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9998Y1 - 스트로브가 구비된 안전 휀스 - Google Patents

스트로브가 구비된 안전 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9998Y1
KR200289998Y1 KR2020020018808U KR20020018808U KR200289998Y1 KR 200289998 Y1 KR200289998 Y1 KR 200289998Y1 KR 2020020018808 U KR2020020018808 U KR 2020020018808U KR 20020018808 U KR20020018808 U KR 20020018808U KR 200289998 Y1 KR200289998 Y1 KR 2002899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safety fence
light emitting
present
fl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88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정규
Original Assignee
변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정규 filed Critical 변정규
Priority to KR20200200188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99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99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9998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공사현장, 주차장, 사고 현장 등에서 주간 및 야간에 작업현장과 도로를 격리하고 구분하여 일반인들이 작업현장으로의 출입을 통제하는 안전 휀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안전 휀스는 야간에 차량 운전자 및 보행자에게 공사 구간을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용 패널에 설치되는 발광수단을 갖는다. 발광 수단은 상기 표시용 패널의 전면에 설치되는 점멸등과, 상기 표시용 패널의 후면에 설치되는 그리고 상기 점멸등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부를 갖는다.

Description

스트로브가 구비된 안전 휀스{SAFETY FENCE HAVING A STROBE}
본 고안은 공사현장, 주차장, 사고 현장 등에서 주간 및 야간에 작업현장과 도로를 격리하고 구분하여 일반인들이 작업현장으로의 출입을 통제하는 안전 휀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공사 현장이나 건축 공사 현장에서는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는 장소임을 알려주기 위해 '공사중', '위험'등의 각종 문구가 인쇄된 안전 휀스를 설치하여야 한다.
이러한 안전 휀스는 금속재로 된 것이 일반적이어서 무게가 무겁고 비싸며 설치 및 해체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가볍고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플라스틱 소재의 안전 휀스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안전 휀스는 경고문구가 인쇄되며 양측 선단에 결합돌기가 형성된 패널과,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홈을 갖는 한 쌍의 지지대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야간에는 기존 안전 휀스가 차량이나 보행자의 눈에 잘 띄지 못하기 때문에 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야간에 안전 휀스를 사용할 경우에는, 표시용 패널에 투명 호스의 내부에 전구가 내장된 점멸호스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묶음철사로 묶은 상태로 도로가의 건설현장에 설치하여, 야간에는 점멸호스를 점등함으로써, 도로 주행 차량이나 도보하는 행인들에게 도로와 건설 현장을 식별되게 하여 일반인들이 작업현장으로의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안전 휀스에 점멸호스 등을 묶어서 사용할 시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제기된다.
상기의 안전 휀스에 점멸호스를 표시용 패널에 철사를 사용하여 설치하기 때문에, 상기 점멸호스의 설치 및 철거가 번거롭고, 한번 사용한 철사를 다시 풀어서 재사용하는 것이 비경제적이므로 대부분의 철사는 상기 점멸호스를 철거할 시 모두 끊어버리게 됨으로서 건설자재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전 휀스에 형광 페인트로 도색하여 사용하였으나 통상적으로 안전 휀스가 사용되는 곳은 공사현장 또는 도로 등의 실외에서 이를 사용하므로써 안전 휀스에 먼지가 쌓이게 되어 야간에는 이를 식별하기 어려워 그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야간에도 식별 가능한 안전 휀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휀스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용 패널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표시용 패널의 배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표시용 패널의 사시도;
도 5는 본 도 4에 도시된 표시용 패널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표시용 패널
120 : 지지대
130 : 발광 수단
132 : 점멸등
134 : 전원 공급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공사장 안전 휀스는 문구가 인쇄되며 양측에 결합돌기가 형성된 표시용 패널; 상기 표시용 패널을 양측에서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대; 야간에 차량 운전자 및 보행자에게 공사 구간을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표시용 패널에 설치되는 발광수단을 갖는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광 수단은 상기 표시용 패널의 전면에 설치되는 점멸등과; 상기 표시용 패널의 후면에 설치되는 그리고 상기 점멸등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부를 갖는다.
상기 표시용 패널은 내부 공간을 갖으며, 상기 표시용 패널의 후면에는 상기 내부 공간으로 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발광 수단은 상기 표시용 패널의 후면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상기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점멸등과; 상기 표시용패널의 후면에 설치되는 그리고 상기 점멸등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부를 갖는다.
예컨대,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로 인해 한정되어 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진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1 및 도 5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 도면들에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도 1 및 도 3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 휀스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안전 휀스(100)는 표시용 패널(1100과 한쌍의 지지대(120) 그리고 발광 수단(1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표시용 패널(110)에는 다양한 경고 문구가 인쇄될 수 있으며, 양측 선단에는 상기 지지대(12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돌기(112)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대(120)는 상기 결합돌기(112)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홈(미도시됨)을 갖는다. 예컨대, 상기 지지대(1200의 내부에는 모래를 채워 넣어 일정 무게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수단(130)은 야간에 공사 구간을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상기 표시용 패널(110)에 설치된다. 상기 발광 수단(130)은 상기 표시용 패널(110)의 전면에 설치되는 점멸등(132)과, 상기 점멸등(132)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34)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 공급부는 미관상 상기 표시용 패널의 배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멸등으로는 스트로브(strobe; 일명 싸이키라 불림)를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안전 휀스(100)는 불로우 몰드(Blow Mold)금형으로 중공성형으로 사출한 것이므로, 중량이 가볍고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다.
이처럼, 본 고안의 안전 휀스(100)는 표시용 패널(110)에 점멸등(132)을 설치하여 야간이나 악천후에도 운전자 또는 보행자가 쉽게 휀스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 예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변형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들로써,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본 고안의 안전 휀스(100')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안전 휀스(100)와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갖는 표시용 패널(110), 지지대(120) 그리고 발광 수단(130)을 갖으며, 이들에 대한 설명은 앞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기에 본 실시예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점멸등(132)의 강한 불빛으로 인해 운전자 및 보행자의 시야를 멀게 할 수 있음을 방지하기 위해, 발광 수단(130)의 점멸등(132)을 상기 표시용 패널(110)의 내부에 내장시킨 구조적인 특징을 갖는다.
이를 위해 상기 표시용 패널(110)의 후면(110a)에는 패널의 내부 공간(114)으로 통하는 관통공(116)이 형성하고, 상기 발광 수단(130)의 점멸등(132)을 상기 표시용 패널(110)의 후면에 형성된 관통공(116)을 통해 상기 내부 공간(114)에 설치하였다. 상기 점멸등(132)을 상기 표시용 패널(110)의 내부에 내장하더라도, 야간에는 점멸등의 불빛으로 표시용 패널(110) 전체를 밝힐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예시하고 그 것을 통해서 본 고안을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거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유의해야 하며, 본 고안의 사상과 기술적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선에서 다양한 실시예들 및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잘 이해해야 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운전자 및 보행자가 야간에도 식별 가능함으로써,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Claims (3)

  1. 공사장 안전 휀스에 있어서:
    문구가 인쇄되며 양측에 결합돌기가 형성된 표시용 패널;
    상기 표시용 패널을 양측에서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대;
    야간에 차량 운전자 및 보행자에게 공사 구간을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표시용 패널에 설치되는 발광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장 안전 휀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수단은
    상기 표시용 패널의 전면에 설치되는 점멸등과;
    상기 표시용 패널의 후면에 설치되는 그리고 상기 점멸등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장 안전 휀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용 패널은 내부 공간을 갖으며, 상기 표시용 패널의 후면에는 상기 내부 공간으로 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발광 수단은
    상기 표시용 패널의 후면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상기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점멸등과;
    상기 표시용 패널의 후면에 설치되는 그리고 상기 점멸등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장 안전 휀스.
KR2020020018808U 2002-06-21 2002-06-21 스트로브가 구비된 안전 휀스 KR2002899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808U KR200289998Y1 (ko) 2002-06-21 2002-06-21 스트로브가 구비된 안전 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808U KR200289998Y1 (ko) 2002-06-21 2002-06-21 스트로브가 구비된 안전 휀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9998Y1 true KR200289998Y1 (ko) 2002-09-27

Family

ID=73124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8808U KR200289998Y1 (ko) 2002-06-21 2002-06-21 스트로브가 구비된 안전 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999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5884Y1 (ko) 주차방지용 설치구
KR200289998Y1 (ko) 스트로브가 구비된 안전 휀스
KR101272869B1 (ko) 다기능 시선 유도봉
KR200299276Y1 (ko) 볼라드
KR200268756Y1 (ko) 반사판이부착된도로난간지주
KR20110028973A (ko) 투명 커버가 구비된 가로등주
KR101031632B1 (ko) 횡단보도용 조명등이 결합된 신호등 지주장치
KR200324435Y1 (ko) 도로난간부착용 야광표지판
KR200443252Y1 (ko) 포스트용 리플렉터
KR200417923Y1 (ko) 자동차 진입 금지용 볼라드
KR20040110782A (ko) 횡단보도 조명장치
KR200360002Y1 (ko) 라이트와 엘이디 전구가 장착된 횡단 보도용 교통 안전표지판
KR200367375Y1 (ko) 횡단보도용 가로등
KR200193134Y1 (ko) 보행자 보호용 조명등을 부착한 신호등 철주 조립체
KR200255624Y1 (ko) 도로 교통시설물을 갖춘 커버부재
KR100372977B1 (ko) 조립식 가드레일
KR100462153B1 (ko) 도로의 가드레일 유도구
KR100463812B1 (ko) 안전 휀스의 점멸호스 지지구
KR100972597B1 (ko) 조명장치가 구비된 도로 안전시설물
KR200234898Y1 (ko) 도로의 중앙분리대
GB2293616A (en) Warning reflector
KR200332604Y1 (ko) 커버 일체형 가로등 베이스 및 그에 결합되는 교체형커버
KR200215182Y1 (ko) 조립식 가드레일
KR200175846Y1 (ko) 교통 신호등
KR200361624Y1 (ko) 횡단보도용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