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2248Y1 - 개량형 조리용기 - Google Patents

개량형 조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2248Y1
KR200362248Y1 KR20-2004-0018484U KR20040018484U KR200362248Y1 KR 200362248 Y1 KR200362248 Y1 KR 200362248Y1 KR 20040018484 U KR20040018484 U KR 20040018484U KR 200362248 Y1 KR200362248 Y1 KR 2003622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oking vessel
cooking
fitting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84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아람
Original Assignee
추아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아람 filed Critical 추아람
Priority to KR20-2004-00184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22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22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22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Abstract

본 고안은 개량형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뚜껑을 가지는 냄비나 주전자 또는 프라이팬등과 같은 조리용기의 몸체(1) 상단외부로 단턱(11)을 형성하여 그 상부에 뚜껑(2)이 안치되도록 하는 통상적인 조리용기(101)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의 몸체(1) 상단에 마련된 단턱(11)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하나 이상의 끼움공(12)을 형성하고, 상기 뚜껑(2)의 테두리(21) 하측으로는 상기 끼움공(12)과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 개수로 끼움돌부(22)를 각기 마련하여 상기 뚜껑(2)이 조리용기의 몸체(1) 상단부에 안착 될 때 상기 끼움돌부(22)가 끼움공(12)에 각각 끼움 고정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뚜껑이 조리용기의 몸체 상단에 보다 안정적으로 안치될 수 있도록 하여 줌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뚜껑을 조리용기의 몸체 상단에서 일정 간격 이격시켜 수증기의 배출공간을 확보하여 주므로 음식물이 조리용기에서 넘치는 등의 문제를 해소하여 주고 더 나아가 고기류의 조리시 발생하는 기름이 조리용기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막아 조리용기는 물론 그 주위를 청결하게 하여 주고 또 조리음식에 따라 적절하게 상기 수증기 배출공간을 확보하여 음식의 맛을 더욱더 배가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개량형 조리용기{Improved model-cooking receptacle}
본 고안은 개량형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통상 뚜껑을 가지는 프라이팬이나 냄비 또는 주전자와 같은 조리용기의 몸체상부와 뚜껑 사이에 음식물의 조리시 발생하는 수증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수증기 배출공간을 마련하여 음식물이 끓어 넘치는 것을 방지하여 줌과 동시에 음식물의 기름이 외부로 배출되어 지는 것을 방지하여 주도록 함에 그 목적을 가지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뚜껑을 가지는 냄비나 주전자와 같은 조리용기들은 그 내에 음식물 또는 물을 넣은 상태에서 열을 가하여 음식물을 조리하게 되면 일정 시간 후 음식물로부터 발생하는 수증기의 압력으로 인해 조리용기의 뚜껑이 흔들리게 되고 또 이를 장시간 방치해 둘 경우 조리용기 내의 압력상승으로 인해 음식물의 국물이 조리용기 외측으로 넘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함은 물론 뚜껑이 조리용기의 몸체에서 이탈되어져 버리는 문제가 발생하여 조리용기는 물론 그 주위를 지저분하게 하고 또 음식물의 맛을 저하 시키게 되는 원인이 되었던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위와 같은 종래의 조리용기들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경우에는 통상 사용자가 조리용기 내에서 수증기나 일정한 압력이 발생하면 조리용기의 뚜껑을 조리용기 몸체 상부에 비스듬이 편중되게 걸쳐 놓아 그 내의 수증기가 개방된 공간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데, 이 경우 항상사용자가 조리용기를 관찰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또 뚜껑을 조리용기 몸체 상부에 비스듬히 걸쳐 놓기가 매우 난이할 뿐 아니라 쉽게 조리용기 몸체에서 미끄러져 떨어지는 폐단이 있으며, 반대로 조리용기의 몸체에서 뚜껑을 완전히 분리해 버릴 경우에는 조리용기 내부의 압력과 수증기가 일정하게 발생되지 않아 음식물을 적절하게 조리할 수 없었던 폐단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일부 조리용기의 뚜껑에 수증기 배출구멍 등을 형성하기도 하였으나 이 경우에는 수증기의 배출량이 적어 위의 문제점을 완전히 해소하여 줄 수는 없었던 실정이었다.
또한 상기 주전자나 냄비와는 달리 뚜껑이 없는 프라이팬등은 주로 고기류등을 조리할 때에 사용하는데, 이 경우에는 고기류의 조리에 따른 다량의 기름이 외부로 튀어 프라이팬은 물론 그 주위를 매우 지저분하게 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요즘에는 위와 같은 프라이팬의 문제점을 일부 해소할 목적으로 뚜껑을 가지는 프라이팬도 시중에 판매되고 있으나, 이는 고기류의 조리시 기름이 외부로 튀는 것은 방지할 수 있었으나, 반대로 조리용기내의 수증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그 내의 고기를 익혀 버리게 되므로 고기의 맛을 저하시키게 되는 폐단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조리용기의 몸체 상단으로 하나 이상의 끼움공을 형성하고, 뚜껑의 테두리부 하측으로는 끼움공과 동일 갯수의 끼움돌부를 각각 마련하여 상기 뚜껑이 조리용기의 몸체 상단에 보다 안정적으로 안치될 수 있도록 하여 줌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뚜껑을 조리용기의 몸체 상단에서 일정간격 이격시켜 수증기의 배출공간을 확보하여 주므로 음식물이 조리용기에서 넘치는 등의 문제를 해소하여 줄 수 있도록 함에 그 기술적 과제를 가지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더욱 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예시도,
도 2,3은 본 고안의 실시 상태를 나타낸 평면 예시도,
도 4는 가-가'부 측단면 예시도,
도 5는 나-나'부 측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속하는 조리용기의 뚜껑을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조리용기 중 프라이팬을 나타낸 실시 예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몸체 11 : 단턱
12 : 끼움공 101 : 조리용기
102 : 끼움홈 2 : 뚜껑
21 : 테두리 22 : 끼움돌부
201 : 수증기 배출공간
본 고안은 뚜껑을 가지는 냄비나 주전자 또는 프라이팬과 같은 조리용기의 몸체(1) 상단외부로 단턱(11)을 형성하여 그 상부에 뚜껑(2)이 안치되도록 하는 통상적인 조리용기(101)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의 몸체(1) 상단에 마련된 단턱(11)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하나 이상의 끼움공(12)을 형성하고, 상기 뚜껑(2)의 테두리(21) 하측으로는 상기 끼움공(12)과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 개수로 끼움돌부(22)를 각기 마련하여 상기 뚜껑(2)이 조리용기의 몸체(1) 상단부에 안착 될 때 상기 끼움돌부(22)가 끼움공(12)에 각각 끼움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몸체(1)의 단턱(11)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하나 이상의 끼움홈(102)을 형성한 구조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자면 먼저 첨부된 도면 도 5,7과 같이 냄비나 주전자 및 프라이팬과 같은 조리용기(101)는 통상 그 내에 음식물 또는 물을 넣은 상태에서 열을 가하여 음식물을 조리하게 되면 일정시간후 음식물로부터 발생하는 수증기의 압력으로 인해 조리용기의 뚜껑(2)이 흔들리게 되고 또 이를 장시간 방치해 둘 경우 조리용기 (101)내의 압력상승으로 인해 음식물의 국물이 조리용기(101) 외측으로 넘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본 고안에 의한 조리용기(101)는 상기와 같은 문제 발생시, 첨부된 도면 도 2,3 에서 처럼 사용자가 조리용기의 몸체(1) 상단에 안치된 뚜껑(2)을 들어 뚜껑(2)의 끼움돌부(22)를 조리용기의 몸체(1) 상단에 마련된 단턱(11)면에 얹어 놓으면 뚜껑(2)과 몸체(1)의 상단 사이에 일정 간격의 수증기 배출공간(201)이 형성되어져 그 내의 수증기가 상기 수증기 배출공간(201)을 통해 자연배출되어 지므로 음식물이 끓어 넘치는 것을 방지하여 주게 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본 고안은 조리용기의 몸체(1) 상단으로 뚜껑(2)을 안치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 도 4 에서와 같이 뚜껑(2)의 테두리(21) 하측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끼움돌부(22)를 조리용기 몸체(1)의 단턱(11)에 마련된 끼움공(12)에 각각 끼움시켜 뚜껑(2)이 조리용기의 몸체(1)상단에 안치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는 상기 뚜껑(2)에 마련된 끼움돌기(22)에 의하여 그 안치고정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 짐은 물론 작은 흔들림에도 뚜껑(2)이 이탈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하여 준다.
또한 첨부된 도면 도 5 에서와 같이 조리용기(101)내의 음식물에서 다량의 수증기와 압력이 발생하여 음식물이 조리용기(101)로부터 넘칠 경우에는 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뚜껑(2)을 몸체(1)에서 들어 올려 일정 각도 회전시킨 다음 다시 내려 놓으면 상기 뚜껑(2)의 끼움돌부(22)가 끼움공(12)에서 이탈되어 상기 조리용기 몸체(1)의 단턱(11) 상부면 일정위치에 안치되어 지는데, 이때 그 사이에는 상기 끼움돌부(22)의 돌출 길이에 의하여 일정한 간격의 공간, 즉 수증기 배출공간 (201)이 형성되어 진다.
따라서, 조리용기(101)내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와 압력은 상기 수증기 배출공간(201)을 통해 외부로 자연배출되어지므로 음식물이 끓어 넘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냄비 또는 주전자와는 달리 고리류등을 조리하는 프라이팬의 경우에는 뚜껑(2)과 조리용기의 몸체(1)사이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수증기 배출공간(201)을 마련하여 주면 고기류의 조리시 발생하는 기름이 외부로 튀는 것이 방지되고 또 고기류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나 연기등이 자연스럽게 상기 수증기 배출공간(20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종래에 수증기에 의해 고기가 익혀 지는 것을 막아 그 맛을 더욱 더 배가시켜 주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처럼 조리용기(101)로 부터 뚜껑(2)을 완전분리 또는 개방면이 편중되게 일측으로 걸쳐 놓는 형태를 취하지 않아도 그 내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나 압력을 외부로 자연배출시킬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이면서 효과적이고, 더 나아가 상기 뚜껑(2)을 바닥 면에 놓을 경우에 상기 끼움돌부(22)가 바닥면과마찰되어져 뚜껑(2) 내의 음식물이 바닥에 묻어 나는 것을 방지 하여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몸체(1)의 단턱(11)으로 끼움공(12) 대신 끼움홈(102)을 형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뚜껑의 테두리부 하측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끼움돌부를 몸체 상단의 단턱에 마련된 끼움공에 끼움결합되게 하여 뚜껑을 보다 안정적으로 몸체 상부에 안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끼움돌부를 몸체의 단턱 상면에 위치되게 하여 상기 뚜껑과 몸체사이에 일정한 수증기 배출공간을 형성하여 주므로서, 음식물의 조리시 음식물이 조리용기에서 끓어 넘치는 것을 방지 하여 주는 이점을 가지게 되며 또 음식물 조리시 상기 뚜껑을 종래처럼 조리용기 몸체에서 분리 또는 개방면이 편중되게 걸쳐 놓을 필요가 전혀 없어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할 뿐 아니라 뚜껑이 매우 안전하게 고정되므로 이탈등의 우려가 전혀 없으며, 또한 고기류를 조리하는 프라이팬등의 조리용기는 상기 뚜껑과 몸체 사이에 수증기 배출공간을 확보하여 고기의 기름이 외부로 튀는 것을 뚜껑으로 막아 줌과 동시에 수증기와 연기는 수증기 배출공간으로 자연스럽게 배출시켜 그 내의 음식물이 수증기에 의해 익혀 지는 것을 막아 고기의 맛을 더욱 더 배가시켜 줄 수 있는 장점까지 가지게 된다.

Claims (2)

  1. 조리용기의 몸체(1) 상단외부로 단턱(11)을 형성하여 그 상부에 뚜껑(2)이 안치되도록 하는 통상적인 조리용기(101)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의 몸체(1) 상단에 마련된 단턱(11)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하나 이상의 끼움공(12)을 형성하고, 상기 뚜껑(2)의 테두리(21) 하측으로는 상기 끼움공(12)과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 개수로 끼움돌부(22)를 각기 마련하여 상기 뚜껑(2)이 조리용기의 몸체(1) 상단부에 안착 될 때 상기 끼움돌부(22)가 끼움공(12)에 각각 끼움 고정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조리용기.
  2. 상기 1항에 있어서, 몸체(1)의 단턱(11)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하나 이상의 끼움홈(102)를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개량형 조리용기.
KR20-2004-0018484U 2004-06-30 2004-06-30 개량형 조리용기 KR2003622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8484U KR200362248Y1 (ko) 2004-06-30 2004-06-30 개량형 조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8484U KR200362248Y1 (ko) 2004-06-30 2004-06-30 개량형 조리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2248Y1 true KR200362248Y1 (ko) 2004-09-16

Family

ID=49437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8484U KR200362248Y1 (ko) 2004-06-30 2004-06-30 개량형 조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224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4953A (en) Kitchen and table-ware for steam cooking
US4291616A (en) Roaster tray
US20210022541A1 (en) Electric Pressure Cooker Rim Cover
US20220133082A1 (en) Cookware assembly
US20220192409A1 (en) Cookware assembly
US20140193560A1 (en) Overboil ring apparatus and cooking and heating system
US20170354293A1 (en) Silicone liner for slow cooker
KR200362248Y1 (ko) 개량형 조리용기
KR200442826Y1 (ko) 다목적 조리용기
GB2554533B (en) A teapot
KR200380651Y1 (ko) 조리용기 뚜껑
JP3134535U (ja) 電子レンジ用炊飯釜
KR200388261Y1 (ko) 전기 밥솥의 찜 요리를 위한 이중 조리용기
KR200166413Y1 (ko) 후라이 팬용 기름튀김 방지판의 구조
KR200275732Y1 (ko) 음식물 넘침방지용 조리용기
KR100689265B1 (ko) 조리용기 뚜껑
JP3221098U (ja) フライパン
KR19990084420A (ko) 넘침방지용 냄비
KR100479621B1 (ko) 기름비산 방지용 프라이팬 덮개
KR20230077460A (ko) 부분 개폐가 가능한 요리도구용 뚜껑
KR200321487Y1 (ko) 구이판겸용 솥
KR101096063B1 (ko) 다기능 조리용 뚜껑
KR101628808B1 (ko) 조리용기용 덮개
WO2021021530A1 (en) Electric pressure cooker rim cover
KR20030038363A (ko) 음식물 넘침방지용 조리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