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6188Y1 - 유리 양면 청소장치 - Google Patents

유리 양면 청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6188Y1
KR200366188Y1 KR20-2004-0022002U KR20040022002U KR200366188Y1 KR 200366188 Y1 KR200366188 Y1 KR 200366188Y1 KR 20040022002 U KR20040022002 U KR 20040022002U KR 200366188 Y1 KR200366188 Y1 KR 2003661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washing water
vacuum means
cleaner
spo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20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경미
Original Assignee
서경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경미 filed Critical 서경미
Priority to KR20-2004-00220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61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61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61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6Hand implements
    • A47L1/12Hand implements for cleaning both sides simultaneously
    • A47L1/13Hand implements for cleaning both sides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upplying liquids, e.g. clean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6Hand implements
    • A47L1/15Cloths, sponges, pads, or the like, e.g. containing cleaning agents

Landscapes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리 내, 외면을 동시에 청소할 수 있도록 한 유리 양면 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유리 내, 외면에 밀착되는 유리 청소기가 진공수단의 흡입력으로 유리 내 ,외면에 각기 밀착시키고 내부에 구비된 자석부재를 통해 상기 유리 청소기를 유리 내, 외면에서 같이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폐세척수를 진공수단의 흡입으로 자동 회수할 수 있으며, 또한 회수중인 폐세척수가 진공수단내로 흡입되지 않도록 별도의 폐세척수 저장함을 설치 구성한 유리 양면 청소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유리 양면 청소장치{apparatus of cleaning both faces of glass}
본 고안은 유리 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진공수단의 흡입력과 자석이 가지는 자력을 이용하여 유리의 양면을 동시에 청소할 수 있도록 한 유리 양면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아파트의 베란다나 사무실등의 벽체에는 외부를 관찰하고 건물내 공기를 환기시키며, 또한 건물 내부의 적절한 조명을 위하여 유리창(이하 유리라 하)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유리는 사각의 창틀내에 끼워져 슬라이드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진다.
한편, 이와 같은 유리는 별도의 청소도구를 이용하여 유리면의 이물질이나 얼룩등을 주기적으로 제거(청소작업)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청소작업시에는 실내쪽에 해당하는 유리 내측면의 청소는 별도의 어려움없이 수행할 수 있으나, 실외쪽에 해당하는 유리 외측면을 청소할 경우에는 각종 안전사고(작업자의 낙마나 세척도구를 떨어뜨려 타인을 다치게 하는 경우등)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 0230945 호(유리창의 양면 청소도구)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자석의 자력을 이용하여 유리의 양측면에 각각의 청소구를 배치한 다음, 이 청소구들을 자석의 자력으로 유리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내측면에 위치한 청소구의 이동에 따라 외측면의 청소구가 동시에 이동하도록 함으로서 유리내, 외측면을 동시에 청소할 수 있다는 점과, 작업자가 실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유리 외측면을 청소함에 따라 작업의 안정성을 기대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상기한 선행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예상된다. 우선, 유리 외측면에 위치한 청소구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이 구비되지 못함에따라 청소작업시 상기 청소구를 다시 탈거시켜 세척수를 적셔주어야 함으로서 작업의 번거로움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청소과정에서 외측면에 밀착된 청소구에 자칫 자력이 미치지 아니할 경우에는 밀착이 바로 해지되어 떨어지게 됨으로서 지나가는 행인을 해할 수 있는 위험 또한 내포하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한 쌍의 유리 청소기를 진공수단의 흡입력과 자석의 자력을 이용하여 유리의 양면에 흡착되도록 구성함으로서 보다 우수한 흡착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한 유리 양면 청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진공수단과 유리 청소기를 연결시키는 연결호스 사이에 폐세척수 저장함을 설치하여 청소과정에서 발생한 폐세척수가 진공수단으로 흡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유리 양면 청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자석부재를 통해 유리 내, 외면에 위치한 유리 청소기들을 같이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유리 양면 청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진공수단을 일반적인 진공청소기로 사용 가능하게 함으로서 사용의 편리함을 기대할 수 있는 유리 청소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유리 양면 청소장치에 있어서, 내부가 비어있는 몸체부를 가지며, 상기 몸체부의 일면에는 스펀지와, 상기 스펀지의 둘레로 밀폐공간을 형성시키는 밀폐부재 및 상기 밀폐공간내의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유입공으로 이루어져 유리의 내, 외면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유리청소기와, 상기 몸체부에 관통 설치되는 관체 및 상기 관체내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자석부재와, 상기 유리 청소기에 연결되어 있는 세척수공급관을 통해 상기 스펀지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워터펌프와, 상기 유리 청소기와 연결호스로 연결되며 상기 밀폐공간내의 공기를 공기유입공과 연결호스를 통해 흡입하여 상기 유리 청소기들을 유리 내, 외면에 밀착시키는 진공수단과, 상기 연결호스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진공펌프의 작동으로 흡입된 폐세척수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를 밀폐시키는 두껑부재와, 상기 저장부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저장된 폐세척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드레인으로 이루어진 폐세척수 저장함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한 유리 양면 청소장치의 전체구조 및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유리 양면 청소장치인 유리 청소기의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리 양면 청소장치에 설치되는 폐세척수 저장함의 구조를 입체적으로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진공수단 14: 유리 청소기
24: 밀폐부재 26: 밀폐공간
28: 공기 유입공 30: 세척수공급관
38: 자석부재 40: 안내핀
42: 폐세척수 저장함 100: 유리 양면 청소장치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을 한다.
도 1,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 양면 청소장치(100)는 진공수단(10)과, 상기 진공수단(10)과 연결호스(12)로 연결 구성되며 유리(1)의 내, 외면(1a, 1b)에 밀착되어 유리(1)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청소하게 되는 한 쌍의 유리 청소기(14)로 크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유리 내, 외면(1a, 1b)에 각각 부착되는 한 쌍의 유리 청소기(14)들은 동일한 구조를 가지게 되는 바, 아래에서는 하나의 유리 청소기 구조를 대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유리 청소기(14)는 직사각의 형상으로 내부가 비어 있는 몸체부(16)를가지며, 상기한 몸체부(16)는 진공수단(10)의 작동에 따라 유리(1)에 밀착된 상태에서 이동하며 청소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바, 이와 같이 몸체부(16)를 유리에 밀착시키기 위한 진공수단(10)과의 연결구조를 보다 더 상세히 기술하면 하기와 같다.
우선, 상기 몸체부(16)의 상단에는 힌지기능을 수행하며 내부가 비어 있으며 하단부로 다수의 구멍(19)들을 가지는 회동관(18)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회동관(18)의 중앙에 돌출되어 있는 연결관(20)에는 진공수단(10)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호스(12)가 체결 구성되어 진다. 여기서 상기 진공수단(10)으로는 사용의 편리함을 위하여 가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진공청소기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나, 이외 별도의 진공펌프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몸체부(16)의 일면에는 유리(1)의 이물질을 닦아주기 위한 스펀지(22)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 스펀지(22)의 둘레에는 밀폐공간(24)이 형성되도록 밀폐부재(26)가 부착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펀지(22)와 밀폐부재(26)사이에는 다수의 공기유입공(28)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공기유입공(28)들은 전술한 진공수단(10)의 작동에 따라 상기 밀폐공간(24)내의 공기를 유입시켜 몸체부(16)를 유리(1)에 밀착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진공수단(10)이 작동하면 밀폐공간(24)내의 공기는 상기 공기유입공(28)을 통해 유입된 후, 회동관(18)의 관통구멍(19)을 거쳐 연결호스(12)로 흡입되어 짐으로서 밀폐공간(24)은 진공상태가 되며, 따라서 유리(1)에 접촉되어 있는 몸체부(16)는 상기 밀폐공간(24)의 진공상태로 인하여 유리(1)의 내, 외면(1a, 1b)에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연결호스(12)내에는 별도의 세척수공급관(30)이 삽입되어 있으며, 이 세척수공급관(30)은 수도밸브(33)와 연결되어 있는 워터펌프(32)의 작동에 따라 스펀지(22)로 세척수를 자동으로 공급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유리 청소기(14)는 진공수단(10)의 흡입력으로 인해 유리 내, 외면에 용이하게 흡착될 수 있게 되며, 또한 상기 스펀지(22)로 공급되는 세척수를 이용하여 유리(1) 내, 외면(1a, 1b)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미설명부호 34는 흡입량조절밸브를 칭한 것으로서, 상기 흡입량조절밸브(34)는 연결호스(12)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흡입량을 조절하여 유리 청소기(14)의 밀착세기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이러한 흡입량조절밸브(34)로는 공지의 버터플라이밸브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유리 청소기(14), 바람직하게는 유리 청소기(14)의 몸체부(16)에는 별도의 관체(36)가 관통 설치되어 있으며, 이 관체(36)에는 자석부재(38)가 안내핀(40)을 타고 좌, 우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진다. 상기 자석부재(38)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력을 이용하여 유리 청소기(14)가 유리(1) 내, 외면(1a, 1b)에 밀착됨과 동시에 안내핀(40)을 타고 이동하며 서로 흡착되어 스펀지(24)를 유리(1) 내, 외면(1a, 1b)에 강하게 접촉시키는 기능과 함께 청소작업시 유리 내, 외면에 위치한 한쌍의 유리 청소기(14)가 같이 이동하며 청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유리 청소기(14)의 이동을 도와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진공수단(10)과 유리 청소기(14)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호스(12)의 사이에는 청소과정에서 발생한 폐세척수가 진공수단(10)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폐세척수 저장함(42)이 설치 구성되며, 이러한 폐세척수 저장함의 상세구조를 첨부된 도 1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폐세척수 저장함(42)은 원통의 형상으로 상단이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폐세척수를 저장하기 위한 수용부(46)를 가지는 저장부(44)로 외형을 이루며, 상기 저장부(44)의 개방된 상단에는 상기 저장부(44)를 밀폐시키기 위한 두껑부재(48)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두껑부재(48)의 내주면에는 저장부(44)의 밀폐효율을 위해 씰링(50)을 결합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44)의 바닥면에는 별도의 배수드레인(52)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배수드레인(52)은 상기 저장부(44)내에 수용되어 있는 폐세척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된 폐세척수 저장함(42)을 언급한 바와 같이 연결호스(50)의 사이에 설치 구성함에 따라 폐세척수가 진공수단(10)내부로 흡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며, 따라서 진공수단(10)의 각 구성품들인 모터나 기타 각종 부속품들이 폐세척수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유리 양면 청소장치(100)의 작용을 기술하기로 한다.
우선, 청소하고자 하는 유리(1) 내, 외면(1a, 1b)에 한쌍의 유리 청소기(14)를 서로 마주보게 위치시킨다.
이후, 진공수단(10)을 작동시키면 유리 청소기(14)의 몸체부(16)와 유리(1) 내, 외면(1a, 1b) 사이에 형성된 밀폐공간(24)내의 공기는 공기유입공(28)을 통해상기 몸체부(16)내부로 유입된 후, 연결호스(12)를 통해 진공수단(10)내로 흡입되어 지며, 따라서 유리 청소기(14)는 상기 진공수단(10)의 흡입력으로 인해 유리(1) 내, 외면(1a, 1b)에 보다 강하게 밀착될 수 있게 된다.
이후, 워터펌프(32)를 작동시켜 세척수공급관(30)을 통해 유리 청소기(14)의 스펀지(22)로 세척수를 공급하며 청소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청소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유리 청소기(14)들은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자석부재(38)를 통해 같이 이동하게 됨으로서 유리(1) 내, 외면(1a, 1b)을 동시에 청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청소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폐세척수는 상기 진공수단(10)의 흡입으로 인해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연결호스(12)내로 강제 흡입되어 지며, 또한 상기 연결호스(12)내로 흡입된 폐세척수는 진공수단(10)내로 흡입되지 않고, 상기 연결호스(12)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폐세척수 저장함(42)으로 저장되어 짐으로서 진공수단(10)의 각 구성품이 폐세척수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유리의 외측면을 청소하는 몸체부가 진공수단을 통해 유리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이동하며 청소작업을 수행하게 됨으로서 청소기기를 놓치는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몸체부를 밀거나 당겨주는 동작만으로 청소가 이루어짐으로서 작업의 간편함을 기대할 수 있느 효과가 있다. 또한 유리면을 닦아주는 수단인 스펀지로 세척수를 자동 공급할 수 있도록하여 청소작업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사용된 세척수는 다시 회수되도록 함으로서 세척수의 유출로 인한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상승적인 효과를 가진다.

Claims (1)

  1. 유리 양면 청소장치에 있어서,
    내부가 비어있는 몸체부를 가지며, 상기 몸체부의 일면에는 스펀지와, 상기 스펀지의 둘레로 밀폐공간을 형성시키는 밀폐부재 및 상기 밀폐공간내의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유입공으로 이루어져 유리의 내, 외면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유리 청소기와;
    상기 몸체부에 관통 설치되는 관체 및 상기 관체내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자석부재와;
    상기 유리 청소기에 연결되어 있는 세척수공급관을 통해 상기 스펀지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워터펌프와;
    상기 유리 청소기와 연결호스로 연결되며 상기 밀폐공간내의 공기를 공기유입공과 연결호스를 통해 흡입하여 상기 유리 청소기들을 유리 내, 외면에 밀착시키는 진공수단과;
    상기 연결호스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진공펌프의 작동으로 흡입된 폐세척수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를 밀폐시키는 두껑부재와, 상기 저장부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저장된 폐세척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드레인으로 이루어진폐세척수 저장함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양면 청소장치.
KR20-2004-0022002U 2004-08-02 2004-08-02 유리 양면 청소장치 KR2003661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002U KR200366188Y1 (ko) 2004-08-02 2004-08-02 유리 양면 청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002U KR200366188Y1 (ko) 2004-08-02 2004-08-02 유리 양면 청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6188Y1 true KR200366188Y1 (ko) 2004-11-10

Family

ID=49440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2002U KR200366188Y1 (ko) 2004-08-02 2004-08-02 유리 양면 청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618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907B1 (ko) * 2013-08-28 2014-12-12 엑셀랩주식회사 비틀 유리창 청소로봇
KR101471905B1 (ko) * 2013-08-28 2014-12-12 엑셀랩주식회사 스파이더 유리창 청소로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907B1 (ko) * 2013-08-28 2014-12-12 엑셀랩주식회사 비틀 유리창 청소로봇
KR101471905B1 (ko) * 2013-08-28 2014-12-12 엑셀랩주식회사 스파이더 유리창 청소로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043444A (ja) 排気循環型掃除機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空気吸込口体
KR200446235Y1 (ko) 양면 유리창 청소기
KR200366188Y1 (ko) 유리 양면 청소장치
JP3663630B2 (ja) 掃除用具載置台
KR100707354B1 (ko) 로봇청소기 시스템
KR100618646B1 (ko) 물을 이용한 청소기 및 물청소용 브러시
CN217162009U (zh) 一种拖地机组件及其基站
KR200358733Y1 (ko) 유리 청소기기
KR100488464B1 (ko) 중앙집중식 진공청소시스템
JPH07313419A (ja) ハイクリーン床面洗浄機
JP5697653B2 (ja) スポンジモップ絞り器
JP2001128900A (ja) ガラス清掃方法及びその装置
CN218792136U (zh) 清洁基站及清洁系统
KR200388769Y1 (ko) 진공청소기
KR200366146Y1 (ko) 유리 청소기기의 폐세척수 저장함
KR100877369B1 (ko) 스퀴즈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
KR200358734Y1 (ko) 유리 청소기기의 세척수 저장함
JP2002172074A (ja) 網戸清掃用具
CN217285651U (zh) 一种基站用清水箱、基站和拖地机组件
KR101573740B1 (ko) 다중 흡입구를 구비한 진공청소기의 흡입수단 및 상기 흡입수단을 구비한 진공청소기
KR100198818B1 (ko) 청소기
JP2008049102A (ja) 簡易バキューム装置
KR100431631B1 (ko) 차량윈도우 세척장치
CN217610861U (zh) 一种拖地机
KR20220071020A (ko) 배관 뚫기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