리
KR200223732Y1 (ko) 물 빠짐 수단을 갖는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