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5607Y1 - 주방용 공기방울 수세기 - Google Patents

주방용 공기방울 수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5607Y1
KR200365607Y1 KR20-2004-0021736U KR20040021736U KR200365607Y1 KR 200365607 Y1 KR200365607 Y1 KR 200365607Y1 KR 20040021736 U KR20040021736 U KR 20040021736U KR 200365607 Y1 KR200365607 Y1 KR 2003656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ir
container
air supply
air bubb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17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향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Priority to KR20-2004-00217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56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56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56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4Devices for washing vegetabl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1/00Preparing grain for milling or like processes
    • B02B1/04Wet treatment, e.g. washing, wetting, soft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학교나 기타 단체급식소 등의 주방에서 다량의 쌀, 곡물과 야채를 세척하는데 사용되는 주방용 공기방울 수세기에 관한 것으로, 물이 담겨진 수세용기 내부에 급기장치를 설치하여 고압으로 토출되는 공기방울에 의해서 용기내의 내용물이 손상되지 않게 수세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다량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대형수세용기와, 수세용기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와, 물이 담겨진 용기에 고압공기를 사방으로 고르게 토출시키는 다공체의 공기토출장치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고압으로 토출되는 공기방울에 의해서 내용물이 수세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주방용 공기방울 수세기{BUBBLE PRESSURE WASHING MACHINE FOR KITCHEN USE}
본 고안은 학교급식소나 기타 단체급식소 등의 주방에서 대용량의 쌀 또는 각종 곡물과 야채를 세척하는데 사용되는 주방용 공기방울 수세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자세하게는 물이 담겨진 수세용기 내부에 급기장치를 설치하여 고압으로 토출되는 공기방울에 의해서 용기내의 내용물이 수세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미기나 수세기는 교반기를 이용하여 물을 와류 회전시키는 작용에 의해서 쌀이나 곡물이 세척되게 하는 구조가 알려져 있으나, 회전하는 교반기의 날개에 쌀이나 곡물 또는 야채가 부딪치고 접촉하여 손상되는 예가 허다하며, 야채나 곡물은 원형이 변형되는 경우가 많고 이러한 구조물 회전수단을 이용하는 세미기에서 수세된 내용물은 고급상품으로 제공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해서 회전 구조물을 이용하지 않고 공기방울에 의해서 내용물이 손상되지 않게 수세되는 새로운 구조의 수세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다량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대형수세용기와, 수세용기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와, 물이 담겨진 용기에 고압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장치와, 급기장치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사방으로 고르게 토출시키는 다공체의 공기토출구가 결합되어 이루어짐에 의해서 달성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수세기는 회전구조물이 아니라, 물속의 공기방울에 의해서 수세되는 구조이므로 내용물이 다치거나 회손될 우려가 없이 안전하게 원형 그대로 유지되도록 수세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며, 본 고안의 수세기에 의해서 수세된 내용물은 변형이 없고 효과적으로 세척되어 고급제품으로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전체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전체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3은 공기토출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4는 공기토출장치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수세용기 B: 급수장치
C: 손잡이관 D: 공기토출장치
E: 퇴수장치 F: 제어부
1: 뚜껑 2: 배출구
6: 급수호우스 7: 급기호우스
8: 급기펌프 9: 연결호우스
10: 다공체 11: 플렌지
12: 망체 13: 퇴수관
14: 중앙집결판 15: 다공관
하부 중앙에 밸브체(3)에 의해서 개폐되는 배출구(2)가 형성되고 사방에 다리(4)가 설치되어 본체를 지탱케 하며 2개의 반원형 쪽판이 원형상으로 마주 결합되어 힌지수단에 의해서 접거나 펼칠 수 있는 뚜껑(1)이 상단에 덮어진 대형의 수세용기(A)와; 뚜껑(1)의 구멍(5)에 급수호우스(6)를 끼워서 물을 공급하며 수도관에 연결 설치되는 급수장치(B)와; 수세용기(A)의 후면에 파이프를 ∩형으로 절곡하여 용기에 일체로 용접 고정시키므로서 기기 전체에 대한 손잡이로 사용되게 한 손잡이관(C)과; 손잡이관(C)의 일측단부에는 급기펌프(8)의 연결호우스(9)를 연결하고 타측단부에는 용기의 내측 저면부로 설치된 급기호우스(7)를 연결하며 급기호우스(7)의 내단에는 십자형 다공체(10)가 나사 결합식으로 연결되어 고압의 공기를 수세용기(A)내부에 연속 공급하는 공기토출장치(D)와; 수세용기(A)의 상단부에 형성된 망체(12)로 넘치는 물을 받아주는 플렌지(11)에 퇴수관(13)을 연결 설치하여 넘치는 물이 하수구로 퇴출되게 한 퇴수장치(E)와; 온도와 급기시간 등을 적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F)의 결합으로 이루어짐에 의해서 수세용기에 공급된 공기방울에 의해서 내용물이 수세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상기한 공기토출장치(D)의 십자형 다공체(10)는 복수개의 다공관(15)이 중앙집결체(14)의 사방에 형성된 소켓(16)에 각각 나사 결합되어 있으며, 중앙집결체(14)의 하부소켓에 급기관체(17)의 단부가 나사결합으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한 다공체의 연결부를 나사결합식으로 구성한 이유는 제작과 조립의 용이성, 또한 사용 후 조립체를 분리 해체시켜 미립자의 오물 등을 깨끗하게 위생적으로 청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수세용기(A)에 쌀을 넣어주고 제어부(F)를 조정하여 급기시간과 급수압 및 온도 등을 설정한 후 스위치를 눌러주면 먼저 급수장치(B)를 통해서 물이 수세용기(A)에 계속 공급되며 정도 이상의 넘치는 물은 용기 상단의 망체(12)을 통해서 퇴수장치(E)의 퇴수관(13)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수세용기(A) 내부에 물이 차여서 쌀이 충분히 물에 불었을 정도가 되는 일정시간 후에 공기토출장치(D)의 급기펌프(8)가 가동되기 시작하며, 고압의 공기가 급기관체(17)를 통해서 물속에 잠겨있는 사방의 다공관(10)으로 공급되어 공기방울로 토출된다.
이때 토출되는 공기방울은 쌀에 접촉되어 교반작용과 수타작용 및 수세작용을 계속하며, 이렇게 공기방울을 이용한 수세작용은 쌀을 손상시키지 않고 깨끗하게 씻겨지는 것이다.
또한 설정된 수세시간이 완료되면 급수작동이 멈춰지고, 뒤따라서 작업자가 수세용기(A) 하부의 배출구(2)에 설치된 밸브체(3)의 핸들을 돌려주면 닫혀있던 배출구(2)가 열리면서 물과 쌀이 배출되어 바닥에 놓여진 이동식 망체용기(20)에 담겨지고, 망체용기(20)에서 물은 빠지고 쌀만 남게되는 것으로 수세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수세기는 쌀은 물론 각종 곡물이나 야채 등을 다량으로 수세할 수있어 대형 주방이나 단체급식소 등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수세기는 교반날개 등과 같은 회전식 구조물이 아니라, 물속에서 고압으로 토출되는 공기방울에 의해서 내용물이 수세되는 구조이므로 내용물이 다치거나 손상될 우려가 없이 안전하게 원형 그대로 유지되도록 수세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본 고안의 수세기에 의해서 수세된 내용물은 변형이 없고 효과적으로 세척되어 상질의 고급제품으로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종래처럼 급수관로 및 급기관로를 위해서 관체와 호우스를 복잡하게 설치하는 것을 생략하고, 용기에 붙어 있는 손잡이관을 이용하여 급기관을 연결하므로서 관로의 연결구조가 간결해지고 주변의 공간 활용이 용이해질 수 있어 대형 수세기의 구조가 크게 개선되며 제작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공기토출장치의 다공체를 나사결합에 의한 분해조립식으로 구성하므로서 기기를 사용 후 다공체를 분리시켜 미세한 오물 등이 토출공과 구석에 끼어있는 것까지도 깨끗하게 청소하여 위생적으로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하부에 개폐식 배출구(2)가 형성되고 사방에 다리(4)를 가지며 상단에 뚜껑(1)이 덮어진 대형 수세용기(A)와; 수도관에 연결되며 뚜껑(1)의 구멍(5)에 급수호우스(6)를 끼워서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B)와; 수세용기(A)의 후면에 일체로 고정되고 기기 전체에 대한 손잡이로 사용되게 한 손잡이관(C)과; 손잡이관(C)의 한쪽 단부에 급기펌프(8)의 연결호우스(9)를 연결하고 타단부에는 용기의 내측 저면부로 설치된 급기호우스(7)를 연결하며 급기호우스(7)의 내단에는 십자형 다공체(10)가 연결되어 고압의 공기를 연속 공급하는 공기토출장치(D)와; 수세용기(A) 상부의 망체(12)로 넘치는 물을 받아주는 플렌지(11)에 퇴수관(13)을 연결하여 넘치는 물이 하수구로 퇴출되게 한 퇴수장치(E)와; 온도와 급기시간 등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F)의 결합에 의해서 수세용기에 공기방울을 공급하여 내용물이 수세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주방용 공기방울 수세기.
  2. 제1항에 있어서, 공기토출장치(D)의 십자형 다공체(10)는 복수개의 다공관(15)이 중앙집결체(14) 사방의 소켓(16)에 각각 나사 결합되며 중앙집결체(14)의 하부소켓에 급기관체(17)의 단부가 나사결합으로 고정되어 사용 후 조립체를 분리 해체시켜 미립자의 오물 등을 깨끗하게 위생적으로 청소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주방용 공기방울 수세기.
KR20-2004-0021736U 2004-07-29 2004-07-29 주방용 공기방울 수세기 KR2003656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736U KR200365607Y1 (ko) 2004-07-29 2004-07-29 주방용 공기방울 수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736U KR200365607Y1 (ko) 2004-07-29 2004-07-29 주방용 공기방울 수세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5607Y1 true KR200365607Y1 (ko) 2004-10-22

Family

ID=49439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1736U KR200365607Y1 (ko) 2004-07-29 2004-07-29 주방용 공기방울 수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560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3089B1 (ko) * 2009-12-11 2010-11-08 화신주방산업(주) 조리용 음식재료 세척기
KR101020062B1 (ko) 2008-10-10 2011-03-09 문홍연 미세기포를 이용한 세척장치
KR101427065B1 (ko) * 2014-04-08 2014-08-08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과채류 세정용 미세기포 발생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062B1 (ko) 2008-10-10 2011-03-09 문홍연 미세기포를 이용한 세척장치
KR100993089B1 (ko) * 2009-12-11 2010-11-08 화신주방산업(주) 조리용 음식재료 세척기
KR101427065B1 (ko) * 2014-04-08 2014-08-08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과채류 세정용 미세기포 발생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8210B1 (ko) 다기능 싱크대
WO2017113981A1 (zh) 一种洗碗机
CN201588272U (zh) 洗碗洗菜盆
KR20150011080A (ko) 곡류 세척장치
US10105033B2 (en) Auxiliary gray water source device for commercial kitchens
KR200365607Y1 (ko) 주방용 공기방울 수세기
JP6339712B1 (ja) ディスポーザを含む配管の洗浄方法
KR101030596B1 (ko) 세미기
CN205697625U (zh) 一种新型洗碗机
KR101663101B1 (ko) 세정액 토출이 가능한 수도꼭지
KR101445111B1 (ko) 양변기 음식물처리장치
JP2001003407A (ja) 蛇口ユニット
CN206916853U (zh) 洗手台
KR20080070339A (ko) 공기방울에 의한 세척이 용이한 싱크대
KR101259177B1 (ko) 위생세척이 용이한 싱크대 배수장치
KR20180009133A (ko) 씽크볼 및 조리작업받침판 기능이 있는 식기거치대를 가진 음식물2차분쇄발효소멸기 일체형 다용도 식기세척기
CN210411765U (zh) 一种超声波清洗机
RU2532030C2 (ru) Сифон и предмет мебели
KR20130013781A (ko) 배수통 세척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싱크대
KR100769572B1 (ko) 주방용 세척기
KR20110134163A (ko) 정수기능 및 캐비테이션 토출 기능을 구비한 수전금구
KR100993089B1 (ko) 조리용 음식재료 세척기
KR101407065B1 (ko) 취반장치
CN110409570A (zh) 一种便于升降和清灰的洗菜盆
CN212729725U (zh) 一种洗碗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