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1130Y1 - 도로경계표지판 - Google Patents

도로경계표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1130Y1
KR200361130Y1 KR20-2004-0016122U KR20040016122U KR200361130Y1 KR 200361130 Y1 KR200361130 Y1 KR 200361130Y1 KR 20040016122 U KR20040016122 U KR 20040016122U KR 200361130 Y1 KR200361130 Y1 KR 2003611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ive
lower body
fixing plate
upper body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61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수
Original Assignee
김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수 filed Critical 김동수
Priority to KR20-2004-00161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11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11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11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의 가장자리 경계부분을 빛의 반사에 의해 표시하는데 이용되는 도로경계표지판에 관한 것으로, 체결수단에 의해 난간(20)의 지주(22)에서 상하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반원형의 상부체(30)와 하부체(40); 상부체(30)와 하부체(40) 사이에 끼워지는 반원형의 반사지고정판(50)으로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체결수단에 의해 도로에 설치된 난간에 간편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시공이 간편하고, 반사지가 반원형으로 되어 있고 난간 지주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반사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반사지를 끼움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반사지의 교체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로경계표지판{Sign Plate for Road Guide Line}
본 고안은 도로의 가장자리 경계부분을 빛의 반사에 의해 표시하는데 이용되는 도로경계표지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리벳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도로에 설치된 난간에 간편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하고 반사면적을 증대시킨 도로경계표지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경계표지판은 가로등 시설이 없거나 가로등의 간격이 넓어서 도로인식에 충분한 조도를 확보하지 못한 경우 도로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어 야간 운전시 주행중인 차량의 헤드램프로부터 방사되는 빛을 반사시켜 운전자에게 도로경계를 인지토록 함으로써 야간 안전운전에 도움을 주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도로경계표지판은 별도의 지지물을 통해 가드레일 상단에 설치되기 때문에 시공이 매우 번거로웠으며, 반사판이 원판형으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반사면적을 증대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시공이 간편하고, 반사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는 도로경계표지판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체결수단에 의해 난간의 지주에서 상하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반원형의 상부체와 하부체; 상부체와 하부체 사이에 끼워지는 반원형의 반사지고정판으로 구성하여 도로경계표지판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경계표지판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경계표지판을 보인 정면도
도 3은 도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경계표지판이 난간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5는 도4의 요부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20 : 난간 22 : 지주
32,42 : 리벳체결공 30 : 상부체
40 : 하부체 50 : 반사지고정판
G : 틈 60 : 반사지
34,36,44,46 : 홈 54,56 : 플랜지
38,48 : 꽃무늬 38a,48a : 꽃부리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체(30)와 하부체(40), 반사지고정판(50)의 크게 2부분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부체(30)와 하부체(40)는 단면모양이 반원형의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서로 상하방향으로 대칭된 형태이고, 난간(20)의 지주(22)에서 상하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체결수단에 의해 난간(20)의 지주(22)에 고정된다.
또, 상부체(30)와 하부체(40)를 지주(22)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수단은 예컨대, 상부체(30)와 하부체(40)의 표면에 복수의 리벳체결공(32)(42)을 형성하고, 난간(20)의 지주(22)에는 이 리벳체결공(32)(42)과 일치하는 구멍(22a)(22b)(22c)(22d)을 형성하여 리벳체결공(32)(42)과 구멍(22a)(22b)(22c)(22d)을 통해 리벳(70)(72)을 설치하여 체결되도록 구성하였으나 꼭 이러한 체결수단에 한정하지 않고 용접이나 탭핑스크류, 볼트와 너트의 조합, 스틸밴드 등에 의해 체결할 수도 있다.
또한, 상부체(30)와 하부체(40)의 표면에 각각 꽃무늬(38)(48)를 입체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꽃무늬(38)(48)의 꽃부리(38a)(48a) 중심에 상기 리벳체결공(32)(42)이 위치하도록 하여 리벳(70)(72)이 마치 꽃무늬(38)(48)의 일부인 것으로 인지토록 하여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하였으며, 꽃무늬(38)(48)를 컬러로 도색하여 보는 이에게 심미감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 상부체(30)와 하부체(40)에 입체형상의 꽃무늬(38)(48)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입체물의 금속성형에 적합한 주조에 의해 성형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체(30)와 하부체(40)의 좌우측 가장자리 내측에는반사지고정판(50)을 끼워서 고정하기 위한 홈(34)(36)(44)(46)을 각각 상하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하였으며, 홈(34)(36)(44)(46)을 형성하면서 두께가 불균일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 가장자리 외측부분을 바깥쪽으로 약간 돌출시켰다.
한편, 상기 상부체(30)와 하부체(40) 사이에는 반원형의 단면모양을 갖는 반사지고정판(50)이 위치되며, 이 반사지고정판(50)의 좌우측 가장자리에는 상부체(30)와 하부체(40)에 형성됨 홈(34)(36)(44)(46)으로 끼워지는 플랜지(54)(56)를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반사지고정판(50)은 단면모양이 일정한 형태로 연속하기 때문에 연속성형에 적합한 알루미늄 압출에 의해 성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사지(60)는 얇은 필름형태이고, 유연성과 탄성복원력이 있으며, 그 상하단부가 상기 상·하부체(30)(40)와 반사지고정판(50) 사이의 틈(G)으로 삽입되어 걸리고, 상기 반사지고정판(50)의 표면에 밀착하여 도로의 경계를 빛의 반사로 표시하도록 하였다.
또, 반사지(60)에는 노란색, 적색, 녹색 등의 다양한 컬러를 부여할 수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90은 지면을 나타낸 것이고, 92는 콘크리트 타설물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20)의 지주(22)에하부체(40)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이 하부체(40)에 형성된 리벳체결공(42)에 드릴을 넣어서 지주(22)에 구멍(22c)(22d)을 천공하게 되면, 하부체(40)에 형성된 리벳체결공(42)과 일치되는 구멍(22c)(22d)을 지주(22)에 뚫을 수 있게 된다.
이후 하부체(40)를 지주(22)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리벳(72)을 리벳체결공(42)을 통해 구멍(22c)(22d)으로 집어넣고 핸드리베터나 에어리베터를 이용 리벳(72)을 체결하게 되면, 하부체(40)가 지주(22)에 고정된다.
그 다음 하부체(40)에 형성된 홈(44)(46)으로 반사지고정판(50)의 하단부를 끼우게 되면, 반사지고정판(50)에 형성된 플랜지(54)(56)가 홈(44)(46)으로 삽입되며, 이 상태에서 다시 반사지고정판(50)의 상단부에 상부체(30)를 끼운 다음 상부체(30)를 지주(22)에 밀착시키고 하부체(40)에 구멍(22c)(22d)을 천공할 때처럼 동일한 가공방법으로 상부체(30)에 형성된 리벳체결공(32)을 통해 드릴을 집어넣어서 지주(22)에 구멍(22a)(22b)을 천공한 후 리벳(70)을 체결하게 되면, 상부체(30)가 지주(22)에 고정된다.
이때 상부체(30)와 하부체(40) 사이에 위치하는 반사지고정판(50)은 별도의 패스너로 고정하기 않아도 상부체(30)와 하부체(40)가 리벳(70)(72)에 의해 지주(22)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지주(22)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이후 반사지(60)를 약간 구부려서 그 상단부를 상부체(30)와 반사지고정판(50) 사이의 틈(G)으로 집어넣은 다음 펴면서 하단부를 하부체(40)와 반사지고정판(50) 사이의 틈(G)으로 집어넣게 되면, 반사지(60)가 탄성복원력에 의해 펼쳐지면서 반사지고정판(50)의 곡면에 밀착된다.
한편, 야간 운전 중 차량의 헤드램프로부터 방사되는 빛이 반사지(60)로부터 반사되면서 도로의 경계를 인지할 수 있게 되며, 더욱이 반사지(60)가 지주(22)를 따라 상하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반사면적이 증대되어 인식률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시력이 약한 운전자도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상부체(30)와 하부체(40)의 표면에 꽃무늬(38)(48)를 형성하면서 그 꽃무늬(38)(48)의 꽃부리(38a)(48a) 중심에 리벳체결공(32)(42)이 자리하도록 한 경우 리벳(70)(72)의 머리가 꽃부리(38a)(48a) 중심에 위치하기 때문에 리벳(70)(72) 머리를 꽃부리(38a)(48a)의 일부로 착각시켜 숨길 수 있으므로, 미관을 해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반사지(60)를 다른 것으로 교체하는 경우 반사지(60)가 상·하부체(30)(40)와 반사지고정판(50) 사이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반사지(60)를 앞으로 약간 구부려서 잡아 뺀 다음 교환할 반사지(60)를 분리의 역동작으로 삽입하면 교환이 간편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별도의 지주를 세우지 않고 도로에 설치된 난간을 이용 간편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시공이 간편하고, 반사지가 반원형으로 되어 있고 난간의 지주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반사면적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본 고안은 리벳체결공이 꽃무늬의 꽃부리 중심에 형성되기 때문에 리벳 머리를 꽃부리의 일부로 착각시켜 숨길 수 있으므로, 미관을 해치지 않는효과도 있으며, 반사지가 끼움결합되어 있으므로 반사지의 교체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5)

  1. 체결수단에 의해 난간(20)의 지주(22)에서 상하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반원형의 상부체(30)와 하부체(40)와;
    상기 상부체(30)와 하부체(40) 사이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반원형의 반사지고정판(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표지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부체(30)와 하부체(40)의 표면에 복수의 리벳체결공(32)(42)을 형성하고, 난간(20)의 지주(22)에는 이 리벳체결공(32)(42)과 일치하는 구멍(22a)(22b)(22c)(22d)을 형성하여 리벳체결공(32)(42)과 구멍(22a)(22b)(22c)(22d)을 통해 리벳(70)(72)을 설치하여 체결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표지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체(30)(40)와 반사지고정판(50) 사이에 각각 틈(G)을 형성하고, 그 틈(G) 사이로 상하단부가 삽입되어 반사지고정판(50)의 표면에 밀착하는 반사지(60)를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표지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체(30)와 하부체(40)의 좌우측 가장자리에 각각 홈(34)(36)(44)(46)을 상하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하고, 상기 반사지고정판(50)의 좌우측 가장자리에는 그 홈(34)(36)(44)(46)으로 삽입되는 플랜지(54)(56)를 형성하여 상기 반사지고정판(50)을 상부체(30)와 하부체(40)에 끼워서 고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표지판.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체(30)와 하부체(40)의 표면에 각각 꽃무늬(38)(48)를 형성하고, 그 꽃무늬(38)(48)의 꽃부리(38a)(48a) 중심에 상기 리벳체결공(32)(42)이 위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표지판.
KR20-2004-0016122U 2004-06-09 2004-06-09 도로경계표지판 KR2003611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122U KR200361130Y1 (ko) 2004-06-09 2004-06-09 도로경계표지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122U KR200361130Y1 (ko) 2004-06-09 2004-06-09 도로경계표지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1130Y1 true KR200361130Y1 (ko) 2004-09-07

Family

ID=49349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6122U KR200361130Y1 (ko) 2004-06-09 2004-06-09 도로경계표지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113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669B1 (ko) 2006-11-01 2007-11-15 정규상 표지판 기능을 구비한 볼라드
KR100828303B1 (ko) * 2007-12-06 2008-05-08 석수 윤 조립용 반사커버
KR102133374B1 (ko) * 2019-09-18 2020-07-13 우성안전 주식회사 시인성이 우수하고 반사부재의 교체가 용이한 차선분리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669B1 (ko) 2006-11-01 2007-11-15 정규상 표지판 기능을 구비한 볼라드
KR100828303B1 (ko) * 2007-12-06 2008-05-08 석수 윤 조립용 반사커버
KR102133374B1 (ko) * 2019-09-18 2020-07-13 우성안전 주식회사 시인성이 우수하고 반사부재의 교체가 용이한 차선분리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6578Y1 (ko) 도로 경계석 커버
KR200361130Y1 (ko) 도로경계표지판
US20140293421A1 (en) Three-sided reflector for use on sign post
KR200337550Y1 (ko) 베이스 일체형 가로등 커버
KR200394458Y1 (ko) 차로표시체
KR200299276Y1 (ko) 볼라드
US20070206387A1 (en) Low profile lighting system
KR100710877B1 (ko) 유턴차선 표시용 완충식 도로 표지병
KR20090001128A (ko) 가드레일에서 분리 조립이 가능한 커버판
KR200186914Y1 (ko) 스티커 부착 방지판
KR200215220Y1 (ko) 가드레일용 반사커버
KR200367225Y1 (ko) 보행자신호등
KR200268756Y1 (ko) 반사판이부착된도로난간지주
KR0112963Y1 (ko) 도로용 주의 표시판
KR200274543Y1 (ko) 조립식 차선분리대
KR200364637Y1 (ko) 광고물 부착 방지판
KR200398245Y1 (ko) 도로 표지병
KR200221697Y1 (ko) 횡단보도용 교통신호등
ITTS970001A1 (it) Cordolo dotato di elementi riflettenti
KR200215708Y1 (ko) 가로등주 보호용 밴드
KR200265859Y1 (ko) 도로의 벽면 표시장치
KR200289998Y1 (ko) 스트로브가 구비된 안전 휀스
KR200313311Y1 (ko) 반사밴드링체 교체형 차선규제봉
KR200325034Y1 (ko) 색광표시판이 설치된 가로등
KR910006625Y1 (ko) 광고겸용 교통안전 표시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