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1742A - 석재 가공방법 - Google Patents

석재 가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1742A
KR20230111742A KR1020220007585A KR20220007585A KR20230111742A KR 20230111742 A KR20230111742 A KR 20230111742A KR 1020220007585 A KR1020220007585 A KR 1020220007585A KR 20220007585 A KR20220007585 A KR 20220007585A KR 20230111742 A KR20230111742 A KR 20230111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groove
cutting
present
processing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7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유락
정구용
Original Assignee
최유락
정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유락, 정구용 filed Critical 최유락
Priority to KR1020220007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1742A/ko
Publication of KR20230111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174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2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 B28D1/225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for scoring or breaking, e.g. t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26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impact tools, e.g. by chisels or other tools having a cutting ed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석재 가공방법은, 석재를 일정한 높이와 폭 및 길이로 재단하는 재단단계; 상기 재단단계에서 재단된 석재를 양측단의 중간부분에 홈을 형성하는 홈파기단계; 및 상기 홈의 형성된 중간부분을 정 등을 이용하여 반으로 절단하여 상면에 불규칙하게 다양한 무늬가 자연 스럽게 형성되도록 두 개로 분리시키는 분리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석재 가공방법{METHOD OF PROCESSING THE STONE}
본 발명은 석재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면에 다양한 무늬가 불규 칙하게 형성되도록 석재를 한 쌍으로 분리하여 자연미가 뛰어나며, 실내의 벽면이나 기둥 또는 천정 등에 설치하여 아늑하고 자연스러운 실내 공간을 연출할 수 있는 석재 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실내 석재는 상면에 아무런 무늬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 장식미가 떨어졌다.
또한, 석재 상면에 무늬를 형성하는 과정이 매우 힘들고 시간도 많이 소요되어 불편한 점이 있었다.
또한, 석재 상면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장시간 사용 시에는 지루함을 발생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석재 상면에 다양한 무늬가 형성되도록 간단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고, 상면의 무늬가 불규칙하고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장식미를 뛰어나게 하는 석재 가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 가공방법은, 석재를 일정한 높이와 폭 및 길이로 재단하는 재단단계; 상기 재단단계에서 재단된 석재를 양측단의 중간부분에 홈을 형성하는 홈파기단계; 및 상기 홈의 형성된 중간부분을 정 등을 이용하여 반으로 절단하여 상면에 불규칙하게 다양한 무늬가 자연 스럽게 형성되도록 두 개로 분리시키는 분리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석재 가공방법에 의하면, 상면에 다양한 무늬가 불규칙하게 형성되도록 석재를 한 쌍으로 분리하여 자연미가 뛰어나며, 실내의 벽면이나 기둥 또는 천정 등에 설치하여 아늑하고 자연스러운 실내 공간을 연출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 가공방법의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재단공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3a~3b는 본 발명인 석재 양측에 홈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4a~4b는 본 발명의 분리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석재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 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는 생략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석재 가공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며, 상기 석재 가공방법은 석재를 재단하는 재단공정과, 재단된 석재에 홈을 파는 홈파기공정과, 홈 중간부분을 절단하여 반으로 나누는 분리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재단공정은 석재를 첨부된 도 2와 같이 일정한 높이와 폭 및 길이로 재단한다. 이때, 석재(10)의 높이는 약 4~10cm, 폭은 4~10cm, 길이는 26.5~30.5cm로 크기로 디자인하여 절단한다. 석재를 절단하는 것은 공지의 기계 커터기를 이용하여 절단한다.
상기 홈파기공정은 일정한 크기로 재단된 석재(10)를 첨부된 도 3과 같이 양측단의 중간부분에 사각 형의 홈(20)을 형성한다. 상기 홈(20)은 홈파기기계를 이용하여 중앙의 높이(H)는 2~4mm정도로 하고, 그양측의 폭(W)은 2~6mm정도로 형성한다. 상기 폭(W)은 무늬가 형성되어 있지 않는 무무늬부다.
상기 분리공정은 첨부된 도 4와 같이 석재(10)의 양측단에 형성된 사각형의 홈(20)의 중간부분에 정이 결합된 기계를 이용하여 석재(10)를 반으로 나눠지면서 도록 한다.
이때, 분리된 석재 상면에는 불규칙하게 형성된 다양한 무늬(40)가 형성된 무늬부(30)를 갖게 된다. 상기 무늬부(30)의 높이(H)는 1~2mm 정도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무늬가 형성된 석재(100)는 첨부된 도 5와 같이 실내의 벽면이나 기둥 등에 부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 석재 표면에는 자연스러운 무늬(40)가 형성되어 있어 실내에서 가공미가 아닌 자연미를 창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무늬가 형성된 석재(100)는 첨부된 도 6과 같이 상면에 무늬(40)가 형성된 무늬부(30)와, 상기 무늬부(30) 양측단부에는 무무늬부(W')가 형성된 본체(50)로 이루어진다.
상기 무늬부(30)는 상면에는 불규칙하게 형성된 다양한 무늬(40)가 자연스럽게 나타나 있다. 무늬부(30)의 높이(H)는 1~2mm 정도로 돌출 되게 형성한다.
상기 본체(50)는 무늬부(30) 하측에 형성되어 있고, 무늬부(30) 양단부에 무늬가 없는 무무늬부(W)가 무늬 부(30) 보다 넓게 형성한다. 상기 무무늬부(W)의 4~6mm 정도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무늬가 형성된 석재(100)는 첨부된 도 7과 같이 실내의 장식용으로 사용하게 되고, 실내의 벽면이나 기둥 등에 결합하여 장식미를 뛰어나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석재 20 : 홈
30 : 무늬부 40 : 무늬
50 : 본체

Claims (1)

  1. 석재를 일정한 높이와 폭 및 길이로 재단하는 재단단계;
    상기 재단단계에서 재단된 석재를 양측단의 중간부분에 홈을 형성하는 홈파기단계; 및
    상기 홈의 형성된 중간부분을 정 등을 이용하여 반으로 절단하여 상면에 불규칙하게 다양한 무늬가 자연 스럽게 형성되도록 두 개로 분리시키는 분리단계를 포함하는 석재 가공방법.
KR1020220007585A 2022-01-19 2022-01-19 석재 가공방법 KR202301117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585A KR20230111742A (ko) 2022-01-19 2022-01-19 석재 가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585A KR20230111742A (ko) 2022-01-19 2022-01-19 석재 가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1742A true KR20230111742A (ko) 2023-07-26

Family

ID=87427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7585A KR20230111742A (ko) 2022-01-19 2022-01-19 석재 가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174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216489D1 (de) Schneidwerkzeug
CN105908949A (zh) 一种饰面板背面开槽方法
DE50210230D1 (de) Werkzeug zur Feinstbearbeitung von Oberflächen
USD947441S1 (en) Lamp
USD945643S1 (en) Concrete building block
US3008256A (en) Grooved tile and method of cutting same to form discrete elements
KR20230111742A (ko) 석재 가공방법
CA2401306A1 (en) V grooving machine for natural or engineered stone
USD464390S1 (en) Quadruple-rider flotation inner-tube
CA101093S (en) Slat for venetian blinds
KR20050102374A (ko) 장식용 석재 가공방법 및 그 석재
CN103953152A (zh) 二级吊顶装饰型材
KR200368120Y1 (ko) 건축물용 장식석재구조
WO2005065352A3 (en) Offset router flush cutting base
US10501379B2 (en) Method of production of edge protection strips of ceramic material
KR200283769Y1 (ko) 이중날을 가지는 재단기용 나이프
AU4760899A (en) Building stone
KR101728476B1 (ko) 허니컴 블라인드의 절단공 가공방법
USD476096S1 (en) Candle
CN209633311U (zh) 一种带子母扣槽的加气混凝土砌块切割刀具
CN204056545U (zh) 基于榫头固定的天地盖盒子结构
US20050005639A1 (en) Precious stone setting
KR200296658Y1 (ko) 절단이 용이한 마루 바닥재
KR100687766B1 (ko) 천정 모서리 장식구의 제조방법
KR200359553Y1 (ko) 천정 모서리 장식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