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8120Y1 - 건축물용 장식석재구조 - Google Patents

건축물용 장식석재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8120Y1
KR200368120Y1 KR20-2004-0019647U KR20040019647U KR200368120Y1 KR 200368120 Y1 KR200368120 Y1 KR 200368120Y1 KR 20040019647 U KR20040019647 U KR 20040019647U KR 200368120 Y1 KR200368120 Y1 KR 2003681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s
decorative
horizontal
decorative stone
s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96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훈
Original Assignee
김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훈 filed Critical 김영훈
Priority to KR20-2004-00196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81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81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81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38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ntaining ston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a number of elements which are identical or not, e.g. carried by a common web, support plate or gri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건물을 신축하거나 리모델링할 때 마감재로 사용되는 수평의 요홈과 돌출편이 가공된 장식석재에 곡선요홈과 파형요홈 및 사선요홈과 직선요홈 등의 장식홈을 더 가공함으로써 정교한 디자인의 장식이 가능하고, 다수개의 장식석재를 연결하여 대형의 정교한 장식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날카로운 장식석재로 인하여 사람이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다수의 장식석재로 다양하고 아름다운 디자인의 장식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용 장식석재구조에 관한 것으로, 이는 건축물의 내벽면이나 외벽면 등의 벽면에 여러 장을 부착하여 벽면을 장식할 수 있도록 장식석재를 구비하고, 그 장식석재의 표면에 다수의 수평요홈을 형성하여 수평요홈과 수평요홈 사이에 표면 높이의 돌출편이 형성되도록 함에 있어서, 상기 장식석재의 표면에 반복 형성된 수평요홈과 돌출편 중에서 돌출편에는 다수의 곡선요홈을 형성하고, 그 곡선요홈들은 벽면에 여러 장이 연결 부착되는 장식석재들에 의해 곡선요홈들끼리 연결되어 장식되도록 장식석재를 구성함으로써 이룰 수 있는 고안이다.

Description

건축물용 장식석재구조{Decoration stone structure for a building}
본 고안은 각종 건물을 신축하거나 리모델링할 때 내벽이나 외벽의 마감용석재로 사용되는 건축물용 장식석재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취옥석과 대리석 및 화강석 등의 마감용 석재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구비하고, 그 마감용 석재의 표면에 구성되는 수평의 요철홈 위에 다양한 형상의 요홈을 더 가공함으로써 다수의 마감용 석재들을 연결하여 장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용 장식석재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물을 신축하거나 리모델링할 때 내벽이나 외벽에는 취옥석이나 대리석 및 화강석 등의 석재를 사용하여 장식을 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와 같이 마감 장식재로 석재를 사용할 때는 석재를 일정한 크기로 잘라 이들을 연결하여 필요한 면적을 석재로 마감 장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건축물의 내벽이나 외벽에 부착하여 사용되는 장식석재의 표면은 매끈하게 연마된 장식석재를 그냥 부착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장식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장식석재의 표면에 작고 불규칙한 무수히 많은 요철을 형성하여 미감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작고 불규칙한 무수히 많은 요철을 형성한 장식석재는 의미있고 아름다운 장식의 효과보다는 강한 이미지를 주는 것이므로 주로 실외벽면에 사용할 뿐만 아니라, 그 무수히 많은 요철을 작고 불규칙하게 형성하는 작업을 수작업으로 해야하므로 작업성과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불규칙한 요철 외에 장식석재의 표면에 수평의 요홈을 등간격으로 반복 형성하여 수평의 요홈과 돌출편이 반복 형성된 장식석재를 가공하고, 그 요홈과 돌출편이 반복 형성된 장식석재에서 돌출편을 부분적으로 부러뜨려서 부러진 돌출편들의 연결 형상이 디자인 효과를 내도록 한 장식석재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돌출편들을 부러뜨리는 구성의 장식석재는 요홈들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것을 부분적으로 부러뜨리는 것이므로 돌출편을 부러뜨리는 과정에서 원하는 형상과는 다르게 부러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정교한 디자인의 장식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돌출편을 부러뜨리는 장식석재는 부러뜨리고 남은 돌출편이 날카롭게 날이 세워진 상태로 남는 경우가 많으므로 부주의로 인하여 사람이 다치게 되는 경우도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각종 건물을 신축하거나 리모델링할 때 마감재로 사용되는 수평의 요홈과 돌출편이 가공된 장식석재에 곡선요홈과 파형요홈 및 사선요홈과 직선요홈 등의 장식홈을 더 가공함으로써 정교한 디자인의 장식이 가능하고, 다수개의 장식석재를 연결하여 대형의 정교한 장식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날카로운 장식석재로 인하여 사람이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다수의 장식석재로 다양하고 아름다운 디자인의 장식을 할 수 있도록 한 건축물용 장식석재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장식석재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장식석재의 사용상태사시도
도 3a 내지 도 3h는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들을 보인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장식석재 20 : 수평요홈
30 : 돌출편 40 : 곡선요홈
41 : 파형요홈 42 : 사선요홈
43 : 직교요홈 50 : 벽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건축물의 내벽면이나 외벽면 등의 벽면(50)에 여러 장을 부착하여 벽면(50)을 장식할 수 있도록 장식석재(10)를 구비하고, 그 장식석재(10)의 표면에 다수의 수평요홈(20)을 형성하여 수평요홈(20)과 수평요홈(20) 사이에 표면 높이의 돌출편(30)이 형성되도록 함에 있어서, 상기 장식석재(10)의 표면에 반복 형성된 수평요홈(20)과 돌출편(30) 중에서 돌출편(30)에는 상측으로 열린 곡선요홈(40)과 하측으로 열린 곡선요홈(40)을 형성하고, 그 곡선요홈(40)들은 벽면(50)에 여러 장이 연결 부착되는 장식석재(10)들에 의해 곡선요홈(40)들끼리 연결되어 장식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곡선요홈(40)은 수평요홈(20)의 깊이보다 낮은 깊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건축물을 신축하거나 리모델링하면서 건물의 내벽이나 외벽 등의 벽면(50)에 여러 장의 장식석재(10)를 부착함으로써 장식석재(10)의 표면에 형성된 수평요홈(20)과 곡선요홈(40) 및 수평요홈(20)들 사이에 형성된 돌출편(30)에 의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의 장식석재(10)는 채석된 취옥석과 대리석 및 화강석 등의 마감용 석재를 일정한 크기와 두께로 절단하여 장식석재(10)를 먼저 구성하고, 상기와같이 일정한 크기와 두께로 절단된 장식석재(10)의 표면에 다수의 수평요홈(20)을 등간격으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장식석재(10)의 표면에 수평요홈(20)을 형성하는 것은 통상의 방법과 같이 여러 장의 장식석재(10)를 절삭장치에 고정하고, 가공할 수평요홈(20)의 수만큼 절삭공구를 구비하면서 그 절삭공구들을 스페이서로 일정한 간격이 되도록 한 후, 장식석재(10)의 표면에 다수의 수평요홈(20)을 동시에 가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장식석재(10)의 표면에 다수의 수평요홈(20)이 형성되면 그 수평요홈(20)의 사이에는 돌출편(30)이 형성되므로 장식석재(10)에는 다수의 수평요홈(20)과 돌출편(30)이 반복 형성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수평요홈(20)과 돌출편(30)이 다수 반복 형성된 장식석재(10)의 표면에 2차 가공을 통하여 상측이 열린 반원형태의 곡선요홈(40)과 하측이 열린 반원형태의 곡선요홈(40)을 곡선이 서로 겹치도록 더 가공함으로써 장식석재(10)의 표면을 보다 아름답게 장식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곡선요홈(40)은 그 깊이를 수평요홈(20)의 깊이보다 낮은 깊이로 돌출편(30)에 가공함으로써 돌출편(30)이 수평요홈(20)과 곡선요홈(40)으로 인하여 작은 조각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돌출편(30)이 쉽게 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3a 내지 도 3h는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들을 보인 정면도로서,
먼저 도 3a는 장식석재(10)의 돌출편(30)에 상기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곡선요홈(40)을 가공하되 그 곡선요홈(40)은 조금만 겹쳐지도록 하거나 겹쳐지지 않도록 가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 3b와 도 3c는 곡선요홈(40)을 원형으로 가공한 것으로 원형을 이루는 곡선요홈(40)은 서로 도 3b와 같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하거나 도 3c와 같이 겹치도록 가공하여 장식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d와 도 3e는 장식석재(10)의 돌출편(30)에 파형요홈(41)을 가공한 것으로써 그 파형은 도 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형요홈(41)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가공하거나 도 3e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형요홈(41)을 서로 겹쳐지도록 하여 다양한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도 3f와 도 3g는 장식석재(10)의 수평요홈(20)과 돌출편(30)에 사선방향으로 사선요홈(42)을 가공한 것으로, 이와 같이 장식석재(10)에 사선요홈(42)을 형성할 때는 도 3f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장식석재(10)에 하나의 마름모꼴 사각형이 형성되도록 사선요홈(42)을 가공하거나 도 3g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선요홈(42)이 X자 형상으로 반복되도록 가공하여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3h는 수평요홈(20)과 돌출편(30)이 반복 형성된 장식석재(10)의 표면에 수평요홈(20)과 돌출편(30)에 직각이 되도록 직교요홈(43)을 형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직교요홈(43)만을 형성하여도 수평요홈(20)과 돌출편(30)만으로 구성된 기존의 장식용 석재와는 다른 새로운 느낌을 장식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되다.
특히 상기 곡선요홈(40)과 파형요홈(41) 및 사선요홈(42)과 직교요홈(43)은 모두 장식석재(10)의 수평요홈(20)의 깊이보다 낮은 깊이로 돌출편(30)에 가공하여 돌출편(30)이 약해지면서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곡선요홈(40)과 파형요홈(41) 및 사선요홈(42)과 직교요홈(43) 중에서 사선요홈(42)과 직교요홈(43)은 수평요홈(20)을 가공한 절삭공구로 절삭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곡면을 이루는 곡선요홈(40)과 파형요홈(41)뿐만 아니라, 직선을 이루는 사선요홈(42)과 직교요홈(43)은 바닥이 평평한 홈을 가공하는 절삭공구인 엔드밀을 사용하여 가공함으로써 그 가공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각종 건물을 신축하거나 리모델링할 때 표면에 수평요홈과 돌출편이 반복 가공된 장식석재에 곡선요홈과 파형요홈 및 사선요홈과 직선요홈 등의 장식홈을 더 가공함으로써 정교한 디자인의 장식이 가능하고, 다수개의 장식석재를 연결하여 대형의 정교한 장식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날카로운 장식석재로 인하여 사람이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다수의 장식석재로 다양하고 아름다운 디자인의 장식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5)

  1. 건축물의 내벽면이나 외벽면 등의 벽면(50)에 여러 장을 부착하여 벽면(50)을 장식할 수 있도록 장식석재(10)를 구비하고, 그 장식석재(10)의 표면에 다수의 수평요홈(20)을 형성하여 수평요홈(20)과 수평요홈(20) 사이에 표면 높이의 돌출편(30)이 형성되도록 함에 있어서,
    상기 장식석재(10)의 표면에 반복 형성된 수평요홈(20)과 돌출편(30) 중에서 돌출편(30)에는 다수의 곡선요홈(40)을 형성하고, 그 곡선요홈(40)들은 벽면(50)에 여러 장이 연결 부착되는 장식석재(10)들에 의해 곡선요홈(40)들끼리 연결되어 장식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건축물용 장식석재구조.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요홈(20)과 돌출편(30)이 반복 형성된 장식석재(10)의 표면에는 파형요홈(41)을 형성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건축물용 장식석재구조.
  3.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요홈(20)과 돌출편(30)이 반복 형성된 장식석재(10)의 표면에는 사선요홈(42)을 형성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건축물용 장식석재구조.
  4.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요홈(20)과 돌출편(30)이 반복 형성된 장식석재(10)의 표면에는 직교요홈(43)을 형성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건축물용 장식석재구조.
  5. 삭제
KR20-2004-0019647U 2004-07-09 2004-07-09 건축물용 장식석재구조 KR2003681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9647U KR200368120Y1 (ko) 2004-07-09 2004-07-09 건축물용 장식석재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9647U KR200368120Y1 (ko) 2004-07-09 2004-07-09 건축물용 장식석재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8120Y1 true KR200368120Y1 (ko) 2004-11-17

Family

ID=49441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9647U KR200368120Y1 (ko) 2004-07-09 2004-07-09 건축물용 장식석재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812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932B1 (ko) 2007-02-27 2007-12-06 주식회사 신성그래픽 실루엣 벽화용 타일 및 타일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932B1 (ko) 2007-02-27 2007-12-06 주식회사 신성그래픽 실루엣 벽화용 타일 및 타일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059960A1 (en) Building Panel
EP1825957A2 (en) System for designing, previewing and cutting natural stone veneer to deliver ready for installation
KR200368120Y1 (ko) 건축물용 장식석재구조
KR20120000275A (ko) 석재액자
EP0894593A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mosaic tesserae with an antique appearance, and tesserae manufactured thereby
Ferrata et al. Architectural decoration in Roman and late antique Caesarea Maritima and its periphery: Production, importation and reuse
KR101559106B1 (ko) 외장벽돌 시공방법
JP3145265U (ja) 壁面パネル
US20040084043A1 (en) Method and fracturable tile for making tesserae and listels
KR100821338B1 (ko) 건축물 벽체의 기와 장식물 및 그 시공 방법
KR20230111742A (ko) 석재 가공방법
JP3104512U (ja) タイル等敷設用フレーム
KR101932010B1 (ko) 나무타일 및 그 제조방법
Kozelj et al. Use of a saw in Roman and proto-Byzantine period on the island of Thassos
CN204370772U (zh) 装饰性较强的多功能墙体阳角护角条
KR20190020932A (ko) 평면장식용 장식판재 및 그를 이용한 평면장식 방법
JP5664026B2 (ja) 構造物
KR102103928B1 (ko) 건축용 외장재 결합구조
KR102018353B1 (ko) 유격 방지를 위한 계자각 시공방법
KR200164459Y1 (ko) 건축용 타일의 테두리 측면 구조
KR200342590Y1 (ko) 자연석을 활용한 부착식 내,외장 마감재
KR200359553Y1 (ko) 천정 모서리 장식구
KR200432538Y1 (ko) 가압평면이 구비된 바닥타일용 절단칼
KR19990045700A (ko) 건축용 자연석 내,외장재의 가공방법
JPH08103908A (ja) 石割り方法及びこの方法に使用する道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