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5148Y1 - 국부의치용 착탈장치 - Google Patents

국부의치용 착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5148Y1
KR200365148Y1 KR20-2004-0018808U KR20040018808U KR200365148Y1 KR 200365148 Y1 KR200365148 Y1 KR 200365148Y1 KR 20040018808 U KR20040018808 U KR 20040018808U KR 200365148 Y1 KR200365148 Y1 KR 2003651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wel pin
pin
bushing
local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88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재오
Original Assignee
엄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재오 filed Critical 엄재오
Priority to KR20-2004-00188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51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51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51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6Dentures without palates; Partial dentures, e.g. brid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73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removably secured to residual teeth by using bolts or lo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7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removably secured by using bridging bars or rails between residual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16Dentists' forceps or clamps for removing crowns

Abstract

본 고안은 손상 또는 마모된 치아를 대체하기 위한 의치의 착탈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대치에 국부의치를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는 장치에 있어서, 지대치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 핀구멍과 이 핀구멍에서 일측으로 트임된 개구부를 갖는 지지턱이 구비된 다우얼 핀 연결구와; 국부의치에 인서트되어 고정된 원통형으로 중앙에 부분 절개된 결착개구부를 갖는 부싱과; 부싱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이동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의 단면으로 상기 결착개구부에 위치되는 소단면 부분과 대단면 부분을 갖는 다우얼 핀을 포함하여, 상기 다우얼 핀이 이동하여 상기 결착개구부에 선택적으로 위치됨에 따라 국부의치가 지대치에서 착탈될 때는 다우얼 핀의 소단면 부분이 개구부를 통과하고, 록킹될 때는 다우얼 핀의 대단면 부분이 지지턱에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국부의치용 착탈장치{Local false tooth attachment}
본 고안은 손상 또는 마모된 치아를 대체하기 위한 의치의 착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국부의치를 지대치에 록킹과 착탈이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국부의치의 착탈용 어태치먼트에 관한 것이다.
손상된 치아를 복원 또는 치료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보철 및 국부의치를 사용한다. 이때 국부의치는 인접한 지대치에 착탈과 록킹을 위한 목적으로 어태치먼트가 구비된다.
따라서 국부의치용 어태치먼트는, 착탈 조작이 용이하여야 하고, 록킹시에도그 록킹에 대한 신뢰성이 높아야 한다. 또한 구조가 복잡하지 않아야 제작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종래 국부의치용 어태치먼트로서 대한민국 특허청 실용신안공보 실1983-0000860호(공고일자: 1983.06.07)가 있다.
이는 국부의치를 연결하는 아타취멘트의 연결체의 괘정홈과 일체로 된 접동홈에 삽착할 수 있는 괘정자와 일체로 된 접동자를 지대치의 크라운에 돌설된 고정고리에 괘정핀으로 연결시키고, 연결체의 핀공의 주위체 상광하협의 요홈의 형성시키고, 연결체의 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를 형성하고, 지대치의 크라운에 돌설된 고정고리와 요입부가 간격을 가지게 하며 고정공을 타원형으로 형성하고 접동자 내부에 스프링으로 탄지된 괘정핀을 장착한 구성이다.
이는 연결체와 궤정자의 구조가 복잡하고, 복수개의 연결핀이 필요하고 스프링이 설치되는 구조로서 부품수가 많이 들어가 제작이 복잡해지고, 제작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부품수가 적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비용을 대폭 낮출 수 있고 조작 및 사용하기가 간편하도록 한 국부의치의 착탈용 어태치먼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은,
지대치에 국부의치를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는 장치에 있어서,
지대치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 핀구멍과 이 핀구멍에서 일측으로 트임된개구부를 갖는 지지턱이 구비된 다우얼 핀 연결구와;
국부의치에 인서트되어 고정된 원통형으로 중앙에 부분 절개된 결착개구부을 갖는 부싱과;
부싱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이동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의 단면으로 상기 결착개구부에 위치되는 소단면 부분과 대단면 부분을 갖는 다우얼 핀을 포함하여,
상기 다우얼 핀이 이동하여 상기 결착개구부에 선택적으로 위치됨에 따라 국부의치가 지대치에서 착탈될 때는 다우얼 핀의 소단면 부분이 개구부를 통과하고, 록킹될 때는 다우얼 핀의 대단면 부분이 지지턱에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적용되는 부싱은 일단에 상기 다우얼 핀의 소단면부가 끼움되는 소구멍과, 타단에 상기 다우얼 핀의 대단면부가 끼움되는 대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적용되는, 다우얼 핀의 소단면부와 대단면부는 원형 단면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국부의치용 착탈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국부의치용 착탈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국부의치용 착탈장치를 매개로 국부의치가 장착된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국부의치용 착탈장치의 설치단면도로서 다우얼 핀과 핀 연결구의 결합전 상태도.
도 5는 도 4의 A-A선에서 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국부의치용 착탈장치의 설치단면도로서 다우얼 핀과 핀 연결구의 결합후 상태도.
도 7은 도 6의 B-B선에서 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지대치
30 : 국부의치
40 : 다우얼 핀 연결구
42 : 핀구멍
45 : 개구부
50 : 부싱
52 : 소구멍
54 : 대구멍
56 : 결착개구부
60 : 다우얼 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국부의치용 착탈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국부의치용 착탈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국부의치용 착탈장치를 매개로 국부의치가 장착된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대치(20)에 국부의치(30)를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는 어태치먼트는 핀 연결구(40)와 부싱(50) 및 다우얼 핀(60)으로 구성된다.
상기 핀 연결구(40)는 도 1과 같이 일단이 지대치(20)에 고정 장착됨과 동시에 타단이 다우얼 핀(60)을 매개로 부싱(50)에 연결된다. 이때 부싱(50)은 국부의치(30)에 인서트되어 고정된다.
상기 다우얼 핀(60)은 부싱(50)에 축방향으로 끼움되어 일정 구간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고, 다우얼 핀(60)의 이동 위치(록킹위치와 탈거위치)에 따라 핀 연결구(40)가 부싱(50)에 탈착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은 다우얼 핀(60)이 상대적으로 서로 다른 크기의 크고 작은 양쪽 단면 부분을 이용하여 핀 연결구(40)와 다우얼 핀(60)의 분리 및 연결·록킹이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갖는다.
즉, 다우얼 핀(60)이 도 4와 같이 일측인 화살표(100) 방향으로 이동하여 탈거 위치에 놓일 경우 도 5와 같이 그 위치에 다우얼 핀(60)의 작은 단면부(62)가 놓여져 핀 연결구(40)가 다우얼 핀(60)에 착탈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국부의치용 착탈장치의 설치단면도로서 다우얼 핀과 핀 연결구의 결합전 상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선에서 본 단면도이다.
또한 다우얼 핀(60)이 타측인 화살표(101) 방향으로 이동하여 록킹 위치에 놓일 경우 그 위치에 다우얼 핀(60)의 큰 단면부가 위치하여 핀 연결구(40)가 다우얼 핀(60)을 빠져나가기 못하고 록킹되는 것이다.
먼저, 이를 구현하기 위한 각 구성요소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핀 연결구(40)는, 상기 지대치(20)에 고정되는 일측의 고정단(41)과 타측에 형성된 걸림턱(44)이 구비되어 있다.
걸림턱(44)은, 도 1과 같이 지대치(20)에서 노출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치열방향(103)에 대해 수직으로 관통된 핀구멍(42)과 이 핀구멍(42)에서 치면쪽으로 열려져 일정 폭(L)의 핀 삽입용 개구부(45)를 갖고 있다.
상기 핀 삽입용 개구부(45)의 폭(L)은 다우얼 핀(60)의 소직경부(62)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된다.
상기 부싱(50)은 국부의치(30)에 매설되는 것으로 치열방향(103)에 대해 대략 수직방향(104)으로 매설되는 원통형이다.
상기 부싱(50)은 일단에 관통된 소구멍(52)과 타단에 동축상으로 소구멍(52)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대구멍(54)을 갖고, 소구멍(52)과 대구멍(54)의 사이에 상기 부싱(50)의 걸림턱(44)이 끼움되도록 치면의 반대면쪽으로 개방된 걸림턱 삽입용 개구부(56)를 갖는다.
상기 다우얼 핀(60)은 일단이 부싱(50)의 소구멍(52)에 삽입되는 소직경부(62)와 타단에 상기 부싱(50)의 대구멍(54)에 삽입되는 대직경부(64)를 갖는다. 이때 대직경부(64)의 단면 직경은 상대적으로 소직경부(62)의 단면 직경보다 크며, 소직경부(62)의 단면 직경은 상기 부싱(50)의 소구멍(52)과 대략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우얼 핀(60)의 소직경부(62)와 대직경부(64)를 원형 단면으로 구성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부싱(50)과 다우얼핀(60)의 결합 단면에 따라 삼각단면, 사각단면 등의 다각단면으로 구성하거나 타원단면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핀 연결구(40)의 핀구멍(42)도 해당 다우얼 핀(60)의 단면 형태를 갖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다우얼 핀(60)의 타단부(63) 외주면에 부싱(50)의 대구멍(54)의 내면과 마찰을 갖기 위한 마찰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예로, 마찰수단은 다우얼 핀(60)의 대직경부(64) 외주면에 실리콘으로 코팅된 마찰층이 형성되거나, 도 2와 같이 다우얼 핀(60)의 환형홈에 끼움된 고무링(68)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핀 연결구(40), 부싱(50) 및 다우얼 핀(60)을 이용하여 지대치(20)와 국부의치(30)가 다음과 같이 착탈 및 록킹 연결된다.
(가) 국부의치(30)를 지대치(20)에 연결시키고자 할 경우
먼저, 도 4와 같이 다우얼 핀(60)을 부싱(50)에서 이동시켜 다우얼 핀(60)의 소직경부(62)가 부싱(50)의 핀 삽입용 개구부(45)에 위치토록 한다.
이 같은 상태에서 국부의치(30)를 지대치(20)에 구비된 핀 연결구(40)에 연결시키게 되는데, 이때는 핀 연결구(40)의 걸림턱(44)이 핀 삽입용 개구부(45)에 들어오도록 국부의치(30)를 눌러 놓는다.
이렇게 되면, 다우얼 핀(60)의 소직경부(62)는 핀 연결구(40)의 핀 삽입용 개구부(45)를 통과하여 걸림턱(44)의 핀구멍(42)에 도 4와 같이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일측으로 돌출된 다우얼 핀(60)을 도 6과 같이 화살표(101)가 가리키는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다우얼 핀(60)의 대직경부(64)가 걸림턱(44)의핀구멍(42)에 위치한다. 이럴 경우 다우얼 핀(60)은 핀구멍(42)측 핀 삽입용 개구부(44)를 통과할 수 없어 국부의치(30)는 도 6,7과 같이 연결 록킹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국부의치용 착탈장치의 설치단면도로서 다우얼 핀과 핀 연결구의 결합후 상태도이고, 도 7은 도 6의 B-B선에서 본 단면도이다.
즉, 다우얼 핀(60)을 일측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국부의치(30)측 부싱(50)의 걸림턱 삽입용 개구부(56)에 핀 연결구(40)의 걸림턱(44)을 집어넣은 후 반대로 다우얼 핀(60)을 이동시키면 국부의치(30)가 지대치(20)에 연결 록킹이 완료된다.
(나) 국부의치(30)를 지대치(20)에서 탈거시키고자 할 경우
먼저, 도 3과 같은 가늘고 긴 이탈핀(200)이 구비된다. 이 이탈핀(200)은 통상적으로 국부의치(30)를 착용하는 의치 착용자가 휴대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탈핀(200)을 부싱(50)에 삽입된 다우얼 핀(60)에 갖다데고 밀어넣으면, 다우얼 핀(60)이 약간 이동한다. 이렇게 되면 도 4와 같이 다우얼 핀(60)의 소직경부(62)가 핀 연결구(40)의 걸림턱(44)측 핀구멍(42)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국부의치(30)를 잡고 들어내면, 다우얼 핀(60)의 소직경부(62)가 핀 연결구(40)의 핀삽입용 개구부(44)를 통과하여 핀구멍(42)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이같이 국부의치(30)를 탈거시키고자 할 경우는 다우얼 핀(60)을 부싱(50)에서 이동시킨 후 그대로 들어내면 간단히 국부의치(30)가 탈거된다.
이같이 본 고안의 국부의치 착탈용 어태치먼트에 의하면, 국부의치(30)측 부싱(50)에 삽입되어 있는 다우얼 핀(60)을 이동시켜서 얻게 되는 록킹 위치 또는 탈거 위치에 따라 국부의치(30)를 손쉽게 간편하게 지대치(20)에 착탈 및 록킹시킬 수 있다.
또한 부품수 및 각 부품의 구조 및 조립 방식이 간단하여 제작비용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국부의치의 찰탈용 어태치먼트에 따르면, 다우얼 핀이 갖는 단면 크기의 차이를 이용하여 국부의치를 지대치에 착탈시킴으로서 착탈 조작이 용이 간단하다. 또한 구조 및 부품수가 간단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Claims (3)

  1. 지대치(20)에 국부의치(30)를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대치(2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 핀구멍(42)과 이 핀구멍(42)에서 일측으로 트임된 개구부(45)를 갖는 지지턱(44)이 구비된 다우얼 핀 연결구(40)와;
    상기 국부의치(30)에 인서트되어 고정된 원통형으로 중앙에 부분 절개된 결착개구부(56)를 갖는 부싱(50)과;
    상기 부싱(50)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이동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의 단면으로 상기 결착개구부(56)에 위치되는 소단면 부분과 대단면 부분을 갖는 다우얼 핀(60)을 포함하여,
    상기 다우얼 핀(60)이 이동하여 상기 결착개구부(56)에 선택적으로 위치됨에 따라 국부의치(30)가 지대치(20)에서 착탈될 때는 다우얼 핀의 소단면 부분이 개구부(45)를 통과하고, 록킹될 때는 다우얼 핀의 대단면 부분이 지지턱(44)에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부의치의 착탈용 어태치먼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50)은 일단에 상기 다우얼 핀(60)의 소단면부가 끼움되는 소구멍(52)과, 타단에 상기 다우얼 핀(60)의 대단면부가 끼움되는 대구멍(5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부의치의 착탈용 어태치먼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우얼 핀(60)의 소단면부와 대단면부는 원형 단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부의치의 착탈용 어태치먼트.
KR20-2004-0018808U 2004-07-02 2004-07-02 국부의치용 착탈장치 KR2003651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8808U KR200365148Y1 (ko) 2004-07-02 2004-07-02 국부의치용 착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8808U KR200365148Y1 (ko) 2004-07-02 2004-07-02 국부의치용 착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5148Y1 true KR200365148Y1 (ko) 2004-10-16

Family

ID=49439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8808U KR200365148Y1 (ko) 2004-07-02 2004-07-02 국부의치용 착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514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133650A (ja) 歯科用構造体
EP0998884A3 (de) Gehörknöchelprothese
US4205443A (en) Two-part dowel pin and tool therefor
ATE288712T1 (de) Zahnmedizinische implantats-komponente
KR200365148Y1 (ko) 국부의치용 착탈장치
JP3149703U (ja) アジャスト駒用バンド駒,時計バンドおよび腕時計
JP2003125815A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の引手
EP1624226A1 (en) Articulation pin for pivotally connecting a pair of outer plates to a pair of inner plates of a chain, particularly a bicycle chain
JP2004239058A (ja) ドアヒンジ、取外し可能ドアチェック装置、およびこれを車両ドアヒンジに配置する方法
DE602005018861D1 (de) Scharniervorrichtung für Toiletten zum lösbaren Festsetzen einer Toiletdeckelvorrichtung
JP2005036972A (ja) ネジ式クランプ
US20040137410A1 (en) Assembly to connect prosthetic teeth to dental models
KR101297007B1 (ko) 고정기능이 개선된 국부의치
JP2007136591A (ja) 工具保持装置
KR200235188Y1 (ko) 어로장비 체결분리기
KR200224746Y1 (ko) 파일양생용 몰드의 고정구
JP2006226073A (ja) ロールスクリーンの操作具取付構造
KR200191568Y1 (ko) 가방끈 걸고리쇠
ATE365284T1 (de) Vorrichtung zur halterung der bremsbeläge einer scheibenbremse
KR20020046900A (ko) 파일양생용 몰드의 고정구
JPH07117090B2 (ja) 止め輪
JP4693081B2 (ja) 糸止め具の構造
JP3083478U (ja) ネックレスの連結構造
EP1503638B1 (de) Befestigungssystem zur befestigung eines schmuckelements an einem schmuckstück sowie schmuckstück
JP2003325916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