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1800Y1 - 판넬데크 - Google Patents

판넬데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1800Y1
KR200361800Y1 KR20-2004-0015473U KR20040015473U KR200361800Y1 KR 200361800 Y1 KR200361800 Y1 KR 200361800Y1 KR 20040015473 U KR20040015473 U KR 20040015473U KR 200361800 Y1 KR200361800 Y1 KR 2003618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base plate
base
pane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54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호
Original Assignee
영림목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림목재(주) filed Critical 영림목재(주)
Priority to KR20-2004-00154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18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18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18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05Floo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52Details of junctions between the supporting structures and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58Framework supporting the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64Height adjustable elements for supporting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Abstract

본 고안은 판넬데크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판(12)과, 이 베이스판(12)의 저면 모서리에서 하방으로 직립 돌출된 복수의 접지다리(14)와, 상기 베이스판(12)의 상면 모서리에 직립 설치되고 베이스판(12)의 가로 또는 세로방향과 평행하게 관통된 관통공(16a)을 갖는 직각 절곡된 연결편(16)이 구비되는 복수의 데크베이스(10); 상기 일정거리 이격 배치된 데크베이스(10)의 베이스판(12) 상에 그 양단부가 얹혀지고 연결편(16)의 관통공(16a)을 통해 체결부재(40)로 연결편(16)에 결합되는 프레임바(40); 및 상기 복수의 데크베이스(10) 상에 결합되어 사각틀 형상을 이루는 프레임바(20)의 상면을 덮어씌워 결합되는 평판(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그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하고, 판넬데크의 높이 조절이나 면적의 신축, 추가 시설물의 설치, 판넬데크의 바닥면 청소, 평판 파손시의 교체가 용이하게 되는 등 전반적으로 시공이 간편하게 되는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판넬데크{Panel deck}
본 고안은 판넬데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면 등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평상 구조의 판넬데크가 유니트 조립식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그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하고, 면적의 신축 및 높이 조절이 자유롭게 되는 등 전반적으로 시공이 간편하게 되는 판넬데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테라스나 건물 옥상 또는 실외 풀장 등 평지를 갖는 다양한 장소의 바닥면에 평상타입의 판넬데크를 설치하여 다과를 즐기거나 휴식을 취하는 등 여가 공간으로 활용하는 경우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판넬데크는 복수의 긴 장방형 판재를 소정의 프레임 상에 일일이 밀착 배열시킨 후 고정 설치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 설치 작업이 어렵고, 또한, 한번 설치하고 나면 그 분해가 불가능하며, 그밖에 판넬데크의 높이 조절이나 면적의 신축, 추가 시설물의 설치, 판넬데크의 바닥면 청소, 평판 파손시의 교체가 전혀 불가능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판넬데크가 유니트 조립식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그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하고, 판넬데크의 높이 조절이나 면적의 신축, 추가 시설물의 설치, 판넬데크 바닥면의 청소, 평판 파손시의 교체가 용이하게 되는 등 전반적으로 시공이 간편하게 되는 판넬데크를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판넬데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를 저면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판넬데크의 평판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의 A-A에서 바라본 부분 개략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판넬데크 중 접지다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개략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데크베이스 12, 13 : 베이스판
12a, 13a : 관통공 14, 15 : 접지다리
14a :나사산 16 : 연결편
16a : 관통공 17 : 너트
20 : 프레임바 20a, 20b : 체결공
30 : 평판 32 : 낱개평판
34 : 고정대 34a : 체결공
40, 50 : 체결부재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판넬데크는 베이스판과, 이 베이스판의 저면 모서리에서 하방으로 직립 돌출된 복수의 접지다리와,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 모서리에 직립 설치되고 베이스판의 가로 또는 세로방향과 평행하게 관통된 관통공을 갖는 직각 절곡된 연결편이 구비되는 복수의 데크베이스; 상기 일정거리 이격 배치된 데크베이스의 베이스판 상에 그 양단부가 얹혀지고 연결편의 관통공을 통해 체결부재로 연결편에 결합되는 프레임바; 및 상기 복수의 데크베이스 상에 결합되어 사각틀 형상을 이루는 프레임바의 상면을 덮어씌워 결합되는 평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판넬데크에 있어서, 상기 데크베이스의 연결편은 베이스판의 네 모서리, 또는 베이스판의 동일선상에 놓이는 두 모서리, 또는 베이스판의 어느 한 모서리에 각각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판넬데크에 있어서, 상기 데크베이스의 베이스판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에 나사 체결되도록 접지다리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판넬데크에 있어서, 상기 데크베이스의 베이스판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이 베이스판의 관통공 상면 및 저면에 해당되는 접지다리의 외주면에 각각 너트가 체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판넬데크에 있어서, 상기 평판의 저면 양측에 프레임바의 내주면과 밀착되고 체결부재를 통해 프레임바와 체결 고정되도록 하는 한 쌍의 고정대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판넬데크는 베이스판(12)과, 이 베이스판(12)의 저면 모서리에서 하방으로 직립 돌출된 복수의 접지다리(14)와, 상기 베이스판(12)의 상면 모서리에 직립 설치되고 베이스판(12)의 가로 또는 세로방향과 평행하게 관통된 관통공(16a)을 갖는 직각 절곡된 연결편(16)이 구비되는 복수의 데크베이스(10)와; 상기 일정거리 이격 배치된 데크베이스(10)의 베이스판 상에 그 양단부가 얹혀지고 연결편(16)의 관통공(16a)을 통해 체결부재(40)로 연결편(16)에 결합되는 프레임바(20)와; 상기 복수의 데크베이스(10) 상에 결합되어 사각틀 형상을 이루는 프레임바(20)의 상면을 덮어씌워 결합되는 평판(3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데크베이스(10)의 베이스판(12)은 모서리에 접지다리(14)가 구비되고 상면에 연결편(16)을 갖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그 상면에 각 프레임바(20)의 일단부가 배치된 상태에서 해당 연결편(16)에 고정된다.
상기 데크베이스(10)의 접지다리(14)는 베이스판(12)의 저면 모서리에서 하방으로 직립 돌출된 장방형 막대 형상으로, 베이스판(12)에 관통공(12a)이 형성되고, 이 베이스판(12)의 관통공(12a) 상면 및 저면에 해당되는 접지다리(14)의 외주면에 각각 너트(17)가 체결되며, 상하 승강시 너트(17)를 적절히 풀어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의 접지다리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서, 베이스판(13)을 기준으로 상하 승강될 수 있도록 이 베이스판(13)에는 관통공(13a)이 형성되고, 접지다리(15)의 외주면에는 상기 관통공(13a)에 나사 체결되도록 하는 나사산(15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데크베이스(10)의 연결편(16)은 베이스판(12)의 상면 모서리에 직립 고정 설치되고, 베이스판(12)의 가로 또는 세로방향과 평행하게 관통된 관통공(16a)을 갖는 직각 절곡된 판재 형상으로, 그 절곡된 외측면에 프레임바(20)가 밀착된 상태에서 체결부재(40)를 통해 연결편(16)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데크베이스(10)의 연결편(16)은 베이스판(12)의 네 모서리, 또는 동일선상에 놓이는 두 모서리, 또는 베이스판(12)의 어느 한 모서리에 각각 선택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각 연결편(16) 간의 간격은 이들 사이에 한 쌍의 프레임바(20)가 밀착되어 나란히 배치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폭 넓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편(16)이 베이스판(12)의 각 모서리에 구비된 경우, 즉, 베이스판(12) 상에 네 개의 연결편(16)을 갖는 데크베이스(10)는 주로 판넬데크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이 베이스판(12) 상면의 각 연결편(16) 사이에 한 쌍의 프레임바(20) 일단부가 서로 나란히 밀착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판(12)의 중심 위치까지 연장되어 이들 단면이 다른 방향을 향하여 배치되는 다른 프레임바(20)의 단면과 밀착되도록 배치된 후, 각각 해당 연결편(16)에 체결부재(40)를 통해 고정된다.
이렇게 상기 데크베이스(10)에 고정 결합된 복수의 프레임바(20)들은 이 데크베이스(10)를 기준으로 해서 사방으로 뻗어나가는 플러스 부호(+) 형상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편(16)이 베이스판(10)의 두 모서리에 구비된 경우, 즉, 이 베이스판(12) 상에 두 개의 연결편(16)을 갖는 데크베이스(10)는 주로 판넬데크의 테두리 상에 배치되고, 이 베이스판(10) 상면의 연결편(16) 사이에 한 쌍의 프레임바(20) 일단부가 배치된 상태에서 그 타단부가 중앙부를 향하도록 하거나, 또는 다른 프레임바(20)가 연결편(16)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상기 중앙부를 향한 프레임바(20)와 직각을 이루며 테두리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해당 연결편(16)에 체결부재(40)로 고정된다.
이렇게 상기 데크베이스(10)에 고정 결합된 복수의 프레임바(20)들은 이 데크베이스(10)를 기준으로 해서 세 방향으로 뻗어나가는 영문 티이자(T) 형상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편(16)이 베이스판(12)의 한 모서리에 구비된 경우, 즉, 이 베이스판(12) 상에 한 개의 연결편(16)을 갖는 데크베이스(10)는 주로 판넬데크의 모서리에 배치되고, 이 베이스판(12) 상면의 연결편(16) 외주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한 쌍의 프레임바(20) 일단부가 각각 배치되어 그 타단부가 테두리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해당 연결편(16)에 체결부재(40)에 의해 고정된다.
이렇게 상기 데크베이스(10)에 고정 결합된 한 쌍의 프레임바(20)들은 이 데크베이스(10)를 기준으로 해서 두 방향으로 뻗어나가는 국문 기역자(ㄱ) 형상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프레임바(20)는 일정거리 이격 배치된 데크베이스(10)의 베이스판(12) 상에 그 양단부가 얹혀지고 연결편(16)의 관통공(16a)을 통해 체결부재(40)로 연결편(16)에 결합되는 장방형 막대 형상으로, 그 외주면에는 해당 연결편(16)에 체결부재(40)로 결합되도록 하는 체결공(20a)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양단부가 데크베이스(10)에 배치되어서 다른 프레임바(20)와 밀착되면서 사각틀 형상을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바(20)는 데크베이스(10)의 연결편(16)에 결합되기 전에 미리 사각틀 형상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데크베이스(10)로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평판(30)은 복수의 데크베이스(10) 상에 결합되어 사각틀 형상을 이루는 프레임바(20)의 상면을 덮어씌워 결합되는 판재 형상으로, 결과적으로 판넬데크의 전체 표면을 이루게 되며, 복수의 낱개평판(32)들이 평행하게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서로 연결되어 상기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바(20)를 덮어씌우는 하나의 평판(30)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평판(30)의 연결수단으로서는 그 저면 양측에 프레임바(20)의 내주면과 밀착되고 체결부재(50)를 통해 프레임바(20)와 체결 고정되도록 하는 한 쌍의 막대형상을 한 고정대(34)가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판넬데크은, 우선 판넬데크를 설치할 장소의 지면 상에 복수의 데크베이스(10)를 일정 간격씩 규칙적으로 배치시키고, 이 데크베이스(10)의 각 베이스판(12) 상에 프레임바(20)의 양단부를 얹혀 놓아 각각의 단부를 해당 연결편(16)에 결합시키며, 이러한 결합에 의해 연속적인 사각틀 형상을 이루게 되는 프레임바(20) 상방으로 하나의 평판(30)을 덮어씌워 그 저면의 고정대(34)를 프레임바(20)의 내주면에 결합시켜 평판(30)이 프레임바(20)에 고정되도록 한 후 연이어서 다른 평판(30)을 같은 방법으로 차곡차곡 결합시켜 나간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바(20)에 평판(30)이 결합되는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사각틀 형상을 갖춘 프레임바(20) 상에 평판(30)을 얹혀놓고 나서, 평판(30)의 고정대(34)와 프레임바(20)의 내주면이 밀착되면 작업자가 지면과 프레임바(20) 사이의 공간을 통해 평판(30)의 저면으로 손을 집어넣어 볼트나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50)로 상기 고정대(34)와 프레임바(20)를 결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대(34)와 프레임바(20)의 소정부위에는 체결부재(50)가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일직선상에 놓이는 체결공(34a,20b)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순서에 의해, 상기 연속적으로 사각틀 형상을 이루는 프레임바(20) 상에 평판(30)을 하나씩 차례대로 결합시켜 나간다.
한편, 상기 판넬데크의 중앙 부위에는 네 개의 연결편(16)을 갖는 데크베이스(10)를 사용하고, 상기 판넬데크의 테두리 부위에는 두 개의 연결편(16)을 갖는 데크베이스(10)를 사용하며, 상기 귀퉁이 부위에는 하나의 연결편(16)을 갖는 데크베이스(10)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그 상면으로 프레임바(20)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판넬데크의 지지다리(14)를 통해서는 베이스판(12)의 높낮이조절이 가능하여 지면의 높낮이 차이가 있는 곳이나, 굴곡면이 있는 곳에서도 베이스판(12)의 수평도를 정확하게 조절해가면서 판넬데크의 전체 수평도를 맞출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바(20)는 낱개 단위로 하나씩 데크베이스(12)에 결합시킬 수도 있고, 또는, 미리 프레임바(20)를 사각틀 형상으로 결합시켜서 데크베이스(20)에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판넬데크는 데크베이스, 프레임바, 평판 등의 유니트가 서로 조립 및 분해되는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그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하고, 판넬데크의 높이 조절이나 면적의 신축, 추가 시설물의 설치, 판넬데크의 바닥면 청소, 평판 파손시의 교체가 용이하게 되는 등 전반적으로 시공이 간편하게 되는 효과를 얻는다.

Claims (5)

  1. 베이스판(12)과, 이 베이스판(12)의 저면 모서리에서 하방으로 직립 돌출된 복수의 접지다리(14)와, 상기 베이스판(12)의 상면 모서리에 직립 설치되고 베이스판(12)의 가로 또는 세로방향과 평행하게 관통된 관통공(16a)을 갖는 직각 절곡된 연결편(16)이 구비되는 복수의 데크베이스(10);
    상기 일정거리 이격 배치된 데크베이스(10)의 베이스판(12) 상에 그 양단부가 얹혀지고 연결편(16)의 관통공(16a)을 통해 체결부재(40)로 연결편(16)에 결합되는 프레임바(40); 및
    상기 복수의 데크베이스(10) 상에 결합되어 사각틀 형상을 이루는 프레임바(20)의 상면을 덮어씌워 결합되는 평판(3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판넬데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베이스(10)의 연결편(16)은 베이스판(12)의 네 모서리, 또는 베이스판(12)의 동일선상에 놓이는 두 모서리, 또는 베이스판(12)의 어느 한 모서리에 각각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데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베이스(10)의 베이스판(12)에 관통공(12a)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12a)에 나사 체결되도록 접지다리(14)의 외주면에 나사산(14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데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베이스(10)의 베이스판(13)에 관통공(13a)이 형성되고, 이 베이스판(13)의 관통공(13a) 상면 및 저면에 해당되는 접지다리(15)의 외주면에 각각 너트(17)가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데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30)의 저면 양측에 프레임바(20)의 내주면과 밀착되고 체결부재(50)를 통해 프레임바(20)와 체결 고정되도록 하는 한 쌍의 고정대(3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데크.
KR20-2004-0015473U 2004-06-03 2004-06-03 판넬데크 KR2003618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5473U KR200361800Y1 (ko) 2004-06-03 2004-06-03 판넬데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5473U KR200361800Y1 (ko) 2004-06-03 2004-06-03 판넬데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1800Y1 true KR200361800Y1 (ko) 2004-09-16

Family

ID=49350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5473U KR200361800Y1 (ko) 2004-06-03 2004-06-03 판넬데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180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43068C (en) Field paver connector and restraining system
US9556621B2 (en) Pedestal elevation system
US8695288B2 (en) Structural systems for restraining elevated surface tiles
JP2004513263A (ja) バラストブロックデッキシステムス及びその台座組立体
KR101047111B1 (ko) 무대장치 조립구조
GB2578952A (en) Height-adjustable jack and vertical modular component support using the same
KR200361800Y1 (ko) 판넬데크
JP2006144267A (ja) 機能パネルの取付構造
JP5937931B2 (ja) パネル取付構造
TWI687573B (zh) 活動式並能形成交錯紋路並提升支撐力的基板
SU1281654A1 (ru) Секционный съемный @ пол
JP3124951B2 (ja) デッキパネル用足とそれを用いたデッキパネル
JPH10257939A (ja) 屋外用組立て台と屋外用フェンス付き組立て台
JPH0643346Y2 (ja) フリーアクセス床構造
US11193284B2 (en) Tile-securing system and related methods
TWI687574B (zh) 活動式並能形成交錯紋路的基板
JP6850829B2 (ja) ベース材
JP3746490B2 (ja) パネル式ウッドデッキ
KR200285374Y1 (ko) 벽체용 폼패널의 수평조절 받침대
GB2339581A (en) Raised floor panel support system
JPH0882073A (ja) 置床の施工方法
RU2427683C1 (ru) Унифицированный сборно-разборный настил с пространственно регулируемыми опорами
JP4563563B2 (ja) Alcパネルで構成された壁部における手摺の取付構造
KR200452456Y1 (ko) 바닥재 고정장치
TWM585287U (zh) 活動式並能形成交錯紋路的基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