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0508Y1 -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창호용 유리받침대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창호용 유리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0508Y1
KR200360508Y1 KR20-2004-0014714U KR20040014714U KR200360508Y1 KR 200360508 Y1 KR200360508 Y1 KR 200360508Y1 KR 20040014714 U KR20040014714 U KR 20040014714U KR 200360508 Y1 KR200360508 Y1 KR 2003605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window
upper plate
heigh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47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현
이승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강고려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강고려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강고려화학
Priority to KR20-2004-00147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05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05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05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37Length, width or depth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합성수지 창호 및 알루미늄 창호의 창틀 및 창짝의 유리삽입홈에 끼워져 유리를 안전하게 떠받치고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유리의 처짐 및 유동을 방지하는 유리받침대에 있어서; 상판과 하판의 조립구조로 형성하되, 상판은 하면에 일측으로 경사지며 양측에 삼각돌기를 다수개 연속적으로 형성하며, 하판은 상면에 상판 하면과 대칭되게 경사지고 삼각돌기에 대응되는 삼각홈을 다수개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창호의 유리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합성수지 창호 및 알루미늄 창호의 창틀 및 창짝 유리삽입홈에 끼워져 유리를 안전하게 떠받쳐 유리삽입홈 바닥부에서 유리에 직접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켜 유리가 깨지는 것을 방지하여 유리의 안전성을 도모함과 동시에 높이 조절 기능을 겸비해 유리삽입홈과 유리의 치수차이에 따른 유리의 처짐 및 유동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창호용 유리받침대{Pane supporter controling the height of windows and doors}
본 고안은 합성수지 창호 및 알루미늄 창호의 창틀 및 창짝 유리삽입홈에 끼워져 유리를 받치는 유리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판과 하판의 조립구조로 되어, 상판과 하판의 이동에 따라 높이가 조절이 되어 유리 제작오차에 따른 틈을 막아주고 유리를 안전하게 받칠 수 있도록 하며 상판은 하면에 일측으로 경사지며 양측에 삼각돌기를 다수개 연속적으로 형성하며 하판은 상면에 상판 하면과 대칭되게 경사지고 삼각돌기에 대응되는 삼각홈을 다수개 연속적으로 형성하며 , 조립위치에 따라 유리받침대를 수직으로 연결된 상태로 사용하거나 또는 유리받침대의 미세절단홈을 잘라서 절단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창호의 유리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 및 알루미늄 창호에서의 유리 시공시에는 유리의 처짐 및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리삽입홈에 유리받침대를 끼운 후 유리를 삽입하여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종래의 유리받침대의 경우, 유리삽입홈과 동일한 폭을 갖도록 유리받침대 좌우측 일측을 일정폭 만큼 절개하여 유리삽입홈에 삽입 및 고정시켰으나, 절개하는 작업이 까다롭고 번거로워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유리받침대의 경우는 높이 조절을 유리받침대를 적층하는 방식으로 해결함에 따라 작업성 저하 및 높이 조절폭의 한계가 발생하여 미세 높이 조절이 불가하며, 유리받침대간의 결착성을 도모하기 위해 저면 또는 돌출부에 이형지가 붙은 양면 점착테이프를 덧붙이는 경우는 유리받침대를 적층할 경우 일일이 이형지를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유리받침대는 창틀 및 창짝에 조립시 창호의 모서리부로부터 동일한 위치에 조립하는 것이 유리의 처짐 및 유동을 방지하는 올바른 시공법임을 감안할 때, 종래의 유리받침대는 창호의 모서리부로부터 동일한 위치에 조립하기 위해 치수를 일일히 측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창호의 모서리부로부터 동일한 위치에 조립하지 않을시 유리의 처짐 및 유동에 따른 창호 자체의 기능 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절개작업 없이 돌기형성으로 유리삽입홈에 견고히 결착시킬 수 있고, 상판과 하판의 조립구조를 채택하여 기울기를 갖는 상판의 이동에 따라 미세한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유리삽입홈과 유리간의 틈새를 완벽히 막아주어 유리의 처짐 및 유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대칭을 이루는 유리받침대를 적용하여 조립시 정확한 위치 안정성 확보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창호용 유리받침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의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의 실시예가 창틀에 조립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b는 본 고안의 실시예가 창짝에 조립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a는 본 고안 실시예의 상판을 하향조정한 정면도,
도 3b는 본 고안 실시예의 상판을 상향조정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대칭을 이루는 유리받침대를 수직으로 세운 상태의 정면도,
도 5a는 본 고안의 실시예가 연결된 상태로 창틀 또는 창짝에 조립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5b는 본 고안의 실시예가 절단된 상태로 창틀 또는 창짝에 조립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7a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가 창틀에 조립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b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가 창짝에 조립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리받침대 2 : 창틀
3 : 창짝 4 : 유리삽입홈
5 : 유리 10 : 상판
11 : 삼각돌기 12 : 가이드돌기
13 : 요철부 20 : 하판
21 : 인입부 22 : 이동구간
23 : 돌기 24 : 삼각홈
25 : 미세절단홈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합성수지 창호 및 알루미늄 창호의 창틀 및 창짝의 유리삽입홈에 끼워져 유리를 안전하게 떠받치고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유리의 처짐 및 유동을 방지하는 유리받침대에 있어서; 상판과 하판의 조립구조로 형성하되, 상판은 저면에 일측으로 경사지며 하면에 삼각돌기를 다수개 연속적으로 형성하며, 하판은 상면에 상판 하면과 대칭되게 경사지고 삼각돌기에 대응되는 삼각홈을 다수개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상판과 하판이 조립된 유리받침대의 하판으로부터 일측방향으로 중앙에 미세절단홈이 형성된 연결부위를 형성하고 미세절단홈을 대칭으로 또 하나의 유리받침대를 형성하여 조립위치에 따라 유리받침대를 수직으로 연결된 상태로 사용하거나 또는 유리받침대의 미세절단홈을 잘라서 절단된 상태로 사용하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상판은 하판에 조립 및 이동이 가능하도록 걸림구조를 갖는 가이드돌기를 형성하고 하판 중앙의 외측단에 상판의 가이드돌기가 삽입되는 인입부를 형성하며 인입부 선단에서 내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판의 가이드돌기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이동구간이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고안의 실시예가 창틀에 조립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2b는 본 고안의 실시예가 창짝에 조립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3a는 본 고안 실시예의 상판을 하향조정한 정면도이며, 도 3b는 본 고안 실시예의 상판을 상향조정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대칭을 이루는 유리받침대를 수직으로 세운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5a는 본 고안의 실시예가 연결된 상태로 창틀 또는 창짝에 조립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5b는 본 고안의 실시예가 절단된 상태로 창틀 또는 창짝에 조립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7a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가 창틀에 조립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7b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가 창짝에 조립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두개의 유리받침대(1)가 미세절단홈(25)을 중심으로 대칭되어 있고, 오른쪽의 유리받침대(1)가 분리된 모습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유리받침대(1)의 상판(10)은 하판(20)에 조립 및 이동이 가능하도록 걸림구조를 갖는 가이드돌기(12)를 형성하고, 상판(10)의 이동에 따라 높이가 조절이 되도록 하부에 기울기를 형성하며, 상판(10)은 하부 좌우측에 이동시 미끌어지지 않고 정지시에 고정을 해주게 하는 삼각돌기(11)가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유리받침대(1)의 하판(20)은 양측단에 유리받침대(1) 상판(10)의 삼각돌기(11)와 맞물리는 삼각홈(24)가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판(10)의 가이드돌기(12)를 하판(20) 중앙의 외측단에 있는 인입부(21)에 삽입해서 이동구간(22)으로 움직임으로써 사용시 미세하게 유리받침대(1)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판(10)의 걸림구조를 갖는 가이드돌기(12)가 조립 및 이동이 가능하도록 조립부을 생성하되, 좌우측에 일정폭만큼 이격시켜 상판(10)의 이탈을 방지하며, 인입부(21)는 가이드돌기(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이동구간(22)은 가이드돌기(12)의 작은 폭만큼의 여유를 주어 상판(10)의 이동이 자유롭되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하판(20)의 상부는 상판(10)의 하부 기울기와 대칭으로 제작하되 상판(10)의 하부에 형성한 삼각돌기(11)와 맞물릴 수 있도록 삼각돌기(11)를 형성하여 상판(10)과 쉽게 미끌리지 않도록 한다.
본 고안은 한 개의 유리받침대(1) 하판(20)으로부터 일측방향으로 중앙에 미세절단홈(25)이 형성된 연결부위를 형성하고 미세절단홈(25)을 대칭으로 또 하나의 유리받침대(1)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a와 제 2b도는 창틀(2)과 창짝(3)에 각각 유리받침대(1)를 삽입한 단면도이다.
도 3a는 하판(10)과 상판(20)의 대칭되는 기울기로 인해 좌우 이동시 높낮이를 조절해 주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하향시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3b는 하판(10)과 상판(20)의 대칭되는 기울기로 인해 좌우 이동시 높낮이를 조절해 주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향시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a는 유리받침대(1)를 창호의 모서리부에 조립시에 유리받침대(1) 중간측의 미세절단홈(25)을 중심으로 하나의 유리받침대(1)를 수직으로 세워 삽입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창호의 모서리부에서 일정간격으로 대칭을 이루는 유리받침대를 적용하여 조립시 정확한 위치 안정된 조립위치를 확보하고 작업성를 향상시킬수 있다.
도 5b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로 유리받침대(1)를 창호의 모서리부에 조립 미세절단홈(25)을 꺽거나 칼이나 가위등의 도구로 절단해서 절단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로, 상판의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요철부(13)을 형성하여, 상판(10)에서의 유리(5)의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도 7a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 창틀 및 창짝에 조립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하판(20)의 좌우측 일측에 돌기(23)을 형성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 및 결착성을 부여하여 유리받침대(1) 자체의 유동성을 방지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합성수지 창호 및 알루미늄 창호의 창틀(2) 및 창짝(3) 유리삽입홈(4)에 끼워져 유리(5)를 안전하게 떠받쳐 유리삽입홈(4) 바닥부에서 유리(5)에 직접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켜 유리(5)가 깨지는 것을 방지하여 유리삽입홈 바닥부에서 유리(5)에 직접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켜 유리(5)가 깨지는 것을 방지하여 유리(5)의 안전성을 도모함과 동시에 높이 조절 기능을 겸비해 유리삽입홈(4)과 유리(5)의 치수차이에 따른 유리(5)의 처짐 및 유동을 방지한다.
또한, 상판(10)과 하판(20)의 조립구조를 채택하여 하부에 일정 기울기를 갖는 상판(10)의 이동에 따라 높이가 조절이 되어 유리(5) 절단 오차에 따른 유리삽입홈(4)와 유리(5)와의 틈을 막아주어 유리(5)의 처짐 및 유동을 방지하며 바람직하기로는 상판(10)의 상부에 요철부를 형성하여 상판(10)에서의 유리(5)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하판(20)의 상부는 상판(10)의 하부 기울기와 대칭을 이루도록 하고 바람직하게는 좌우측 일측에 돌기(23)를 형성하여 작업성 향상 및 결착성을 부여하여 유리받침대(1) 자체의 유동을 방지 할 수도 있다.
또한 한 개의 유리받침대(1) 하판(20)으로부터 일측방향으로 중앙에 미세절단홈(25)이 형성된 연결부위를 형성하고 미세절단홈(25)을 대칭으로 또 하나의 유리받침대(1)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연결된 상태 또는 미세절단홈(25)부위가 절단이 가능하여 잘라서 절단된 상태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상판과 하판의 조립구조로 되어, 이동에 따라 높이가 조절이 되어 유리 제작오차에 따른 틈을 막아주고 유리를 안전하게 받칠 수 있도록 하며 상판에서 유리의 미끄러움을 방지하기위해 상부에 요철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하판의 상부는 상판하부 기울기와 대칭을 이루도록하고 하판의 좌우측 일측에 돌기를 형성하여 삽입의 용이성과 함께 결착성을 부여하여 유리받침대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하며, 한 개의 유리받침대로도 형성할 수 있으며 조립위치에 따라 이를 수직으로 연결된 상태 또는 유리받침대의 미세절단홈을 잘라서 절단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합성수지 창호 및 알루미늄 창호의 창틀(2) 및 창짝(3)의 유리삽입홈(4)에 끼워져 유리(5)를 안전하게 떠받치고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유리(5)의 처짐 및 유동을 방지하는 유리받침대(1)에 있어서;
    상판(10)과 하판(20)의 조립구조로 형성하되, 상판(10)은 하면에 일측으로 경사지며 삼각돌기(11)를 다수개 연속적으로 형성하고, 하판(20)은 상면에 상판(10) 하면과 대칭되게 경사지고 삼각돌기(11)에 대응되는 삼각홈(24)을 다수개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창호용 유리받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0)은 하면에 조립 및 이동이 가능하도록 걸림구조를 갖는 가이드돌기(12)를 형성하고 하판(20) 중앙의 외측단에 상판(10)의 가이드돌기(12)가 삽입되는 인입부(21)를 형성하며 인입부(21) 선단에서 내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판(10)의 가이드돌기(12)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이동구간(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창호용 유리받침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0)은 유리(5)와의 접촉면에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요철부(1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창호용 유리받침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10)은 결착성 향상을 좌우측 전후방에 돌기(2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창호용 유리받침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0)과 하판(20)이 조립된 유리받침대(1)의 하판(20)으로부터 일측방향으로 중앙에 미세절단홈(25)이 형성된 연결부위를 형성하고 미세절단홈(25)을 대칭으로 또 하나의 유리받침대(1)를 형성하여 조립위치에 따라 유리받침대(1)를 수직으로 연결된 상태로 사용하거나 또는 유리받침대(1)의 미세절단홈(25)을 잘라서 절단된 상태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창호용 유리받침대.
KR20-2004-0014714U 2004-05-27 2004-05-27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창호용 유리받침대 KR2003605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714U KR200360508Y1 (ko) 2004-05-27 2004-05-27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창호용 유리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714U KR200360508Y1 (ko) 2004-05-27 2004-05-27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창호용 유리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0508Y1 true KR200360508Y1 (ko) 2004-08-31

Family

ID=49436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4714U KR200360508Y1 (ko) 2004-05-27 2004-05-27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창호용 유리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050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447B1 (ko) 2005-06-10 2007-05-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조립식 창호
KR101508415B1 (ko) 2012-09-25 2015-04-07 (주)엘지하우시스 창짝의 유리 장착위치 설정용 지그
KR20180047960A (ko) 2016-11-02 2018-05-10 주식회사 더존시스템 유리 받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리 시공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447B1 (ko) 2005-06-10 2007-05-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조립식 창호
KR101508415B1 (ko) 2012-09-25 2015-04-07 (주)엘지하우시스 창짝의 유리 장착위치 설정용 지그
KR20180047960A (ko) 2016-11-02 2018-05-10 주식회사 더존시스템 유리 받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리 시공 방법
KR101866536B1 (ko) 2016-11-02 2018-06-11 주식회사 더존시스템 유리 받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리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4528B2 (en) End cap for a rail for a window covering
US10125488B2 (en) Building panel with a mechanical locking system
ES2628220T3 (es) Panel interconectable con paneles similares para formar una cubierta
CN110453881B (zh) 具有机械锁定系统的建筑面板
BE1020433A3 (nl) Paneel.
KR102149416B1 (ko) 빌딩 패널용 기계식 잠금 시스템의 제조 방법
US7980041B2 (en) Mechanical locking system for floor panels
CN103703197B (zh) 建筑镶板
MXPA02008741A (es) Conexion mecanica de panel.
EP3702549A1 (en) Mechanical locking system for floor panels
CN103732841A (zh) 用于地板镶板的机械锁定系统
RU2622945C2 (ru) Строительная панель с механической замковой системой
CZ20022987A3 (cs) Mechanické spojení panelů
CA2942620A1 (en) Doorsill
KR200360508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창호용 유리받침대
CN1846575A (zh) 窗帘导轨滑动头
JP5085884B2 (ja) ふかし枠、及び、建具
US20110005154A1 (en) Muntin Clip
JP6504932B2 (ja) 端部キャップとレールの取付構造
KR102488499B1 (ko) 조립식 간살이 설치된 도어
TWI615540B (zh) 上樑的安裝托架
JP4749883B2 (ja) 建具枠材の取付構造
US20240125171A1 (en) Window blind support assembly
JP5622224B2 (ja) 敷居レール
EP3081734B1 (en) End cap for a rail for a window cove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