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1563Y1 - 안전 벨트 - Google Patents

안전 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1563Y1
KR200321563Y1 KR20-2003-0013897U KR20030013897U KR200321563Y1 KR 200321563 Y1 KR200321563 Y1 KR 200321563Y1 KR 20030013897 U KR20030013897 U KR 20030013897U KR 200321563 Y1 KR200321563 Y1 KR 2003215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worker
waist
seat belt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38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기봉
Original Assignee
세진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진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진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138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15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15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15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4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incorporating energy 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전 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층 건물등과 같이 고공에서 작업을 진행하는 작업자가 고공에서 낙하하여 다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안전줄에 의해 허리를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 벨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작업자의 추락 시 안전줄이 작업자의 추락 하중을 견딜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허리에 인가되는 충격을 감소시켜 허리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벨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작업자의 허리에 매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금속재의 연결 고리(51)가 고정 설치된 벨트(52)를 포함하는 안전 벨트에 있어서,
상기한 벨트(52)의 연결 고리(51)에 일단이 감긴 상태에서 실(1)로 재봉되어 연결부(2)를 구성함과 아울러 타단에 고정 고리(53)가 끼워진 상태에서 실(1)로 재봉되어 연결부(2)를 구성한 신축성이 있는 자일(3)로 이루어진 안전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전 벨트{SAFETY BELT}
본 고안은 안전 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층 건물등과 같이 고공에서 작업을 진행하는 작업자가 고공에서 낙하하여 다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안전줄에 의해 허리를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 벨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 건물의 신축 공사장등과 같이 작업자가 높은 곳에서 작업을 할 경우에는 추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안전벨트를 허리에 맨 후, 안전줄을 안전한 위치에 연결하여 추락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한 안전 벨트를 작업자의 허리에 찬 후, 상기한 안전 벨트에 일단이 연결되어 있는 안전줄을 건물등에 연결한 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하게 되는 바, 상기한 작업중 실수로 추락을 하게 되어도 상기한 안전줄이 추락을 방지하여 추락사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안전벨트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클(50)이 결합되어 탈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연결 고리(51)가 고정 설치되어 있는 벨트(52)와, 상기한 연결 고리(51)에 일단이 연결됨과 아울러 타단에 고정 고리(53)가 설치되어 있는 안전줄(5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연결 고리(51) 및 고정 고리(53)는 금속제로 구성되어 추락 시 하중을 견딜 수 있게 되어 있고, 상기한 안전줄(54)은 나일론 재질의 실을 여러가닥 꼬아서 제작되어 사람이 매달려도 끊어지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한 안전줄(54)은 추락시의 충격을 견딜 수 있도록 대략 1350Kg 정도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여러줄의 나일론줄을 꼬아서 충분한 강도를 갖도록 제작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안전벨트는 고층빌딩의 신축 현장등과 같이 높은 장소에서 작업자가 일하게 되면, 상기한 벨트(52)를 허리에 찬 상태에서 작업 장소로 이동하게 된다.
작업 장소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한 고정 고리(53)를 건물의 소정 장소에 결착시키게 되는 바, 상기한 안전줄(54)의 고정 고리(53)를 건물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필요한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이때, 작업자가 실족을 하여 추락을 하게 되면 상기한 안전줄(54)과 벨트(52)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를 지지하게 됨으로써, 상기한 작업자가 추락하여 사망하거나 큰 부상을 당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벨트를 허리에 매고 상기한 벨트에 연결된 안전줄을 건물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추락을 하게 되면, 상기한 안전줄이 나일론줄을 꼬아서 만든 것이기 때문에 신축성이 없어 작업자가 허리에 매우 큰 충격을 받게 되고, 심하게는 허리 부상을 당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한 나일론줄이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의 정적 및 동적 강성을 갖고 있지만, 추락 시 안전줄에 의해 정지할 때 작업자의 허리에 매우 큰 충격을 받게 되어 부상을 당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작업자의 추락 시 안전줄이 작업자의 추락 하중을 견딜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허리에 인가되는 충격을 감소시켜 허리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벨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작업자의 허리에 매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금속재의 연결 고리가 고정 설치된 벨트를 포함하는 안전 벨트에 있어서,
상기한 벨트의 연결 고리에 일단이 감긴 상태에서 실로 재봉되어 연결부를구성함과 아울러 타단에 고정 고리가 끼워진 상태에서 실로 재봉되어 연결부를 구성한 신축성이 있는 자일로 이루어진 안전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 벨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도1에서 안전줄의 접합 부분을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3은 도1에서 안전 벨트의 고리와 안전줄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4는 일반적인 안전벨트를 도시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실 2: 연결부
3: 자일 4: 열수축튜브
51: 연결 고리 52: 벨트
53: 고정 고리
도1과 도2와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 벨트를 도시한 사시도와 안전줄의 접합 부분을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 벨트(52)의 연결 고리(51)에 일단이 감긴 상태에서 실(1)로 재봉되어 연결부(2)를 구성함과 아울러 타단에 고정 고리(53)가 끼워진 상태에서 실(1)로 재봉되어 연결부(2)를 구성한 신축성이 있는 자일(3)이 안전줄을 이루고 있다.
상기한 연결부(2)는 외부로부터의 보호를 위해 비교적 두꺼운 재질인 열수축 테이프(4)에 의해 커버링되어 외부 수분, 마모등에 의한 실(1)의 수명 저하를 방지하게 된다.
상기한 연결부(2)를 실(1)로 꿰맨 것은, 상기한 자일(3)이 대략 10% 내외의 신축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자일(3)을 압박하여 고정하는 방법은 상기한 자일(3)이 인장될 때 직경이 작아지면서 빠지게 되기 때문이다.
즉, 상기한 자일(3)은 정적 충격 및 동적 충격을 만족하면서 신축성을 확보하여 동적 하중(작업자가 낙하할 때 순간적으로 인가되는 하중)이 작업자에 인가될 때 충격을 최소화하게 되는 바, 상기한 신축성 때문에 직경이 축소되어 연결부(2)가 분리되면 작업자의 추락을 막을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자일(3)의 직경은 대략 11mm 정도의 것을 사용하게 되는 바, 상기한 직경 정도가 되면 자일(3)이 견딜 수 있는 동적 하중이 1350Kg 정도를 만족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한 직경보다 작은 자일은 동적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강도가 부족하고, 상기한 직경보다 큰 자일은 신축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상기한 11mm의 직경이 가장 최적의 사용 조건을 만족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작업자가 고층 빌딩등의 신축 현장등에서 고공으로 올라가 작업을 하기 위하여, 상기한 벨트(52)를 허리에 차고 작업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작업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한 고정 고리(53)를 건물의 소정 위치에 결합시켜 고정한 후, 작업을 시작하게 되는 바, 상기한 작업 도중 실족을 하여 추락하게 되면 상기한 벨트(52)와 자일(3)이 연결부(2)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추락하는 도중 정지하게 된다.
즉, 상기한 자일(3)의 길이만큼만 추락하게 되는 바, 상기한 자일(3)이 추락하는 작업자를 정지시키게 되면 상기한 작업자의 정지 시 발생되는 충격력이 자일(3) 및 연결부(2)와 작업자의 허리 부분에 인가된다.
자일(3)에 충격력이 인가되면 상기한 자일(3)이 대략 10%정도 신장되면서 충격력을 흡수하게 되고, 상기한 연결부(2)는 이를 연결하고 있는 실(1)이 충격력을 분산 및 흡수하게 된다.
물론, 상기한 실(1)은 비교적 강도가 큰 나일론사등과 같은 종류를 사용하여 동적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한 실(1)로 자일(3)을 수십회 꿰매어 연결부(2)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한 동적 충격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한 자일(3)의 연결부(2)가 별도의 조임 장치등으로 고정된 것이 아니고, 실(1)로 꿰맨 것이기 때문에, 자일(3)의 직경이 늘어나거나 수축되어도 연결부(2)가 분리될 위험이 없게 된다.
상기한 작업자의 허리에 인가되는 동적 충격은 상기한 자일(3) 및 연결부(2)에 의해 분산, 흡수되기 때문에, 종래 나일론줄을 꼬아서 만든 안전줄(54)에 비해 매우 작은 충격력이 작업자의 허리에 인가된다.
자일(3)에 의해 비교적 많이 충격이 흡수되면 상기한 작업자의 허리에 인가되는 충격력이 작업자의 허리를 부상시키는 위험이 대폭 감소하게 되고, 이로 인해 작업중 추락에 의해서 작업자가 큰 부상을 당하는 것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고층 건물 현장등에서 작업자가 고공 작업을 할 때, 안전 벨트를 한 후 여기에 연결된 자일로 이루어진 안전줄을 건물에 고정시키고 작업을 하게 되면, 실수로 추락을 하게 되어도 상기한 안전줄이 신축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허리에 인가되는 동적 하중(충격)을 감소시켜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작업자의 허리에 매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금속재의 연결 고리가 고정 설치된 벨트를 포함하는 안전 벨트에 있어서,
    상기한 벨트의 연결 고리에 일단이 감긴 상태에서 실로 재봉되어 연결부를 구성함과 아울러 타단에 고정 고리가 끼워진 상태에서 실로 재봉되어 연결부를 구성한 신축성이 있는 자일로 이루어진 안전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벨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연결부는 외부로부터의 보호를 위해 비교적 두꺼운 재질인 열수축 테이프에 의해 커버링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벨트.
KR20-2003-0013897U 2003-05-03 2003-05-03 안전 벨트 KR2003215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3897U KR200321563Y1 (ko) 2003-05-03 2003-05-03 안전 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3897U KR200321563Y1 (ko) 2003-05-03 2003-05-03 안전 벨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1563Y1 true KR200321563Y1 (ko) 2003-07-28

Family

ID=49336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3897U KR200321563Y1 (ko) 2003-05-03 2003-05-03 안전 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156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3034B2 (en) Fall arrest system and lanyard
US5487444A (en) Shock-absorbing safety harness
US5113981A (en) Safety line shock absorber
US7237650B2 (en) Tension device for use with a self-retracting lifeline
US6378465B1 (en) Full-body safety harness
US8701826B2 (en) Shock absorbing lanyard
EP3551297B1 (en) Harness with structural tear tape
US5067585A (en) Multipurpose safety and positioning belt
US20180161607A1 (en) "Harness With Integrated Energy Absorber"
KR100626420B1 (ko) 고소작업용 충격흡수 안전벨트
EP2103330B1 (en) Via ferrata safety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US20060021825A1 (en) Safety device for preventing worker from falling
US20130105246A1 (en) Energy absorber
KR200321563Y1 (ko) 안전 벨트
JPH09510368A (ja) 個人用安全装置
JP2020195518A (ja) ランヤード
US20020117353A1 (en) Adjustable safety line
JP2005095411A (ja) 衝撃吸収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安全帯用ロープ
JP5102472B2 (ja) 安全ベスト
JPH11104257A (ja) ハーネス型安全帯
JP2804851B2 (ja) 低衝撃用転落防止ロープ
JPH0515332Y2 (ko)
JPH0332376Y2 (ko)
JP2532071Y2 (ja) 墜落防止用安全具
KR20000053979A (ko) 안전 밴드의 로우프 감김통 지지벨트 체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050107

Effective date: 20050831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41202

Effective date: 20051130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