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2723Y1 - 곡물 세척 용기 - Google Patents

곡물 세척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2723Y1
KR200322723Y1 KR20-2003-0016779U KR20030016779U KR200322723Y1 KR 200322723 Y1 KR200322723 Y1 KR 200322723Y1 KR 20030016779 U KR20030016779 U KR 20030016779U KR 200322723 Y1 KR200322723 Y1 KR 2003227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inclined surface
washing
container
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67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너럴 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너럴 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너럴 네트
Priority to KR20-2003-00167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27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27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27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4Devices for washing vegetabl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곡물을 내부에 담아 물로 세척한 후 물을 배출 시 낟알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곡물 세척 용기를 제공한다. 상기 곡물 세척 용기는 상부가 개구되어 보울-타입의 형상을 가지는 몸체의 저면에는 수평방향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하는 수평면과 이에 연결되어 경사지게 세워질 수 있도록 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의 상부 외주면에는 다공성 배수면이 형성되며, 상기 보올-타입 몸체의 상주연(상부 테두리)중 상기 배수면이 형성된 부분에 다수의 배수구멍이 형성된 다공성 배플 플레이트가 결합되어 있다.

Description

곡물 세척 용기{GRAIN WASHING CONTAINER}
본 고안은 주방에서 사용되는 주방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곡물을 내부에 담아 물로 세척한 후 물을 배출 시 낟알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곡물 세척 용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가정에서 한끼의 식사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가족 수에 부합되는적당량의 곡물, 예컨대, 쌀을 세척하여 밥을 짓게 된다. 이때, 쌀을 세척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용량을 가지는 용기에 식구(食口)의 수에 부합되는 적당량의 쌀을 담고 물을 충만하게 투입하여 수동으로 세척을 실시하게 된다. 여기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용기로서는 바가지 혹은 바가지 형상을 갖는 그릇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바가지 혹은 바가지 형상을 가지는 양푼 등의 그릇 용기를 사용하는 곡물 세척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즉,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쌀바가지의 경우는 대략 둥근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의 일측에는 물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요홈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홈부가 형성된 바가지를 이용하여 쌀을 세척하는 경우, 바가지 내부에 적당량의 쌀을 넣고 물을 충만하게 투입하여 손으로 세척한 다음 물을 배출하는 경우 바가지의 요홈부 측을 기울이게 되면, 물은 상기 요홈부로 배출되고 내부의 쌀은 잔류하게 된다. 그러나, 쌀을 세척한 후 물을 배출하기 위해 바가지를 기울이게 되면 물과 함께 쌀알이 동시에 흘러나오게 되어 귀중한 곡식을 낭비하게 되므로 세심한 주의를 요하게 되어 쌀의 세척과 헹굼이 불편하여 개선을 요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압의 물을 쌀을 담고 있는 용기 내부에 강제로 공급하여 물과 쌀이 와류 현상을 일으켜 쌀이 자동으로 세척될 수 있도록 하는 곡물 세척기와, 용기의 중앙에 교반기를 설치하고 전기 동력에 의해 상기 교반기를 회전시켜 용기내부에 담겨진 쌀을 세척하는 세척기가 개발되고 있으나 가격이 고가로서 널리 보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와 같은 쌀 세척 장치는 곡물만을 세척할 때 사용될 뿐 기타 용도로는 사용될 수 없다. 예를 들면, 국수를 삶아 헹굼을 하여 건조하거나 하는 등의 용도로 이용할 수 없어 이용범위가 한정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적당량의 곡물을 세척하는 경우 낟알의 유실을 방지하면서 효율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곡물 세척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주방에서 요리 가능한 식품을 물로 세척하거나 헹굼 시 매우 내용물의 유실을 방지하고 효율적으로 세척/헹굼 하여 건조할 수 있는 용기의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곡물 세척 용기는, 상부가 개구되어 보울-형상(bowl form)을 가지는 몸체의 저면(底面)에는 수평방향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하는 수평면과 이에 연결되어 경사지게 세워질 수 있도록 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의 상부 외주면에는 다공성 배수면이 형성되며, 상기 보올-타입 몸체의 상주연(상부 테두리)중 상기 배수면이 형성된 부분에 다수의 배수구멍이 형성된 다공성 배플 플레이트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 저면의 수평면에 연결된 경사면의 경사각도는 대략 30°~4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면의 최대폭은 상기 수평면의 최대폭 W와 동일하게 하는 것이 요구되며, 상기 배수면의 하단은 상기 경사면의 상단에서 적절한 거리를 이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배수면의 하단은 상기 경사면의 상단에 근접시켜 상기 경사면을 기준으로 세워질 때 몸체 내에 담겨진 물이 자연스럽게 배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몸체의 저면의 수평면과 경사면의 상부에는 다수의 요철(凹凸)부가 형성하여 몸체의 내부에 투입된 곡물과 물이 동시에 비벼지게 하여 세척효율을 증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곡물 세척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곡물 세척 용기의 일부분의 절개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상주연과 배플 플레이트(baffle plate)간의 결합상태의 확대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곡물 세척 용기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곡물 세척 용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일부 절개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고안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곡물 세척 용기의 사시도, 절개 단면도, 배플 플레이트의 확대도, 평면도 및 사용상태의 절개 단면도를 도시한다.
상기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곡물 세척 용기 12는 상부가 개구되어 테두리 13을 가지는 보울-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 곡물 세척 용기 12의 저면에는 수평면 14와 이에 연결된 경사면 16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수평면 14에 연결된 상기 경사면 16의 경사각 θ는 약 30°내지 40°내외로 설정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기론 35°정도이면 족하다. 상기 경사면 16의 길이는 수평면 14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경사면 16의 길이가 수평면 14의 길이의 ⅓~½정도로 설정된다. 이와 같은 이유는 곡물 세척 용기 12를 수평면 14를 기준으로 하여 세워 놓고 그내부에 쌀과 물을 함께 넣어 쌀 불림을 할 때 물이 배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곡물 세척 용기 12의 외주면 중 상기 경사면 16의 상부측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배수공들을 가지는 배수면 1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수면 18을 형성하는 배수공들은 상기 곡물 세척 용기 12가 상기 경사면 16을 기준으로 세워졌을 때 내부에 담겨진 세척수를 외부로 배수시키는데 매우 유용하게 작용한다.
이때, 상기 배수면의 하단은 상기 경사면 16의 상단에서 적절한 거리로 이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배수면의 하단은 상기 경사면 16의 상단에 근접시켜 상기 경사면을 기준으로 세워질 때 몸체 내에 담겨진 물이 자연스럽게 배수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평면 14 및 경사면 16들의 상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부 20이 형성되어 곡물 세척 용기 12에 쌀과 물을 투입하여 세척 시, 쌀과 물이 용이하게 비벼지게 되어 세척 효율을 높인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요철부 20은 저면부에서 원주의 형태로 배열된 것을 도시하고 있지만, 사각형의 형태로 배열될 수 도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곡물 세척 용기 12의 내부면에 수직방향으로도 요철을 형성하여 곡물의 세정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보올-타입 몸체를 가지는 곡물 세척 용기 12의 상주연(상부 테두리)중 상기 배수면 18이 형성된 대응 영역에는 도 3과 같이 다수의 배수구멍이 형성된 다공성 배플 플레이트 22가 결합되어 진다.
상기 다공성 배플 플레이트 22에 형성된 배수구멍 24는 상부에서 하부의 방향으로 뚫어져 상부측의 지름이 하부측의 지름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이유는 용기내의 곡물, 예컨대 쌀 등이 유실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며, 내측의 지름은 쌀의 낟알보다 작으면 족하다.
상기 곡물 세척 용기 12를 사용하는 경우, 용기 저면의 수평면 14를 기준으로 하여 지면에 세워지도록 놓고 적당량의 곡물, 예컨대 쌀 30과 물을 투입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쌀 30을 세척한 후 곡물 세척 용기 12를 도 5와 같이 경사면 16을 기준으로 지면에 세워지도록 기울이면, 용기 12내의 세척수는 배수면 18의 배수구들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배수를 보다 신속하게 하기 위하여 곡물 세척 용기 12의 기울기 각도를 더욱 크게 하더라도 세척수의 흐름에 따라 흐르는 쌀 30은 배플 플레이트 22에 걸리고 세척수만이 배수구 24로 배출된다. 따라서, 용기 12의 기울기를 크게 하더라고 용기 12내에 담겨진 세척수만이 도 5의 배수면 18 및 배플 플레이트 22의 배수공 24를 통해 배출되고 곡물의 유실은 없게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배수구의 형상을 원의 형태로 제작한 것을 도시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한 자라면 장방형, 장단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만들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저면의 수평면 14 및 경사면 16에 요철의 형상으로 만들어진 요철부 20은 원의 형태로 배열된 형상을 가지고 있으나, 장방형의 배열 형태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하며, 이러한 변형도 본 고안의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음에 유의 바란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곡물 세척 용기 12의 재질은 다양하게 선택적으로 할 수 있다. 예컨대, 스테인리스스틸(stainless steel),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 들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나, 보건 위생상의 문제를 고려한다면 스테인리스스틸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보올-타입의 몸체를 갖는 곡물 세척 용기의 외주면의 상부측에 다공성의 배수면을 설치하고, 그 상부의 테두리에 다공성의 배플 플레이트를 설치함으로써 쌀 등의 곡물과 물을 함께 용기 내부에 넣어 세척한 후 물을 배수하더라도 쌀이 동시에 배출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쌀이 유실되는 문제가 제거된다. 또한, 용기의 저면에 형성된 수평면을 이용하여 용기를 세워 놓고 쌀을 불리고, 경사면을 이용하여 세척수를 배출함으로써 곡물의 세척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Claims (4)

  1. 곡물 세척 용기에 있어서,
    상부가 개구되어 보울-타입의 형상을 가지는 몸체의 저면에는 수평방향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하는 수평면과 이에 연결되어 경사지게 세워질 수 있도록 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의 상부 외주면에는 다공성 배수면이 형성되며, 상기 보올-타입 몸체의 상주연(상부 테두리)중 상기 배수면이 형성된 부분에 다수의 배수구멍이 형성된 다공성 배플 플레이트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세척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저면의 수평면에 연결된 경사면의 경사각도는 대략 30°~40°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세척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의 최대폭은 상기 수평면의 최대폭과 동일하게 하는 것이 요구되며, 상기 배수면의 하단은 상기 경사면의 상단에서 적절한 거리로 이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세척 용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저면의 수평면과 경사면의 상부에는 다수의 요철(凹凸)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세척 용기.
KR20-2003-0016779U 2003-05-29 2003-05-29 곡물 세척 용기 KR2003227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779U KR200322723Y1 (ko) 2003-05-29 2003-05-29 곡물 세척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779U KR200322723Y1 (ko) 2003-05-29 2003-05-29 곡물 세척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2723Y1 true KR200322723Y1 (ko) 2003-08-14

Family

ID=49336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6779U KR200322723Y1 (ko) 2003-05-29 2003-05-29 곡물 세척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272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406B1 (ko) * 2012-01-16 2013-02-05 김봉옥 곡물 세척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406B1 (ko) * 2012-01-16 2013-02-05 김봉옥 곡물 세척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579393A (en) Dishwashing, scouring, and polishing sink
US20080116294A1 (en) Spray devices and nozzles
TWM492696U (zh) 杯體
US6227013B1 (en) Wash plate for a clothes washer
US2250314A (en) Dishwashing machine
KR200322723Y1 (ko) 곡물 세척 용기
US11051658B2 (en) Cover element for a preparation vessel of a food processor
KR200497191Y1 (ko) 싱크대용 배수장치
KR20200029343A (ko) 식기세척기 및 이를 이용한 세척방법
KR101229406B1 (ko) 곡물 세척 용기
KR102032698B1 (ko) 음식물 세척용기
KR200223732Y1 (ko) 물 빠짐 수단을 갖는 용기
KR101447599B1 (ko) 쌀 세척 장치
JP3142476U (ja) キッチンボール
KR200368765Y1 (ko) 곡물 세척 용기
EP1316284A3 (en) Appliance for washing vegetables and molluscs
KR200365607Y1 (ko) 주방용 공기방울 수세기
CN211212786U (zh) 一种循环式洗米机
JP3049671U (ja) 自動洗米器
KR200209062Y1 (ko) 곡물 세척기
KR950003186B1 (ko) 초음파 식기류세정기
JP3020358U (ja) 食品用容器
CN206995154U (zh) 一种组合式洗菜篮
KR20110111346A (ko) 싱크대에 장착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910002476Y1 (ko) 수세용기(水洗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