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0380Y1 - 창틀 - Google Patents

창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0380Y1
KR200360380Y1 KR20-2004-0014474U KR20040014474U KR200360380Y1 KR 200360380 Y1 KR200360380 Y1 KR 200360380Y1 KR 20040014474 U KR20040014474 U KR 20040014474U KR 200360380 Y1 KR200360380 Y1 KR 2003603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plates
frame member
ben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44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태
Original Assignee
이진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태 filed Critical 이진태
Priority to KR20-2004-00144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03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03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03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45Mitre joints
    • E06B3/9646Mitre joints using two similar connecting pieces each connected with one or the frame members and drawn together at the j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주요구성은, 창틀을 이루는 다수개의 창틀부재와, 상기 창틀부재의 모서리부분의 외측 양면에 설치되는 제1·제2플레이트와, 상기 제1·제2플레이트를 결합하여 창틀부재를 고정시키는 체결나사로 이루어진 통상의 창틀에 있어서, 내측으로 절곡된 다수개의 절곡편에 각각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절곡편의 상부에 체결공과 중심이 일치되도록 각각 통공이 형성된 제1·제2플레이트와; 상기 제1·제2플레이트에 의해 결합되는 각각의 창틀부재에 절곡편이 삽입되는 삽입공과, 통공과 대응위치하는 관통공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창틀을 구성하는 창틀부재를 결합할 때 작업환경에 따라 어느 방향에서든 용이하게 나사체결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되어 작업시간을 단축시킴은 물론 이에 따르는 비용의 절감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창틀{A Window Frame}
본 고안은 창틀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직각으로 맞대어 있는 창틀부재의 외측면에 제1·제2플레이트를 부착하고 이를 나사체결하여 창틀부재를 견고하게 결합시킬 때, 상기 나사체결 방향을 작업환경에 따라 제1·제2플레이트 중 선택하여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제1·제2플레이트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하는 창틀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파트 베란다의 샤사나 창문, 기타 건물의 창호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미리 크기를 맞추어 형성한 창호용 개구부에 창틀을 장착하여 시공하게 된다.
이러한 창틀 제품으로 많이 사용되는 것은 PVC와 같은 합성수지제품으로, 소정의 단면형태로 압출성형한 창틀부재를 원하는 규격의 사각형 프레임으로 조립하여 사용한다.
이때, 소형 창틀은 공장에서 사각프레임 형태로 용접 또는 조립하여 현장으로 운반하여 시공하지만, 베란다 샤시와 PVC 거실문틀 같은 대형 창틀은 운반상의 어려움이나 운반시 파손우려 등으로 인해 현장에서 조립하여 시공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창틀을 설치하는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면과 같이 창틀(1)은, 경사단부(3)가 형성된 다수개의 창틀부재(2)와, 상기 창틀부재(2)의 모서리부(4)의 외측 양면에 설치되는 제1·제2플레이트(10)(20)와, 상기 인접하는 제1·제2플레이트(10)(20)를 결합하여 창틀부재(2)를 고정시키는 체결나사(30)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창틀(1)의 크기에 맞추어 창틀부재(2)를 제작하게 되는 바, 공장에서 PVC 프레임을 직각으로 제작한 후 상기 프레임의 좌우끝단부를 45°절단하여 창틀부재(2)를 제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창틀부재(2)에 개공기를 이용하여 제1·제2플레이트(10)(20)를 결합시킬 수 있는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창틀부재(2)의 외측면에 대응하는 제1·제2플레이트(10)(20)를 각각 위치시킨 후 각각 부착나사로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창틀부재를 현장까지 운송한 후 창틀부재(2)의 경사단부(3)를 맞대고 제1·제2플레이트(10)(20)를 관통하여 체결나사(30)를 체결하면 양 창틀부재(2)가 견고하게 조립되며, 이와같이 순차적으로 창틀부재(2)를 조립하면 창틀(1)이 완성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즈음에는, 창틀(1)의 크기를 창틀이 설치될 벽면의 크기와 거의 동일한 크기로 형성하므로, 도면상 상·하부에서 체결나사(30)를 결합시키는 나사체결 작업은 용이하나, 그 측면에서의 나사체결 작업은 매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작업자들은 상·하부로 나사체결 작업을 한 상태에서 한쪽 창틀(1)을 45°정도 들어서 그 측면에 나사체결 작업을 하고, 다시 이동하여 다른쪽 창틀(1)을 45°정도 들어서 나사체결 작업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나사체결 작업을 한번에 이루어야 창틀(1)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있으므로, 상·하부로 나사체결 작업을 하고 측면의 나사체결 작업을 한 후 다시 상·하부의 나사체결 작업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창틀부재(2)를 견고하게 결합시키는데 세번의 나사체결 작업이 각 모서리부(4)에서 이루어져야 하므로, 그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작업성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작업자가 힘들거나 시간에 쫓기다 보면 다시한번 상·하부의 나사체결 작업을 삭제하고 창틀(1)을 설치하게 되어, 창틀(1)이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므로 조립부분에 틈새가 많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틈새가 발생함은 창틀(1)의 수직·수평이 정확하게 맞지 않았다는 것을 뜻하므로, 이에따라 미관을 해치고 창틀(1)에 뒤틀림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창문을 열고 닫는데 문제가 발생하므로 하자발생에 따라 보수작업을 요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선등록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30507호의 "창틀"에 개시된 내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종래 창틀을 조립하는 구성을 보인 요부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종래 창틀의 조립된 상태를 보인 요부단면도이다.
도면과 같이 모든 창틀부재(2)의 모서리부(4)는 45°로 절단된 경사단부(3)가 형성되고, 양 창틀부재(2)의 경사단부(3)를 서로 맞대어 직각으로 프레임을 구성하며, 상기 모서리부(4)의 외측면에 제1·제2플레이트(10)(20)를 각각 부착시킨다.
이때, 상기 제1플레이트(10)에는 내향절곡되고 체결공(12)이 형성된 절곡편(11)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20)에는 제1플레이트(10)의 체결공(12)과 중심이 일치되도록 통공(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플레이트(10)가 부착되는 창틀부재(2)에는 절곡편(11)과 대응위치하는 삽입공(6)이 형성되어, 상기 절곡편(11)이 창틀부재(2)의 삽입공(6)으로 삽입하며 제1플레이트(10)가 창틀부재(2)에 부착된다.
또한, 상기 제2플레이트(20)가 부착되는 창틀부재(2)에는 통공(21)과 대응위치하는 관통공(5)이 형성되어, 통공(21)과 관통공(5)이 일치되며 제2플레이트(20)가 창틀부재(2)에 부착된다.
이때, 상기 통공(21)에는 체결나사(30)의 머리부가 은폐되도록 하향 돌출되어 있고, 상기 돌출된 부분과 일치되도록 관통공(5)이 형성되어 있어 제2플레이트(20)가 창틀부재(2)에 부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제2플레이트(10)(20)는 각각 통공(21)과 절곡편(11)에 의해 창틀부재(2)에 부착된 후 다수개의 부착나사(31)에 의해 체결되어 견고하게 부착된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창틀부재(2)에 제1·제2플레이트(10)(20)를 부착시킨 후 제2플레이트(20)의 통공(21)으로 체결나사(30)를 삽입하게 되면, 상기 체결나사(30)는 제1플레이트(10)의 절곡편(11)에 형성된 체결공(12)을 통과하며 나사체결되므로, 제1·제2플레이트(10)(20)를 견고하게 고정시킴과 아울러 양 창틀부재(2)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창틀(1)은 일방향에서 작업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창틀(1)의 모서리부(4)의 작업이 한번에 이루어져 여러번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지만, 각 모서리부(4)에 나사체결 작업을 진행함에 있어, 종래와 같이 상·하부는 작업이 쉬우나 좌·우측은 작업이 어려워 창틀(1)을 45°정도 들어서 작업을 해야하는 동일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도 4는 종래 창틀을 설치하는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즉, 도면과 같이 상기 창틀을 이루는 창틀부재의 양 외측면에는 제1·제2플레이트가 부착되는 바, 예를 들어 하나의 창틀부재의 상측에는 제1플레이트가 부착되었다면, 하측에는 제2플레이트가 부착된다.
상기와 같이 창틀부재에 제1·제2플레이트가 각각 부착된 상태에서 제1·제2플레이트를 서로 대응 결합하여 창틀부재로 창틀을 형성하게 되는바, 이에 따라 2방향의 나사체결 작업은 용이하지만, 나머지 2방향의 나사체결 작업은 공간을 협소로 인해 작업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플레이트 방향에서 나사체결 작업을 진행하게 되면, 창틀(1)의 우측상단과 좌측하단은 나사체결 작업이 용이하지만, 우측하단과 좌측상단은 그 측면에서의 나사체결 작업으로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에, 작업자들은 창틀의 우측상단과 좌측하단의 나사체결 작업을 완료한 후 창틀(1)을 45°정도 세워서 우측하단과 좌측상단의 나사체결 작업을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창틀의 하나의 모서리부의 나사체결 작업이 한번에 이루어져 매우 편리한 부분이 있다 하겠으나, 측면에서 나사체결 작업을 진행하게 되어 그 불편함에 따른 작업성이 떨어지고, 그 작업시간 또한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창틀(1)을 한 가구나 두 가구 정도의 소량을 설치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된다고 할 수 없으나, 아파트와 같은 대형건물에 많은 수의 창틀(1)을 설치할 때에는 상기와 같은 작업량에 따라 엄청난 시간과 인력이 투입되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창틀(1)을 설치하는 작업시간이 많이 필요하게 되므로 인력과 작업시간에 따르는 비용이 발생되어 창틀(1)을 설치하는 회사는 창틀(1)을 설치함에 따라 얻게되는 이익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상기 창틀(1)을 설치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아파트를 건축하는 회사의 작업공정이나 준공일이 늦어지게 되고, 이에 따르는 비용도 상당히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고안은 상기된 단점 및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창틀을 구성하는 창틀부재를 결합할 때 작업환경에 따라 어느 방향에서든 용이하게 나사체결 작업을 하여 작업시간을 단축시킴은 물론 정확하고 견고한 시공을 할 수 있고, 이에 따르는 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창틀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창틀부재의 상·하·좌·우의 위치에 상관없이 창틀부재를 가공할 수 있도록 하여 창틀부재를 편리하게 가공함과 동시에 가공시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있다.
본 고안의 목적과 부수되는 많은 효과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창틀을 설치하는 구성을 보인 도면,
도 2는 종래 창틀을 조립하는 구성을 보인 요부분해사시도,
도 3은 종래 창틀의 조립된 상태를 보인 요부단면도,
도 4는 종래 창틀을 설치하는 구성을 보인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창틀을 조립하는 구성을 보인 요부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창틀의 조립된 상태를 보인 요부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라 창틀을 설치한 구성을 보인 도면,
도 8a와 도 8b는 본 고안에 따른 플레이트의 절곡편에 형성된 리브와 브이홈을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플레이트에 형성된 리브를 보인 요부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라 창틀에 플레이트를 조립한 상태의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창틀 2 - 창틀부재
110 - 제1플레이트 120 - 제2플레이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창틀을 이루는 다수개의 창틀부재와, 상기 창틀부재의 모서리부분의 외측 양면에 설치되는 제1·제2플레이트와, 상기 제1·제2플레이트를 결합하여 창틀부재를 고정시키는 체결나사로 이루어진 통상의 창틀에 있어서, 내측으로 절곡된 다수개의 절곡편에 각각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절곡편의 상부에 체결공과 중심이 일치되도록 각각 통공이 형성된 제1·제2플레이트와; 상기 제1·제2플레이트에 의해 결합되는 각각의 창틀부재에 절곡편이 삽입되는 삽입공과, 통공과 대응위치하는 관통공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제2플레이트의 자체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다수개의 리브를 더 형성시키고, 상기 제1·제2플레이트의 각각의 절곡편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절곡편의 절곡부위에 브이홈리브를 형성하며, 절곡편에도 리브를 더 형성시킨다.
또한, 상기 제1·제2플레이트로 창틀부재를 결합시킬 때 창틀부재의 양측 끝단부를 가압하여 그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1·제2플레이트의 양측 끝단부에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가압부를 더 형성시킴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 특징이 적용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창틀을 조립하는 구성을 보인 요부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창틀의 조립된 상태를 보인 요부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에 경사단부(3)가 형성된 창틀부재(2)에는 각각 관통공(5)과 삽입공(6)이 형성되고, 상기 창틀부재(2)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제1·제2플레이트(110)(120)에는 각각 통공(123)과 절곡편(11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창틀부재(2)와 제1·제2플레이트(110(120)에 각각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관통공(5)과 삽입공(6) 및 통공(123)과 절곡편(111)은 동일한 중심선상에 형성되고, 상기 절곡편(111)에는 통공(123) 및 관통공(5)과 동일한 중심선상에 체결공(11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양 창틀부재(2)의 경사단부(3)를 맞대고, 그 모서리부(4)의 양 외측면에 관통공(5)으로 통공(123)을 삽입시키고, 삽입공(6)으로 절곡편(111)을 삽입시키며 제1·제2플레이트(110)(120)를 창틀부재(2)에 부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1·제2플레이트(110)(120)는 부착나사(31)를 결합시켜 각 창틀부재(2)에 더욱 견고하게 부착시킨다.
상기 제1·제2플레이트(110(120)를 창틀부재(2)에 부착시킨 후 작업자는 작업환경에 맞도록 제1플레이트(110)의 나사체결 방향이나 제2플레이트(120)의 나사체결 방향을 선택하여 편리한 작업방향에서 나사체결 작업을 하게 된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라 창틀을 설치한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즉, 종래에는 제1 또는 제2플레이트의 정해진 방향에서만 나사체결 작업을 진행하게 되어 문제가 발생하였으나, 본 고안에서는 제1 또는 제2플레이트 중 작업환경에 맞도록 작업자가 현장에서 직접 선택하여 나사체결 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어떠한 작업환경이라도 나사체결 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편리한 방향에서 나사체결 작업을 하게 되는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플레이트(120)의 나사체결 방향을 예로들어 설명하면, 체결나사(30)를 제2플레이트(120)의 통공(123)을 관통시켜 창틀부재(2)의 관통공(5)으로 삽입시킨다.
그리고, 상기 통공(123)과 창틀부재(2)의 관통공(5)을 통과한 체결나사(30)는 제1플레이트(110)의 절곡편(111)의 체결공(112)과 접하게 되고, 이에 체결나사(30)를 조여주면 체결나사(30)와 체결공(112)이 나사체결되며 제1플레이트(110)와 제2플레이트(120)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의 작업을 반복하게 되면 제1플레이트(110)와 제2플레이트(120)가 견고하게 결합하며, 접해있는 창틀부재(2)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도 8a와 도 8b는 본 고안에 따른 플레이트의 절곡편에 형성된 리브와 브이홈을 나타낸 요부단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플레이트에 형성된 리브를 보인 요부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제2플레이트(110)(120)의 중앙에는 그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리브(114)(124)가 형성되어 자체강도가 보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절곡편(111)(121)의 절곡 부분에는 브이홈(111a)(121a)이, 절곡편(111)(121)에는 리브(111b)(121b)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체결나사(30)와 절곡편(111)(121)의 체결공(112)(122)과의 나사체결시 안정된 나사체결이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절곡편(11)의 강도를 보강시키는 구조가 없으므로, 나사체결 작업시 체결나사(30)에 의해 절곡편(11)이 밀리며 꺽어져 안정된 나사체결 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라 창틀에 플레이트를 조립한 상태의 평단면도이다.
도면과 같이 제1·제2플레이트(110)(120)의 양 측단부에는 내측으로 꺽여진 가압부(115)(125)가 형성되어 체결나사(30)에 의해 제1·제2플레이트(110(120)가 결합시 창틀부재(2)의 양 측단부를 가압하며 결합하게 되어, 창틀부재(2)의 결합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 창틀에 관하여, 본 고안의 범주 내에서 각 부품들의 여러 가지 설계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본 고안은, 창틀을 구성하는 창틀부재를 결합할 때 작업환경에 따라 어느 방향에서든 용이하게 나사체결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되어 작업시간을 단축시킴은 물론 견고한 나사체결 작업에 의해 하자가 없는 시공을 하므로 이에 따르는 비용의 절감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나사체결 방향에 따라 종래에는 각 창틀부재에 삽입공 또는 관통공을 정하여 형성하게 되므로 그 작업에 많은 신경을 집중시켜 작업효율이 많이 떨어지게 되었으나, 본 고안에서는 나사체결 방향을 현장에서 직접 선택하여 진행할 수 있으므로, 창틀부재를 가공할 때 동일하게 가공함에 따라 종래와 같이 많은 신경을 집중시킬 필요가 없어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창틀의 형상이 정사각형이든, 직사각형으로 세우거나 눕혀서 설치되든, 어떠한 형상으로 어떻게 설치되어도 창틀부재를 모두 동일하게 제작하게 되어 제작효율이 향상될 뿐 아니라, 창틀의 설치작업도 환경에 따라 작업자가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은 물론 이에 따르는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제1·제2플레이트와 각각의 절곡편에 강도를 보강하는 리브와 브이홈이 형성되어 작업도중 휘어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충격에도 쉽게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보수작업이 필요없어지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종래에는 제1·제2플레이트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철판의 두께를 더 두껍게 하였으나, 본 고안에서는 다수개의 리브만 더 형성하면 되므로, 종래와 같이 두껍게 철판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원가 절감에도 큰 도움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이 편리해져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창틀부재를 가공하는 시간도 단축됨과 아울러 보수작업이 필요없어지므로 이에 따르는 비용을 최대한 절감시킬수 있는 큰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4)

  1. 창틀을 이루는 다수개의 창틀부재와, 상기 창틀부재의 모서리부의 외측 양면에 설치되는 제1·제2플레이트와, 상기 제1·제2플레이트를 결합하여 창틀부재를 고정시키는 체결나사로 이루어진 통상의 창틀에 있어서,
    내측으로 절곡된 다수개의 절곡편(111)(121)에 각각 체결공(112)(122)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절곡편(111)(121)의 상부에 체결공(112)(122)과 중심이 일치되도록 각각 통공(113)(123)이 형성된 제1·제2플레이트(110)(120)와;
    상기 제1·제2플레이트(110)(120)에 의해 결합되는 각각의 창틀부재(2)에 절곡편(111)(121)이 삽입되는 삽입공(6)과, 통공(113)(123)과 대응위치하는 관통공(5)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플레이트(110)(120)의 자체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다수개의 리브(114)를 더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플레이트(110)(120)의 각각의 절곡편(111)(121)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절곡편(111)(121)의 절곡부위에 브이홈(111a)(121a)를 형성하고, 절곡편(111)(121)에도 리브(111b)(121b)를 더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플레이트(110)(120)로 창틀부재(2)를 결합시킬 때 창틀부재(2)의 양측 끝단부를 가압하여 그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1·제2플레이트(110)(120)의 양측 끝단부에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가압부(115)(125)를 더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KR20-2004-0014474U 2004-05-25 2004-05-25 창틀 KR2003603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474U KR200360380Y1 (ko) 2004-05-25 2004-05-25 창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474U KR200360380Y1 (ko) 2004-05-25 2004-05-25 창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0380Y1 true KR200360380Y1 (ko) 2004-08-31

Family

ID=49436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4474U KR200360380Y1 (ko) 2004-05-25 2004-05-25 창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038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748B1 (ko) * 2010-12-30 2013-03-14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개보수용 창틀 조립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748B1 (ko) * 2010-12-30 2013-03-14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개보수용 창틀 조립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61334C (en) A joint frame for the frames of doors and windows
JP3059769U (ja) 間仕切り壁材
KR101218261B1 (ko) 레일 탈부착식 창호프레임
KR200439125Y1 (ko) 창틀용 연결브라켓
KR20070093242A (ko) 창짝 프레임의 모서리 결합장치
KR200360380Y1 (ko) 창틀
KR200396804Y1 (ko) 바닥재용 조립데크
JP2021055465A (ja) 水平構面補強プレートおよび水平構面補強構造
KR200404846Y1 (ko) 창틀골재의 모서리 결합장치
KR200321084Y1 (ko) 유로 폼 패널의 보강구조
KR200370277Y1 (ko) 비규격 콘크리트 거푸집 설치용 판넬고정구
CN213775086U (zh) 一种便于组装的木门
KR20120107604A (ko) 목재창호틀
JP3129499U (ja) ドア枠ユニット構造
JP2596799Y2 (ja) 複合窓サッシの構造
CN209762696U (zh) 一种框剪式组合型材
KR200393500Y1 (ko) 창틀용 결합부재
JP4056950B2 (ja) サッシ窓枠の固定金具及び固定方法
KR200362219Y1 (ko) 창틀골재의 모서리 결합장치
JP2018123601A (ja) 間仕切り用パネル
KR200269691Y1 (ko) 조립식 문틀
JP2601641Y2 (ja) 床パネル構造
KR200213061Y1 (ko) 창틀
KR200350084Y1 (ko) 유리 및 살문고정대 적용 창틀
KR200399972Y1 (ko) 창틀 연결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