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7369B1 - 스퀴즈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 - Google Patents

스퀴즈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7369B1
KR100877369B1 KR1020070119827A KR20070119827A KR100877369B1 KR 100877369 B1 KR100877369 B1 KR 100877369B1 KR 1020070119827 A KR1020070119827 A KR 1020070119827A KR 20070119827 A KR20070119827 A KR 20070119827A KR 100877369 B1 KR100877369 B1 KR 100877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queeze
hole
vacuum cleaner
suction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9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옥
Original Assignee
조정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옥 filed Critical 조정옥
Priority to KR1020070119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73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7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7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9Floor-scrubb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taking-up dirty liquid
    • A47L11/30Floor-scrubb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taking-up dirty liquid by su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44Vacuuming or pick-up tools; Squeege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61Steering means; Means for avoiding obstacles; Details related to the place where the driver is accommod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72Arrangement of castors or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94Accessori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conventional vacuum-cleaning devices

Landscapes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퀴즈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30), 상기 베이스(30)에 안치되어 있으며, 흡입부(20)를 포함하는 몸통(10), 상기 몸통(10)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부(20)로 먼지를 이송하는 먼지흡입관(12), 상기 베이스(30)에 결합되어 있고, 몸체(141) 및 상기 몸체(141)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오수를 유입하는 흡입공(143)을 포함하는 스퀴즈(140), 그리고 일측이 끝 상기 흡입공(143)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 끝이 상기 몸통(10)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공(143)으로 유입된 오수를 상기 몸통(10) 내부로 이송하는 오수흡입관(102)을 포함하고, 상기 스퀴즈(140)와 상기 베이스(30)는 힌지부재(130)에 의해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부재(130)는 직각으로 움직여 상기 스퀴즈(140)를 회전할 수 있고, 상기 흡입공(143)을 중심으로 상기 몸체(141)의 양쪽은 동일선상에 위치하지 않고 굽어 있다.
진공 청소기, 스퀴즈, 스위퍼, 몸통, 흡입부, 오수

Description

스퀴즈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VACUUM CLEANER WITH SQUEEZE}
본 발명은 스퀴즈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소장치는 자동으로 작동되는 솔을 이용하여 바닥을 쓸어내거나 털어내는 한 가지 용도로 국한되고 또한 여기에서 발생된 먼지나 미세한 이물질은 별도의 진공청소기로 흡입하게 되는 이중작업과 이종의 청소장치가 구비되어 야만 가능하였다.
즉, 건물바닥과 같이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공간에는 바닥 먼지가 많이 발생하는바, 이러한 먼지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굳음 현상이 빨리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먼지는 진공청소기에 의해 흡입되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솔을 이용하여 바닥을 쓸어내고난 후 진공청소기로 먼지를 흡입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완전히 바닥면에 밀착된 먼지는 자동 청소용 솔을 이용하여서도 바닥면과 분리되지 않으므로 물청소를 해야만 바닥면의 먼지가 모두 제거된다.
이러한 작업방법은 먼저 바닥면에 물을 뿌리는 작업을 하고, 물이 뿌려진 바 닥을 솔로 이용하여 쓸어내어 물청소를 실시하며, 물청소 후 밀대를 이용하여 물을 제거하여 청소를 완료한다.
그러나 먼지 청소와 물 제거 청소를 사람이 밀대를 이용하여 직접하게 되면서 인력낭비가 크며 오수를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여 바닥에 얼룩이 생기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목적은 먼지를 흡입하는 진공 청소기의 몸통 후방 하부에 물청소로 발생한 오수가 몸통 내부로 원활히 흡입되도록 스퀴즐 형성하여 바닥에 있는 오수를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스퀴즈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스퀴즈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안치되어 있으며, 흡입부를 포함하는 몸통, 상기 몸통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부로 먼지를 이송하는 먼지흡입관,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어 있고,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오수를 유입하는 흡입공을 포함하는 스퀴즈, 그리고 일측이 끝 상기 흡입공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 끝이 상기 몸통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공으로 유입된 오수를 상기 몸통 내부로 이송하는 오수흡입관을 포함하고, 상기 스퀴즈와 상기 베이스는 힌지부재에 의해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부재는 직각으로 움직여 상기 스퀴즈를 회전할 수 있고, 상기 흡입공을 중심으로 상기 몸체의 양쪽은 동일선상에 위치하지 않고 굽어 있다.
상기 베이스의 한쪽 둘레에 형성되어 있으며, 끼움공을 가지는 고정프레임, 상기 끼움공에 분리 결합될 수 있는 끼움구, 상기 끼움구의 한쪽 끝에 연결되어 있으며, 힌지공을 가지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직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힌지공과 마주하는 축공을 가지며, 한쪽 끝에 상기 스퀴즈가 결합되어 있는 힌지부재, 상기 축공 및 상기 힌지공으로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를 연결하는 힌지축을 포함하며, 상기 힌지부재는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직각으로 움직여 상기 연결부재와 평행을 이루면서 상기 스퀴즈가 직각으로 접힐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양측면에 돌출되어 있는 외향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힌지부재는 양측면에 돌출되어 있는 대향돌기를 더 포함하며, 한쪽 끝이 상기 외향돌기에 고정되어 있고, 다른 쪽 끝이 상기 대향돌기에 고정되어 있는 복수의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상기 스퀴즈는 상기 몸체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공과 이웃하고, 상기 힌지부재에 결합되어 있는 결합부재, 상기 몸체 저면 폭 방향 양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 유로를 가지는 가이드, 상기 가이드에 배치되어 있으며, 한쪽 끝이 바닥면에 밀착될 수 있는 스위퍼, 그리고 상기 스위퍼의 한쪽 면에 밀착되어 있으며, 상기 스위퍼를 상기 가이드에 고정하는 밀착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퀴즈의 몸체 양측 끝에 배치되어 있는 완충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퀴즈의 몸체 저면 중앙 후방에 배치되어 있는 보조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통은 하부에 오수배출공을 가지며, 상기 오수배출공에 연결되어 있는 오수배출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스퀴즈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는; 흡입부의 흡입력에 의하여 먼지를 흡입하는 먼지흡입구가 진공 청소기의 몸통 전방에 형성되고, 몸통 후방으로 물청소로 발생한 오수를 흡입하도록 오수흡입구를 형성하게 되면서 먼지청소, 물청소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청소시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스퀴즈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는; 오수를 원활히 수거할 수 있도록 흡입공을 중심으로 몸체의 양측이 상호 대향되도록 내측으로 절곡되면서 흡입공이 양측보다 후방에 위치하게 되면서 이동바퀴에 의해 이동되면서 양측에서 오수가 유로를 따라 흡입공 하부로 안내되면서 흡입공 하부로 오수를 안내하게 되면서 흡입공으로 오수가 원활히 흡입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스퀴즈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는; 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에 스위퍼가 형성되어 스위퍼가 바닥과 밀착되면서 흡입부의 흡입력에 의하여 유로에 진공공간이 형성되어 오수의 흡입력을 증가시키면서 바닥면에 눌어붙은 오물을 긁어내어 청소를 하게 되면서 작업자의 작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스퀴즈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는; 고정프레임의 끼움공으로 연결부재의 끼움구가 끼움되면서 체결수단으로 체결고정되면서, 체결수단 체결력 제거시 끼움공에서 끼움구가 분리되면서 진공 청소기와 스퀴즈를 분리 할 수있게 되어 이동, 보관의 편이성 및 스퀴즈의 정비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스퀴즈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는; 연결부재의 외향돌기에 탄성부재 의 일측 끝단이 고정되고 탄성부재의 타측단이 힌지부재의 하부에 고정되면서 힌지부재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한 후 탄성부재의 당김력에 의하여 스퀴즈가 흔들림 없이 고정되면서 스위퍼가 바닥에 지속적으로 밀착되어 밀착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스퀴즈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는; 상기 스퀴즈의 몸체 흡입공 후방으로 힌지축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동되어 스위퍼가 바닥에 밀착된 몸체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자유회전되면서 바닥에 밀착되는 보조롤러를 더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퀴즈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는; 스위퍼가 가이드에 체결고정되는 체결수단에 의하여 밀착되는 밀착대에 의하여 고정되면서 스위퍼 손 망실시 밀착대를 분리한 뒤 손 망실된 스위퍼를 교체할 수 있어 작업자의 정비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퀴즈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를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고,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퀴즈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며,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퀴즈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를 나타낸 부분 측단면도이고, 제 4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퀴즈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의 스퀴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제 5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퀴즈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의 스퀴즈가 바닥에서 이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 6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퀴즈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의 스퀴지가 바닥에 밀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제 7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퀴즈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의 스퀴지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제 8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퀴즈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의 스퀴지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제 9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퀴즈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의 스퀴지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제 1 도 내지 제 9 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퀴즈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는 베이스(30)의 상부에 안치되어 있으며, 흡입부(20)를 포함하는 몸통(10), 먼지를 이송하는 먼지 흡입관(12), 베이스(30)의 후방에 형성한 연결부재(120)와; 상기 연결부재(120)에 회동되도록 결합한 힌지부재(130)와; 상기 힌지부재(130)에 결합되어 회동하는 스퀴즈(14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30)의 저면에 이동바퀴(31)를 형성하여 청소시 몸통(10)을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몸통(10) 위에는 흡입모터(21)를 가지는 흡입부(20)가 안치되어 있다. 몸통(10)의 전방에는 내부로 뚫린 먼지흡입구(11)가 형성되어 있으며, 후방에는 오수흡입구(101)가 형성되어 있다.
먼지흡입구(11)에는 흡입모터(21)의 흡입력에 의하여 먼지를 이송할 수 있는 먼지흡입관(12)이 연결되어 있다. 오수흡입구(101)에는 흡입몸터(21)의 흡입력에 의하여 오수를 이송하는 오수흡입관(102)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30)의 후방에는 끼움공(111)을 가지는 고정프레임(110)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프레임(110)의 한쪽 면에는 끼움공(111)으로 뚫린 체결공(112)이 형성되어 있다.
끼움공(111)에는 끼움구(121)가 분리 결합될 수 있다. 끼움구(121)의 한쪽 끝에는 연결부재(120)가 연결되어 있다. 연결부재(120)는 힌지공(122)을 갖는다.
삭제
아울러, 분리 결합되는 고정프레임(110)과 연결부재(120)를 체결 고정하도록 체결수단(B)을 형성한다. 체결수단(B)의 한쪽 끝이 체결공(112)을 관통하여 끼움구(121)에 체결 고정된다. 체결수단(B) 분리시 끼움공(111)에서 끼움구(121)가 이탈되면서 연결부재(120)를 고정프레임(110)에서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재(120)의 양측면에는 탄성부재(S)의 한쪽 끝이 결합되어 있는 외향돌기(12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퀴즈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의 힌지부재(130)는; 연결부재(120)의 힌지공(122)과 대응되는 축공(132)이 형성되어 있다. 축공(132) 및 힌지공(122)으로 힌지축(131)이 결합되어 힌지부재(130)는 힌지축(131)을 중심으로 직각되게 회전될 수 있다. 즉, 힌지부재(130)는 연결부재(120)와 직각상태를 이루다가, 힌지축(131)을 중심으로 회전시 그와 평행상태를 이룰 수 있다.
아울러, 힌지부재(130)의 하부 양측에는 대향돌기(133)가 형성되어 있다. 대향돌기(133)에는 탄성부재(S)의 타측 끝이 결합되어 있다. 이로서, 탄성부재(S)의 탄성력에 의하여 힌지축(131)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힌지부재(130)가 회동 후 흔들리지 않고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퀴즈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의 스퀴즈(140)는; 결합부재(142)로 힌지부재(130)에 결합되는 몸체(141)와; 상기 몸체(141)의 저면에 오수를 수거하도록 유로(145)를 형성하는 가이드(144)로 구성한다.
상기 스퀴즈(140)의 몸체(141)는; 힌지부재(130)에 결합되도록 상면 중앙 전방에 힌지부재(130)에 체결수단(B)으로 밀착 고정되는 결합부재(142)를 수직상향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면서, 결합부재(142)를 보강하도록 보강리브(142a)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몸체(141)의 중앙에는 흡입부(20)의 흡력에 의하여 오수를 몸통(10) 내부로 흡입시키도록 오수흡입관(102)이 연결된 흡입공(143)이 상하 관통되어 있다.
나아가 몸체(141) 상면 양단부에 완충롤러(148)를 형성하여, 몸체(141)의 양단부가 건물 벽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몸체(141)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몸체(141)의 흡입공(143) 후방으로 자유회전되는 보조롤러(149)를 더 형성하여 몸체(141)가 힌지축(131)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동되어 스위퍼(146)가 바닥에 밀착된 상태에서 하부로 처짐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퀴즈(140)의 가이드(144)는; 몸체(141)의 저면에 흡입공(143) 측으로 오수를 수거하기 위하여 저면 양측에서 하향으로 돌출시켜 유로(145)를 형성한다.
아울러, 가이드(144)에는 바닥면에 밀착되어 진공공간을 형성하여 흡입력을 증가시키고 바닥에 형성된 오물을 긁어내도록 스위퍼(146)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스위퍼(146)를 가이드(144)에 밀착 고정시키면서 분리 결합되도록 스위퍼(146) 외측으로 스위퍼(146)를 관통하여 가이드(144)에 체결되는 체결수단(B)으로 고정되는 밀착대(147)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스퀴즈(140)는 오수를 원활히 수거하도록 흡입공(143)을 중심으로 몸체(141)의 양측이 내측으로 소정각도(α) 굽어져 있다. 즉, 상기 흡입공(143)을 중심으로 상기 몸체(141)의 양쪽은 동일선상에 위치하지 않고 굽어져 있다. 이에 따라, 흡입공(143)이 몸체(141)의 양측 보다 후방에 위치하여 오수의 회수가 원활하다.
한편, 상기 몸통(10)의 하부에 몸통(10) 내부로 흡입된 오수를 배출시키도록 오수배출관(104)을 구비한 오수배출공(103)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스퀴즈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1)를 이용하여 먼지 등을 먼지흡입관(12)을 통하여 몸통(10) 내부로 흡입시킬 경우 후방에 형성한 스퀴즈(140)는 보강리브(142a)로 보강된 결합부재(142)가 고정된 힌지부재(130)의 힌지축(131)을 중심으로 상부로 회동되어 저면에 형성시킨 스위퍼(146)가 바닥에서 떨어져(힌지부재(130)의 힌지축(131)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접혀진상태) 스위퍼(146)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힌지부재(130)는 연결부재(120)와 평행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물청소를 실시한 바닥을 청소하게 될 경우 스퀴즈(140)의 스위퍼(146)가 바닥에 밀착되도록 상부로 회동된 스퀴즈(140)를 힌지축(131)을 중심으로 하부로 회동시켜 몸체(141) 저면에 형성한 스위퍼(146)가 바닥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때 힌지부재(130)는 연결부재(120)와 직각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흡입공(143) 후방으로 형성한 보조롤러(149)가 몸체(141)를 지지하면서 몸체(141)가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스퀴즈(140)가 회동되면서 힌지부재(130)는 힌지축(131)을 중심으로 수직(직각)상태가 되면서 일측 끝단이 연결부재(120)의 외향돌기(123)에 고정되고, 타측 끝단이 힌지부재(130)의 대향돌기(133)에 고정된 탄성부재(S)의 탄성 당김력에 의하여 힌지부재(130)의 하부가 전방으로 당김되어 유동되지 않고 견고히 고정되어 스퀴즈(140)의 몸체(141)가 유동없이 고정되면서 스위퍼(146)가 바닥에 지속적으로 밀착된 상태가 된다.
이렇게, 스위퍼(146)가 바닥에 밀착되면서 흡입부(20)의 흡입력에 의하여 유로(145) 측으로 진공공간이 형성되어 오수 흡입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유로(145)에 진공공간이 형성되면서 오수가 양측에 유로(145)를 따라 흡입공(143) 측으로 수거하게 되며, 이때 스위퍼(146)는 또한 바닥에 눌어붙은 오물을 긁어 내게 된다.
이와 같이 흡입부(20)의 흡입력에 의하여 유로(145)를 따라 흡입공(143)측으로 수거된 오수는 오수흡입관(102)을 따라 오수흡입구(101)를 통하여 몸통(10) 내부로 흡입된다.
아울러, 이동바퀴(31)를 구비한 베이스(30)에 진공 청소기(1)가 안치되어 이동되면서 오수를 흡입하게 된다. 이때 스퀴즈(140) 몸체(141)의 양측이 상호 대향되도록 내측으로 소정각도(α) 경사지게 굽어져 있어 오수가 유로(145)를 따라 흡입공(143) 하부로 안내된다. 이에 따라 오수가 흡입공(143)으로 모이게 되면서 원활히 흡입할 수 있다. 이렇게 흡입된 오수는 오수흡입관(102)을 통하여 몸통(10)으로 이송된다.
이렇게, 이동하면서 청소시 몸체(141)의 양측으로 건물 벽면과 부딪칠 경우 몸체 상면 양단부 형성한 완충롤러(148)가 먼저 맞닿게 되면서 몸체(141)와 건물 벽면이 부딛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스퀴즈(140)에 의하여 몸통(10) 내부로 흡입된 오수를 배출하도록 오수배출공(103)에 구비되어 끝단부가 몸통(10) 상부에 결착된 오수배출관(104)의 끝단부를 오수배출공(103)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몸통(10) 내부로 흡입된 오수를 배출시키도록 한다.
한편, 스위퍼(146)의 오래 사용으로 손망실 된 경우, 가이드(144)에 체결수단(B)으로 고정되어 스위퍼(146)를 고정하는 밀착대(147)를 가이드(144)에서 분리한 뒤 손망실된 스위퍼(146)를 새로운 스위퍼(146)가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스퀴즈(140)를 교체해야 할 경우 고정프레임(110)과 연결부재(120)를 체결 고정하는 체결수단(B)의 체결력을 해제한 뒤 고정프레임(110)의 끼움공(111)에 끼움된 연결부재(120)의 끼움구(121)를 분리하여 진공 청소기(1)와 스퀴즈(140)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 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퀴즈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를 나타낸 정면 사시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퀴즈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퀴즈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를 나타낸 부분 측단면도. .
제 4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퀴즈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의 스퀴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 5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퀴즈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의 스퀴즈가 바닥에서 이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 6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퀴즈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의 스퀴지가 바닥에 밀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 7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퀴즈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의 스퀴지를 나타낸 측면도.
제 8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퀴즈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의 스퀴지를 나타낸 평면도.
제 9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퀴즈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의 스퀴지를 나타낸 저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진공 청소기 10: 몸통
11: 먼지흡입구 12: 먼지흡입관
20: 흡입부 21: 흡입모터
30: 베이스 31: 이동바퀴
101: 오수흡입구 102: 오수흡입관
103: 오수배출공 104: 오수배출관
110: 고정프레임 111: 끼움공
112: 체결공 120: 연결부재
121: 끼움구 122: 힌지공
123: 외향돌기 130: 힌지부재
131: 힌지축 132: 축공
133: 대향돌기 140: 스퀴즈
141: 몸체 142: 결합부재
142a: 보강리브 143: 흡입공
144: 가이드 145: 유로
146: 스위퍼 147: 밀착대
148: 완충롤러 149: 보조롤러
S: 탄성부재 B: 체결수단
α: 소정각도

Claims (8)

  1. 베이스(30),
    상기 베이스(30)에 안치되어 있으며, 흡입부(20)를 포함하는 몸통(10),
    상기 몸통(10)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부(20)로 먼지를 이송하는 먼지흡입관(12),
    상기 베이스(30)에 결합되어 있고, 몸체(141) 및 상기 몸체(141)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오수를 유입하는 흡입공(143)을 포함하는 스퀴즈(140), 그리고
    일측이 끝 상기 흡입공(143)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 끝이 상기 몸통(10)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공(143)으로 유입된 오수를 상기 몸통(10) 내부로 이송하는 오수흡입관(102)
    을 포함하고,
    상기 스퀴즈(140)와 상기 베이스(30)는 힌지부재(130)에 의해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부재(130)는 직각으로 움직여 상기 스퀴즈(140)를 회전할 수 있고, 상기 흡입공(143)을 중심으로 상기 몸체(141)의 양쪽은 동일선상에 위치하지 않고 굽어 있는
    스퀴즈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30)의 한쪽 둘레에 형성되어 있으며, 끼움공(111)을 가지는 고정프레임(110),
    상기 끼움공(112)에 분리 결합될 수 있는 끼움구(121),
    상기 끼움구(121)의 한쪽 끝에 연결되어 있으며, 힌지공(122)을 가지는 연결부재(120),
    상기 연결부재(120)에 직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힌지공(122)과 마주하는 축공(132)을 가지며, 한쪽 끝에 상기 스퀴즈(140)가 결합되어 있는 힌지부재(130),
    상기 축공(132) 및 상기 힌지공(122)으로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부재(130) 및 상기 연결부재(120)를 연결하는 힌지축(131)을 포함하며,
    상기 힌지부재(130)는 상기 힌지축(131)을 중심으로 직각으로 움직여 상기 연결부재(120)와 평행을 이루면서 상기 스퀴즈(140)가 직각으로 접히는
    스퀴즈를 구비한 청소기.
  3.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20)는 양측면에 돌출되어 있는 외향돌기(123)를 더 포함하며,
    상기 힌지부재(130)는 양측면에 돌출되어 있는 대향돌기(133)를 더 포함하며,
    한쪽 끝이 상기 외향돌기(123)에 고정되어 있고, 다른 쪽 끝이 상기 대향돌기(130)에 고정되어 있는 복수의 스프링(S)
    을 더 포함하는
    스퀴즈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
  4. 삭제
  5.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스퀴즈(140)는
    상기 몸체(141)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공(143)과 이웃하며, 상기 힌지부재(130)에 결합되어 있는 결합부재(142),
    상기 몸체(141) 저면 폭 방향 양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 유로(145)를 가지는 가이드(144),
    상기 가이드(144)에 배치되어 있으며, 한쪽 끝이 바닥면에 밀착될 수 있는 스위퍼(146), 그리고
    상기 스위퍼(146)의 한쪽 면에 밀착되어 있으며, 상기 스위퍼(146)를 상기 가이드(144)에 고정하는 밀착대(147)
    를 포함하는
    스퀴즈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
  6. 청구항 5 에 있어서,
    상기 스퀴즈(140)의 몸체(141) 양측 끝에 배치되어 있는 완충롤러(148)를 더 포함하는 스퀴즈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
  7. 청구항 6 에 있어서,
    상기 스퀴즈(140)의 몸체(141) 저면 중앙 후방에 배치되어 있는 보조롤러(149)를 더 포함하는 스퀴즈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
  8.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몸통(10)은 하부에 오수배출공(103)을 가지며, 상기 오수배출공(103)에 연결되어 있는 오수배출관(104)을 더 포함하는 스퀴즈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
KR1020070119827A 2007-11-22 2007-11-22 스퀴즈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 KR100877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9827A KR100877369B1 (ko) 2007-11-22 2007-11-22 스퀴즈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9827A KR100877369B1 (ko) 2007-11-22 2007-11-22 스퀴즈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7369B1 true KR100877369B1 (ko) 2009-01-07

Family

ID=40482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9827A KR100877369B1 (ko) 2007-11-22 2007-11-22 스퀴즈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73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5005B1 (ko) 2009-03-20 2011-12-20 조정옥 청소기
KR200478687Y1 (ko) 2014-11-26 2015-11-05 주식회사 텍콤 진공청소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46299B1 (en) 2001-03-20 2002-09-10 Bryan Kaleta Wringable mop with pivoting scrubber head
JP2006006464A (ja) * 2004-06-23 2006-01-12 Kenji Jitsuhara スキー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46299B1 (en) 2001-03-20 2002-09-10 Bryan Kaleta Wringable mop with pivoting scrubber head
JP2006006464A (ja) * 2004-06-23 2006-01-12 Kenji Jitsuhara スキー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5005B1 (ko) 2009-03-20 2011-12-20 조정옥 청소기
KR200478687Y1 (ko) 2014-11-26 2015-11-05 주식회사 텍콤 진공청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10666B (zh) 真空吸尘器的管嘴组件
CN111407191B (zh) 清洗装置和清洗系统
US20040148732A1 (en) Endpiece for a vacuum cleaner
KR100877369B1 (ko) 스퀴즈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
KR101691942B1 (ko) 빠른 분리 스퀴지 조립체를 구비한 표면 정비 차량
KR101522925B1 (ko) 롤 브러시 청소기
KR102368256B1 (ko) 청소기 헤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
KR101456796B1 (ko) 롤 브러시 청소기
JPH1052386A (ja) 払掃機能を備えた真空掃除機用吸込み具
JP2001149281A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CN205411081U (zh) 地刷及吸尘器
KR930005851Y1 (ko) 습, 건식 청소기의 걸레대 구조
KR100198818B1 (ko) 청소기
KR970003568B1 (ko) 진공청소기의 상용흡입구 물걸레착탈장치
KR200159657Y1 (ko) 업라이트청소기의 더스트커버설치구조
EP4059398A1 (en) Supplying liquid to at least one wheel of a suction head
EP4059399A1 (en) Supplying liquid to at least one area of a surface to be cleaned
CN215128040U (zh) 喷抽式清洁装置
KR101507073B1 (ko) 브러쉬 청소기
WO2024050691A1 (zh) 一种地面清洁装置的地刷结构
KR200426129Y1 (ko) 탈/부착 가능한 크리닝부를 갖는 청소로봇
CN114916859A (zh) 一种室内门窗快速清洁结构
KR20120008684U (ko) 기름 걸레 먼지 제거 장치
KR100730959B1 (ko) 진공청소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KR200358733Y1 (ko) 유리 청소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