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5090Y1 - 작업자의 낙하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작업자의 낙하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5090Y1
KR200365090Y1 KR20-2004-0021541U KR20040021541U KR200365090Y1 KR 200365090 Y1 KR200365090 Y1 KR 200365090Y1 KR 20040021541 U KR20040021541 U KR 20040021541U KR 200365090 Y1 KR200365090 Y1 KR 2003650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yard
reel
shock
worker
shock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15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영화
송기준
Original Assignee
안영화
송기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영화, 송기준 filed Critical 안영화
Priority to KR20-2004-00215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50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50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50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62B35/0037Attachments for lifelines and lanyard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93Fall arrest ree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4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incorporating energy 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 공사시 특히 비계에서 작업을 하는 작업자의 낙하방지 안전장비에 관한 것으로, 비계에 연결하는 고리의 저부에 고리와 일체가 되게 함체를 형성시키고, 이 함체에, 죔줄을 감을 릴(Reel)과, 릴을 회전시켜 죔줄을 감아주는 죔줄감김장치와, 작업자의 낙하시 충격을 흡수하게 하는 충격흡수장치를 내장하여, 작업자의 낙하방지구 착용을 간편하게 하고, 착용한 상태에서의 작업을 편리하게 하며, 나아가, 충격흡수장치를 개량하여 이를 작은 부피로 형성시킬 수 있게 하여 이를 수장할 함체의 크기를 감소시켜 착용과 착용한 상태에서의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것임

Description

작업자의 낙하 방지 장치{Safety apparatus from falling}
본 고안은 건축 공사시 높은 장소 특히 비계 등에서 작업을 하는 작업자의 낙하방지 안전장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낙하방지구는 죔줄의 선단에 달린 고리를 비계에 걸고 죔줄의 다른 끝을 작업자의 벨트에 걸음으로서, 작업자가 비계로부터 떨어지는 경우 죔줄에 의하여 낙하가 제한되게 하되, 이에 충격흡수장치를 설치하여 낙하시 충격흡수장치에 의하여 충격이 흡수되면서 낙하가 중단되게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낙하방지구는 통상, 비계에 거는 고리와, 이에 연결되는 죔줄과, 죔줄을 봉접시켜 형성시킨 충격흡수장치와, 죔줄이 늘어지면 감아 죄어 걸리적거림을 방지하게 하는 죔줄감김장치가 각각 별도로 구성되어 있어 이들을 모두 허리띠에 매달고 작업하기에는 큰 불편이 있었다. 따라서, 비계에서의 작업에 숙련도가 큰 사람은 이러한 보호장비의 착용을 꺼리게 되는 중대한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낙하방지구는 충격흡수장치를 구성시킴에 있어서 통상 죔줄을 2단 또는 2단 이상의 다단으로 접고 접어진 죔줄을 이웃 접힘부끼리 봉접 또는 벨크로 직물로 접합하여 낙하충격 발생시 접합부가 분리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하였던 바, 이러한 충격방지장치가 충분히 작동하기 위해서는 작업을 위한 죔줄의 작업자 자유 이동 허용 길이에 접힘봉접부의 펼친 거리를 합한 거리 이상의 낙하를 필요로 하는 바, 이는 층간의 거리를 초과하게 되어 결국 2층에서 작업을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안전장비로서의 효용이 없게 되는 중대한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비계에 연결하는 고리의 저부에 고리와 일체가 되게 함체를 형성시키고, 이 함체에, 죔줄을 감을 릴(Reel)과, 릴을 회전시켜 죔줄을 감아 죄어주는 죔줄감김장치와, 작업자의 낙하시 충격을 흡수하게 하는 충격흡수장치를 내장하여, 결국 작업자는 고리만을 휴대 설치하는 것으로 안전장비의 사용이 가능하게 하여 작업자의 낙하방지구 착용을 간편하게 하며, 나아가, 충격흡수장치를 개량하여 이를 작은 부피로 형성시킬 수 있게 하여 작은 함체에도 이를 수납할 수 있게 하여 낙하방지구의 크기를 감소시켜 착용과 착용한 상태에서의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것인 바,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외부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다만, 수축튜브(64)의 선단에 설치한 걸림쇠(63)는 사시도로 도시하였음.)
도 3 은 죔줄이 풀려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다만, 수축튜브(64)의 선단에 설치한 걸림쇠(63)는 사시도로 도시하였음.)
도 4 는 본 고안의 요부인 충격흡수장치를 발췌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리
2 ..... 함체 21..... 수납함
22..... 덮개 23..... 축수
3 ..... 죔줄 4 ..... 릴
41..... 축 42..... 죔줄감개부
43..... 죔줄감김장치설치부 44..... 충격흡수장치설치부
5...... 죔줄감김장치 51..... 스프링
6 ..... 충격흡수장치 61..... 당김줄
62..... 스토퍼 64..... 수축튜브
본 고안은, 비계에 연결하는 고리(1)의 저부에 고리와 일체가 되게 함체(2)를 형성시키고, 이 함체(2)에, 죔줄(3)을 감을 릴(Reel)(4)과, 릴(4)을 회전시켜 죔줄(3)을 감아 죄어주는 죔줄감김장치(5)와, 작업자의 낙하시 충격을 흡수하게 하는 충격흡수장치(6)를 내장하여 구성시킨다.
함체(2)는 릴(4)을 수납하는 수납함(21)과 덮개(22) 및 릴(4)의 축(41)을 설치하는 축수(23)를 가진다. 덮개(22)에도 축수(23)가 형성되어 있다.
릴(4)은 축(41)을 가지는 바, 축(41)은 함체(2)와 덮개(22)의 축수(23)에 결합되고 릴(4)의 본체가 축(41)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설치된다. 릴(4)은 죔줄감개부(42)와 죔줄감김장치설치부(43) 및 후술하는 충격흡수장치설치부(44)를 가진다.
릴(4)의 죔줄감김장치설치부(43)에는 죔줄감김장치(5)가 설치되는 바, 죔줄감김장치(5)는 스프링(51)을 요소로 하며, 스프링(51)은 릴(4)의 축(41)에 그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함체(2)에 고정되어 있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스프링(51)의 타단이, 함체(2)에 고정설치된 내판체(52)에 고정설치되어 있다. 스프링(51)이 풀린 상태에서 죔줄(3)이 죔줄감개부(42)에 충분히 감겨져 있게 설치된다. 따라서, 죔줄(3)을 당기어 풀면 죔줄감김장치설치부(43)가 회전하여 스프링(51)이 긴장되고, 죔줄(3)의 당김을 해제하면 스프링(51)에 의해서 죔줄감김장치설치부(43)가 역회전되어 죔줄(3)을 당기어 죄어주게 한다.
릴(4)의 충격흡수장치설치부(44)에는 충격흡수장치(6)가 설치되는 바, 충격흡수장치(6)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충격흡수장치(6)는 죔줄(3)에 굳건히 연결된 철제 당김줄(61)과, 당김줄(61)이 끼워진 스토퍼(62), 스토퍼(62)의 외측에서 당김줄(61)에 굳건히 설치된 걸림쇠(63), 당김줄(61)에 끼워진 수축튜브(64)로 구성된다. 당김줄(61)은 여러개의 철사를 꼬아 형성시킨 직경 3m/m의 로프로 구성시킴이 바람직하다. 스토퍼(62)는 릴(4)의 축(41)에 구멍(411)을 형성시켜 구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쇠(63)는 당김줄(61)로부터는 이동이 자유로우나 수축튜브(64)는 통과될 수 없는 내경을 가지는 철제 링으로 형성시킬 수 있으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62)의 외측 가까이에서 수축튜브(64)를 압착시켜 수축튜브가 당김출(61)에 압박되면서 강하게 접하여 지도록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축튜브(64)는 경도가 낮은 합성수지로 형성시켜 당김줄(61)이 당겨질 경우 걸림쇠(63)에 걸리는 수축튜브(64)가 부스러지지 아니하고 찌그러지면서 밀려나가도록 형성시켜야 한다. 수축튜브(64)가 끼워진 당김줄(61)의 걸림쇠(63)로부터 그 외측 끝까지의 거리는 30c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40cm 이상을 초과하는 일은 바람직하지 아니하다. 체중 75Kg인 사람이 1.5m 낙하하는 경우 그 충격은 약 1200Kg 정도인 바, 수축튜브(64)는 300∼450Kg의 하중이 작용할 때부터 찌그러지기 시작하여 약 30cm의 길이 동안 찌그러져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여러개 철사를 꼬아 형성시킨 직경 3m/m의 당김줄(61)에 폴리에치렌을 1.5∼2mm 정도 피복하여 수축튜브(64)를 형성시킴이 바람직하다. 죔줄(3)과 당김줄(61)을 연결시킴에 있어서는 그 견고성 향상을 위해 별도의 연결구(7)를 설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함체(2)에는, 죔줄(3)을 감을 릴(Reel)(4)과, 릴(4)을 회전시켜 죔줄(3)을 감아 죄어주는 죔줄감김장치(5)와, 작업자의 낙하시 충격을 흡수하게 하는 충격흡수장치(6)를 내장하여야 하니, 함체(2)에는 이들이 장치될 공간을 가져야 하며, 또한 작업자가 낙하하여 충격흡수장치(6)가 작동하는 경우, 죔줄(3)이 연결구(7)를 통하여 당김줄(61)을 당김에 있어, 연결구(7)가 릴(4)로 인하여 작동에 지장을 받지 아니하도록 축(41)을 제외한 릴(4)의 나머지 부분이 용이하게 파손되도록 릴(4)을 파손되기 쉬운 합성수지로 형성시킴이 바람직하다.
죔줄(3)의 끝에는 죔줄(3)을 작업자의 벨트에 연결하는 연결고리(8)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작업자의 벨트에 연결고리(8)를 연결하고, 고리(1)를 비계 또는 기타의 안전 막대에 걸고 나서 작업을 하게 된다. 작업자가 이동을 하면 죔줄(3)이 당겨지고 당겨지는 죔줄(3)은 죔줄감개부(42)를 회동시키면서 죔줄(3)을 풀고, 풀리는 죔줄(3)은 스프링(51)을 감아 긴장시키며, 작업이 끝나 비계 등으로부터 고리(1)를 풀면 긴장되었던 스프링(51)이 풀어지면서 죔줄감개부(42)에 죔줄(3)을 감게된다.
그런데, 본 고안의 낙하방지장치를 착용한 작업자가 작업도중 추락하게 되면, 죔줄(3)이 풀려나가면서 연결구(7)를 당기며, 당겨지는 연결구(7)는 릴(4)을 파손시키면서 당김줄(61)을 당기게 된다.
당김줄(61)은 걸림쇠(63)를 스토퍼(62)쪽으로 당기고, 그리하면 이제는 걸림쇠(63)의 이동은 멈춰지고 당김줄(61)의 내부 철심만이 당겨진다. 당김줄(61)의 내부철심이 계속해서 당겨지면서 이에 피복되어 있는 수축튜브(64)가 찌그러지면서 저항을 제공하여 당김줄(61)의 당김을 억제한다. 이러한 억제는 당김줄(61)의 길이인 약 30cm의 길이에 걸쳐 일어나게 되며, 이러한 억제는 결국 작업자의 낙하 속도를 감소시켜 작업자를 부상으로부터 구원하게 된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은, 죔줄(3)을 감을 릴(Reel)(4)과, 릴(4)을 회전시켜 죔줄(3)을 감아 죄어주는 죔줄감김장치(5)와, 작업자의 낙하시 충격을 흡수하게 하는 충격흡수장치(6)를 함체(2)에 내장하여 구성시키고, 이 함체(2)를 고리(1)와 일체로 형성시킴으로서 작업자의 휴대를 간편히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며, 충격흡수장치(6)의 구조를 개량하여 그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게 하여 역시 휴대와 작업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비계에 연결하는 고리(1)의 저부에 고리와 일체가 되게 함체(2)를 형성시키고, 이 함체(2)에, 죔줄(3)을 감을 릴(Reel)(4)과, 릴(4)을 회전시켜 죔줄(3)을 감아 죄어주는 죔줄감김장치(5)와, 작업자의 낙하시 충격을 흡수하게 하는 충격흡수장치(6)를 내장하여 구성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의 낙하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릴(4)은 죔줄감개부(42)와 죔줄감김장치설치부(43) 및 충격흡수장치설치부(44)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의 낙하방지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충격흡수장치(6)는 죔줄(3)에 굳건히 연결된 철제 당김줄(61)과, 당김줄(61)이 끼워진 스토퍼(62), 스토퍼(62)의 외측에서 당김줄(61)에 굳건히 끼워진 수축튜브(6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의 낙하방지장치.
KR20-2004-0021541U 2004-07-28 2004-07-28 작업자의 낙하 방지 장치 KR2003650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541U KR200365090Y1 (ko) 2004-07-28 2004-07-28 작업자의 낙하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541U KR200365090Y1 (ko) 2004-07-28 2004-07-28 작업자의 낙하 방지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8869A Division KR20060010242A (ko) 2004-07-27 2004-07-27 작업자의 낙하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5090Y1 true KR200365090Y1 (ko) 2004-10-15

Family

ID=49439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1541U KR200365090Y1 (ko) 2004-07-28 2004-07-28 작업자의 낙하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509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037712A (ja) 作業者の落下防止装置
US7237650B2 (en) Tension device for use with a self-retracting lifeline
US20120067666A1 (en) Shock absorbing lanyard
US10370898B2 (en) Tether system for a safety line
WO2008008225A2 (en) Retractable lifeline safety device
KR100626420B1 (ko) 고소작업용 충격흡수 안전벨트
US20050145435A1 (en) Twin retractable for fall arrest
JP6005353B2 (ja) 安全帯への落下検知体と報知器との組み込み構造
US20130105246A1 (en) Energy absorber
KR200365090Y1 (ko) 작업자의 낙하 방지 장치
KR200392781Y1 (ko) 안전구명줄
JPH08215326A (ja) 墜落防止装置
KR200425822Y1 (ko) 작업자의 낙하 방지 장치
JP6683317B2 (ja) 墜落防止装置
JP4686355B2 (ja) 安全帯用巻取器
JP2532071Y2 (ja) 墜落防止用安全具
KR20070000979U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KR200321563Y1 (ko) 안전 벨트
JP3247197U (ja) 安全ブロック
KR200207796Y1 (ko) 고소 작업용 안전밴드
JPH07299153A (ja) 電話線ケーブルの作業者の墜落防止装置
KR200202177Y1 (ko) 안전 밴드의 로우프 감김통 지지벨트 체결장치
JP5102472B2 (ja) 安全ベスト
WO2004012818A1 (ja) 安全帯用ロープ
KR200307795Y1 (ko) 릴 낚시대용 가이드 보호카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