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9582Y1 - 자동판매기의 제품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의 제품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9582Y1
KR200359582Y1 KR20-2004-0013990U KR20040013990U KR200359582Y1 KR 200359582 Y1 KR200359582 Y1 KR 200359582Y1 KR 20040013990 U KR20040013990 U KR 20040013990U KR 200359582 Y1 KR200359582 Y1 KR 2003595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locker
vending machine
mounting table
produ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39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봉훈
Original Assignee
정봉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봉훈 filed Critical 정봉훈
Priority to KR20-2004-00139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95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95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95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 G07F11/5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being rotatably mount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 G07F11/5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articles being supported on or by endless belts or like conveyo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판매제품을 손상 없이 양질의 상태로 공급할 수 있도록 개량된 자동 판매기의 제품공급장치에 대해 개시한다. 이 장치는 자판기본체(10)내에 일정간격으로 고정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측판(251)(252)과, 각각 측판(251)(252) 사이에 고정된 제1샤프트(242)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제품(300)이 일측에 안착되며 상하로 일정간격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적재대(210)와, 복수의 적재대(210)의 각 일측이 출입가능하도록 파지하여 각각 수평위치로 유지시키며 한 쌍의 측판(251)(252)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록커(220)와, 제품의 자중에 의해서 적재대(210)가 경사위치로 회동되도록 록커(220)를 적재대(210)로부터 분리시키는 연동수단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장치는 복수의 적재대에 의해서 일정량의 제품을 각각 안착보관하여 판매함으로써, 종래에서와 같이 제품들을 적층하여 보관한 상태에서 제품이 취출되는 구조와는 달리, 저장된 판매과일을 손상 없이 고품질 상태로 공급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일정크기의 적재대에 제품들을 각기 안착하여 공급함으로써, 적재대의 크기 범위 내에서 판매하고자하는 제품의 크기에 관계없이 자동판매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자동판매기의 제품공급장치{goods supply apparatus of automatic vending machine}
본 고안은 자동 판매기의 제품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판매제품을손상 없이 양질의 상태로 공급할 수 있도록 개량된 자동 판매기의 제품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판매기는 제품을 본체 내에 제품을 저장하여서 소비자가 제품가격에 해당하는 금액을 투입하고 원하는 메뉴선택버튼을 조작함으로써 판매자 없이도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통상의 자동판매기는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17387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긴 한 몸체의 저장통 내에 제품을 적층하여 수납 저장시킴으로써 제품간의 접촉마찰로 인하여 제품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제품이 과일인 경우에는 접촉마찰 및 가압에 의해 심하게 상하게 되며 손상된 제품을 구입하게 됨으로써 구매자로 하여금 장치의 신뢰도를 저하시킨다.
또한, 적층된 제품들로부터 낱개씩 제품이 취출되도록 하기 위하여는 별도의 취출장치가 요구되므로 구조적으로 복잡하다.
또한, 저장통은 과일의 크기에 따라 교환하여야 하므로 번거롭다. 즉, 크기가 다른 방울토마토, 사과 또는 귤 등을 판매하기 위하여는 선택된 과일의 크기에 따라 적정한 크기의 저장통으로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
첫째, 저장된 판매제품을 손상 없이 고품질 상태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자동 판매기의 제품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셋째, 판매하고자하는 제품의 크기에 관계없이 자동판매가 가능한 자동판매기의 제품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 제품공급장치를 채용하는 자동판매기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자동판매기의 내/외부도어가 열린 상태의 개략 평면도,
도 3은 자동판매기의 자판기본체의 개략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 제품공급장치의 요부 작동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요부 발췌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자판기본체 20...외부도어
30...내부도어 43...증발기
44...송풍팬 203...체인
204,205...연동롤러 210...적재대
220...록커 300...제품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은 자판기본체내에 수납된 제품들로부터 투입된 금액에 따라 일정량씩 제품을 공급하는 자동판매기의 제품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판기본체내에 일정간격으로 고정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측판과,
각각 상기 측판 사이에 고정된 제1샤프트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제품이 일측에 안착되며 상하로 일정간격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적재대와,
상기 복수의 적재대의 각 일측이 출입가능하도록 파지하여 각각 수평위치로 유지시키며 상기 한 쌍의 측판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록커와,
상기 제품의 자중에 의해서 상기 적재대가 경사위치로 회동되도록 상기 록커를 상기 적재대로부터 분리시키는 연동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동수단은, 상기 록커는 일측에 상기 적재대의 단부가 헐겁게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타측에 연동턱이 형성되며 상기 측판 사이에 고정된 제2샤프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샤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록커를 상기 적재대의 회전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토오션스프링과, 일단이 록커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1샤프트에 연결되어 상기 적재대를 수평상태로 유지시키는 탄성력이 작용하는 스프링과, 상기 자판기본체내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모터의 동력으로 무한궤도로 순환되는 체인과, 상기 체인에 고정되어 함께 순환되며 상기 록커의 연동턱을 연동하여 회동시키는 연동롤러를 구비한다.
또한, 본 고안 제품공급장치에는 상기 최상부의 적재대의 회동경로상에 적재대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스위치가 더 구비되어서, 판매제품이 매진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적재대의 상면에는 제품을 올려 놓을 때에 후방으로 과도하게 진입되어 낙하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이탈방지턱이 형성된다.
상기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 자동판매기의 제품공급장치는 저장된 판매제품들이 각각 적재대에 안착된 상태로 공급되므로 제품 손상 없이 고품질 상태로 공급할 수 있으며, 적재대의 크기 내에서 판매하고자하는 제품의 크기에 관계없이 자동판매가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 실시예의 제품공급장치가 채용된 자동판매기를 나타낸 도 1 내 지 도 5를 참조하면, 이는 제품(300)이 수용되는 자판기본체(10)와, 상기 자판기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낙하되는 제품이 통과되는 관통구(31)가 형성된 내부도어(30)와, 상기 자판기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관통구(31)를 통과한 제품이 수납되는 수납부(28)와 제품취출구(27)가 형성된 외부도어(20)와, 상기 자판기본체(10)내에 일정간격으로 고정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측판(251)(252)과, 각각 상기 측판(251)(252) 사이에 고정된 제1샤프트(242)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제품(300)이 일측에 안착되며 상하로 일정간격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적재대(210)와, 상기 복수의 적재대(210)의 각 일측을 파지하여 각각수평위치로 유지시키며 상기 한 쌍의 측판(251)(252)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록커(220)와, 상기 제품의 자중에 의해서 상기 적재대(210)가 경사위치로 회동되도록 상기 록커(220)를 상기 적재대(210)로부터 분리시키는 연동수단과, 상기 자판기본체(10)내부에 마련되어 냉기를 상기 적재대(210)에 적재된 제품(300)에 송풍시키는 냉기공급수단을 구비한다.
본 고안 실시예의 제품공급장치에 적용되는 제품으로는 방울토마토, 딸기 등의 과일이 적용될 수 있는 바, 이 경우 포장용기에 포장된 상태로 각 적재대(210)에 안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외부도어(20)의 전면에는 동전투입구(24) 및 지폐투입구(23)가 마련되어 있고, 구입하고자 하는 제품의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선택버튼(22) 및 잔돈을 반환 받을 수 있는 동전배출부(26)가 마련되어 있다.
외부도어(20)의 전면 중앙 상부에는 판매하는 제품의 종류를 나타내는 전시대(21)가 설치되어 있고, 하단에는 구입한 제품이 배출되는 제품취출구(27)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내부도어(30)는 냉기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외부도어(20)와 함께 설치되는 것으로써, 상기 관통구(31)를 개폐할 수 있는 회동문(32)이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한편, 상기 연동수단은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록커(220)는 일측에 상기 적재대(210)의 단부가 헐겁게 끼워지는 끼움홈(22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연동턱(222)이 형성되어있으며 상기 측판(251)(252) 사이에 고정된 제2샤프트(24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록커(220)는 상기 제2샤프트(241)에 결합된 토오션스프링(232)에 의해서 상기 적재대(210)의 회전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고, 상기 제1샤프트(242)에 연결된 스프링(231)에 의해서 상기 적재대(210)를 수평상태로 유지시킨다.
또한, 상기 자판기본체(10)내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모터의 동력으로 구동스프로켓(201)과 종동스프로켓(202) 사이에서 무한궤도로 순환되는 체인(203)과, 상기 체인(203)에 고정되어 함께 순환되며 상기 록커(220)의 연동턱(222)을 연동하여 회동시키는 연동롤러(205)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연동수단은 체인(203)이 회전구동됨에 따라 연동롤러(204)(205)가 상승되면서 연동턱(222)을 연동하여 록커(220)를 회동시킬 때 적재대(210)의 단부가 록커(220)의 끼움홈(221)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제품(300)의 자중으로 적재대(210)가 경사회전되어 제품이 낙하되게 한다.
한편, 상기 냉기공급수단은 에어를 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압축기(41)와, 응축기(41) 및 증발기(43)를 포함하는 냉동사이클과, 상기 증발기(43)로부터 발생되는 냉기를 상기 자판기본체(10)내부로 공급하는 송풍팬(44)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최상부의 적재대(210)의 회동경로상에 적재대(210)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스위치(400)가 더 구비되어서, 제품이 매진되었음을 외부에 표시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적재대(210)에는 제품(300)을 올려 놓을 때에 후방으로 과도하게진입되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탈방지턱(2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 자동판매기의 제품 공급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먼저, 자판기본체(10)내의 적재대(2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상태로 유지되어 제품(300)이 안착보관되고, 하부로부터는 냉동사이클에 의한 증발기(43)로부터의 냉기가 송풍팬(44)에 의해서 적재대(210)에 적재된 각 제품(300)에 공급하여 신선한 상태로 유지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품(300)은 방울토마토, 딸기, 삶은계란 등이 사용되며, 이들 제품(300)들은 포장용기에 포장되어서 적재대(210)에 적재된다.
이와 같은 제품들은 그 종류별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동일 제품들이 진열되게 된다.
구입하고자 하는 해당 제품의 금액에 맞추어서 외부도어(20)의 동전투입구(24) 또는 지폐투입구(23)를 통하여 금액을 투입하게 되면, 메뉴선택버튼(22)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전원이 인가되고, 해당 메뉴선택버튼을 작동시키게 되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제품 라인의 체인(203)이 일정구간 회전구동되어서 연동롤러(204)(205)가 상승하면서 록커(220)를 연동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때 적재대(210)는 록커(220)의 끼움홈(221)으로부터 이탈되고 동시에 제품(300)의 자중에 의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서 안착된 제품(300)을 낙하시키게 된다.
낙하되는 제품(300)은 가이드판(50)에 안내되고, 내부도어(30)의 관통구(31)를 경유하여 외부도어(20)의 수납부(28)에 수납되게 된다.
이로부터 구매자는 외부도어(20)의 제품취출구(27)를 통하여 구입한 제품을 취출시킨다.
한편, 자동판매기의 계속적인 사용으로 최상단의 적재대(210)로부터 제품(300)이 낙하되어 판매되는 경우, 적재대(210)가 회전될 때 센서스위치(400)를 작동하여서 제품이 매진되었음을 외부에 표시램프등으로 알리게 된다.
또한, 제품이 매진되어 새로운 제품을 수납하는 경우, 경사지게 회전되었던 각 적재대(210)를 손으로 수평위치로 회전시키게 되면, 적재대(210)의 내측 선단이 록커(220)의 끼움홈(221)에 끼워지면서 수평상태로 유지되게 되며, 이에 따라서 적재대(210)에 새로운 제품을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적재대(210)의 이탈방지턱(211)에 의해서 제품이 후방으로 낙하되지 아니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 실시예의 자동판매기의 제품공급장치는 저장된 판매제품들이 각각 적재대에 안착된 상태로 공급되므로 제품 손상 없이 고품질 상태로 공급할 수 있으며, 적재대의 크기 내에서 판매하고자하는 제품의 크기에 관계없이 자동판매가 가능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본원의 정신과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많은 변형을 가하여 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 자동판매기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진다.
첫째, 복수의 적재대에 의해서 일정량의 제품을 각각 안착보관하여 판매함으로써, 종래에서와 같이 제품들을 적층하여 보관한 상태에서 제품이 취출되는 구조와는 달리, 저장된 판매과일을 손상 없이 고품질 상태로 공급할 수 있게 한다.
둘째, 일정크기의 적재대에 제품들을 각기 안착하여 공급함으로써, 적재대의 크기 범위 내에서 판매하고자하는 제품의 크기에 관계없이 자동판매가 가능하다.
셋째, 센서스위치를 구비함으로써 외부에서도 제품이 매진되었음을 알 수 있게 하여 제품의 보충시기를 알 수 있게 한다.
넷째, 적재대에 이탈방지턱이 형성됨으로써 적재대에 제품을 안착시킬 때 제품이 후방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Claims (4)

  1. 자판기본체내에 수납된 제품들로부터 투입된 금액에 따라 일정량씩 제품을 공급하는 자동판매기의 제품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판기본체(10)내에 일정간격으로 고정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측판(251)(252)과,
    각각 상기 측판(251)(252) 사이에 고정된 제1샤프트(242)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제품(300)이 일측에 안착되며 상하로 일정간격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적재대(210)와,
    상기 복수의 적재대(210)의 각 일측이 출입가능하도록 파지하여 각각 수평위치로 유지시키며 상기 한 쌍의 측판(251)(252)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록커(220)와,
    상기 제품의 자중에 의해서 상기 적재대(210)가 경사위치로 회동되도록 상기 록커(220)를 상기 적재대(210)로부터 분리시키는 연동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제품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수단은,
    상기 록커(220)는 일측에 상기 적재대(210)의 단부가 헐겁게 끼워지는 끼움홈(221)이 형성되고 타측에 연동턱(222)이 형성되며 상기 측판(251)(252) 사이에 고정된 제2샤프트(24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샤프트(241)에 결합되어 상기 록커(220)를 상기 적재대(210)의 회전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토오션스프링(232)과, 일단이 록커(220)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1샤프트(242)에 연결되어 상기 적재대(210)를 수평상태로 유지시키는 탄성력이 작용하는 스프링(231)과,
    상기 자판기본체(10)내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모터의 동력으로 무한궤도로 순환되는 체인(203)과,
    상기 체인(203)에 고정되어 함께 순환되며 상기 록커(220)의 연동턱(222)을 연동하여 회동시키는 연동롤러(205)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제품공급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최상부의 적재대(210)의 회동경로상에 적재대(210)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스위치(40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제품공급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대(210)의 상면에 제품(300)을 올려 놓을 때에 후방으로 과도하게 진입되어 낙하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이탈방지턱(2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제품공급장치.
KR20-2004-0013990U 2004-05-20 2004-05-20 자동판매기의 제품공급장치 KR2003595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990U KR200359582Y1 (ko) 2004-05-20 2004-05-20 자동판매기의 제품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990U KR200359582Y1 (ko) 2004-05-20 2004-05-20 자동판매기의 제품공급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5827A Division KR20050110876A (ko) 2004-05-20 2004-05-20 자동판매기의 제품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9582Y1 true KR200359582Y1 (ko) 2004-08-21

Family

ID=49435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3990U KR200359582Y1 (ko) 2004-05-20 2004-05-20 자동판매기의 제품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958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30651A (zh) * 2012-10-31 2013-02-13 广东金赋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售货机出货装置
KR101797650B1 (ko) 2015-11-17 2017-11-15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자동판매기용 반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30651A (zh) * 2012-10-31 2013-02-13 广东金赋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售货机出货装置
KR101797650B1 (ko) 2015-11-17 2017-11-15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자동판매기용 반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99598A (en) Dispensing apparatus for tennis ball containers
JP5981529B2 (ja) マーチャンダイザ
JP2003317143A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KR20200030215A (ko) 포장육 자동판매기
MXPA01009796A (es) Maquina vendedora que reduce al minimo la agitacion de los productos.
KR101909883B1 (ko) 냉장육 및 냉동육 자동판매기
KR20060069407A (ko) 신선과일 자동판매기
KR200359582Y1 (ko) 자동판매기의 제품공급장치
KR100374758B1 (ko)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
KR200282447Y1 (ko) 김치 자동판매기
KR20050110876A (ko) 자동판매기의 제품공급장치
JPH11154266A (ja) 自動販売機
KR200359581Y1 (ko) 자동판매기
JP2020080070A (ja) 物品販売機の搬出機構
KR20050110875A (ko) 자동판매기
WO2000030961A1 (en) Vending machine
KR101016433B1 (ko) 일회용 포장식품 자동판매기
KR101806458B1 (ko) 자동판매기
JP3223059B2 (ja) 容器入り飲料の販売機
JP2774699B2 (ja) 販売機
JP2001283313A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3471294B2 (ja) 自動販売機
JP3959942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H10312491A (ja) 商品自動販売機
KR100389994B1 (ko)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