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7650B1 - 자동판매기용 반출장치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용 반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7650B1
KR101797650B1 KR1020150160921A KR20150160921A KR101797650B1 KR 101797650 B1 KR101797650 B1 KR 101797650B1 KR 1020150160921 A KR1020150160921 A KR 1020150160921A KR 20150160921 A KR20150160921 A KR 20150160921A KR 101797650 B1 KR101797650 B1 KR 101797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ember
column
vending machine
product
car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0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7605A (ko
Inventor
박기훈
Original Assignee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0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7650B1/ko
Publication of KR20170057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7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 G07F11/4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the articles being delivered by motor-driven means

Abstract

자동판매기용 반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기적 신호로 작동하는 솔레노이드의 동작 제어에 의해 연동되는 제1레버와 제2레버가 상품 반출통로로 출몰되면서 컬럼 내에 적재되어 있는 상품들이 하나씩 반출되도록 설치되는 반출부재; 상기 반출부재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는 안내부재;를 포함하며, 다양한 상품의 크기 또는 형상에 관계없이 상품이 배출되도록 상기 안내부재의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컬럼; 상기 컬럼 및 상기 안내부재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고정축;를 마련하여 안내부재의 경사면과 안내면을 따라 상품이 하강되면서 반출부재에 의해 상품의 크기, 종류, 형상에 상관없이 상품을 하나씩 반출시킬 수 있고, 안내부재가 컬럼 및 고정축에 의해 상하,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됨에 따라 상품에 의해 안내부재를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으며, 다양한 종류, 크기, 형상에 구애됨이 없이 반출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자동판매기용 반출장치{Emission Device of 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용 반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판매기 내부에 적재된 상품을 반출시킬 때 상품의 다양한 종류 또는 형상에 관계없이 상품을 반출시킬 수 있는 자동판매기용 반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 판매기라 함은 소정의 금액(동전)을 투입한 후 원하는 상품을 선택하면 자동적으로 해당 상품이 상품반출구로 나오는 기계장치로서, 이 자동판매기에는 캔 음료를 비롯하여 병 음료, 담배, 커피 및 위생용품 등의 다양한 상품이 통용되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캔 음료용 자동 판매기의 종래 상품반출구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반출구조에 있어서는 본체의 하방으로 설치되어 전기적 신호에 의해 흡입작동하는 솔레노이드(5)와, 상기 솔레노이드(5)의 끝단에 상하 복수개의 링크핀(6a,6b)이 형성된 링크(6)와, 상기 솔레노이드(5)의 작동에 따라 상품 반출통로로 출몰하면서 수납된 상품(P)의 반출을 제어하는 제1레버(7)와, 상기 흡입된 솔레노이드(5) 및 제1레버(7)를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스프링(9)과, 상기 제1레버(7)의 작동에 연동되어 제1레버(7)의 작동과 반대로 출몰 작동하도록 설치된 제2레버(8)로 구성되었다.
미설명 부호 4는 대향면에서 상품반출 통로를 형성하는 가이드판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상품반출구 구조에서는 반출통로의 폭이 일정하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정해진 규격의 상품에 대한 반출제어만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상품의 외경이 작은 사이즈의 드링크 병음료 등의 반출제어를 위해서는 별도로 상부 컬럼 및 반출통로의 폭을 해당 상품에 맞도록 축소하여 제작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품반출 컬럼간 상품의 호환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자판기의 제작 시 캔상품 전용컬럼과 병상품 전용컬럼을 해당 상품의 외경 크기에 맞도록 각각 제작해야 하므로 제작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자동판매기용 상품 반출 아답터'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상품 반출 아답터는 전기적 신호로 작동하는 솔레노이드의 동작 제어에 의해 연동되는 제1레버와 제2레버가 상품 반출통로로 출몰되면서 컬럼 내에 적재되어 있는 상품(P)들이 1개씩 반출되도록 하는 상품반출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품 반출통로에는 반출통로의 폭에 대한 가변 조절이 가능하도록 반출 아답터가 상기 제1, 2레버의 돌출 대향측인 반출 가이드판에 조립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자동판매기용 서펜타인랙의 용기반출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서펜타인랙의 용기반출구조에는 곡선상의 적재장치로 적재부를 형성하고, 그 하단부에는 일측이 배출 억제 레버와 배출 레버를 설치한 레버 설치대로 구성된 반출기를 연결 구성한 자동판매기용 서펜타인랙의 용기 반출 구조에 있어서, 반출기의 일측에 설치한 배출 억제 레버와 배출 레버로 구성된 레버설치대와 동일한 구조의 배출 억제 레버와 배출 레버와 레버설치대를 타측에 대향 설치하여 2중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54225호(2004년 6월 11일 등록)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20-1998-010650호(1998년 5월 15일 공개)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상품 반출 아답터는 반출통로의 폭을 가변시켜 상품을 배출시키는 이점은 있으나, 반출 아답터가 걸림고리에 의해 반출 가이드판에 설치됨으로써 반출 아답터가 상품에 의해 밀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이로 인해 자동판매기에 적재된 다수의 상품이 넓어진 반출통로를 통해 일시에 반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판매기에 적재된 상품의 형상이나 모양에 관계없이 상품을 안정적으로 하나씩 반출되도록 안내부재를 안정되게 고정시킨 자동판매기용 반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판매기의 안내부재를 상하 및 양 측면에서 고정시킴으로써 안내부재가 임의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자동판매기용 반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반출장치는 전기적 신호로 작동하는 솔레노이드의 동작 제어에 의해 연동되는 제1레버와 제2레버가 상품 반출통로로 출몰되면서 컬럼 내에 적재되어 있는 상품들이 하나씩 반출되도록 설치되는 반출부재; 상기 반출부재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는 안내부재;를 포함하며, 다양한 상품의 크기 또는 형상에 관계없이 상품이 배출되도록 상기 안내부재의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컬럼; 상기 컬럼 및 상기 안내부재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고정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고정축에 결합되도록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측 고정홈부; 상기 고정축에 결합되도록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측 고정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하부측 고정축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고정 브래킷; 상기 고정 브래킷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하부측 고정축에 안착되는 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립은 상기 고정축이 안착되는 안착홈부; 상기 고정 브래킷에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끼움홈부에는 상기 고정 브래킷에 장착되도록 형성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반출장치에 의하면, 안내부재의 경사면과 안내면을 따라 상품이 하강되면서 반출부재에 의해 상품의 크기, 종류, 형상에 상관없이 상품을 하나씩 반출시킬 수 있고, 안내부재가 컬럼 및 고정축에 의해 상하,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됨에 따라 상품에 의해 안내부재를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으며, 다양한 종류, 크기, 형상에 구애됨이 없이 반출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 상품 반출구의 동작 전 측면 상태도.
도 2는 종래 상품 반출구의 동작 시 측면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반출장치의 일측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반출장치의 타측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반출장치의 일부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반출장치의 분해 단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반출장치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반출장치의 작동 전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반출장치의 작동 후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반출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반출장치의 일측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반출장치의 타측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반출장치의 분해 단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반출장치는 전기적 신호로 작동하는 솔레노이드(15)의 동작 제어에 의해 연동되는 제1레버(17)와 제2레버(18)가 상품 반출통로로 출몰되면서 컬럼 내에 적재되어 있는 상품들이 하나씩 반출되도록 설치되는 반출부재(10); 상기 반출부재(10)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는 안내부재(20);를 포함하며, 다양한 상품의 크기 또는 형상에 관계없이 상품이 배출되도록 상기 안내부재(20)의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컬럼(30); 상기 안내부재(20) 및 상기 컬럼(3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고정축(51, 5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반출장치는 안내부재(20)의 양 측면 및 상부와 하부를 안정되게 고정되게 하여 상품의 형상 또는 크기 등에 관계없이 상품이 반출되도록 한다.
즉, 자동판매기 내부에 적재된 상품은 캔 또는 페트병 등이 내장되는데, 이들 상품의 종류 또는 크기가 다르므로 각각의 상품 종류 또는 크기, 형상 등에 따라 자동판매기의 반출장치를 서로 다른 간격으로 설치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반출장치는 상품의 종류, 크기 또는 형상에 관계없이 상품을 반출시킬 수 있도록 안내부재(20)를 설치하며, 안내부재(20)의 설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반출장치는 적재된 상품을 반출시키는 반출부재(10)와 상기 반출부재(10)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안내부재(20)가 설치된다.
상기 반출부재(10)에는 상품을 하나씩 반출되도록 제1 레버(17)와 제2 레버(18)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반출부재(10)는 종래와 동일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안내부재(20)는 상품의 크기, 종류 또는 형상 등에 관계없이 상품이 반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안내부재(20)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21), 상기 경사면(21)의 하부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안내면(22), 상기 안내면(22)의 양 측면에 측면(23)이 일체로 형성된다.
아울러 안내부재(20)에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고정축(51, 52)이 설치된다. 이와 함께 안내부재(20)의 하부 배면에는 고정축(52)에 결합되도록 고정 브래킷(26)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 브래킷(26)이 클립(40)에 결합되도록 구멍(27)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부재(20)의 양 측면에는 각각 컬럼(30)이 설치된다. 상기 컬럼(30)은 안내부재(20)가 측면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컬럼(30)은 안내부재(20)의 양 측면에 설치되도록 대략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31), 상기 본체(31)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측 고정구멍(32) 및 상기 본체(31)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측 고정구멍(33)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31)는 안내부재(20)의 양 측면에 밀착되도록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본체(31)의 상부에는 상부측 고정축(51)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상부측 고정구멍(32)이 형성되고, 본체(31)의 하부에는 하부측 고정축(52)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하부측 고정구멍(33)이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반출장치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반출장치의 분해 단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반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부재(20)의 고정 브래킷(26)에는 하부측 고정축(52)이 결합되도록 클립(40)이 결합된다. 상기 고정 브래킷(26)에 결합되는 클립(40)은 하부에 하부측 고정축(52)이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안착홈부(41), 상기 고정 브래킷(26)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끼움홈부(42) 및 상기 고정 브래킷(26)의 구멍(27)에 끼워져 결합되는 돌기부(43)를 포함한다.
상기 안내부재(20) 및 상기 안내부재(20)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컬럼(30)은 고정축(51, 52)에 의해 안내부재(20)와 2개의 컬럼(30)이 일체로 결합되게 한다.
상기 고정축은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측 고정축(51)과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측 고정축(5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측 고정축(51)은 안내부재(20)의 상부측 고정홈부(24)에 결합됨과 함께 컬럼(30)의 상부측 고정구멍(32)에 끼워져 결합되고, 하부측 고정축(52)은 안내부재(20)의 클립(40)에 안착됨과 함께 컬럼(30)의 하부측 고정구멍(33)에 끼워져 결합된다.
즉, 상부측 고정축(51)은 안내부재(20) 및 컬럼(30)의 상부를 고정시킴으로써 안내부재(20)와 컬럼(30)을 안정되게 고정하고, 하부측 고정축(52)은 안내부재(20) 및 컬럼(30)의 하부를 고정시킴으로써 안내부재(20)와 컬럼(30)을 안정되게 고정한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반출장치의 결합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반출장치는 자동판매기 내부에 적재된 상품을 하나씩 반출시키는 반출부재(10)와 반출되는 상품의 크기, 종류, 형상 등에 관계없이 반출시킬 수 있도록 안내부재(20)를 설치한다.
상기 안내부재(20)에는 반출부재(10)에 대응되는 제1 레버(17)와 제2 레버(18)가 설치되지 않음으로써, 상품의 종류, 크기,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서 반출되게 한다. 즉, 안내부재(20)는 경사면(21)과 안내면(22)에 상품이 걸리지 않고, 반출부재(10)의 레버(17, 18)에 의해 상품이 하나씩 걸림 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상품을 하나씩 반출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반출부재(10)는 종래의 반출부재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안내부재(20)는 상품의 종류, 크기 또는 형상에 관계없이 상품이 하강되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21)을 형성하며, 경사면(21)의 하부에는 수직으로 안내면(22)을 형성한다. 즉, 상품은 경사면(21)을 따라 안내면(22)을 따라 하강 되며, 상품은 반출부재(10)의 제1 레버(17) 및 제2 레버(18)에 의해 하나씩 걸리게 된다.
상기 안내면(22)의 양 측면에는 각각 측면(23)을 형성하며, 이들 측면(23)의 상부에는 소정의 깊이를 갖는 상부측 고정홈부(24)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소정의 깊이를 갖는 하부측 고정홈부(25)를 형성한다.
또 안내면(22)의 하부에는 안내면(22)의 일부를 절단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고정 브래킷(26)을 형성한다. 이러한 고정 브래킷(26)은 안내부재(20)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게 한다.
즉, 안내부재(20)는 양 측면에 고정되는 컬럼(30), 상부측 고정홈부(24)에 결합되는 상부측 고정축(51), 하부측 고정홈부(25)에 결합되는 하부측 고정축(52) 및 고정 브래킷(26)에 하부측 고정축(52)을 결합한다.
이에 따라 안내부재(20)는 반출되는 상품에 의해 안내부재(20)가 상하, 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상기 고정 브래킷(26)에는 클립(40)의 돌기부(43)가 결합되도록 구멍(27)을 형성한다.
상기 컬럼(30)은 안내부재(20)의 양 측면에 각각 고정하며, 상기 컬럼(30)의 본체(31)는 안내부재(20)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 컬럼(30)의 상부에는 상부측 고정축(51)이 결합되도록 상부측 고정구멍(32)을 형성하며, 컬럼(30)의 하부에는 하부측 고정축(52)이 결합되도록 하부측 고정구멍(33)을 형성한다.
이들 상부측 고정구멍(32) 및 하부측 고정구멍(33)은 안내부재(20)의 상부측 고정홈부(24)와 하부측 고정홈부(25)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한다.
상기 클립(40)은 안내부재(20)의 고정 브래킷(26) 및 하부측 고정축(52)에 결합되는 것으로, 클립(40)의 하부에는 하부측 고정축(52)이 결합되도록 안착홈부(41)를 형성한다.
또 안착홈부(41)의 상부에는 고정 브래킷(26)에 결합되도록 끼움홈부(42)를 형성하며, 끼움홈부(42)의 하측에는 고정 브래킷(26)의 구멍(27)으로 결합되는 돌기부(43)를 형성한다.
상기 고정축은 안내부재(20)의 상부측 고정홈부(24) 및 컬럼(30)의 상부측 고정구멍(32)에 끼워져 결합되는 상부측 고정축(51)과 안내부재(20)의 하부측 고정홈부(25) 및 컬럼(30)의 하부측 고정구멍(33)에 끼워져 결합되는 하부측 고정축(52)을 마련한다.
다음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반출장치의 작동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반출장치의 작동 전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반출장치의 작동 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반출장치는 자동판매기 내부에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적재하게 되는데, 이때 적재되는 상품은 캔, 페트병, 유리병 등과 같은 다양한 크기, 종류, 형상을 갖는 상품을 적재할 수 있다.
이러한 상품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반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반출되는 상품은 반출통로를 따라 하강되며, 반출통로의 하부에는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반출부재(10)와 안내부재(20)가 설치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은 반출부재(10)의 제1 레버(17)에 의해 걸림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제2 레버(18)에 의해 배출시키고자 하는 상품이 걸림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품은 경사면(21)과 안내면(22)을 따라 안내부재(20)에 밀착된 상태로 하강되며, 상품은 제1 레버(17)와 제2 레버(18)에 의해 걸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반출 대기 상태에 있는 상품은 제2 레버(18)의 회전에 의해 배출구(미도시)로 이동되며, 제1 레버(17)에 걸린 상품은 제2 레버(18)의 상승됨과 함께 제1 레버(17)의 회전에 의해 제2 레버(18)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상품은 안내부재(20)의 안내면(22)을 따라 하강되며, 반출부재(10)의 제1 레버(17)와 제2 레버(18)에 의해 순차적으로 하강되어 배출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반출부재 20: 안내부재
21: 경사면 22: 안내면
23: 측면 24: 상부측 고정홈부
25: 하부측 고정홈부 26: 고정 브래킷
27: 구멍 30: 컬럼
31: 본체 32: 상부측 고정구멍
33: 하부측 고정구멍 40: 클립
41: 안착홈부 42: 끼움홈부
43: 돌기부 51: 상부측 고정축
52: 하부측 고정축

Claims (5)

  1. 전기적 신호로 작동하는 솔레노이드의 동작 제어에 의해 연동되는 제1레버와 제2레버가 상품 반출통로로 출몰되면서 컬럼 내에 적재되어 있는 상품들이 하나씩 반출되도록 설치되는 반출부재;
    상기 반출부재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는 안내부재;를 포함하며,
    다양한 상품의 크기 또는 형상에 관계없이 상품이 배출되도록 상기 안내부재의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컬럼;
    상기 컬럼 및 상기 안내부재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고정축;을 포함하되,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고정축에 결합되도록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측 고정홈부;
    상기 고정축에 결합되도록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측 고정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하부측 고정축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고정 브래킷;
    상기 고정 브래킷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하부측 고정축에 안착되는 클립;을 포함하되,
    상기 클립은 상기 하부측 고정축이 안착되는 안착홈부;
    상기 고정 브래킷에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용 반출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부에는 상기 고정 브래킷에 장착되도록 형성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용 반출장치.
KR1020150160921A 2015-11-17 2015-11-17 자동판매기용 반출장치 KR101797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921A KR101797650B1 (ko) 2015-11-17 2015-11-17 자동판매기용 반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921A KR101797650B1 (ko) 2015-11-17 2015-11-17 자동판매기용 반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7605A KR20170057605A (ko) 2017-05-25
KR101797650B1 true KR101797650B1 (ko) 2017-11-15

Family

ID=59051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0921A KR101797650B1 (ko) 2015-11-17 2015-11-17 자동판매기용 반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765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6938B2 (ja) * 1996-03-22 2000-05-29 サンデン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幅調整装置
KR200359582Y1 (ko) 2004-05-20 2004-08-21 정봉훈 자동판매기의 제품공급장치
JP5482371B2 (ja) 2010-03-29 2014-05-07 富士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6938B2 (ja) * 1996-03-22 2000-05-29 サンデン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幅調整装置
KR200359582Y1 (ko) 2004-05-20 2004-08-21 정봉훈 자동판매기의 제품공급장치
JP5482371B2 (ja) 2010-03-29 2014-05-07 富士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7605A (ko) 2017-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6185B2 (en) Dispenser tray for a vending machine
US8701932B2 (en) Cutlery dispenser trays
US8607831B2 (en) Cup conveyor and holder device for beverage dispensing
JP3920574B2 (ja) 商品の動揺を最小にする自動販売機
KR20050085117A (ko) 용기와 같은 길다란 물품의 공급-분배장치
EP2724960B1 (fr) Installation de stockage et de délivrance de boîtes de médicaments
US5472074A (en) Coin operated dispensing machine
KR101797650B1 (ko) 자동판매기용 반출장치
JPH04137194A (ja) 自動販売機
JP5630080B2 (ja) カップ式自動販売機のカップ廃棄装置
JP4876527B2 (ja) カップ式自動販売機のストロー供給装置
JP5630079B2 (ja) カップ式自動販売機のカップ搬送装置
KR200463564Y1 (ko) 상품반출기 내 유리병상품 걸림방지 기능을 구비한 자판기
KR101745614B1 (ko) 자동판매기의 반출 불량 방지장치
EP2937021A1 (en) Loading tool for a goods presentation system
KR102131632B1 (ko) 제품손상 방지구조를 갖는 라면 자동판매기
JP5359205B2 (ja) 商品収納装置
US20200143622A1 (en) Table vending machine
CN115636201A (zh) 货物存储装置
KR200354225Y1 (ko) 자동판매기용 상품 반출 아답터
JP2010113684A (ja) 商品搬出装置
KR20010003373A (ko) 대형용기상품 자동판매기
CA2766554C (en) Cutlery dispenser trays
JP5225861B6 (ja) 飲料販売機用のカップコンベア兼カップホルダ装置
JP2005044141A (ja) 自動販売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