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5188Y1 - 어로장비 체결분리기 - Google Patents

어로장비 체결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5188Y1
KR200235188Y1 KR2019990009725U KR19990009725U KR200235188Y1 KR 200235188 Y1 KR200235188 Y1 KR 200235188Y1 KR 2019990009725 U KR2019990009725 U KR 2019990009725U KR 19990009725 U KR19990009725 U KR 19990009725U KR 200235188 Y1 KR200235188 Y1 KR 2002351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member
fastening
sleeve
separator
elastic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97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5151U (ko
Inventor
박명오
Original Assignee
박명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명오 filed Critical 박명오
Priority to KR20199900097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5188Y1/ko
Publication of KR199900351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51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51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51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7/00Landing-nets for fishing; Landing-spoons for fish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9/00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중공의 일체형 슬리이브부재(220)와, 상기 슬리이브부재(220)의 내부에 삽입되는 이동부재(240)와, 상기 슬리이브부재(220)의 슬라이딩에 따라 핀(234)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상기 힌지부(2220)의 삽입부(230)에 삽입되어 연결고리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체결부재(250)와, 상기 이동부재(240)의 외면에 감합되어 상기 슬리이브 부재(220)를 항상 상방으로 가압하는 탄성수단(260)과, 상기 슬리이브 부재(220)의 하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이동부재(240)에 체결되어 상기 탄성수단(260)을 고정하는 고정부재(280)로 구성되는 어로장비 체결분리기(200)로서, 상기 슬리이브 부재(220)가 슬라이딩되어 상기 이동부재(240)가 상방으로 이동될 때, 상기 체결부재(250)의 힌지편(252)이 슬리이브 부재(220)의 상방으로 노출되면서 삽입부(230)내에서 핀(232)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바깥쪽으로 벌어지므로서, 연결로우프가 편중되지 않고 분리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해저에 침강시킨 어로장비의 인양시 본 고안의 체결분리기는 슬리이브 부재가 슬라이딩될 때 체결부재가 삽입부내에서 핀을 중심으로 회동되므로, 연결고리가 편중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탈되어, 분리가 용이하고, 또한, 슬리이브 부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조립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어로장비 체결분리기{AUTOMATIC BINDING AND RELEASING APPARATUS OF FISHING IMPLEMENTS}
본 고안은 해저에 침강시킨 어로장비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어로장비 체결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고리의 중심이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이 편리한 어로장비 체결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저에 침강시킨 어로장비는 장어, 꽃게, 낙지 등을 잡을 때 사용되는 통발, 단지, 어망 등을 일컫는 것으로, 잘알려진 바와 같이, 수천개의 통발을 메인로우프에 일정간격으로 매달아서 해저에 침강시키고 일정시간이 지난 다음 인양기로 인양시켜 메인로우프로부터 분리시키게 되며, 이때, 인양되는 수천개의 통발을 일일이 작업자가 풀어야 되는 작업상의 불편과 작업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통발의 결속 및 분리작업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한 통발자동 탈락장치에 관한 여러 특허 및 실용신안들이 이미 개시되어 있지만, 이들 선출원들은 통발의 연결수단으로서 암수 한쌍의 소켓 및 플러그를 채용하는 것으로, 연결부재가 암수로 구분되어 있어 메인로우프가 인양기에 감길 때 플러그가 연결고리에 결속된 채로 함께 감기게 되므로 플러그가 분리장치에 부딪히면서 파손되는 단점이 있고, 또한, 통상적인 메인로우프를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1999년 1월 22일자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99-1894호에 통발을 결속한 상태에서 연결로우프와 체결 및 분리되는 체결분리기를 일체로 형성하므로서, 기존의 어로장비를 그대로 이용하면서 체결분리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어로장비 체결분리기 및 방법을 제안한 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어로장비 체결분리기의 체결 분리기(100)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발을 결합하는 소켓 부재(20)와, 연결고리에 체결 및 분리되는 체결부재(30)와, 소켓부재(20)의 외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개폐용 슬리이브(40)와, 개폐용 슬리이브(40)를 탄지하는 탄성수단(50)으로 구성된다.
소켓 부재(20)는 하부에 통발이 결합되며 그 결합이 용이하도록 1/3정도 절결된 결합부(22)와, 상부의 외면에 상기 개폐용 슬리이브(40)가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24)와, 상기 슬라이딩부(24)의 상부내면에 상기 탄성수단(50)을 수납하는 수납부(26)를 포함한다.
체결부재(30)는 일단에 나사부(36)가 형성되어 소켓부재(20)의 슬라이딩부(24)의 내면에 나사결합되고, 타단에 연결고리(도시하지 않음)와 체결또는 분리되는 체결홈(32)이 형성되고, 이 체결홈(32)의 하부에는 걸림턱(34)이 형성된다.
소켓부재(20)의 외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개폐용 슬리이브(40)는 그 중앙의 내주면을 따라 걸림플랜지(42)가 돌출형성되고, 이러한 걸림플랜지(42)의 상면에는 체결부재(30)의 걸림턱(34)이 걸리는 반면, 하면에는 탄성수단(50)이 위치되어 체결부재(30)의 체결홈(32)이 노출되지 않도록 개폐용 슬리이브(40)를 상방으로항상 탄지한다.
탄성수단(50)으로서는 원형의 인장스프링으로, 체결부재(30)의 외면을 감싸도록 삽입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출원인의 종래의 어로장비 체결장치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되어, 메인로우프의 연결고리에 체결시에는, 슬리이브(40)를 하방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체결부재(30)의 체결홈(32)을 노출되므로, 이 체결홈(32)에 연결고리를 체결하고, 탄성수단(50)의 탄성에 의해 슬리이브(40)가 다시 윈 위치로 돌아오므로서 체결을 완료하였다. 이와 달리, 연결고리로부터 분리시에는, 메인로우프가 인양될 때, 분리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체결분리기가 통과하면서, 자동으로 슬리이브(40)을 하방으로 슬라이딩시키므로, 체결홈(32)이 노출되어 연결고리가 분리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체결분리기는 몹시 흔들리면서 인양되므로, 연결고리의 중심이 어느 한쪽으로 편중되어 분리장치를 통과할 때, 분리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으며, 슬리이브(40) 역시 분리장치에 정확하게 안내되지 못하므로, 슬리이브(40)의 슬라이딩이 원할하지 못한 문제가 있고, 또한, 소켓부재(20)가 체결부재(30)와 나사결합되므로, 조립작업이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연결고리가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고, 소켓부재와 슬리이브를 일체로하여 조립이 간편하고, 인양시 분리장치로 정확하게 진입하는 어로장비 체결분리기를 제공하는것이다.
이와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어로장비 체결분리기에 있어서, 중공의 일체형 슬리이브부재와, 상기 슬리이브부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슬리이브부재의 슬라이딩에 따라 핀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상기 힌지부의 삽입부에 삽입되어 연결고리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체결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외면에 감합되어 상기 슬리이브 부재를 항상 상방으로 가압하는 탄성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슬리이브 부재가 슬라이딩되어 상기 이동부재가 상방으로 이동될 때, 상기 체결부재의 힌지편이 슬리이브 부재의 상방으로 노출되면서 삽입부내에서 핀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바깥쪽으로 벌어지므로서, 연결로우프가 편중되지 않고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결분리기는 상기 슬리이브 부재의 하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이동부재에 체결되어 상기 탄성수단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기술되는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어로장비 체결분리기의 일예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어로장비 체결분리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어로장비 체결분리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2 : 돌기부 214 : 구멍
216 : 가이드부 218 : 볼록부
220 : 슬리이브 부재 222 : 힌지부
230 : 삽입부 232 : 핀
234 : 결합공 240 : 이동부재
250 : 체결부재 252 : 힌지편
260 : 탄성수단 280 : 고정부재
282 : 가이드홈 284 : 결합홈
300 : 분리장치 310 : 개구부
350 : 연결고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어로장비 체결분리기를 도시한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그 결합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어로장비 체결분리기에 따른 체결분리기(200)는 중공의 일체형 슬리이브부재(220)와, 상기 슬리이브부재(220)의 내부에 삽입되는 이동부재(240)와, 상기 이동부재(240)의 상단에 부착되어 상기 슬리이브부재(220)의 슬라이딩에 따라 연결고리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체결부재(250)와, 상기 이동부재(240)의 외면에 감합되어 상기 슬리이브 부재(220)를 항상 상방으로 가압하는 탄성수단(260)과, 상기 슬리이브 부재(220)의 하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이동부재(240)에 체결되어 상기 탄성수단(260)을 고정하는 고정부재(280)로 구성된다. 탄성수단(260)으로서는 원형의 인장코일스프링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어로장비 체결분리기는 탄성수단(260)으로서의 스프링이외에는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리이브 부재(220)는 그 내면중앙에 내향돌출된 돌기부(212)(도 4)와, 그 외면의 상부가 가이드부(216)로서 작용하도록 중앙에 볼록부(21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슬리이브부재(220)는 볼록부(218)의 하면에 서로 대향하는 구멍(214)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동부재(240)는 그 상부의 힌지부(222)와, 중간의 로드부(224)와, 통발이 결합되는 통발결합홈(228)을 가지는 하부의 통발결합부(226)로 이루어지며, 힌지부(222)에는 체결부재(250)가 결합되는 삽입부(230)와, 이 삽입부(230)에 핀(232)이 결합되는 결합공(234)이 제공되며, 로드부(224)에는 그 표면에 일정간격으로 복수개의 절결부(223)가 통발결합부(226)의 통발결합홈(228)에 인접하도록 형성되어, 이동부재(240)의 생산시 냉각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절결부(223)의 하부에 인접해서 삽입홈(225)이 형성된다. 이때, 삽입홈(225)은 이동부재(240)가 슬리이브 부재(220)에 삽입되었을 때, 슬리이브 부재(220)의 하부내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삽입홈(225)의 상부둘레에는 등간격으로 복수개의 돌기(227)가 형성된다.
체결부재(250)는 핀(232)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한쌍의 회동편(252)으로 이루어지며, 이동부재(240)의 힌지부(222)의 삽입부(230)에 삽입된다.
고정부재(280)는 이동부재(240)의 돌기(227)에 대응되도록 복수개의 가이드홈(282)과, 이러한 가이드홈(282)의 사이의 하부에 결합홈(284)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가이드 돌기(227)를 가이드홈(282)에 삽입하여 이동부재(240)에 고정부재(280)를 삽입한 후, 고정부재(280)를 회전하면, 가이드 돌기(227)를 결합홈(284)에 이동되어, 고정부재(280)가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어로장비 체결분리기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양기에 메인로우프가 인양되어, 분리장치(300)사이의 개구부(310)를 통과하게 되면, 슬리이브(220)의 가이드부(216)가 개구부(310)에 정확하게 위치되는 동시에 볼록부(218)를 하방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동부재(240)의 힌지부(222)의 삽입부(230)에 삽입된 체결부재(250)의 회동편(252)은 삽입부(230)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슬리이브부재(220)의 상부로 노출되는 동시에, 핀(232)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된다. 이때, 회동편(252)의 사이에 결합되어 있던 연결고리(350)가 어느 한쪽으로 편중됨이 없이 용이하게 이탈되면서 그대로 인양기에 감기게되고, 본 고안의 체결분리기(200)는 통발을 결합한 상태로 연결고리와 분리된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시키지 않고 본 고안에 대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해저에 침강시킨 어로장비의 인양시 본 고안의 이동분리기는 슬리이브 부재가 분리장치를 통과할 때 가이드부에 의해 정확하게 정렬되면서 블록부가 슬라이딩되고, 체결부재가 이동부재의 삽입부를 따라 가이드되면서 돌출되므로, 연결고리가 편중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탈되므로, 분리가 용이하고, 또한, 슬리이브 부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조립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어로장비 체결분리기에 있어서,
    중공의 일체형 슬리이브부재(220)와, 상기 슬리이브부재(220)의 내부에 삽입되는 이동부재(240)와, 상기 슬리이브부재(220)의 슬라이딩에 따라 핀(234)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상기 힌지부(2220)의 삽입부(230)에 삽입되어 연결고리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체결부재(250)와, 상기 이동부재(240)의 외면에 감합되어 상기 슬리이브 부재(220)를 항상 상방으로 가압하는 탄성수단(260)으로 구성되며,
    상기 슬리이브 부재(220)가 슬라이딩되어 상기 이동부재(240)가 상방으로 이동될 때, 상기 체결부재(250)의 힌지편(252)이 상기 슬리이브 부재(220)의 상방으로 노출되면서 삽입부(230)내에서 핀(232)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바깥쪽으로 벌어지므로서, 연결로우프가 편중되지 않고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장비 체결분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 부재(220)의 하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이동부재(240)에 체결되어 상기 탄성수단(260)을 고정하는 고정부재(2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장비 체결분리기.
KR2019990009725U 1999-06-03 1999-06-03 어로장비 체결분리기 KR2002351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9725U KR200235188Y1 (ko) 1999-06-03 1999-06-03 어로장비 체결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9725U KR200235188Y1 (ko) 1999-06-03 1999-06-03 어로장비 체결분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151U KR19990035151U (ko) 1999-09-06
KR200235188Y1 true KR200235188Y1 (ko) 2001-09-25

Family

ID=54757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9725U KR200235188Y1 (ko) 1999-06-03 1999-06-03 어로장비 체결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518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043B1 (ko) 2008-07-23 2011-03-25 박명오 어로장비 체결분리장치
KR200476951Y1 (ko) * 2013-07-01 2015-04-17 유금범 통발연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717A (ko) * 1999-12-21 2000-03-06 김용문 통발용 포획줄 착탈구
KR102207638B1 (ko) * 2020-04-07 2021-01-26 박명오 어로장비 연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043B1 (ko) 2008-07-23 2011-03-25 박명오 어로장비 체결분리장치
KR200476951Y1 (ko) * 2013-07-01 2015-04-17 유금범 통발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151U (ko) 199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1925A (en) Terminal box
US4927185A (en) Release tool for fluid quick connectors
US5649340A (en) Cord retainer
JPS61150969A (ja) 細長い可撓要素の保持装置
KR200235188Y1 (ko) 어로장비 체결분리기
US7093329B1 (en) Elastic snapping device
KR200235187Y1 (ko) 어로장비 체결분리장치
CN111567999A (zh) 一种手链锁扣结构
US20120304431A1 (en) Suspension spring removal and installation tool
KR0122491B1 (ko) 벨트클립의 이중잠금장치
KR100311902B1 (ko) 어로장비 자동분리장치
KR100285578B1 (ko) 어로장비 체결분리장치 및 그 방법
KR101025043B1 (ko) 어로장비 체결분리장치
KR200242366Y1 (ko) 접목용 집게
KR20050033097A (ko) 화장용 브러시기구
CN212382209U (zh) 一种可拆卸式锁链扣的手链
KR100349009B1 (ko) 통발 연결장치
KR101924194B1 (ko) 자동버클용 벨트 고정장치
KR200202788Y1 (ko) 통발 연결장치
KR200270690Y1 (ko) 통발의 고리줄 탈착장치의 통발목 결합기구
KR200157080Y1 (ko) 통발연결 및 분리장치
KR200212775Y1 (ko) 형광등 소켓
CN212382208U (zh) 一种具有两档推拉式锁链扣的手链
KR102436640B1 (ko) 어로용 통발의 체결 분리장치
JP4422145B2 (ja) 延縄用連結具と、これを用いた延縄器具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