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5670Y1 - 결착구의 해체가 방지된 마포걸레의 밀대 홀더 - Google Patents

결착구의 해체가 방지된 마포걸레의 밀대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5670Y1
KR200365670Y1 KR20-2004-0020106U KR20040020106U KR200365670Y1 KR 200365670 Y1 KR200365670 Y1 KR 200365670Y1 KR 20040020106 U KR20040020106 U KR 20040020106U KR 200365670 Y1 KR200365670 Y1 KR 2003656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mop
brace
holder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01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연
Original Assignee
김학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연 filed Critical 김학연
Priority to KR20-2004-00201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56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56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56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Wire frames
    • A47L13/252Wire frames for mops of textile fringes or the like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버팀대의 하단부 일측을 기점으로 절첩토록 된 결착대가 타측에 형성된 결착구와의 링크 연결에 의한 결착으로 걸레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마포걸레의 밀대 홀더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걸레질을 하는 도중 결착구의 해체에 따른 걸레의 임의 빠짐 현상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현재,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마포걸레의 밀대 홀더는 결착구가 버팀대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결착토록 되어 걸레질을 하는 도중 외부와의 마찰에 의하여 결착구가 쉽게 해체되기 때문에 결착대가 벌어져 걸레가 빠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결착구가 결착되어지는 위치의 버팀대 테두리부를 단턱에 의하여 내입되어지는 구조로 형성시켜 결착구가 버팀대의 외측으로 돌출됨 없이 결착토록 함으로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마포걸레의 밀대 홀더.

Description

결착구의 해체가 방지된 마포걸레의 밀대 홀더{A mop holder}
본 고안은 버팀대의 하단부 일측을 기점으로 절첩토록 된 결착대가 타측에형성된 결착구와의 링크 연결에 의한 결착으로 걸레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마포걸레의 밀대 홀더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걸레질을 하는 도중 결착구의 해체에 따른 걸레의 임의 빠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버팀대의 구조가 특징이다.
종래에 제조의 편리성과 사용의 편리함을 위하여 본 출원인이 실용신안 제20-0245231호로서 등록한 마포걸레의 밀대 홀더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로 성형되어져 밀대가 끼워진 버팀대(100)의 상측으로 축 결합된 작동대(200)의 회전각도에 따라 작동대(200)의 양측으로 축 결합되어 버팀대(100)의 하단부로 당겨지거나 벌어지도록 되는 결착대(300)에 의하여 걸레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홀더는 결착대(300)와 작동대(200)의 구조 상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요인이 있어, 최근에는 제조비용의 절감을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착대(300a)를 버팀대(100a)의 하단부 일측에 절첩이 가능하게 결합시켜 버팀대(100a)의 타측부에 형성된 결착구(400)와의 링크 연결에 의한 결착으로 걸레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 구조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때 상기 결착구(400)는 버팀대(100)의 테두리부 외측에 형성된 돌출테(101)가 결착구(400)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돌출테(101)와의 물림에 의하여 그대로 결착토록 되는 것으로서, 이때 결착구(400)는 버팀대(100)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결착되어지기 때문에 걸레질을 하는 동안 외부와의 마찰로 결착구(400)가 쉽게 해체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결착구(400)의 해체는 결국 이에 링크 연결되어진 결착대(300)가 버팀대(100)로부터 벌어져 걸레가 임의대로 빠지거나 고정력이 약해져 청소가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결착구가 물려져 결착되어지는 위치의 버팀대 테두리부를 단턱에 의하여 내입되어지는 구조로 형성시켜 결착구가 버팀대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구조로 형성시킨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작동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참고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출원인 등록한 마포걸레의 밀대 홀더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종래의 마포걸레의 밀대 홀더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 버팀대 11: 단턱
12: 결합편 13: 축홈
20: 결착대 21: 축홀
30: 결착구 31: 연결링크
32: 작동레버 40: 회동연결핀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버팀대(10)의 하단부 일측에 결합되어 절첩토록 된 결착대(20)가 버팀대(10)의 타측에 형성된 결착구(30)와의 링크 연결에 의한 결착으로 걸레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마포걸레의 밀대 홀더에 있어서, 상기 결착구(30)가 물려져 결착되어지는 위치의 버팀대 테두리부가 단턱(11)에 의하여 내입되어지는 구조로 형성되어 결착구(30)가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결착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단턱(11)의 내입폭은 최소한 상기 결착구(30)의 결합면 두께이상이 되어야 하는 것이고, 상기 결착구(30)는 결착대(20)와의 링크 연결을 위한 연결링크(31)와, 이 연결링크(31)의 회동축(31a)이 하부에 위치된 축홈(32a)에 결합되고 상부에 위치된 회동축(32b)이 버팀대(10)의 일 측방 테두리부에 형성된 축홈(13)에 끼워져 결합되는 작동레버(32)로 이루어져, 연결링크(31)에 결착대(20)의 타단이 링크 연결된 상태에서 작동레버(32)의 좌우 회동에 의한 버팀대(10)와의 결착 및 해체 작동이 가능토록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단턱(11)의 선단에는 하방으로 걸림돌기(11a)가 연장 형성되어 상기 결착구(30)의 결착 시 작동레버(32)의 상단 외측이 단턱(11)의 걸림돌기(11a)에 의하여 걸려지도록 함으로서 결착구(30)의 보다 견고한 결착이 이루어지도록 되는 것으로, 이때 걸림돌기(11a)에는 본 고안이 합성수지로 성형되어져 어느 정도의 탄성력이 제공되어지기 때문에 가압 및 당김에 의하여 결착구(30)의 결착 및 해체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결착대(20)는 일측단에 형성된 절곡단부가 상기 버팀대(10)의 하단부 일측단에 형성되어진 결합편(12)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동연결핀(40)에 의한 축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어 90°이상의 벌림각도를 갖도록 된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결착대(20)의 절곡단부와 버팀대(10)의 결합편(12)에는 회동연결핀(40)이 관통되어지는 축홀(21)(12a)이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지는 것이고, 결착대(20)의 절곡단부는 회동 시 결합편(12)과의 걸림방지를 위하여 만곡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마포걸레 밀대 홀더는 결착구(30)가 물려져 결착되어지는 위치의 버팀대(10) 테두리부에 단턱(11)에 의하여 내입되어지는 구조를 갖게 됨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 같이 결착구(30)가 버팀대(10)에 형성된 단턱(11) 이하의 내입된 부분에 결착되어져 버팀대(1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외부와의 마찰에 의한 결착구(30)의 해체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버팀대(10)의 결합편(12)에 결합되어진 결착대(20)는 회동연결핀(40)을 중심으로 90°이상의 회동각을 갖도록 되어 걸레를 고정시키거나 분리시키기 위한 걸레의 출입 공간을 충분히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서 걸레의 탈, 부착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마포걸레 밀대 홀더는 걸레질을 하는 도중 발생될 수 있는 걸레의 임의 빠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버팀대(10)의 하단부 일측으로 결합되어 절첩토록 된 결착대(20)가 버팀대(10)의 타측에 형성된 결착구(30)와의 링크 연결에 의한 결착 방식으로 걸레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결착구(30)는 단턱(11) 이하의 내입되어진 버팀대(10)의 테두리부에 결착됨을 특징으로 마포걸레의 밀대 홀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턱(11)의 선단에는 걸림돌기(11a)가 연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포걸레의 밀대 홀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대(20)는 일측단에 형성된 절곡단부가 상기 버팀대(10)의 하단부 일측단에 형성되어진 결합편(12)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동연결핀(40)에 의한 축 결합 방식으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포걸레의 밀대 홀더.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대(20)의 절곡단부는 만곡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마포걸레의 밀대 홀더.
KR20-2004-0020106U 2004-07-14 2004-07-14 결착구의 해체가 방지된 마포걸레의 밀대 홀더 KR2003656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0106U KR200365670Y1 (ko) 2004-07-14 2004-07-14 결착구의 해체가 방지된 마포걸레의 밀대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0106U KR200365670Y1 (ko) 2004-07-14 2004-07-14 결착구의 해체가 방지된 마포걸레의 밀대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5670Y1 true KR200365670Y1 (ko) 2004-10-27

Family

ID=49439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0106U KR200365670Y1 (ko) 2004-07-14 2004-07-14 결착구의 해체가 방지된 마포걸레의 밀대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567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503B1 (ko) * 2013-01-09 2014-03-13 손경한 마포걸레용 홀더
KR20190046319A (ko) 2017-10-26 2019-05-07 류상억 밀대형 청소기
KR20190101013A (ko) 2018-02-22 2019-08-30 류상억 밀대형 청소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503B1 (ko) * 2013-01-09 2014-03-13 손경한 마포걸레용 홀더
KR20190046319A (ko) 2017-10-26 2019-05-07 류상억 밀대형 청소기
KR20190101013A (ko) 2018-02-22 2019-08-30 류상억 밀대형 청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7489B2 (en) Joint assembly of a car windshield wiper arm
EP2668864B1 (en) Zipper head and pull tab replacement method
US20080022451A1 (en) Curtain Rod Assembly
US20140137913A1 (en) Connector device for a foldable tent
WO2010051764A1 (zh) 一种梯凳
KR200365670Y1 (ko) 결착구의 해체가 방지된 마포걸레의 밀대 홀더
CN101711653A (zh) 具有可拆卸把手或柄部件的烹饪容器
KR100701581B1 (ko) 개폐식 액자 및 조립용 공구
US20080189914A1 (en) Cufflink
KR200369604Y1 (ko) 마포걸레의 밀대 홀더
JP3653646B2 (ja) 引出しのラッチ装置
CN217365749U (zh) 一种吸尘拖把的拖布快装结构
US20060137152A1 (en) Engagement mechanism
JP3565429B2 (ja) ブラインドの操作部材把持用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ブラインド
JP3080755U (ja) 多重安全鍵掛け効果の折りたたみ台座
CN201325542Y (zh) 自行车折叠机构
CN209231627U (zh) 一种眼镜之镜脚卡栓定位结构
CN201384008Y (zh) 钓台台脚锁紧机构
CN111688449B (zh) 遮物帘的卡勾式封盖解锁机构
CN103826520B (zh) 改进的拖布基座
KR200417631Y1 (ko) 상다리용 경첩
JPH07980Y2 (ja) 折りたたみテーブルにおける脚杆保持装置
JP4386329B2 (ja) 簡易モップ
KR200419376Y1 (ko) 밀대홀더
JPH11100056A (ja) 収納ケースの止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