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2538Y1 - 가압평면이 구비된 바닥타일용 절단칼 - Google Patents

가압평면이 구비된 바닥타일용 절단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2538Y1
KR200432538Y1 KR2020060024500U KR20060024500U KR200432538Y1 KR 200432538 Y1 KR200432538 Y1 KR 200432538Y1 KR 2020060024500 U KR2020060024500 U KR 2020060024500U KR 20060024500 U KR20060024500 U KR 20060024500U KR 200432538 Y1 KR200432538 Y1 KR 2004325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pressing plane
angle
pressing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45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권
Original Assignee
안병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병권 filed Critical 안병권
Priority to KR20200600245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25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25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25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3/00Hand knives with fixed blades
    • B26B3/08Hand knives with fixed blad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cardboard, or 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9/00Blades for hand knives
    • B26B9/02Blades for hand kniv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ing edge, e.g. wav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압평면이 구비된 바닥타일용 절단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타일의 절단시 절단부의 상부 모서리로부터 외측으로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확장형성되는 가압평면에 의해 상기 바닥타일의 상면과 절단면이 이루는 부분을 가압함으로써, 절단된 바닥타일의 모서리 형성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바닥타일의 걸림현상을 획기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가압평면의 폭, 그리고 상기 절단부의 외면과의 이루는 각도가 최적의 수치로 형성됨에 따라 가압효율이 배가 됨은 물론, 연삭숫돌에 의한 절단부의 형성시 상기 가압평면을 동시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여 경사도를 고려하여 별도로 가압평면을 형성시킴에 따른 수고로움을 배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또한, 이와 더불어 절단부, 부몸체부 등 절단칼을 이루는 각 부위가 최적의 치수와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절단시 파손을 방지하며, 용이한 절단을 이룰 수 있는 가압평면이 구비된 바닥타일용 절단칼에 관한 것이다.
바닥면, 바닥타일, 절단칼, 가압, 모서리

Description

가압평면이 구비된 바닥타일용 절단칼{Knife with Pressing Plane for Cutting Bottom Til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절단칼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절단칼을 나타낸 다른 각도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절단칼의 부몸체부에 절단부와 가압면이 형성됨을 가정하여 나타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몸체부 10: 절단부
10a: (절단부의)상부 모서리 10b: 절단부의 외면
20: 가압평면 30: 부몸체부
50: 절단칼
α: 제1각도 β: 제2각도
λ: 절단부의 외면과 가압평면이 이루는 각
H: 절단부의 높이 W: 가압평면의 폭
본 고안은 가압평면이 구비된 바닥타일용 절단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타일의 절단시 절단부의 상부 모서리로부터 외측으로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확장형성되는 가압평면에 의해 상기 바닥타일의 상면과 절단면이 이루는 부분을 가압함으로써, 절단된 바닥타일의 모서리 형성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바닥타일의 걸림현상을 획기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가압평면의 폭, 그리고 상기 절단부의 외면과의 이루는 각도가 최적의 수치로 형성됨에 따라 가압효율이 배가 됨은 물론, 연삭숫돌에 의한 절단부의 형성시 상기 가압평면을 동시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여 경사도를 고려하여 별도로 가압평면을 형성시킴에 따른 수고로움을 배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또한, 이와 더불어 절단부, 부몸체부 등 절단칼을 이루는 각 부위가 최적의 치수와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절단시 파손을 방지하며, 용이한 절단을 이룰 수 있는 가압평면이 구비된 바닥타일용 절단칼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건물 실내의 바닥은 벽이나 천정과는 달리, 인체의 발과 직접 접촉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바닥에는 질감, 촉감, 안전성 등을 고려하여 바닥 마감용 목재나 염화비닐수지와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바닥타일이 시공되어 사용된다.
한편, 이와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바닥타일은 시공시 절단칼에 의해 일정한 크기, 예컨대 920×100mm , 450×450mm 등으로 절단되며, 이렇게 절단된 바닥타일은 바닥 표면에 연속적으로 부착 사용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 바닥타일이 불규칙적인 바닥면(현재 기술에서 정밀한 바닥면 공사에서도 필연적으로 발생)에 부착되어 사용될 경우, 바닥타일 간의 높이 차에 기인하여 단턱이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단턱은 보행자의 발이 걸리게 하여 안전을 해침은 물론이며, 또한, 이에 더하여 상기 바닥타일의 에지부분(상면과 절단된 면이 이루는 모서리)은 비교적 날카롭게 형성되어(절단되어 형성됨에 따라) 보행자의 피부나 의류를 손상시키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과는 별도로 종래의 절단칼은 그 형상적 한계성에 기인하여 절단시 상호 인접한 바닥타일 간에 비교적 넓은 틈을 형성하여 매끄럽지 시공후 매끄럽지 못한 바닥면이 형성되었으며, 이에 더하여, 바닥타일과 접하여 절단을 수행하는 부위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바닥타일의 절단시 절단부의 상부 모서리로부터 외측으로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확장형성되는 가압평면에 의해 상기 바닥타일의 상면과 절단면이 이루는 부분을 가압함으로써, 절단된 바닥타일의 모서리 형성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바닥타일의 걸림현상을 획기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바닥타일용 절단칼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가압평면을 형성함에 있어, 가압평면의 폭, 그리고 상기 절단부의 외면과의 이루는 각도가 최적의 수치로 형성됨에 따라 가압효율이 배가 됨은 물론, 연삭숫돌에 의한 절단부의 형성시 상기 가압평면을 동시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여 가압평면을 별도로 형성시킴에 따른 수고로움을 배제할 수 있는 바닥타일용 절단칼을 제공함에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절단부, 부몸체부 등 절단칼을 이루는 각 부위가 최적의 치수와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절단시 파손을 방지하며, 용이한 절단을 이룰 수 있는 바닥타일용 절단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은 몸체부를 갖는 바닥타일용 절단칼에 있어서, 최선단으로부터 16°~ 20°범위의 제1각도를 유지하며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절단부; 상기 절단부의 상부 모서리로부터 외측으로 소정의 폭을 갖도록 확장형성되는 가압평면; 상기 절단부의 상면 및 가압평면으로부터 22°~ 28°범위의 제2각도를 가지면서 상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와 결합하는 부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도록한다.
설명에 앞서 본 고안에 따른 절단칼은 건물 등의 바닥 상면을 마감하는 바닥타일을 절단하기 위한 절단칼에 관한 것임을 밝혀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절단되는 바닥타일의 두께는 2.5~5mm 임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절단칼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절단칼을 나타낸 다른 각도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절단칼의 부몸체부에 절단부와 가압면이 형성됨을 가정하여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절단칼(50)은 몸체부(5), 절단부(10), 가압평면(20), 부몸체부(3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5)는 대략 직육면체로 형성되며, 상기 절단부(10)는 최선단으로부터 제1각도(α)를 유지하며 소정의 높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절단부(10)의 높이(H)는 상기 바닥타일의 두께와 일치하거나 바닥타일의 두께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작업시 가압평면에 의한 가압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대략 피절단되는 바닥타일의 두께 범위인 2.5~4mm 범위로 정해진다. 상기 절단부(10)의 높이(H)는 2.3mm ~ 4.7mm이고, 피절단되는 바닥타일의 두께보다 0.25 ~ 0.4mm가 낮을 때 절단 및 가압에 의한 에지라운딩 효과가 우수하다. 0.25mm보다 이하면 가압성능이 떨어지고 0.4mm 이상이면 라운딩 효과가 떨어지고 바닥타일을 파고들게 되다.
또한, 상기 절단부(10)의 최선단으로부터 유지되는 제1각도(α)는 바람직한 범위에서 설정, 적용되어야 하는데, 즉, 상기 제1각도(α)가 너무 크면, 바닥타일의 절단효과가 떨어짐과 동시에 절단시 바닥타일의 틈을 과도하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반대로 너무 작으면, 통상 합금공구강, 고속도공구강으로 이루어지는 절단부(10)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상기 제1각도(α)의 바람직한 범위를 제시하면, 상기 절단부(10) 제1각도(α)의 범위는 16°~ 20°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 나아가, 상기 제1각도(α)는 18°인 것이 가장 바람직함이 테스트에 서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가압평면(20)은 상기 절단부(10)의 상부 모서리(10a)로부터 외측으로 소정의 폭(W)을 갖도록 확장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부몸체부(30)는 상기 절단부(10)의 상면 및 가압평면(20)으로부터 22°~ 28°범위의 제2각도(β)를 가지면서 상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몸체부(5)와 결합하는 것인데, 이때, 상기 부몸체부(30)의 제2각도(β)가 전술한 범위(22°~ 28°)의 이하이면, 연삭 가공에 의한 소정각도를 갖는 절단부(10)의 형성에 장애가 생긴다. 상기 범위 이상이면, 후술하는 연삭 가공에 의한 소정각도를 갖는 절단부(10) 형성시에 연삭량이 증대되어 작업이 힘들어지고 재료적인 측면에서 비효율성이 발생한다. 또한, 절단되는 부위의 시야 확보가 어렵게 된다. 가장 바람직하게 부몸체부(30)의 제2각도(β)는 24° ~ 26°이며, 이때 연삭 가공에 의한 절단부(10) 형성의 용이성, 형성시 작업자의 작업성 등이 최적이다.
본 고안의 절단칼은 제2각도(β)를 갖는 부몸체부(30)의 면을 가공하여 절단부(10)가 제1각도(α)를 갖도록 가공하여 절단부(10)를 형성, 사용하는 데 특징이 있고, 또한, 절단부(10)의 선단 마모시 다시 절단부(10), 가압평면(20), 및 부몸체부(30)를 모두 부몸체부(30)와 같이 제2각도(β)를 갖게 가공 후, 연삭숫돌등의 연삭 공구를 이용하여 선단 부분에 제1각도(α)를 갖는 절단부(10)를 재형성한 후 사용하는 데 특징이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절단부(10)의 외면(10b)과 가압평면(20)이 이루는 각(λ) 또한 바람직하게 설정될 필요가 있는데, 상기 절단부(10)의 외면(10b)과 가압평면(20)이 이루는 각(λ)은 80°~ 100°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각(λ)이 전술한 범위에 내에서 형성될 때, 에지(바닥타일의 절단시 바닥타일의 상면과 절단면이 만나는 모서리)부분을 라운드지게 형성하는 특성이 우수하고, 또한, 상기 각도 범위가 연삭숫돌의 외측면과 작업면이 수직인 연삭숫돌에 의한 절단부(10)의 가공시 가압평면(20)이 자연 형성되도록 보장하는 범위임에 기인한다.
하지만, 상기 에지부분의 라운드 형성효과와 가공 측면에서의 용이성을 고려하면 상기 절단부(10)의 외면(10b)과 가압평면(20)이 이루는 각은 90°임이 가장 바람직하다. 물론, 연삭숫돌에 의한 가공시, 상기 절단부(10)의 상부 모서리(10a)는 자연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됨은 당연하다. 상기에서, 가압평면(20)은 단순한 모서리가 아닌 소정의 면적을 갖는 평면으로서, 실제 바닥타일의 절단과정에서 상기 바닥타일의 에지부분을 충분히 찍어눌러 상기 에지부분을 라운드지게 하는 것이다. 즉, 이와 같은 가압평면(20)은 사용자의 내리누르는 힘인 가압력을 상기 바닥평면의 에지부분에 효과적으로 전달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 가압평면(20) 폭(W)의 수치도 바람직하게 한정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바, 상기 가압평면(20)의 폭(W)은 0.13mm ~ 0.21mm 범위 내에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압평면(20)의 폭(W)이 상기 범위보다 작으면, 상기 가압평면(20)의 가압효과(바닥타일의 에지부분에 대한)가 떨어지게 되고, 상기 범위보다 크게 되면 연삭 가공시에 설정된 부몸체부(30)의 제2각도(β)로부터 절단부(10)의 제1각도(α)를 형성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절단부(10)의 높이(H) 대 상기 가압평면(20)의 폭(W)이 이루는 비율도 바람직한 수치로 한정되어야 하는 바, 상기 절단부(10)의 높이(H) 대 상기 가압평면(20)의 폭(W)이 이루는 비율은 0.03 ~ 0.1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절단부(10)의 높이(H) 대 상기 가압평면(20)의 폭(W)이 이루는 비율이 상기 범위보다 작으면,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가압평면(20)의 가압효과가 떨어지게 되며, 상기 범위보다 크면, 설정된 부몸체부(30)의 제2각도(β)로부터 절단부(10)의 제1각도(α)를 형성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이에,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범위에서도 상기 절단부(10)의 높이(H) 대 상기 가압평면(20)의 폭(W)이 이루는 비율은 0.045 ~ 0.08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 좋다. 상기 범위는 부몸체부(30)의 제2각도(β)가 23°~ 26°이고, 절단부(10) 제1각도(α)가 18°이거나, 이 범위는 부몸체부(30)의 제2각도(β)가 21°~ 24°이고, 절단부(10) 제1각도(α)가 16° 정도, 부몸체부(30)의 제2각도(β)가 25°~ 28°이고, 절단부(10) 제1각도(α)가 20°일 때 절단부(10)의 높이(H) 대 상기 가압평면(20)의 폭(W)이 이루는 비율이 0.045 ~ 0.08의 범위에 속하면, 절단 성능, 연삭가공성, 및 가압에 의한 바닥타일의 에지라운딩 효과 측면에서 최적임이 상당한 기간 및 수십회의 시험에 의해 증명되고 확인되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바닥타일의 절단시 절단부의 상부 모서리로부터 외측으로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확장형성되는 가압평면에 의해 상기 바 닥타일의 상면과 절단면이 이루는 부분을 가압함으로써, 절단된 바닥타일의 모서리 형성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바닥타일의 걸림현상을 획기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가압평면의 폭, 그리고 상기 절단부의 외면과의 이루는 각도가 최적의 수치로 형성됨에 따라 가압효율이 배가 됨은 물론, 연삭숫돌에 의한 절단부의 형성시 상기 가압평면을 동시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바, 경사도를 고려하여 별도로 가압평면을 형성시킴에 따른 수고로움을 배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더불어 본 고안은 절단부, 부몸체부 등 절단칼을 이루는 각 부위가 최적의 치수와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절단시 파손을 방지하며, 용이한 절단을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몸체부(5)를 갖는 바닥타일용 절단칼(50)에 있어서,
    최선단으로부터 16°~ 20°범위의 제1각도(α)를 유지하며 소정의 높이(H)로 형성되는 절단부(10);
    상기 절단부(10)의 상부 모서리(10a)로부터 외측으로 소정의 폭(W)을 갖도록 확장형성되는 가압평면(20);
    상기 절단부(10)의 상면 및 가압평면(20)으로부터 22°~ 28°범위의 제2각도(β)를 가지면서 상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몸체부(5)와 결합하는 부몸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평면이 구비된 바닥타일용 절단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10)의 외면(10b)과 상기 가압평면(20)이 이루는 각(λ)은 80° ~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평면이 구비된 바닥타일용 절단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10)의 외면(10b)과 상기 가압평면(20)이 이루는 각(λ)은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평면이 구비된 바닥타일용 절단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평면(20)의 폭(W)은 0.13mm ~ 0.21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평면이 구비된 바닥타일용 절단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10)의 높이(H) 대 상기 가압평면(20)의 폭(W)의 비율은 0.03 ~ 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평면이 구비된 바닥타일용 절단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10)의 높이(H) 대 상기 가압평면(20)의 폭(W)의 비율은0.045 ~ 0.0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평면이 구비된 바닥타일용 절단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10)의 제1각도(α)는 1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평면이 구비된 바닥타일용 절단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몸체부(30)의 제2각도(β)는 24° ~ 2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평면이 구비된 바닥타일용 절단칼.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10)의 높이(H)는 2.3mm ~ 4.7mm이고, 피절단되는 바닥타일의 두께보다 0.25 ~ 0.4mm가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평면이 구비된 바닥타일용 절단칼.
KR2020060024500U 2006-09-12 2006-09-12 가압평면이 구비된 바닥타일용 절단칼 KR2004325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500U KR200432538Y1 (ko) 2006-09-12 2006-09-12 가압평면이 구비된 바닥타일용 절단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500U KR200432538Y1 (ko) 2006-09-12 2006-09-12 가압평면이 구비된 바닥타일용 절단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2538Y1 true KR200432538Y1 (ko) 2006-12-05

Family

ID=41780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4500U KR200432538Y1 (ko) 2006-09-12 2006-09-12 가압평면이 구비된 바닥타일용 절단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253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8120188A3 (en) Cutting insert
CN101730601B (zh) 具有角部凹进部的切削刀片
KR101233838B1 (ko) 절삭용 인서트
CN101104276B (zh) 刀具鼓及包含该刀具鼓的旋转切削设备
WO2008136426A1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並びにそれを用いた切削方法
CA2505709A1 (en) Cutter having shaped working surface with varying edge chamfer
EP1749602A3 (en) Throw-away cutting insert and cutting tool
EP2832477A1 (en) Cutting insert
WO2006124792A3 (en) Superhard cutters and associated methods
CN104245197B (zh) 钻头
CN104203470B (zh) 铣削刀具
WO2005095038A3 (de) Fräskopf zum fräsen von fasen
US20140234038A1 (en) High shear cutting tool
US20220080606A1 (en) Scoring knife
KR20040095247A (ko) 돌 블록 분할 어셈블리 및 방법
KR200432538Y1 (ko) 가압평면이 구비된 바닥타일용 절단칼
US6176156B1 (en) Traction surface for a striking tool
KR101820557B1 (ko) 구조화된 공구 플랭크들을 갖는 절삭 인서트
KR200436785Y1 (ko) 경사진 가압면을 갖는 3중각 바닥타일용 절단칼
WO2015137133A1 (ja) 切削インサ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刃先交換式切削工具
USD498698S1 (en) Irregular octagonal diamond cut
KR200368120Y1 (ko) 건축물용 장식석재구조
USD1024365S1 (en) Architectural ceiling tile with a singular tile featuring three dimensional surface topography comprised of four wedge shaped blades in cruciform configuration
RU2019121638A (ru) Строительный материал, уложенный в стопку блок строительных материалов и способ выполнения строительных работ со строительным материалом
JP3120373U (ja) 清掃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