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8733Y1 - 유리 청소기기 - Google Patents

유리 청소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8733Y1
KR200358733Y1 KR20-2004-0013987U KR20040013987U KR200358733Y1 KR 200358733 Y1 KR200358733 Y1 KR 200358733Y1 KR 20040013987 U KR20040013987 U KR 20040013987U KR 200358733 Y1 KR200358733 Y1 KR 2003587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body portion
cleaning
glass surface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39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경미
Original Assignee
서경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경미 filed Critical 서경미
Priority to KR20-2004-00139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87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87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87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6Hand implements
    • A47L1/09Hand implements for cleaning one side with access from the other side only
    • A47L1/095Hand implements for cleaning one side with access from the other side only with provision for supplying liquids, e.g. clean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6Hand implements
    • A47L1/15Cloths, sponges, pads, or the like, e.g. containing cleaning agents

Landscapes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리면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기기에 있어서, 내부가 비어 있으며 유리면을 청소하기 위한 스펀지가 부착 구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회동관에 결합되어 전, 후 유동하는 수직관체 및 상기 수직관체에 연결되어 몸체부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진공수단과, 상기 몸체부의 일측 둘레면에 부착되어 밀폐공간을 형성시키는 밀폐부재와,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에 다수 형성되며 상기 진공수단의 작동에 따라 밀폐공간내의 공기를 몸체부내로 유입시켜 상기 몸체부를 유리면에 흡착시키는 공기유입공들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청소기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유리 청소기기{a glass sweeper}
본 고안은 유리 청소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리의 외측면을 청소하는몸체가 진공수단을 통해 유리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이동하며 청소작업을 수행토록 록 한 유리 청소기기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아파트의 베란다나 사무실등의 벽체에는 외부를 관찰하고 건물내 공기를 환기시키며, 또한 건물 내부의 적절한 조명을 위하여 유리창(이하 유리라 하)이 설치하고 있으며, 이러한 유리는 사각의 창틀내에 끼워져 슬라이드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진다.
한편, 이와 같은 유리는 별도의 청소도구를 이용하여 유리면의 이물질이나 얼룩등을 주기적으로 제거(청소작업)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청소작업시에는 실내쪽에 해당하는 유리 내측면의 청소는 별도의 어려움없이 수행할 수 있으나, 실외쪽에 해당하는 유리 외측면을 청소할 경우에는 각종 안전사고(작업자의 낙마나 세척도구를 떨어뜨려 타인을 다치하게 하는 경우등)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 0230945 호(유리창의 양면 청소도구)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자석의 자화력을 이용하여 유리의 양측면에 각각의 청소구를 배치한 다음, 이 청소구들을 작석의 자화력으로 유리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내측면에 위치한 청소구의 이동에 따라 외측면의 청소구가 동시에 이동하도록 함으로서 유리내, 외측면을 동시에 청소할 수 있다는 점과, 작업자가 실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유리 외측면을 청소함에 따라 작업의 안정성을 기대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상기한 선행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예상된다. 우선, 유리 외측면에 위치한 청소구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이 구비되지 못함에따라 청소작업시 상기 청소구를 다시 탈거시켜 세척수를 적셔주어야 함으로서 작업의 번거로움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외측면에 밀착된 청소구에 자칫 자화력이 미치지 아니할 경우에는 밀착이 바로 해지되어 떨어지게 됨으로서 지나가는 행인을 해할 수 있는 위험또한 내포하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유리의 외측면을 청소하는 몸체부가 진공수단을 통해 유리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이동하며 청소작업을 수행토록 함으로서 작업의 안전성 및 간편함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한 유리 청소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몸체에 세척액을 공급할 수 있는 세척액공급관을 연결시켜 작업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는 유리 청소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급된 세척수를 상기 진공수단을 통해 강제 흡입토록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유리 청소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진공수단을 일반적인 진공청소기로 사용 가능하게 함으로서 사용의 편리함을 기대할 수 있는 유리 청소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유리면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기기에 있어서, 내부가 비어 있으며 유리면을 청소하기 위한 스펀지가 부착 구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회동관에 결합되어 전, 후 유동하는 수직관체 및 상기 수직관체에 연결되어 몸체부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진공수단과, 상기 몸체부의 일측 둘레면에 부착되어 밀폐공간을 형성시키는 밀폐부재와,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에 다수 형성되며 상기 진공수단의 작동에 따라 밀폐공간내의 공기를 몸체부내로 유입시켜 상기 몸체부를 유리면에 흡착시키는 공기유입공들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한 유리 청소기기의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유리 청소기기의 조립된 상태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유리 청소기기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유리 청소기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몸체부 12: 회동축
16: 수직관체 20: 진공수단
22: 밀폐부재 24: 밀폐공간
26: 공기유입공 28: 세척수공급관
50: 유리 청소기기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을 한다. 우선, 후술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고안에 있어 한 개의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인 유리 청소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상기 도면들에서는 스펀지가 구비된 몸체부를 진공수단으로 유리 외측면에 밀착시켜 사용토록 함으로서 작업의 안정성을 기대할 수 있고 또한 별도의 세척수 공급관을 통해 스펀지로 세척수를 자동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번거로움없이 청소작업에 따른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한 유리 청소기기를 제안하고자 하며, 이러한 유리 청소기기의 구성은 후술하는 상세설명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상기 도면들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유리 청소기기(50)는 직사각의 형상으로 내부가 비어있는 몸체부(10)를 가지며, 상기 몸체부(10)의 일측에는 유리외측면(a)(혹은 유리면)의 이물질을 닦아주는 스펀지(11)가 부착 구성된다. 한편, 상기한 몸체부(10)는 후술하는 진공수단(20)의 작동에 따라 유리면(a)에 밀착된 상태에서 이동하며 청소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바, 이와 같이 몸체부(10)를 유리면(a)에 밀착시키기 위한 진공수단(20)과의 연결구조를 보다 더 상세히 기술하면 하기와 같다.
우선, 상기 몸체부(10)의 상단에는 힌지기능을 수행하며 내부가 비어 있는 회동관(12)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회동관(12)의 중앙에 돌출되어 있는 연결관(14)에는 손잡이 기능을 수행하는 수직관체(16)가 체결 구성되며, 이 수직관체(16)는 진공수단(20)과 연결호스(18)로 연결 구성되어 진다. 여기서 상기 회동관(12)을 몸체부(10)의 상단에 설치 구성한 것은 상기 몸체부(10)가 최소한의 폭을 가지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는 유리면(a)과 상기 유리면(a)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는 안전휀스(도면에 미 도시 함)사이의 좁은틈새에도 상기 몸체부(10)를 용이하게 밀어넣어 청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수직관체(16)는 언급한 바와 같이 회동축(12)의 연결관(14)에 체결됨에 다라 작업시 상기 회동축(12)을 중심으로 좌, 우로 유동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몸체부(10)를 유리면(a)에 보다 더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진공수단(20)으로는 사용의 편리함을 위하여 가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진공청소기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나, 이외 별도의 진공펌프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스펀지(11)가 부착되어 있는 몸체부(10)의 일측 둘레면에는 상기 몸체부(10)와 유리면(a)사이에 밀폐공간(24)이 형성되도록 밀폐부재(22)가 부착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몸체부(10)의 일측면에는 전술한 진공수단(20)의 작동에 따라 상기 밀폐공간(24)내의 공기를 몸체부(10)내로 유입시켜 상기 몸체부(10)를 유리면에 밀착시키는 다수의 공기유입공(26)들이 형성되어 진다. 여기서 상기 밀폐부재(22)는 언급한 바와 같이 몸체부(10)에 밀폐공간(24)을 형성시키는 기능외에 청소과정에서 스펀지(11)와 동일한 기능, 즉 유리면(1a)을 닦아주는 기능을 겸하게 된다.
즉,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유리 청소기기(50)는 작업시 상기 밀폐공간(24)내의 공기를 진공수단(20)으로 흡입하게 됨으로서 상기 밀폐공간(24)을 진공상태로 만들어 몸체부(10)를 유리면(a)에 용이하게 밀착시킬 수 있게 되는 바, 이에 대한 작동설명은 후술하는 사용상태란에서 보다 더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한 밀폐부재(22)에는 일정간격을 두며 다수의 공기통과공(22a)들을 형성시켜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진공수단(20)의 작동시 밀폐공간(24)내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몸체부(10)가 유리면(a)에 지나치게 밀착되지 않고 상기 유리면(a)을 타고 이동할 수 있을 정도의 밀착력이 작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한 수직관체(16)내에는 별도의 세척수공급관(28)이 삽입되어 있으며, 이 세척수공급관(28)은 워터펌프(도면에 미 도시 함)의 작동에 따라 스펀지(11)로 세척수를 자동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스펀지(11)로 공급된 세척수는 사용후, 전술한 진공수단(20)의 흡입력으로 다시 회수되어 짐으로서 세척수가 외부로 유출되어 주변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유리 청소기기(50)의 사용상태를 도 4를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우선, 유리의 외측면(a)을 청소하고자 할 경우 수직관체(16)를 잡은 상태에서 스펀지(11)가 구비된 몸체부(10)를 유리면(a)에 접촉시키게 되면 유리면(a)과 몸체부(10)사이에는 밀폐부재(22)에 의한 밀폐공간(24)이 형성되어 진다.
이후, 진공수단(20)을 작동시키게 되면 밀폐공간(24)내의 공기는 공기유입공(26)을 통해 상기 몸체부(10)내로 유입된 후, 회동축(12)의 관통공(13)과 수직관체(16)를 통해 상기 진공수단(20)으로 흡입되어 진다. 즉, 이러한 작용으로 인해 유리면(a)에 접촉되어 있는 몸체부(10)는 상기 밀폐공간(24)의 진공상태로 인하여 유리면(a)에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게 된다.
이후, 수직관체(16)를 잡은 상태에서 몸체부(10)를 밀거나 당겨주면 몸체부(10)는 유리면(a)에 밀착된 상태에서 이동하며 청소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유리면(a)을 닦아주는 수단인 스펀지(11)는 수직관체(16)에 삽입되어 있는 세척수공급관(28)을 통해 세척수를 자동으로 공급받을 수 있게 되어 작업의 번거로움없이 청소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스폰지(11)가 구비된 몸체부(10)를 진공수단(20)을 통해 유리면(a)에 밀착시켜 청소작업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서 작업과정에서 청소기기를 놓치는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작업자는 수지관체(16)를 이용하여 몸체부(10)를 밀거나 당겨주는 동작만으로 청소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청소과정에서 유리면을 닦아주게 되는 스펀지(11)를 별도로 적셔줄 필요가 없음으로서 작업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와 같이 스펀지(11)로 공급된 세척액은 진공수단(20)의 흡입력에 의해 다시 회수되어 짐으로서 외부로 유출되어 주변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유리의 외측면을 청소하는 몸체부가진공수단을 통해 유리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이동하며 청소작업을 수행하게 됨으로서 청소기기를 놓치는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몸체부를 밀거나 당겨주는 동작만으로 청소가 이루어짐으로서 작업의 간편함을 기대할 수 있느 효과가 있다. 또한 유리면을 닦아주는 수단인 스펀지로 세척수를 자동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청소작업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사용된 세척수는 다시 회수되도록 함으로서 세척수의 유출로 인한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상승적인 효과를 가진다.

Claims (3)

  1. 유리면(a)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기기에 있어서,
    내부가 비어 있으며 유리면(a)을 청소하기 위한 스펀지(11)가 부착 구성된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회동관(12)에 결합되어 전, 후 유동하는 수직관체(16) 및 상기 수직관체(16)에 연결되어 몸체부(10)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진공수단(20)과;
    상기 몸체부(20)의 일측 둘레면에 부착되어 밀폐공간(24)을 형성시키는 밀폐부재(22)와;
    상기 몸체부(10)의 일측면에 다수 형성되며 상기 진공수단(20)의 작동에 따라 밀폐공간(24)내의 공기를 몸체부(10)내로 유입시켜 상기 몸체부(10)를 유리면(a)에 흡착시키는 공기유입공(26)들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청소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22)에는 상기 밀폐공간(24)내로 외부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공기통과공(22a)들이 형성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청소기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관체(16)내에는 상기 스펀지(11)로 섹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섹척수공급관(28)이 삽입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청소기기.
KR20-2004-0013987U 2004-05-20 2004-05-20 유리 청소기기 KR2003587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987U KR200358733Y1 (ko) 2004-05-20 2004-05-20 유리 청소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987U KR200358733Y1 (ko) 2004-05-20 2004-05-20 유리 청소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8733Y1 true KR200358733Y1 (ko) 2004-08-12

Family

ID=49435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3987U KR200358733Y1 (ko) 2004-05-20 2004-05-20 유리 청소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873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4113B1 (ko) 세척수 순환식 진공청소기
KR200446235Y1 (ko) 양면 유리창 청소기
CN209750936U (zh) 一种用于自动清洗拖地机器人中擦布的清洗座
JPH08117154A (ja) ビルディング外壁の自動清掃方法とその装置
KR200169109Y1 (ko) 고소 자동 세척장치
CN209750929U (zh) 一种自动化地面清洁设备
US20030233729A1 (en) Squeegee with clog reduction structure
KR200358733Y1 (ko) 유리 청소기기
CN111616652A (zh) 一种水洗清洁装置
CN111568302A (zh) 一种水洗清洁装置
KR101522926B1 (ko) 롤 브러시 청소기
KR200366188Y1 (ko) 유리 양면 청소장치
KR200494847Y1 (ko) 에스컬레이터 스텝 청소도구
CN107072459B (zh) 具有用于捕集残留废物的集成水捕集器的表面维护车辆
CN112998596A (zh) 清洁设备
KR100877369B1 (ko) 스퀴즈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
KR20170000478A (ko) 빌딩외벽 청소로봇
CN217244072U (zh) 一种清洁机系统
JP2001128900A (ja) ガラス清掃方法及びその装置
CN214048737U (zh) 一种玻璃扶手擦拭装置
CN215305556U (zh) 清洁设备
CN210931131U (zh) 一种具有污水和残渣收集功能的爬壁机器人
CN109528093B (zh) 一种自动化地面清洁设备
CN211355349U (zh) 一种带有鞋底清洁的风淋室
CN212591874U (zh) 喷洒模组和清洁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